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5664A - 외장재 고정유닛 - Google Patents

외장재 고정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5664A
KR20160125664A KR1020150056372A KR20150056372A KR20160125664A KR 20160125664 A KR20160125664 A KR 20160125664A KR 1020150056372 A KR1020150056372 A KR 1020150056372A KR 20150056372 A KR20150056372 A KR 20150056372A KR 20160125664 A KR20160125664 A KR 201601256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connecting member
heat
spacer
heat ins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6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0623B1 (ko
Inventor
강재식
최현중
이호열
남동균
김진우
김혁
김지훈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현대건설주식회사
주식회사 이비엠리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현대건설주식회사, 주식회사 이비엠리더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056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0623B1/ko
Publication of KR20160125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56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0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06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E04B1/762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of the insulation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90Passive houses; Double facade technolo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10Insulation, e.g. vacuum or aerogel insulation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외장재 고정유닛은 건축물 구조체와 결합하는 앵커와, 일측에 상기 앵커와 결합하여 건축물 외장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앵커와 결합하고 상기 구조체와 맞대어지는 단열재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앵커 주변공간을 기밀하게 하고 상기 구조체와 상기 지지부재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스페이서를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외장재 고정유닛{EXTERIOR FIXED UNIT}
본 발명은 외장재 고정유닛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열교를 차단하여 건축물의 에너지 손실을 줄일 수 있고, 결로를 방지하며, 패시브 하우스(passive house)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외장재 고정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석재와 같은 건축물 외장재를 건축물 구조체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셋트앵커(set anchor)와 같은 앵커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 중 셋트앵커는 일측 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타측 단부가 원추형상으로 확경된 머리부를 갖는 앵커볼트와, 원통형상으로 말린 일측면에 절개선이 구비되면서 상기 앵커볼트가 끼움 결합되는 앵커캡과, 상기 앵커볼트의 나사산에 체결되어 조임작용에 따라 상기 앵커볼트를 나선 이송시켜 머리부의 가압작용을 통해 앵커캡의 일단이 절개선을 기점으로 반경방향으로 벌어지도록 하는 조임너트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셋트앵커를 설치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앵커캡과 상기 앵커볼트 그리고 상기 조임너트가 한 쌍을 이루는 셋트앵커를 설치하고자 하는 벽면에 천공된 앵커 설치공에 삽입한다. 그리고 상기 앵커볼트에 체결된 조임너트의 조임작용을 통해 상기 앵커볼트를 벽면 외부로 돌출되게 함과 동시에 경사져 확경 된 앵커볼트의 머리부의 가압작용을 통해 상기 앵커볼트의 머리부와 대응되는 상기 앵커캡의 일단이 절개선을 기점으로 반경방향으로 벌어지면서 건물 외벽에 완전히 고정된다.
한편, 최근 석탄 및 석유 등의 화석연료비가 급속히 상승함에 따라 건축물의 설계 및 건축 시 에너지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패시브 하우스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즉, 패시브 하우스는 건축물 내의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최대한 차단함으로써 화석연료를 사용하지 않고도 실내온도를 적정하게 유지하는 건축물을 말한다. 이를 위하여 다양한 종류의 열 차단재에 대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열 차단재를 건축물의 외장재로 사용하려는 시도가 있어왔다. 그러나, 이러한 열 차단 효율이 증가된 건축물의 외장재를 이용하여 건축을 하더라도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고정수단을 이용할 경우 그 고정수단에 의한 외부로의 열 손실이 발생하여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는 문제점이 여전히 제기되어 왔다.
한편 건축물의 단열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건축물 외장재 내부에 단열재를 설치한다.
따라서 건축물의 외벽에 건축물 외장재를 고정할 때에는 외벽 상에 단열재를 콘크리트 타설시 설치하거나 단열재를 접착제 또는 고정핀으로 결합시킨 후 앵커볼트의 설치부분을 오려 낸 후 매입한 다음 외장재를 셋트앵커와 결합한 브래킷 등의 철물에 고정하였다.
