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0365B1 - 단열부가 개재된 앵커를 포함하는 건축물 외장재 고정유닛 - Google Patents

단열부가 개재된 앵커를 포함하는 건축물 외장재 고정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0365B1
KR102000365B1 KR1020170167282A KR20170167282A KR102000365B1 KR 102000365 B1 KR102000365 B1 KR 102000365B1 KR 1020170167282 A KR1020170167282 A KR 1020170167282A KR 20170167282 A KR20170167282 A KR 20170167282A KR 102000365 B1 KR102000365 B1 KR 1020003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round bar
head
fixing plat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7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7390A (ko
Inventor
신동원
Original Assignee
신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동원 filed Critical 신동원
Priority to KR10201701672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0365B1/ko
Publication of KR20190067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73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03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03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E04B1/4114Elements with so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E04B1/7637Anchoring of separate elements through the lining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 Y02A30/24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using natural or recycled building materials, e.g. straw, wool, clay or used ti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석재 등 외장재를 단열부재와 함께 건축물에 고정하는 앵커(anchor)를 포함하는 고정유닛의 단열성능을 개선한, 단열부가 개재된 앵커를 포함하는 건축물 외장재 고정유닛에 관한 것으로, 건축물 외장재 고정유닛을 이루는 앵커의 본체부 내부에 단열부를 형성하여 앵커의 환봉과 외장재 받침부가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하여 외부의 열이나 냉기가 단열부에서 차단되도록 하며, 앵커의 고정부가 건축물 외벽과 미리 정한 각도로 고정되지 않은 경우에도 본체부가 받침부와 접하는 각도를 조정하여 원하는 각도로 외장재를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체부 외피를 단열재와 금속 불연재로 보호하여 화재가 일어난 경우에도 화염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단열부가 개재된 앵커를 포함하는 건축물 외장재 고정유닛 {Building Exterior Material Fixing Unit having Anchor Comprising Heat Insulating Portion}
본 발명은 건축물 외장재 고정유닛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석재 등 외장재를 단열부재와 함께 건축물에 고정하는 앵커(anchor)를 포함하는 고정유닛의 단열성능을 개선한, 단열부가 개재된 앵커를 포함하는 건축물 외장재 고정유닛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 골조로 지어진 건물에서 벽체를 마감하거나 장식하기 위한 시공방법으로는 외벽소재를 커튼처럼 두르는 커튼월공법과 건축용 석재를 덧대는 시공방법이 주로 사용된다. 커튼월공법의 외벽소재로는 주로 유리가 사용되며, 건축용 석재로는 균일한 크기의 판자 모양으로 잘라낸 화강석이나 대리석을 잘게 부수어 시멘트, 칠감 등을 혼합하여 굳게 만든 인조대리석을 주로 사용한다. 건축용 석재를 콘크리트 벽체에 덧대기 위해서는 고정을 위한 장치가 필요하며 이를 고정유닛이라고 한다.
콘크리트용 고정유닛은 콘크리트 타설전에 미리 위치를 잡아서 돌출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으나, 이렇게 하기 위해서는 타설단계에서 거푸집 등이 복잡한 구성을 취해야 하므로 벽체가 완성된 후에 앵커(anchor)를 벽체에 삽입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앵커는 단순한 못과 달리 높은 강도의 인장 내력을 가져야 하므로 벽체에 구멍을 뚫고 그 단부가 확장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시공시에 콘크리트 벽체 내부에 삽입되는 말단부가 쐐기 형상으로 벌어지는 쐐기 앵커(wedge anchor)가 많이 사용된다. 쐐기 앵커의 경우, 건축물에 고정되는 고정부는 확장 쐐기(expansion wedge)와 확장 쐐기를 둘러싸고 있다가 타격(hammering) 또는 회전(turning)을 통해 확장 쐐기를 둘러싸면서 벌어지는 확장 슬리브(sleeve)로 구성된다.
