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8836Y1 - 건축물 외벽용 결로수 및 침투수 처리용 보호판재 - Google Patents

건축물 외벽용 결로수 및 침투수 처리용 보호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8836Y1
KR200368836Y1 KR20-2004-0023426U KR20040023426U KR200368836Y1 KR 200368836 Y1 KR200368836 Y1 KR 200368836Y1 KR 20040023426 U KR20040023426 U KR 20040023426U KR 200368836 Y1 KR200368836 Y1 KR 2003688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plate
condensation
water
protectiv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34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하성
유순용
허출
임원규
Original Assignee
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대건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대건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234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883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88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883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0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5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 basic insulating layer and at least one covering layer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 구조물의 외벽의 내측면에 발생되는 결로를 차단하기 위해 사용되는 결로 방지용 보호판재에 관한 것이다.
결로는 차가운 벽체에 더운 공기가 맞닿을때 더운공기에 포함된 습기가 벽체에 응집되는 것으로, 보통 결로를 예방함에 있어서는 벽체에 단열재를 덧입혀 결로를 차단하게 된다.
본 고안은 차가운 벽체에 단열성능이 있는 보호판재를 덧붙여 결로현상을 저감시키는 자재로써 보호판재의 구성단면을 다수개의 원뿔형상의 중공돌기가 돌설된 합성수지판과 합성수지판 이면에는 접착제로 단열판재와 마감판재를 부착한 것으로, 돌출시킨 원뿔형상의 중공돌기가 벽체에 부착 고정시, 벽체와 보호판재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의 서로 연결된 공간부가 형성되어 벽체에 발생되는 결로수나 지하침투수등을 용이하게 차단 및 배수 시킬 수 있도록 한 결로수 및 침투수 처리용 보호판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건축물 외벽용 결로수 및 침투수 처리용 보호판재{Insulation panel for building wall}
본 고안은 건축 구조물 외벽의 내측면에 발생하는 결로 및 침투수를 차단 및 배수하기 위해 사용하는 벽체마감용 보호판재에 관한 것이다.
건축구조물에 있어서, 벽체의 온도와 이에 접하는 공기의 온도 차이가 심할 경우, 공기중의 습기가 차가운 벽면에 응집되는 것을 볼 수 있으며, 이를 결로라 지칭하게 된다.
결로 현상은 추운 동절기 뿐만 아니라 더운 하절기에도 발생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동절기의 결로는 차가운 외기에 의해 온도가 낮아진 외벽체의 내측면에 실내의 더운 공기가 맞닿을시, 더운 공기중에 포함된 습기가 응집되어 결로가 발생되는 것을 볼 수 있으며, 하절기의 결로는 지하주차장이나 지하실등과 같이 지하부분에 해당하는 외벽의 내측면에서 발생되는데, 이와 같은 현상은 차가운 지하 외벽에 더운 내부의 공기가 맞 닿을 시, 더운 공기속의 습기가 차가운 벽면에 응집되어 결로를 발생시키는 것이라 하겠다.
이와 같이 동절기나 하절기를 막론하고 발생되는 결로현상을 근본적으로 차단하는 방법으로는, 벽체 표면에 단열재를 덧부착하여 습기를 많이 포함한 더운 공기가 차가운 벽체에 직접 맞닿지 않도록 해야한다.
그러나 지하 외벽체의 결로발생을 차단하기 위해 단열공사를 하는 것은 과다한 공사비 증액등 불필요한 요인이 많아 적용하지 않고 있는 실정이며, 대부분 결로 발생을 차폐하고 배수하는 수준으로 벽체를 구성하고 있다.
그 예로써 지하벽체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블럭을 쌓아서 외벽체에 발생하는 결로수의 노출을 방지함과 동시에 일정한 간격을 통해 결로수가 배수토록 하는 블력을 쌓는 공법(방습블럭)등이 있다.
본 고안은 하절기 지하실이나 지하주차장등의 지하 내벽에 발생되는 결로를 차단하거나 결로수를 용이하게 배출하는 방습블럭 대신 사용 가능한 결로수 차폐 및 배수가 가능한 보호판재를 제공코자 안출된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은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2004-12716호를 개량,발전 시킨것이다.
