KR20090016900A - 지하주차장의 결로 방지용 벽체 구조 - Google Patents

지하주차장의 결로 방지용 벽체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6900A
KR20090016900A KR1020070081222A KR20070081222A KR20090016900A KR 20090016900 A KR20090016900 A KR 20090016900A KR 1020070081222 A KR1020070081222 A KR 1020070081222A KR 20070081222 A KR20070081222 A KR 20070081222A KR 20090016900 A KR20090016900 A KR 200900169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ensation
panel
wall
parking lot
underground par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1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양수
안정찬
여승의
Original Assignee
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대건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대건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812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6900A/ko
Publication of KR20090016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69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0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composed of two or more spaced sheet-lik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결로방지를 위하여 지하주차장의 벽체 외측면에 결로수 방지용 판넬을 부착한 벽체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결로를 방지하기 위하여 결로가 발생 되는 기존 벽체에 블럭을 쌓거나, 본 발명과 유사하게 결로방지용 판넬을 덧 부착하는 등의 방법이 행하여지고 있으나 만족할 만한 효과를 얻지 못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결로 방지용 판넬은 불연재질이므로 화재에 강하며, 무기질 판재이므로 단열성 및 표면 결로 방지 기능이 뛰어나며, 표면의 투습율 및 표면 흡수율을 높여 표면 결로 방지 효과가 뛰어나며, 자재가 경량이어서 시공성이 뛰어나며, 대형으로 제작이 가능하여 원가절감 및 시공성이 매우 뛰어나다.
또한, 상기 결로 방지용 판넬을 벽체에 부착시키기 위한 시공 공법이 매우 간단하고 편리하여 시공성이 매우 뛰어나며, 또한 하자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 공법으로서 결로 방지 효과가 매우 뛰어난 벽체 구조이다.
결로, 지하주차장, 벽체, 판넬

Description

지하주차장의 결로 방지용 벽체 구조{Dew condensation prevention wall structure for under ground parking lot}
본 발명은 결로 방지를 위하여 지하주차장의 벽체 외측면에 결로수 방지용 판넬을 부착한 벽체구조에 관한 것으로, 판넬 자체가 무기질 재질로 구성되어 있어 단열성 및 표면 결로 방지 효과가 뛰어나며, 판넬을 벽체에 부착하는 시공 방법이 간편하고 편리하여 전체적으로 원가 절감 및 시공성이 매우 우수하도록 한 것이다.
건축구조물에 있어서, 벽체의 온도와 이에 접하는 공기의 온도 차이가 심할 경우, 공기 중의 습기가 차가운 벽면에 응집되는 것을 볼 수 있는바, 이를 결로라 지칭하고 있다.
이러한 결로 현상은 추운 동절기 뿐만 아니라 더운 하절기에도 발생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동절기의 결로는 차가운 외기에 의해 온도가 낮아진 외벽체의 내측면에 실내의 더운 공기가 맞닿을시, 더운 공기 중에 포함된 습기가 응집되어 결로가 발생 되는 것을 볼 수 있으며, 하절기의 결로는 지하주차장이나 지하실 등과 같이 지하부분에 해당하는 외벽의 내측면에서 발생 되는데, 이와 같은 현상은 차가운 지하 외 벽에 더운 내부의 공기가 맞닿을 시, 더운 공기 속의 습기가 차가운 벽면에 응집되어 결로를 발생시키는 것이라 하겠다.
이와 같이 동절기나 하절기를 막론하고 발생 되는 결로현상을 근본적으로 차단하는 방법으로는, 벽체 표면에 단열재를 덧 부착하여 습기를 많이 포함한 더운 공기가 차가운 벽체에 직접 맞닿지 않도록 해야한다.