쐐기 앵커를 포함하는 앵커는 건축물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나사결합하거나 고정부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금속 재질의 환봉이, 고정부의 반대편에 위치하며 외장재를 지탱하는 본체부와 나사결합 또는 접합결합하면서 본체부를 관통한다. 본체부는 금속재 고리일 수도 있으나, 대부분은 플라스틱 재질이 환봉의 고정부 반대편을 둘러싸며 단면의 크기가 확장되어 회전토크를 크게 하는 뭉치형상을 띤다.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본체부를 중심으로 볼 때 단면이 좁아지는 쪽에 고정부로부터 연장된 환봉이 접합 또는 나사결합되어 있으며, 반대편으로 상기 환봉의 말단 나사부가 돌출되어 외장재를 지탱할 수 있는 받침부를 잡아주는 구성이다.
석재를 비롯한 외장재를 고정하기 위해서는 고정 위치별로 하나의 앵커가 하나의 받침부와 결합되어 사용되는 단일 앵커(single anchor) 방식, 보다 큰 하중을 지탱하기 위해 상하 두 개씩의 앵커가 각각의 받침부와 결합하고 상기 두 개의 받침부가 결합되어 고정 위치마다 배열되는 트윈 앵커(twin anchor) 방식이 있으며, 트윈 앵커방식에서는 하중을 크게 받는 상부 앵커만 쐐기 앵커를 사용하고 하부 앵커는 일반 앵커를 사용하기도 한다. 하나 이상의 앵커와 받침부 등의 구성을 총괄하여 고정유닛이라고 한다.
고정유닛의 구성 중 앵커를 건축물 외벽 등 구조체에 고정하기 위해 구멍을 뚫는 과정에서 앵커고정부가 외벽 등 구조체 평면과 직각 등 미리 정한 각도로 고정되지 못하고 기울어지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앵커의 본체부가 함께 기울어지고 외장부를 받치는 받침부도 함께 기울어지므로, 구멍을 크게 뚫고 접착제를 채워 넣어 앵커의 말단 고정부 방향을 조정하면서 기울어짐을 바로잡기도 한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앵커의 고정부가 콘크리트에 의해 직접 지지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생기게 된다. 이와 함께, 앵커로 석재 등 외장재를 고정할 때는 건축물의 단열을 위해 외장재와 건축물 외벽 등 구조체 사이에 단열재를 함께 고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때 단열재를 통과하는 앵커볼트의 환봉과 단열재 사이에 생긴 틈새를 막는 기술이 다양하게 개시되어 있으나 열전도가 높은 앵커 볼트를 통해 단열재 바깥 석재 공간의 열이나 냉기가 단열재 안쪽의 콘크리트부로 전달되는 흐름은 막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680623호는 외장재 고정유닛에 관한 것으로, 단열재의 내부에 삽입되어 앵커 주변공간을 기밀하게 하고 벽체 등 구조체와 외장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스페이서를 구비한 외장재 고정유닛에 관한 기술을 개시한다. 그러나 상기 스페이서로는 단열재를 관통하는 앵커 볼트의 금속재질 환봉으로 인한 단열 효율의 저하를 막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여전히 남게 된다.
(000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680623호
본 발명은 건축물 외장재 고정유닛인 앵커의 고정부가 건축물 외벽에 삽입, 고정되는 과정에서 일부 각도가 틀어진 경우에도 본체부의 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고, 앵커의 본체부가 외장재 받침부와 앵커 사이의 열전달을 차단하여 단열효과를 극대화하는 단열부가 개재된 앵커를 포함하는 건축물 외장재 고정유닛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단열부가 개재된 앵커를 포함하는 건축물 외장재 고정유닛으로, 상기 고정유닛은, 환봉의 양쪽 단부가 각각 고정부, 본체부와 연결된 제1 앵커; 상기 제1 앵커의 본체부와 너트로 고정되는 L자 형상의 제1 받침부; 상기 제1 앵커의 수직 하부에 상기 제1 앵커와 평행하게 배열되고, 환봉의 양쪽 단부가 각각 고정부, 본체부와 연결된 제2 앵커; 및 상기 제2 앵커의 본체부와 너트로 고정되며, 상기 제1 받침부와 상하 대칭인 Γ자 형상으로 서로 접하게 배열되어 체결부로 연결되는 제2 받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앵커는, 상기 제1 앵커를 상기 건축물에 고정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와 결합하는 나사, 속이 찬 막대 또는 속이 빈 파이프를 일 단부에 구비하고 상기 일 