그러나 금속재 앵커볼트에 브래킷 같은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시공하는 것이기 때문에 단열재가 훼손되어 마감 공정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건축물 외부의 열이 셋트앵커 및 브래킷 등으로 전달되어 건축물 내부로 유입됨으로써 건축물의 에너지가 손실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외벽의 시공 상태(수평, 수직 등) 또는 단열재의 종류(뿜칠형 등)에 따라 고정수단을 밀착 및 기밀 시공하는데 어려움이 따른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부득이 밀착시공을 할 경우에는 추가로 고정수단의 개수가 늘어나게 되고, 시공시간 또한 증가하게 되어 경제성 및 시공성 측면에서 문제점이 있으며, 고정수단의 증가로 단열성능 또한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벽의 시공 상태 또는 단열재의 종류나 두께에 상관없이 밀착 및 기밀 시공할 수 있는 외장재 고정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열교를 차단하여 건축물의 에너지 손실을 줄이고, 결로를 방지하며, 패시브 하우스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외장재 고정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외장재 고정유닛은 건축물 구조체와 결합하는 앵커와, 일측에 상기 앵커와 결합하여 건축물 외장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앵커와 결합하고 상기 구조체와 맞대어지는 단열재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앵커 주변공간을 기밀하게 하고 상기 구조체와 상기 지지부재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스페이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앵커에 체결되어 건축물 외장재와 연결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앵커와 결합하고, 상기 연결부재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부재의 위치를 결정하는 내부너트와, 상기 앵커와 결합하고, 상기 연결부재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부재를 상기 앵커에 고정하는 외부너트와, 상기 앵커의 단부와 상기 외부너트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앵커의 단부와 상기 외부너트를 통한 열전달을 막는 열교차단캡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단열재의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연결부재와 맞대어지는 연장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삽입부는 상기 앵커가 관통하는 관통홀와, 상기 관통홀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앵커와 나사결합하는 나사산부와, 상기 단열재 측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가 상기 단열재의 내부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하는 경사면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는 상기 내부너트가 안착하는 안착홈과, 상기 내부너트가 상기 안착홈에서 상기 관통홀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지턱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내부너트는 상기 스페이서와 인서트 사출을 통해 일체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 및 상기 연결부재는 상호 간의 결합력 향상을 위해 결합돌기 또는 결합홈을 서로 마주보는 일면에 각각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와 상기 연결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앵커와 상기 연결부재 사이의 열전달을 막는 패킹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패킹부재는 상기 스페이서와 상기 연결부재 사이의 열전달을 막는 제1단열부와, 상기 제1단열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앵커와 상기 연결부재 사이의 열전달을 막는 제2단열부와, 상기 제2단열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외부너트와 상기 연결부재 사이의 열전달을 막는 제3단열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연결부재의 전체 또는 일부분에 인서트 사출되어 형성되는 피복층과, 상기 피복층에서 상기 열교차단캡 측으로 돌출된 볼록부와, 상기 볼록부의 중심에 형성되어 상기 건축물 구조체 측으로 소정길이 들어간 형태의 오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열교차단캡은 상기 앵커와 결합한 후 상기 오목부에 삽입되고 볼록부에 의해 감싸져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열교차단캡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돌기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열교차단캡은 사출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열교차단캡은 내부에 상기 앵커의 단부와 나사결합하는 나사탭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열교차단캡은 합성수지 충전을 통해 형성되고, 충전 시에는 합성수지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열교차단캡의 형태를 형성하는 흐름방지틀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앵커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건축물 구조체에 형성되는 앵커 설치공에 채워져 상기 앵커를 통한 열교를 차단하는 