본 고안은 더운 공기가 찬벽체에 맞닿을시, 더운 공기층에 포함된 습기가 벽에 응집되는 결로현상을 방지하는 보호판재를 제공토록 하는 것이다.
동절기 외기와 접하는 콘크리트 벽체의 실내면은 차가운 외기에 의해 차가워진 벽체에 더운 실내 공기가 맞닿아 결로가 발생하는 것을 볼 수 있으며, 심할 경우 결로수가 흘러내려 바닥까지 오염시키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결로 발생에 있어서, 본 고안은 차가운 벽체에 더운 공기가 직접 맞닿지 않게 보호판재를 벽에 시공하여 결로현상을 방지토록 하되, 상기 보호판재는 벽체와 서로 연결된 일정공간을 갖는 형상을 갖도록 하여, 벽체면을 더운 공기와 차단하므로써 벽체면에 결로가 발생하는 것을 저감시킴과 동시에 과도한 온도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결로수나 외벽체의 방수 또는 벽체자체의 균열에 인해 유입되는 물을 차폐, 배수시키는 보호판재에 관한 것이다.
도1 - 본 고안의 사시도
도2 -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도3 - 본 고안의 이면 사시도
도4 - 본 고안의 이면 분해 사시도
도5 - 본 고안의 단면도
도6 - 본 고안의 분해 단면도
도7 - 본 고안의 사용 상태 단면도
본 고안은 합성수지판(11) 일면에 공간부(13)를 갖는 다수개의 원뿔형 중공돌기(12)를 돌출 형성하고, 합성수지판(11) 이면에 접착제(14)로 단열판재(16)와 마감판재(15)를 부착하여서 된 보호판재에 관한 것이다.
상기에 있어, 합성수지판(11) 일면에 형성하는 다수개의 원뿔형 중공돌기(12) 대신에 삼각이나 사각, 육각이나 팔각등의 각뿔형 각 중공돌기를 형성할 수도있다.
또한 상기 합성수지판(11) 이면에 부착되는 단열판재(16) 위에 부착되는 마감판재(15)는 그 재질이 합판이나 MDF등의 목재나, 석고나 시멘트 등을 주 재료로하는 등의 합성판재, PVC등의 합성수지판등 임의의 두께를 갖는 판재는 어느것이나 사용 가능하며, 또한 이를 서로 복합하여서 된 복합판재를 마감판재로 사용하게 된다.
또한 단열판재(16)는 비드법 스티로폼보드나 압출법 폴리 스티렌폼보드,우레탄폼보드등 합성수지재를 발포시킨 폼보드를 사용토록 한것이다.
상기 합성수지판(11)에 단열판재(16)나 마감판재(15)를 부착하는 접착제는 보통의 실리콘이나 우레탄 접착제로 부착하거나 볼트나 리벳등 기계적인 접합수단으로도 접합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함과 동시에 그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공간부(13)를 갖는 원뿔형 중공돌기(12)가 형성된 합성수지판(11)에 접착제(14)로 단열판재(16) 및 마감판재(15)를 일체로 부착하여서 된 본 고안은 벽체(21)에 시멘트몰탈이나 실리콘 접착제등의 접착물질(22)를 이용하여 벽체(21)면에 원뿔형 중공돌기(12)면을 부착함으로, 간단히 차폐보호벽을 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해 콘크리트벽체(21)에 형성된 차폐보호벽은 돌출된 원뿔 또는 각뿔형 중공돌기(12)에 의해 벽체(21)와 일정간격을 띄고 마감벽을 형성하여, 콘크리트벽체(21)에 더운 공기가 맞닿는 것을 방지하여 결로를 방지하게 되며, 벽체(21)면에 생기 결로수나 유입지하수등은 중공돌기(12)와 중공돌기(12)사이의 공간부를 통해 용이하게 배수되어 벽체(21)면에 물기가 고이지 않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이 간단히 차폐보호벽을 콘크리트벽체(21)에 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합성수지판(11) 일면에 형성한 원뿔 또는 각뿔형 중공돌기(12)는 결로수 및 유입수의 배수로로 작용하여 외벽체 내측면에 발생하는 물기를 하부로 배수하는 역활을 담당하게 된다.