단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연장된 타 단부에 단열 캡을 씌운 금속 환봉; 및 상기 환봉의 상기 단열 캡을 씌운 부위를 둘러싸고 상기 제1 받침부와 평행하게 접하는 단부는 테두리 내측이 반구형으로 음각된 PVC(Poly vinyl chloride) 재질의 앵커 헤드(head), 길이방향 일 단부가 상기 앵커 헤드 내부의 단열부를 중심에 두고 상기 환봉의 연장방향으로 상기 앵커 헤드에 둘러싸이고 타 단부는 상기 반구형으로 음각된 중심 위치에서 돌출되는 받침부 나사, 상기 받침부 나사를 중심에 둔 상기 반구형 부위와 상기 테두리의 전면 및 측면을 코팅하는 불연막, 상기 반구형 부위와 테두리부의 불연막 상부에 적층 접합되는 금속재질의 앵커 헤드 고정판, 상기 받침부 나사의 지름보다 큰 관통공을 중심에 형성하고 상기 고정판과 대응되는 반구형 부위 및 플랜지를 구비한 금속재질의 받침부 고정판, 상기 받침부 고정판을 상기 받침부 나사에 고정하는 반구형상의 와셔 및 너트를 포함하는 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헤드 고정판과 상기 받침부 고정판은 상기 받침부 나사를 중심에 두고 서로 대향하되, 상기 헤드 고정판에 대해 상기 받침부 고정판의 접촉각도를 조정할 수 있고, 상기 조정된 각도에서 서로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헤드 고정판과 상기 받침부 고정판의 서로 대향하는 각 접촉면에는 복수개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헤드 고정판과 상기 받침부 고정판은 미리 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단열부가 개재된 앵커를 포함하는 건축물 외장재 고정유닛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금속 환봉의 나사와 결합하도록 길이방향으로 나사선이 형성된 투과공을 구비하고 상기 투과공의 외벽 단면이 투과공의 일 방향을 따라 점차 증가하는 확장 쐐기(expansion wedge), 상기 확장 쐐기를 둘러싸되 상기 외벽단면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길이방향 절개가 되어 있는 확장 슬리브(sleeve), 상기 확장 쐐기와 나사결합한 금속 강재 환봉을 구조물 내부에서 회전시킬 때 상기 확장 슬리브가 회전하지 않도록 잡아주는 확장슬리브 돌기를 포함하는 건축물 외장재 고정유닛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속이 빈 파이프가 단차를 이루며 연장되고, 상기 연장된 부위의 말단부에 길이방향 절개부가 형성되며, 그 절개부 사이에 밑면의 지름이 상기 말단부의 내부 지름보다 큰 원뿔대 형상의 쐐기를 구비하여, 상기 절개부가 상기 쐐기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절개부가 벌어지는, 단열부가 개재된 앵커를 포함하는 건축물 외장재 고정유닛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속이 빈 파이프가 단차를 이루며 연장되는, 단열부가 개재된 앵커를 포함하는 건축물 외장재 고정유닛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속이 찬 막대의 일단이 단차를 이루며 연장되는, 단열부가 개재된 앵커를 포함하는 건축물 외장재 고정유닛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헤드 고정판에 대한 상기 받침부 고정판의 접촉각도 조정은, 상기 받침부 고정판의 플랜지가 상기 헤드 고정판의 대향면과 가지는 각도 범위가 10도 이내인, 단열부가 개재된 앵커를 포함하는 건축물 외장재 고정유닛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헤드 고정판과 상기 받침부 고정판이 이격되는 상기 미리 정한 간격은 2 내지 5mm인, 단열부가 개재된 앵커를 포함하는 건축물 외장재 고정유닛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헤드 고정판 및 상기 받침부 고정판 재질은 아연도금강(GI)이며, 상기 헤드 고정판 및 상기 받침부 고정판을 포함하는 헤드부 단면은 다각형 소켓 렌치(Socket Wrench)로 회전가능한 다각형인, 단열부가 개재된 앵커를 포함하는 건축물 외장재 고정유닛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다각형은 6각형 또는 8각형인, 단열부가 개재된 앵커를 포함하는 건축물 외장재 고정유닛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단열 캡의 재질은 PVC이며, 상기 불연막 재질은 브롬화아연 25phr 내지 35phr(Parts per Hundred Rubber), 수산화알루미늄 3phr 내지 