열교차단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앵커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일정한 반경을 가지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단부에 형성되며 원추형상으로 확경된 머리부를 구비하는 앵커볼트와, 상기 앵커볼트가 끼움 결합되는 앵커캡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앵커는 인서트 사출로 상기 앵커와 일체화되도록 성형되며, 상기 앵커볼트에서 상기 앵커 설치공에 삽입되는 부분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열이 상기 앵커볼트를 통해 상기 건축물 구조체 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외장재 고정유닛에 의하면, 스페이서를 통해 외벽의 시공 상태 또는 단열재의 종류나 두께에 상관없이 밀착 및 기밀 시공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스페이서, 패킹부재 및 열교차단캡에 의해 건축물 구조체에 고정되는 앵커를 통한 열교를 차단하여 건축물의 에너지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앵커에 구비되는 수지에 의해 앵커에 의해 건축물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열이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어 결로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외장재 고정유닛이 사용된 건축물은 패시브 하우스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장재 고정유닛의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외장재 고정유닛의 분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외장재 고정유닛의 스페이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외장재 고정유닛의 변형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열교차단캡의 변형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외장재 고정유닛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외장재 고정유닛의 단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장재 고정유닛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장재 고정유닛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외장재 고정유닛의 분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외장재 고정유닛의 스페이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장재 고정유닛은 건축물 구조체(10)와 결합하는 앵커(100), 일측에 앵커(100)와 결합하여 건축물 외장재(미도시)를 지지하는 지지부재(200) 및 앵커(100)와 결합하고 건축물 구조체(10)와 맞대어지는 단열재(20)의 내부에 삽입되어 앵커(100) 주변공간을 기밀하게 하고 건축물 구조체(10)와 지지부재(200)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스페이서(300)를 구비할 수 있다.
건축물 구조체(10)는 건축물의 뼈대를 형성하는 기둥 또는 벽체 등이 될 수 있으며, 콘크리트 타설을 통해 형성되거나 강재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실시 예에서는 콘크리트 타설을 통해 형성되는 건축물 구조체(10)로 설명하도록 한다.
건축물 구조체(10)에 결합하는 앵커(100)로는 셋트앵커 또는 웨지앵커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본 실시 예에서는 앵커(100)로 셋트앵커가 사용된 것을 보였다. 하지만 웨지앵커 등의 사용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앵커(100)는 나사산(111a)이 형성되며 일정한 반경을 가지는 몸체부(111)와 몸체부(111)의 단부에 형성되며 원추형상으로 확경된 머리부(112)를 구비하는 앵커볼트(110)와, 앵커볼트(110)가 끼움 결합되는 앵커캡(120)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앵커볼트(110)와 앵커캡(120)의 경우 강도를 가지면서 녹이 슬지 않도록 아연이 도금된 금속재질 또는 스테인리스 스틸로 형성될 수 있다.
앵커볼트(110)의 몸체부(111)에는 나사산(111a)이 형성되어 있으며 머리부(112)는 몸체부(111)의 단부에서 원추형상으로 확경되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앵커볼트(110)가 앵커캡(120)에 끼움 결합된다. 앵커캡(120)에는 절개선(121)이 형성된다. 따라서, 절개선(121)이 형성된 앵커캡(120)의 단부측은 벌어질 수 있다.
한편, 앵커볼트(110)의 머리부(112) 및 몸체부(111) 일부는 건축물 구조체(10)에 형성된 앵커 설치공(11)에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앵커(100)가 앵커 설치공(11)에 삽입되기 전 앵커 설치공(11) 내부에 채워져 앵커(100)를 통한 열교를 차단하는 열교차단재(30)가 구비될 수 있다.
열교차단재(30)는 앵커(100)를 통해 건축물 구조체(10) 측으로 전달되는 열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앵커 설치공(11) 내부에 채워진 후 앵커(100)를 감싸면서 앵커 설치공(11)과 앵커(100) 사이의 틈을 채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앵커 설치공(11) 내부에 채워지는 열교차단재(30)로는 앵커 설치공(11) 내부에 채워진 후 응고되어 단열성능을 발휘하는 수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앵커 설치공(11)에 채워지는 수지로는 실리콘, 우레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열이 앵커볼트(110)를 통해 건축물 구조체(10) 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인서트 사출로 앵커(100)와 일체화되도록 성형되는 수지(130)를 구비할 수 있다.