또한 합성수지판(11)과 마감판재(15) 사이에 접착제(14)로 단열판재(16)를 부착한다. 단열판재(16)는 가볍고 가격이 저렴하며 단열성능이 우수한 비드법 스티로폼보드,압출법 폴리스티렌 폼보드나 우레탄 폼보드등과 같은 폼보드를 사용하게 된다.
단열판재(16)이면에 부착하는 마감판재(15)는 폼보드로된 단열판재(16)를 보호하는 용도와 평탄한 면을 가지며, 일정강도와 방수력을 갖는 재질의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마감판재(15)는 그 두께가 두껍지 않은 얇은 두께를 가지나 일정강도를 갖는 합판이나 MDF등의 합성목재, 석고나 시멘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합성보드, 또는 합성수지판재등 다양한 소재의 판재로 마감판재(15)를 구성하게 된다.
또한 마감판재(15)는 그 면에 곱고, 평탄하여 그 위에 페인트 도색이나 벽지등의 마감처리로 표면을 미려하게 치장할수있다.
본 고안은 무게가 가벼워 취급이 용이하며, 접착물질(시멘트몰탈이나 실리콘접착제 등등)로 간단히 벽체(21)에 부착 시공할 수 있어 비숙련자라도 이를 용이하게 설치 할 수 있으며, 또한 본 고안은 가공성이 용이하여 현장에서 톱등의 수공구로 간단히 임의 크기로 절단 재단할 수 있는등 시공의 간편성을 갖게 된다.
본 고안은 건물의 벽체에 결로저감 및 차폐,배수하는 보호판재 표면에 돌출시킨 원뿔형상의 중공돌기가 벽체에 맞닿게 시공될 때 돌기에 의해 공간부가 형성되며, 이 공간부를 통해 벽체에 발생된 결로수나 지하침투수등을 용이하게 배수함으로 인해 벽체면에 물기가 고이지 않게 되는 효과를 갖게 되며, 돌기를 갖는 합성수지판재 이면에 부착되는 폼보드가 열전달을 차단하여 지하벽체의 찬기운이 밖으로 전달되는것을 차단하여 결로발생을 방지하며 그 위에 부착되는 마감판재는 연질의 단열판재를 보호하며 마감판재의 면이 고아 그 위에 페이트 도색이나 벽지등을 도배해 미려한 외관을 얻을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되며, 자재의 경량화로 취급이 용이하며, 설치나 철거가 용이하여 건물의 건축공기를 단축할 수 있는 다양한 효과를 갖는 아주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6)

  1. 합성수지판(11) 일면에 공간부(13)를 갖는 다수개의 원뿔형 중공돌기(12)를 돌출 형성하고, 합성수지판(11) 이면에 접착제(14)로 단열판재(16)와 마감판재(15)를 부착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벽용 결로수 및 침투수 처리용 보호판재.
  2. 제 1항에 있어서, 합성수지판(11) 일면에 공간부(13)를 갖는 다수개의 원뿔형 중공돌기(12) 대신에, 그 형상이 삼각이나, 사각, 육각이나 팔각등 각뿔형 중공돌기 형상을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벽용 결로수 및 침투수 처리용 보호판재.
  3. 제 1항에 있어서, 마감판재(15)는 합판이나 MDF보드 등과 같이 목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벽용 결로수 및 침투수 처리용 보호판재.
  4. 제 1항에 있어서, 마감판재(15)는 석고나 시멘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합성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벽용 결로수 및 침투수 처리용 보호판재.
  5. 제 1항에 있어서, 마감판재(15)는 PVC등과 같이 합성수지재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건축물 외벽용 결로수 및 침투수 처리용 보호판재.
  6. 제 1항에 있어서 단열판재(16)는 비드법 스티로폼 보드나 압출법 폴리 스티렌 폼보드,우레탄 폼보드 등과 같은 폼보드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벽용 결로수 및 침투수 처리용 보호판재.