한편, 결로 방지를 위한 벽체 구조로서는, 대부분 결로 발생을 차폐하고 배수하는 구조를 취하거나, 혹은 본 발명과 같이 결로가 발생하는 기존 벽체에 결로 방지용 판넬을 부착하여 결로를 방지하는 구조를 채택하고 있으나 현재로서는 만족할 만한 효과를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결로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블럭을 쌓는 종래 공법은 습식공사이어서 공사에 어려움이 있으며, 배면 몰탈의 시공불량으로 인하여 배수가 안되며, 하부에서 발생하는 모세관현상에 의하여 물기가 타고 올라가 벽면에 얼룩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과 유사하게 결로방지용 판넬을 벽체에 부착하여 결로를 방지하는 구조에 있어서는, 종래에는 판넬 자체가 PVC 마감재를 사용함으로 인하여 표면 결로의 방지에 어려움이 있으며, 화재시 취약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이 안출된 것이다.
결로 방지를 위하여 지하주차장의 벽체(30) 외측면에 공간부를 갖도록 결로수 방지용 판넬을 부착하여 형성하는 결로수 방지 벽체구조에 있어서,
상기 지하주차장의 벽체(30) 외측면과 일정간격(5-15㎝)의 공간부를 갖도록 결로 방지용 판넬(10)을 부착하되, 상기 결로방지용 판넬(10)은 사각형상의 판넬(10) 양측면에 아래에서 위로 길게 요홈부(11)를 갖는 테두리부재(19)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테두리부재(19)의 요홈부(11)에는 "
Figure 112007058504799-PAT00001
" 형태로 이루어진 브라켓(20)의 일측 단부(21)를 결합하되 상기 브라켓(20)의 타측 단부(22)는 세멘트 못(40)이나 볼트로 벽체에 고정하며, 상기 양측변에 테두리부재(19)를 일체로 결합하는 결로 방지용 판넬(10)은 EVA 수지조각(14)이 포함된 경량기포콘크리트(15)로 구성하되, 양 측면에는 보강매쉬(16)를 부착하고, 상기 보강매쉬(16)의 외측표면에는 시멘트몰탈(17)을 도포한 후 수성페이트(18)로 표면처리하고, 몸체 상단과 하단에 보강판(12)(13)을 덧씌워 형성토록 하였다.
또한, 상기 결로 방지용 판넬(10) 양측변에 부착되며, 아래에서 위로 길게 요홈부(11)를 갖는 테두리부재(19)의 내측에는 경량기포콘크리트(15)를 일체로 잡아 고정하는 다수개의 돌출부(19')를 갖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결로 방지용 판넬(10)과 결로 방지용 판넬(10) 사이는 공기가 유통되는 틈(50)을 형성하여 결로 방지용 판넬과 벽체 사이의 공기가 용이하게 배출됨으로 인해 별도의 배기구를 조성할 필요가 없도록 하였다.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결로 방지용 판넬은 불연재질이므로 화재에 강하며, 무기질 판재이므로 단열성 및 표면 결로 방지 기능이 뛰어나며, 표면의 투습율 및 표면 흡수율이 높아 표면에 결로가 발생 되지 않게 되며, 자재가 경량이어서 시공성이 뛰어나며, 대형으로 제작이 가능하여 원가절감 및 시공성이 매우 뛰어나게된다.
특히 경량기포 콘크리트는 습기 흡수력이 우수하며, 그 양측면에 부착하는 보강매쉬(16)는 경량 기포 콘크리트(15)를 앞뒤 양측에서 잡아 경량기포 콘크리트를 잡아 보강하게 된다.
상기 보강매쉬(16)를 경량기포콘크리트(15)에 접합하는 방법으로는 시멘트 몰탈(17)을 보강매쉬(16)위에 도포하여 보강매쉬(16)와 경량 기포콘크리트(15)를 일체로 결합하게 된다.
이와 같은 경량 기포콘크리트(15)와 시멘트 몰탈(17)은 투습성 재질로 다습 시에는 공기 중의 습기를 흡착하며, 건습 시에는 공기 중으로 습기를 방출하게 된다.