수지(130)로는 우레탄(urethane), 섬유강화플라스틱(FRP)과 같은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우레탄 같은 수지의 열전도율은 스테인리스 재질과 같은 금속재질보다 훨씬 열전도율이 낮다. 따라서, 앵커볼트(110)를 수지(130)로 감싸게 되면 앵커볼트(110)를 통한 열전도를 막을 수 있다.
한편, 수지(130)는 앵커볼트(110)에서 특히 건축물 구조체(10)에 삽입되는 몸체부(111) 및 머리부(112)의 일부를 감싸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앵커 설치공(11) 내부의 열교차단재(30) 및 앵커볼트(110)에 구비되는 수지(130)에 의해 앵커(100)를 통해 건축물 구조체(10) 쪽으로 흐르는 열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건축물의 에너지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열교를 방지함으로써 건축물에 결로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지지부재(200)는 앵커(100)에 체결되어 건축물 외장재와 연결되는 연결부재(210), 앵커(100)와 결합하고, 연결부재(2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연결부재(210)의 위치를 결정하는 내부너트(220), 앵커(100)와 결합하고, 연결부재(210)의 타측에 구비되어 연결부재(210)를 앵커(100)에 고정하는 외부너트(230) 및 앵커(100)의 단부와 외부너트(230)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앵커(100)의 단부와 외부너트(230)를 통한 열전달을 막는 열교차단캡(240)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연결부재(210)로 브래킷(211)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브래킷(211)에는 피복층(213)이 구비되는데 브래킷(211)이 앵커(100)와 맞닿는 부분을 제외한 모든 부위에 구비될 수 있다. 브래킷(211)과 앵커(100)가 맞닿는 부분에 피복층(213)이 제외됨으로써 브래킷(211)과 앵커(100)가 직접 맞대어져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브래킷(211)과 앵커(100)가 맞닿는 부분을 제외한 모든 부위는 피복층(213)에 의해 감싸지게 되므로 외기가 브래킷(211)을 통해 앵커(100)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 예에서는 피복층(213)이 브래킷(211)과 앵커(100)가 맞닿는 부분을 제외한 모든 부위에 구비된 것을 보였으나, 피복층(213)은 브래킷(211)과 앵커(100)가 맞닿는 부분에도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브래킷(211)이 앵커(100)에 체결되기 전에는 내부너트(220)와 와셔(40)가 우선적으로 체결되고, 브래킷(211)이 앵커(100)에 체결된 후에는 외부너트(230)와 와셔(40)가 체결될 수 있다.
또한, 피복층(213)에는 볼록부(214) 및 오목부(215)를 구비할 수 있다. 볼록부(214)는 피복층(213)에서 열교차단캡(240) 측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구비되고, 오목부(215)는 볼록부(214)의 중심에서 건축물 구조체(10) 측으로 소정길이 들어간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열교차단캡(240)은 오목부(215)에 삽입되고 볼록부(214)에 의해 감싸지게 되는 돌기부(240a)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열교차단캡(240)이 앵커(100)와 결합한 후 돌기부(240a)가 오목부(215)에 삽입되어 연결부재(210)와 열교차단캡(240)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공상에 발생하는 오차를 바로잡거나 더 이상 오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스페이서(300)는 단열성능을 갖는 합성수지계열로 제작될 수 있으며, 단열재(20)의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부(310) 및 삽입부(310)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연결부재(210)와 맞대어지는 연장부(320)를 구비할 수 있다.