7phr 첨가된 경질 PVC인, 단열부가 개재된 앵커를 포함하는 건축물 외장재 고정유닛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환봉은 속이 빈 파이프형 또는 속이 찬 막대형 환봉인, 단열부가 개재된 앵커를 포함하는 건축물 외장재 고정유닛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제2 앵커는, 속이 빈 파이프형 환봉; 상기 속이 빈 파이프형 환봉의 일단이 단차를 이루며 연장되고, 상기 연장된 부위의 말단부에 길이방향 절개부가 형성되며, 그 절개부 사이에 밑면의 지름이 상기 말단부의 내부 지름보다 큰 원뿔대 형상의 쐐기를 구비하여, 상기 절개부가 상기 쐐기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절개부가 벌어지는 고정부; 및 상기 속이 빈 파이프형 환봉의 타단 부위를 둘러싸고 고정하는 단열 PVC(Poly vinyl chloride) 재질의 앵커 헤드, 상기 헤드의 상기 제2 받침부와 접하는 단부의 중심에 상기 속이 빈 파이프형 환봉과 단열 플라스틱 재질로 이격되어 고정되는 받침부 나사를 포함하는 본체부를 포함하는, 단열부가 개재된 앵커를 포함하는 건축물 외장재 고정유닛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제2 앵커는, 속이 빈 파이프형 환봉; 상기 속이 빈 파이프형 환봉의 일단이 단차를 이루며 연장된 고정부; 및 상기 속이 빈 파이프형 환봉의 타단 부위를 둘러싸고 고정하는 단열 PVC(Poly vinyl chloride) 재질의 앵커 헤드, 상기 헤드의 상기 제2 받침부와 접하는 단부의 중심에 상기 속이 빈 파이프형 환봉과 단열 플라스틱 재질로 이격되어 고정되는 받침부 나사를 포함하는 본체부를 포함하는, 단열부가 개재된 앵커를 포함하는 건축물 외장재 고정유닛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제2 앵커는, 속이 찬 막대형 환봉; 상기 속이 찬 막대형 환봉의 일단이 단차를 이루며 연장된 고정부; 및 상기 속이 찬 막대형 환봉의 타단 부위를 둘러싸고 고정하는 단열 PVC(Poly vinyl chloride) 재질의 앵커 헤드, 상기 헤드의 상기 제2 받침부와 접하는 단부의 중심에 상기 속이 찬 막대형 환봉과 단열 플라스틱 재질로 이격되어 고정되는 받침부 나사를 포함하는 본체부를 포함하는, 단열부가 개재된 앵커를 포함하는 건축물 외장재 고정유닛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단열부가 개재된 앵커를 포함하는 건축물 외장재 고정유닛으로, 상기 고정유닛은, 환봉의 양쪽 단부가 각각 고정부, 본체부와 연결된 앵커; 및 상기 앵커의 본체부와 너트로 고정되는 L자 형상의 받침부를 포함하고, 상기 앵커는, 속이 빈 파이프형 환봉; 상기 속이 빈 파이프형 환봉의 일단이 단차를 이루며 연장되고, 상기 연장된 부위의 말단부에 길이방향 절개부가 형성되며, 그 절개부 사이에 밑면의 지름이 상기 말단부의 내부 지름보다 큰 원뿔대 형상의 쐐기를 구비하여, 상기 절개부가 상기 쐐기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절개부가 벌어지는 고정부; 및 상기 속이 빈 파이프형 환봉의 타단 부위를 둘러싸고 고정하는 단열 PVC(Poly vinyl chloride) 재질의 앵커 헤드, 상기 헤드의 상기 받침부와 접하는 단부의 중심에 상기 속이 빈 파이프형 환봉과 단열 플라스틱 재질로 이격되어 고정되는 받침부 나사를 포함하는 본체부를 포함하는, 단열부가 개재된 앵커를 포함하는 건축물 외장재 고정유닛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단열부가 개재된 앵커를 포함하는 건축물 외장재 고정유닛으로, 상기 고정유닛은, 환봉의 양쪽 단부가 각각 고정부, 본체부와 연결된 앵커; 및 상기 앵커의 본체부와 너트로 고정되는 L자 형상의 받침부를 포함하고, 상기 앵커는, 속이 빈 파이프형 환봉; 상기 속이 빈 파이프형 환봉의 일단이 단차를 이루며 연장된 고정부; 및 상기 속이 빈 파이프형 환봉의 타단 부위를 둘러싸고 고정하는 단열 PVC(Poly vinyl chloride) 재질의 앵커 헤드, 상기 헤드의 상기 받침부와 접하는 단부의 중심에 상기 속이 빈 파이프형 환봉과 단열 플라스틱 재질로 이격되어 고정되는 받침부 나사를 포함하는 본체부를 포함하는, 단열부가 개재된 앵커를 포함하는 건축물 외장재 고정유닛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단열부가 개재된 앵커를 포함하는 건축물 외장재 고정유닛으로, 상기 고정유닛은, 환봉의 양쪽 단부가 각각 고정부, 본체부와 연결된 앵커; 및 상기 앵커의 본체부와 너트로 고정되는 L자 형상의 받침부를 포함하고, 상기 앵커는, 속이 찬 막대형 환봉; 상기 속이 찬 막대형 환봉의 일단이 단차를 이루며 연장된 고정부; 및 상기 