특히, 시멘트 몰탈(17) 표면에 미관을 고려하여 도색하는 도료는 용이하게 습기를 흡수 내지 방출하는 수성페인트를 사용하여 다양한 색상을 갖는 벽체를 조성하게 된다.
상기, 경량 기포콘크리트를 판상으로 조성함에 있어서 측면에 테두리부재(19)를 일체로 결합하여 판재를 조성하게 되며, 테두리판재(19)의 내측면에는 경 량기포콘크리트(15)를 잡아 고정하는 다수개의 돌출부(19')를 가져 기포 콘크리트가 양생된 후에는 이에 견고하게 일체로 된 테두리부재(19)를 갖게 된다.
상기, 테두리부재(19)의 외측에는 아래에서 위로 길이 방향으로 요홈부(11)를 형성토록 함으로서, 상기 요홈부(11)에 브라켓(20)의 일측 단부(21)를 결합하며 타측 단부(22)는 세멘트 못(40)이나 볼트로 고정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결로 방지용 판넬을 벽체에 부착시키기 위한 시공 공법이 매우 간단하고 편리하여 시공성이 매우 뛰어나며, 결로 방지용 판넬과 결로 방지용 판넬 사이의 틈을 통해 공기가 유통되어 결로 방지용 판넬과 벽체 사이의 내측의 공기가 용이하게 배출됨으로 인해 별도의 배기구를 조성할 필요가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시공 후 유지보수가 아주 용이하며, 하자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 아주 유용한 공법이다.
본 발명은 결로 방지를 위하여 지하주차장의 벽체 외측면에 결로수 방지용 판넬을 부착한 벽체구조에 있어서, 상기 지하주차장의 벽체(30) 외측면에 어느 정도 공간부를 갖도록 일정 간격을 띄운 상태로 결로 방지용 판넬(10)을 부착하되, 사각 판재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기 판넬(10)의 양측면에는 아래에서 위로 길게 요홈부(11)를 갖는 테두리부재(19)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테두리부재(19)의 요홈부(11)에는 "
Figure 112007058504799-PAT00002
" 형태로 이루어진 브라켓(20)의 일측 단부(21)를 끼우고, 브라 켓(20)의 타측 단부(22)는 세멘트 못(40)이나 볼트로 벽체에 고정토록 한 벽체 구조이다.
상기에 있어, 결로 방지용 판넬(10)의 몸체는 EVA 수지(14)가 포함된 경량기포콘크리트(15)로 구성하되, 양 측면에 보강매쉬(16)를 부착하고, 상기 보강매쉬(16) 외표면에 시멘트몰탈(17)을 도포한 후 수성페이트(18)로 표면처리하고, 몸체 상단과 하단에 보강판(12)(13)을 덧씌워 형성토록 하였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벽체 구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구성품인 결로 방지용 판넬(10)에 대하여 설명하면, 도1 내지 도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체 상단과 하단에 보강덧판(12)(13)을 덧씌움으로써 본체의 상단과 하단은 그 지지력 및 내구성을 보강토록 하였다.
또한 판넬 본체 양측면에는 요홈부(11)가 아래에서 위로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요홈부(11)에 브라켓(20)의 일측 단부(21)를 끼우고, 브라켓(20)의 타측 단부(22)를 벽체(30)에 고정시키도록 함으로서, 상기 판넬(10)을 벽체(30)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판넬(10) 몸체는 도3에서 보는 바와 같이, EVA 수지(14)가 포함된 경량 기포 콘크리트(15)로 구성토록 함으로서 무게를 경량화시켜 시공성을 향상시켰다.
또한 몸체 양측에 보강매쉬(16)를 부착토록 함으로서 표면의 내구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표면에 도포되는 시멘트 몰탈(17)이 보다 더 밀착력있게 도포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시멘트 몰탈(17)의 표면에는 수성페이트(18)를 칠하여 마감 처리함으로서, 미약한 결로 발생시 생기는 미세한 물방울을 흡수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부라 할 수 있는, 판넬(10)을 벽체(30)에 고정시키는 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는 바이다.