삽입부(310)는 기둥 형상으로 구비되는데 중심에는 앵커(100)가 관통하는 관통홀(31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관통홀(311) 내측면에는 앵커(100)와 나사결합하는 나사산부(312)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삽입부(310)가 나사산부(312)를 구비하여 앵커(100)와 나사결합하는 것을 보였으나, 삽입부(310)는 타원형상의 단면을 갖는 기둥 형상으로 구비되어 앵커(100)에 억지끼움 방식을 통해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삽입부(310)의 단열재(20) 측 일단에는 삽입부(310)가 단열재(20)의 내부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하는 경사면(313)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경사면(313)이 구비된 삽입부(310)의 일단이 건축물 구조체(10)와 맞닿아 있는 것을 보였으나 삽입부(310)의 길이는 설치위치나 시공환경 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연장부(320)는 내부너트(220)가 안착하는 안착홈(321) 및 방지턱(322)을 구비할 수 있다. 안착홈(321)은 연장부(320)의 내측에 형성되는데 안착홈(321)이 구비됨으로써 내부너트(220)가 스페이서(30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안착홈(321)의 일측에는 내부너트(220)가 안착홈(321)에서 관통홀(311)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내부너트(220)가 안착홈(321)에 정확하게 안착 되도록 하는 방지턱(322)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스페이서(300)는 내부너트(220)가 안착홈(321)에 안착된 상태로 인서트 사출되어 일체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스페이서(300)는 금속으로 제작된 후 외면에 합성수지가 구비되도록 인서트 사출을 통해 구비될 수 있다.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스페이서(300)는 앵커(100) 상에 구비되어 외벽의 시공 상태 또는 단열재(20)의 종류나 두께에 따라 건축물 구조체(10) 방향 또는 외장재(미도시) 방향으로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외벽의 시공 상태 또는 단열재(20)의 종류나 두께에 상관없이 밀착 및 기밀 시공을 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장재 고정유닛의 변형 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외장재 고정유닛의 변형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장재 고정유닛의 스페이서(300)와 연결부재(210)는 결합돌기(400a) 또는 결합홈(400b)을 각각 구비할 수 있다.
도 4(a)는 스페이서(300)의 일면 즉, 연결부재(210)와 맞대어지는 면에 결합돌기(400a)를 구비하고, 연결부재(210)의 일면 즉, 스페이서(300)와 맞대어지는 면에 결합홈(400b)을 구비할 수 있다. 도 4(b)는 반대로, 스페이서(300)의 일면 즉, 연결부재(210)와 맞대어지는 면에 결합홈(400b)을 구비하고, 연결부재(210)의 일면 즉, 스페이서(300)와 맞대어지는 면에 결합돌기(400a)를 구비할 수 있다.
스페이서(300)와 연결부재(210)에 각각 구비되는 결합돌기(400a) 또는 결합홈(400b)은 앵커(100)에 스페이서(300)가 체결된 후 앵커(100)에 연결부재(210)가 체결될 시 결합돌기(400a)가 결합홈(400b)에 삽입됨으로써 스페이서(300) 및 연결부재(210) 상호 간의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스페이서(300)와 연결부재(210)의 틈새가 굴곡지게 됨으로써 스페이서(300)와 연결부재(210)의 틈 사이로 침투하는 외기가 앵커(100)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열교차단캡(24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열교차단캡의 변형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장재 고정유닛는 열교차단캡(240)을 구비할 수 있다.