속이 찬 막대형 환봉의 타단 부위를 둘러싸고 고정하는 단열 PVC(Poly vinyl chloride) 재질의 앵커 헤드, 상기 헤드의 상기 받침부와 접하는 단부의 중심에 상기 속이 찬 막대형 환봉과 단열 플라스틱 재질로 이격되어 고정되는 받침부 나사를 포함하는 본체부를 포함하는, 단열부가 개재된 앵커를 포함하는 건축물 외장재 고정유닛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건축물 외장재 고정유닛을 이루는 앵커의 본체부 내부에 단열부를 형성하여 앵커의 환봉과 외장재 받침부가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하여 외부의 열이나 냉기가 단열부에서 차단되도록 하며, 앵커의 고정부가 건축물 외벽과 미리 정한 각도로 고정되지 않은 경우에도 본체부가 받침부와 접하는 각도를 조정하여 원하는 각도로 외장재를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체부 외피를 단열재와 금속 불연재로 보호하여 화재가 일어난 경우에도 화염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단열부가 개재된 앵커를 구비한 건축물 외장재 고정유닛의 조립상태 단면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건축물 외장재 고정유닛이 단열재와 건축물 벽체에 고정된 단면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건축물 외장재 고정유닛의 앵커의 단면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앵커의 고정부를 이루는 부품을 나열한 단면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앵커의 고정부를 이루는 부품을 나열한 사시도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앵커의 고정부를 이루는 부품이 조립을 위해 배열된 단면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앵커의 고정부를 이루는 부품이 조립된 후 건물벽에 고정을 위해 확장슬리브가 펼쳐진 상태의 단면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앵커의 단열 캡을 씌운 금속 환봉의 단면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앵커의 본체부를 이루는 부품이 배열된 단면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앵커 본체부의 앵커 헤드 고정판을 정면으로 바라 본 개념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앵커 본체부의 앵커의 본체부가 조립된 단면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반구형 부위 및 플랜지를 구비한 금속재질의 받침부 고정판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쐐기형 고정부와 속이 빈 파이프형 환봉을 구비한 앵커의 단면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속이 빈 파이프형 고정부 및 환봉을 구비한 앵커의 단면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속이 찬 막대형 고정부 및 환봉을 구비한 앵커의 단면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건축물 외장재 고정유닛이 단열재와 건축물 벽체에 고정된 단면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건축물의 벽체(2)에 드릴 등으로 수직방향 상하로 위치한 구멍(4)을 뚫고 상부 앵커(80)와 하부 앵커(90)를 상기 구멍(4)에 고정하며, 이 때 상기 상부 앵커(80)와 상기 하부 앵커(90)가 단열재(3)를 함께 고정한다. 상기 상부 앵커(80)는 L자 형상으로 된 제1 받침부(11)를 너트(12)로 고정한다. 상기 제1 받침부(11)는 석재 등 외장재를 지탱할 수 있는 구조이나, 상기 외장재가 무거울 경우를 대비해 하부 앵커(90)와 너트(120)로 결합된 Γ자 형상의 제2 받침부(110)로 함께 지탱해 준다. 