KR20-2004-0023426U 2004-08-17 2004-08-17 건축물 외벽용 결로수 및 침투수 처리용 보호판재 KR2003688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3426U KR200368836Y1 (ko) 2004-08-17 2004-08-17 건축물 외벽용 결로수 및 침투수 처리용 보호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3426U KR200368836Y1 (ko) 2004-08-17 2004-08-17 건축물 외벽용 결로수 및 침투수 처리용 보호판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8836Y1 true KR200368836Y1 (ko) 2004-12-03

Family

ID=49352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3426U KR200368836Y1 (ko) 2004-08-17 2004-08-17 건축물 외벽용 결로수 및 침투수 처리용 보호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883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3454B1 (ko) 2009-07-10 2011-06-23 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건축 지하구조물의 마감 조립체
KR20200106714A (ko) * 2019-03-05 2020-09-15 세라코 주식회사 배면에 결착홈이 형성된 박벽돌을 양각 테두리 돌출띠가 성형된 바탕쉬트의 걸림턱에 결합시켜서 제작된 단위 프리패브 유닛패널 및 이를 이용한 하지프레임 외벽마감공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3454B1 (ko) 2009-07-10 2011-06-23 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건축 지하구조물의 마감 조립체
KR20200106714A (ko) * 2019-03-05 2020-09-15 세라코 주식회사 배면에 결착홈이 형성된 박벽돌을 양각 테두리 돌출띠가 성형된 바탕쉬트의 걸림턱에 결합시켜서 제작된 단위 프리패브 유닛패널 및 이를 이용한 하지프레임 외벽마감공법
KR102271453B1 (ko) * 2019-03-05 2021-07-01 세라코(주) 배면에 결착홈이 형성된 박벽돌을 양각 테두리 돌출띠가 성형된 바탕쉬트의 걸림턱에 결합시켜서 제작된 단위 프리패브 유닛패널 및 이를 이용한 하지프레임 외벽마감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134839A (ko) 흙집
KR200368836Y1 (ko) 건축물 외벽용 결로수 및 침투수 처리용 보호판재
KR20090016900A (ko) 지하주차장의 결로 방지용 벽체 구조
RU103372U1 (ru) Строительная панель
KR200358859Y1 (ko) 건축물 외벽용 결로수 및 침투수 처리용 보호판재
JPH1193195A (ja) 地下壁用打込式コンクリート型枠
KR200360450Y1 (ko) 건축물 외벽 결로수 및 침투수 처리 벽체 구조
KR20050107003A (ko) 건축물 외벽 결로 및 침투수 차폐, 배수구조
KR100631093B1 (ko) 난방용 조립식 온돌패널
KR200271105Y1 (ko) 폐타이어 고무칩을 이용한 바닥재
JP2004293132A (ja) 外壁構造および複合外壁パネル
KR100643592B1 (ko) 결로 방지를 위한 벽체의 코너부용 복합단열판 시공방법
CN219710861U (zh) 一种建筑室内设计的墙角防水结构
TWM513248U (zh) 增加空間之貨櫃屋結構
JP5351374B2 (ja) 建築物の外装仕上げ構造とその施工方法
KR200374256Y1 (ko) 온수배관용 매트
KR200158585Y1 (ko) 소음 및 진동차폐용 건식 공동주택바닥구조
KR200280865Y1 (ko) 분말입자를 이용한 건축용 바닥충격음 완충재
KR200325139Y1 (ko) 난방관 배관용 단열보드
ES2402476B2 (es) Placa para impermeabilización y aislamiento integral de suelos, paredes y cubiertas de construcción, y sistema de aplicación en obras.
JP2004244924A (ja) 外壁断熱用ボード、外壁断熱用ボードの成形方法、及び外壁構造物
KR200250330Y1 (ko) 연속일체화 지붕재
KR200312056Y1 (ko) 복층건물의 층간 방음판넬
JP3031132U (ja) 裏目地断熱防水板
JP3992169B2 (ja) 通気水切り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22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