열교차단캡(240)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출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열교차단캡(240)은 연결부재(210)의 일면과 맞대어지도록 구비될 수 있으나 열전달을 차단하는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연결부재(210)의 피복층(213)과 열교차단캡(240)이 서로 맞물려 결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열교차단캡(240)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교차단캡(240)의 내부에 앵커(100)의 단부와 나사결합을 할 수 있는 나사탭(241)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나사탭(241)에 의해 앵커(100)가 더욱 조여지게 됨으로써 향후 건축물 외장재(미도시)에 외부의 충격이나 건축물 구조체(10)의 진동에 의해 앵커(100)에 체결되어 있는 내부너트(220)와 외부너트(230)가 풀려 앵커(100)의 결합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한편, 열교차단캡(240)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수지(242)충전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합성수지(242)를 충전할 시, 합성수지(242)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열교차단캡(240)의 형태를 형성하는 흐름방지틀(243)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합성수지(242) 충전으로 인해 상기 외부너트(230)의 유동성을 막을 수 있어 향후 건축물 외장재(미도시)에 외부의 충격이나 상기 건축물 구조체(10)의 진동에 의해 앵커(100)에 체결되어 있는 내부너트(220)와 외부너트(230)가 풀려 앵커(100)의 결합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합성수지(242)로는 실리콘 또는 에폭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열교차단캡(240)은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앵커(100)의 단부에 인서트 사출을 통해 제작되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앵커(100)를 설치한 후 앵커(100)의 단부를 통해 열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작업이 필요 없기 때문에 시공성이 향상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외장재 고정유닛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외장재 고정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외장재 고정유닛은 한 쌍의 앵커(100)가 구비되고, 한 쌍의 앵커(100)에는 각각 스페이서(300)가 구비되며, 한 쌍의 앵커(100)에는 플레이트(212)가 체결될 수 있다. 플레이트(212)는 한 쌍의 앵커(100)에 체결되어 한 쌍의 앵커(100)를 일체화시키고, 건축물 외장재(미도시)를 지지하는 브래킷(211)과 연결되어 브래킷(211)이 한 쌍의 앵커(100)에 의해 지지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플레이트(212)에는 피복층(213)이 구비되는데 앵커(100)와 플레이트(212)가 맞닿는 부분을 제외한 모든 부위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앵커(100)와 플레이트(212)의 결합력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플레이트(212)를 통한 열전달을 방지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는 한 쌍의 앵커(100)가 플레이트(212)에 의해 일체화되는 것을 보였으나, 한 쌍의 앵커(100)에는 각각 브래킷(211)이 구비되어 별도의 고정부재를 통해 브래킷(211)이 일체화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플레이트(212) 또는 앵커(100)에 체결되는 브래킷(211)은 전체 또는 일부가 인서트 사출됨으로써 브래킷(211)을 통한 열전달을 방지하는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외장재 고정유닛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외장재 고정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외장재 고정유닛은 패킹부재(500)를 구비할 수 있다.
패킹부재(500)는 스페이서(300)와 연결부재(210) 사이의 열전달을 막는 제1단열부(510), 제1단열부(510)에서 연장되어 앵커(100)와 연결부재(210) 사이의 열전달을 막는 제2단열부(520) 및 제2단열부(520)에서 연장되어 외부너트(230)와 연결부재(210) 사이의 열전달을 막는 제3단열부(530)를 구비할 수 있다.
제1단열부(510), 제2단열부(520) 및 제3단열부(530)는 일체형으로 구비되며 중심부에는 앵커(100)가 관통할 수 있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제1단열부(510)는 양면이 스페이서(300)와 연결부재(210)에 각각 맞대어지도록 스페이서(300)와 연결부재(21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제1단열부(510)가 스페이서(300)와 연결부재(210) 사이에 구비됨에 따라 연결부재(210)를 통해 전달되는 외부 열을 차단할 수 있다.
제2단열부(520)는 제1단열부(510)에서 연결부재(210) 측으로 연장되어 앵커(100)와 연결부재(210)의 결합부에 구비될 수 있다. 제2단열부(520)가 앵커(100)와 연결부재(210) 사이에 구비됨에 따라 연결부재(210)를 통해 앵커(100)로 전달되는 외부 열을 차단할 수 있다.