지하주차장의 벽면 외측에 부착되는 판넬(10)은 벽체(30)에서 일정 거리 떨어진 상태로 부착되어 지지만, 판넬(10)의 하단이 지하 주차장 바닥에 닿게 설치됨으로 인하여, 판넬(10)이 앞, 뒤로만 흔들리지 않게 잡아주면 판넬(10)은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판넬(10) 양측에 형성된 요홈부(11)에 브라켓(20)의 일측 단부(21)를 끼우고, 브라켓(20)의 타측 단부(22)를 세멘트 못(40)이나 볼트로 원 벽체(30)에 고정시키면 판넬(10)은 확실하게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판넬(10)은 벽체(30)에서 어느 정도 간격(5-15cm)을 띄운 상태로 부착시키게 됨으로 공기가 통풍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기의 충분한 유통에 따라 건조한 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으므로 결로를 방지할 수 있으며, 곰팡이 등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판넬(10)은 브라켓(20)에 의하여 벽체(30)에 고정됨으로, 상기 판넬이 벽체에서 띄워지는 거리는 브라켓(20)의 길이에 따라 자연적으로 결정되는바, 주차장의 크기 및 결로가 발생 되는 조건 등 필요에 따라 띄워지는 거리는 얼마든지 임의 조정이 가능하다.
또한 도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판넬과 판넬 사이에 어느 정도 거리를 띄우도 록 한 틈(50)을 형성토록 함으로서, 공기의 통풍 흐름을 더욱 원활하게 하여 양호한 건조상태에 의하여 결로 발생 및 곰팡이 등의 발생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결로가 많이 발생하는 기존의 지하주차장의 벽체에 매우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산업상 이용 가능성은 충분하다.
도1은 본 발명의 구성품인 결로방지용 판넬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구성품인 결로방지용 판넬의 분해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구성품인 결로방지용 판넬의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구성품인 브라켓의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구성품인 결로방지용 판넬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7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 정면도.
도8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9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 단면도.

Claims (3)

  1. 결로 방지를 위하여 지하주차장의 벽체(30) 외측면에 공간부를 갖도록 결로수 방지용 판넬을 부착하여 형성하는 결로수 방지 벽체구조에 있어서,
    상기 지하주차장의 벽체(30) 외측면과 일정간격(5-15cm)의 공간부를 갖도록 결로 방지용 판넬(10)을 부착하되, 상기 결로방지용 판넬(10)은 사각형상의 판넬(10) 양측면에 아래에서 위로 길게 요홈부(11)를 갖는 테두리부재(19)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테두리부재()의 요홈부(11)에는 "
    Figure 112007058504799-PAT00003
    " 형태로 이루어진 브라켓(20)의 일측 단부(21)를 결합하며, 상기 브라켓(20)의 타측 단부(22)는 세멘트 못(40)이나 볼트로 벽체에 고정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주차장 결로 방지용 벽체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양측변에 테두리부재(19)를 일체로 결합하는 결로 방지용 판넬은 EVA 수지조각(14)이 포함된 경량기포콘크리트(15)로 몸체를 구성하되, 몸체 양 측면에는 보강매쉬(16)를 부착하고, 상기 보강매쉬(16)에는 시멘트 몰탈(17)을 도포한 후 수성페이트(18)로 표면처리하고, 몸체 상단과 하단에 보강판(12)(13)을 덧씌워 형성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주차장 결로 방지용 벽체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결로 방지용 판넬(10)과 결로 방지용 판넬(10) 사이는 공 기가 유통되는 틈(50)을 형성하여 결로 방지용 판넬과 벽체 사이의 공기가 용이하게 배출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주차장 결로 방지용 벽체 구조.