제3단열부(530)는 제2단열부(520)에서 외부너트(230) 측으로 연장되어 양측이 연결부재(210)의 일면과 열교차단캡(240)의 일면에 각각 맞대어지도록 연결부재(210)와 열교차단캡(24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된다. 제3단열부(530)가 연결부재(210)와 열교차단캡(240) 사이에 구비됨에 따라 외부너트(230)를 통해 연결부재(210)로 전달되는 외부 열을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1단열부(510)는 스페이서(300) 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스페이서(300)는 돌출부와 동일한 위치에 삽입홈을 구비하여 패킹부재(500)가 앵커(100)에 체결될 시 돌출부가 삽입홈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스페이서(300)와 패킹부재(500)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장재 고정유닛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건축물 구조체 20: 단열재
30: 열교차단재 100: 앵커
200: 지지부재 300: 스페이서
400a; 결합돌기 400b: 결합홈
500: 패킹부재

Claims (16)

  1. 건축물 구조체와 결합하는 앵커와,
    일측에 상기 앵커와 결합하여 건축물 외장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앵커와 결합하고 상기 구조체와 맞대어지는 단열재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앵커 주변공간을 기밀하게 하고 상기 구조체와 상기 지지부재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외장재 고정유닛.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앵커에 체결되어 건축물 외장재와 연결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앵커와 결합하고, 상기 연결부재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부재의 위치를 결정하는 내부너트와,
    상기 앵커와 결합하고, 상기 연결부재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부재를 상기 앵커에 고정하는 외부너트와,
    상기 앵커의 단부와 상기 외부너트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앵커의 단부와 상기 외부너트를 통한 열전달을 막는 열교차단캡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재 고정유닛.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단열재의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연결부재와 맞대어지는 연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재 고정유닛.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앵커가 관통하는 관통홀와,
    상기 관통홀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앵커와 나사결합하는 나사산부와,
    상기 단열재 측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가 상기 단열재의 내부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하는 경사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재 고정유닛.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내부너트가 안착하는 안착홈과,
    상기 내부너트가 상기 안착홈에서 상기 관통홀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지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재 고정유닛.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너트는 상기 스페이서와 인서트 사출을 통해 일체형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재 고정유닛.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및 상기 연결부재는 상호 간의 결합력 향상을 위해 결합돌기 또는 결합홈을 서로 마주보는 일면에 각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재 고정유닛.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와 상기 연결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앵커와 상기 연결부재 사이의 열전달을 막는 패킹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재 고정유닛.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부재는 상기 스페이서와 상기 연결부재 사이의 열전달을 막는 제1단열부와,
    상기 제1단열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앵커와 상기 연결부재 사이의 열전달을 막는 제2단열부와,
    상기 제2단열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외부너트와 상기 연결부재 사이의 열전달을 막는 제3단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재 고정유닛.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연결부재의 전체 또는 일부분에 인서트 사출되어 형성되는 피복층과, 상기 피복층에서 상기 열교차단캡 측으로 돌출된 볼록부와, 상기 볼록부의 중심에 형성되어 상기 건축물 구조체 측으로 소정길이 들어간 형태의 오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열교차단캡은 상기 앵커와 결합한 후 상기 오목부에 삽입되고 볼록부에 의해 감싸져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열교차단캡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돌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재 고정유닛.
  11.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차단캡은 사출을 통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재 고정유닛.
  12.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차단캡은 내부에 상기 앵커의 단부와 나사결합하는 나사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재 고정유닛.
  1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차단캡은 합성수지 충전을 통해 형성되고,
    충전 시에는 합성수지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열교차단캡의 형태를 형성하는 흐름방지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재 고정유닛.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건축물 구조체에 형성되는 앵커 설치공에 채워져 상기 앵커를 통한 열교를 차단하는 열교차단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재 고정유닛.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일정한 반경을 가지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단부에 형성되며 원추형상으로 확경된 머리부를 구비하는 앵커볼트와,
    상기 앵커볼트가 끼움 결합되는 앵커캡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재 고정유닛.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는 인서트 사출로 상기 앵커와 일체화되도록 성형되며, 상기 앵커볼트에서 상기 앵커 설치공에 삽입되는 부분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열이 상기 앵커볼트를 통해 상기 건축물 구조체 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재 고정유닛.
KR1020150056372A 2015-04-22 2015-04-22 외장재 고정유닛 KR1016806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6372A KR101680623B1 (ko) 2015-04-22 2015-04-22 외장재 고정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6372A KR101680623B1 (ko) 2015-04-22 2015-04-22 외장재 고정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5664A true KR20160125664A (ko) 2016-11-01
KR101680623B1 KR101680623B1 (ko) 2016-11-29

Family

ID=57484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6372A KR101680623B1 (ko) 2015-04-22 2015-04-22 외장재 고정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062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0754B1 (ko) * 2018-12-27 2020-04-14 심금용 단열재가 부착된 건축물의 외부 벽면 상에 외장재를 시공하기 위한 쐐기형 외장재 고정 장치
RU202905U1 (ru) * 2020-12-14 2021-03-12 Артём Николаевич Ларченко Втулка крепежная термоизолирующая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0365B1 (ko) 2017-12-07 2019-07-15 신동원 단열부가 개재된 앵커를 포함하는 건축물 외장재 고정유닛
KR102100751B1 (ko) * 2018-12-27 2020-04-14 심금용 건축물 상에 외장재를 시공하기 위한 막대형 외장재 고정 장치
KR20190070903A (ko) 2019-06-13 2019-06-21 신동원 단열부를 포함하는 건축물 외장재 고정유닛
KR102226703B1 (ko) 2019-06-27 2021-03-10 신동원 열교차단부를 구비한 앵커볼트 및 이를 포함하는 건축물 외장재 고정유닛
KR102415362B1 (ko) * 2020-06-17 2022-07-04 주식회사 원진 단열기능과 천공관을 포함하는 건축물 외장재 고정장치 및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71839B2 (ja) * 2001-12-26 2006-04-26 城東テクノ株式会社 アンカーボルト用断熱カバー
KR101353512B1 (ko) * 2012-12-31 2014-01-2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유닛
KR101271597B1 (ko) * 2013-01-25 2013-06-11 (주)무한에이앤디건축사사무소 건축용 단열재 고정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0754B1 (ko) * 2018-12-27 2020-04-14 심금용 단열재가 부착된 건축물의 외부 벽면 상에 외장재를 시공하기 위한 쐐기형 외장재 고정 장치
RU202905U1 (ru) * 2020-12-14 2021-03-12 Артём Николаевич Ларченко Втулка крепежная термоизолирующая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0623B1 (ko) 2016-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0623B1 (ko) 외장재 고정유닛
KR101515956B1 (ko)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 및 고정재 시공방법
KR101741427B1 (ko)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
US7861983B2 (en) Cold-insulated fixed-point support
KR101353512B1 (ko)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유닛
KR101539942B1 (ko)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
KR101680625B1 (ko)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250439B1 (ko) 단열재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한 단열시스템
KR101568588B1 (ko) 모듈러유닛의 외장마감조인트와, 이를 활용한 모듈러유닛의 외장마감구조 및, 외장마감구조의 시공방법
US10301784B2 (en) Bridge cap and fastening unit for fastening a bridge cap
KR101528805B1 (ko)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유닛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외장재의 시공방법
KR20160012754A (ko)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
KR20040093875A (ko) 건축 외장재의 부착 시공방법
KR102518865B1 (ko) 배관 고정장치
KR20100095194A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장치
KR102304259B1 (ko)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
KR20150001076U (ko) 지붕판넬 어셈블리
KR102632112B1 (ko) 강관 연결체
JP5433555B2 (ja) コンクリート部材用連結具とコンクリート部材の連結構造
KR20180058043A (ko) 건축물 복합단열패널인 외장재의 고정구조 및 고정재 시공방법
KR101741430B1 (ko)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유닛
KR101585715B1 (ko) 채널 연결용 고정볼트
KR101543268B1 (ko) 외단열 시스템
KR101546427B1 (ko) 조립식 패널
KR20220095579A (ko) 커튼월용 프레임의 단열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