KR1020070081222A 2007-08-13 2007-08-13 지하주차장의 결로 방지용 벽체 구조 KR200900169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1222A KR20090016900A (ko) 2007-08-13 2007-08-13 지하주차장의 결로 방지용 벽체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1222A KR20090016900A (ko) 2007-08-13 2007-08-13 지하주차장의 결로 방지용 벽체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6900A true KR20090016900A (ko) 2009-02-18

Family

ID=40685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1222A KR20090016900A (ko) 2007-08-13 2007-08-13 지하주차장의 결로 방지용 벽체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16900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7962A (ko) 2015-04-28 2016-11-07 (주)성은 콘크리트 벽체 마감재용 고정장치
KR20180027925A (ko) * 2016-09-07 2018-03-15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무지주형 플라스틱 지하 차수벽
KR20200089790A (ko) 2019-01-17 2020-07-28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결로 방지 시스템
KR102151869B1 (ko) 2019-03-25 2020-09-03 신현테크 주식회사 지하 벽체를 위한 마감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KR20210016452A (ko) 2021-01-26 2021-02-15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 보행공간의 결로 제거 시스템
CN114991218A (zh) * 2022-07-05 2022-09-02 中国建筑东北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地下空间流体循环加热防结露墙体
CN114991218B (zh) * 2022-07-05 2024-05-10 中国建筑东北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地下空间流体循环加热防结露墙体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7962A (ko) 2015-04-28 2016-11-07 (주)성은 콘크리트 벽체 마감재용 고정장치
KR20180027925A (ko) * 2016-09-07 2018-03-15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무지주형 플라스틱 지하 차수벽
KR20200089790A (ko) 2019-01-17 2020-07-28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결로 방지 시스템
KR102151869B1 (ko) 2019-03-25 2020-09-03 신현테크 주식회사 지하 벽체를 위한 마감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KR20210016452A (ko) 2021-01-26 2021-02-15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 보행공간의 결로 제거 시스템
CN114991218A (zh) * 2022-07-05 2022-09-02 中国建筑东北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地下空间流体循环加热防结露墙体
CN114991218B (zh) * 2022-07-05 2024-05-10 中国建筑东北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地下空间流体循环加热防结露墙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81888B1 (en) Interconnected double hull construction for basements
KR101630151B1 (ko) 옥상 스틸 방수 시스템
KR20090016900A (ko) 지하주차장의 결로 방지용 벽체 구조
JP4241767B2 (ja) 通気性断熱複合パネルを張設した鉄筋コンクリート外断熱建物の外壁構造
KR101008363B1 (ko) 통기층을 구비한 조립식 지붕
KR101277060B1 (ko) 한옥 및 한옥의 제조방법
KR200368836Y1 (ko) 건축물 외벽용 결로수 및 침투수 처리용 보호판재
JP5683821B2 (ja) サイディングの防水構造
JPH0567745B2 (ko)
CN202157664U (zh) 一种窗台防渗水型材
CN209723255U (zh) 一种墙面伸缩缝结构
CN219710861U (zh) 一种建筑室内设计的墙角防水结构
CN207776673U (zh) 一种建筑窗框防水结构
CN216974068U (zh) 一种别墅用墙角装饰条
JP3059802U (ja) 低層建築物における床部の排水処理構造
KR101280835B1 (ko) 슬래브 건조를 위한 통기패널
CN210316061U (zh) 防渗水隔音墙
KR200358859Y1 (ko) 건축물 외벽용 결로수 및 침투수 처리용 보호판재
CN210713345U (zh) 一种耐火性好的干式墙体
KR101003069B1 (ko) 슬래브 건조용 통풍패널
AU2007231542A1 (en) Precast wall panel
ES2402476B2 (es) Placa para impermeabilización y aislamiento integral de suelos, paredes y cubiertas de construcción, y sistema de aplicación en obras.
JP3972971B2 (ja) 通気水切り構造
TWI525239B (zh) Waterproof insulation floor
KR200280865Y1 (ko) 분말입자를 이용한 건축용 바닥충격음 완충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