상기 제1 받침부와 상기 제2 받침부는 서로 상하대칭 배열되어 접하는 부위에서 나사(130)와 너트(150)로 연결된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건축물 외장재 고정유닛의 앵커 단면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고정을 위해 쐐기(720) 형상을 구비한 환봉(730)이 상기 쐐기(720)와 반대편에 나사(741)를 노출하고 단열피복(740)으로 덮여 단열성을 높이려고 하나, 상기 단열피복(740) 내부로 환봉(730)이 나사(741)로 연결되어 상기 단열재(3) 외부에서 내부로 열이 전달되는 것을 막지 못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단열부가 개재된 앵커를 구비한 건축물 외장재 고정유닛(1)의 조립상태 단면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단열부가 개재된 앵커를 포함하는 건축물 외장재 고정유닛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외장재로는 석재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고정유닛은, 환봉의 양쪽 단부가 각각 고정부, 본체부와 연결된 제1 앵커(10); 상기 제1 앵커의 본체부와 너트로 고정되는 L자 형상의 제1 받침부(11); 상기 제1 앵커의 수직 하부에 상기 제1 앵커와 평행하게 배열되고, 환봉의 양쪽 단부가 각각 고정부, 본체부와 연결된 제2 앵커(100); 및 상기 제2 앵커의 본체부와 너트로 고정되며, 상기 제1 받침부와 상하 대칭인 Γ자 형상으로 서로 접하게 배열되어 서로 접하는 부위에서 나사 등 체결부로 연결되는 제2 받침부(110)를 포함한다. 상기 건축물 외장재 고정유닛(1)은 석재 등 무거운 외장재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하중을 지탱할 수 있도록 제1 앵커(10)와 제2 앵커(100)를 상하로 배열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앵커의 고정부를 이루는 부품을 나열한 단면을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5는 상기 앵커의 고정부를 이루는 부품을 나열한 사시도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제1 앵커는 고정부, 금속 환봉 및 본체부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는 길이방향으로 나사선(21)이 형성된 투과공(22)을 구비하고 상기 투과공의 외벽 단면이 투과공의 일 방향을 따라 점차 증가하는 확장 쐐기(expansion wedge)(20), 상기 확장 쐐기를 둘러싸되 상기 외벽단면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길이방향 절개가 되어 있는 확장 슬리브(sleeve)(25), 상기 확장 쐐기와 나사(31)결합한 금속 강재 환봉을 구조물 내부에서 회전시킬 때 상기 확장 슬리브가 회전하지 않도록 잡아주는 확장 슬리브 돌기(27)를 포함한다. 상기 돌기는 상기 확장 슬리브를 고정해서 상기 확장 쐐기와 상기 금속환봉이 서로 가까이 접근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확장 슬리브의 절개부가 확장되어 벌어질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앵커의 고정부를 이루는 부품이 조립을 위해 배열된 단면을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7은 상기 앵커의 고정부를 이루는 부품이 조립된 후 건물벽에 고정을 위해 확장슬리브가 펼쳐진 상태의 단면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6에 배열된 확장쐐기(20)와 금속 강재의 투과공과 결합하는 나사(31)는 확장 슬리브 돌기(27)에 의해 고정된 확장 슬리브(25)를 사이에 두고 회전에 의해 도 7과 같이 서로 접근하여 확장 슬리브(25)가 확장되며 압축된다. 상기 확장된 확장 슬리브(25)에 의해 상기 건축물 벽체(2)의 구멍(4)속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구멍은 안쪽의 단면이 넓게 뚫리거나 동일한 단면인 경우에는 상기 확장 슬리브(25)를 확장한 뒤에 입구쪽을 접합체 등으로 메꾸어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부는 회전으로 확장 슬리브가 확장되므로 본체부를 다각형 소켓 렌치(Socket Wrench)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본체부가 다각형 형상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고정부는 속이 빈 파이프형 환봉이 단차를 이루며 연장되고, 상기 연장된 부위의 말단부에 길이방향 절개부가 형성되며, 그 절개부 사이에 밑면의 지름이 상기 말단부의 내부 지름보다 큰 원뿔대 형상의 쐐기를 구비하여, 상기 절개부가 상기 쐐기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절개부가 벌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고정부는 상기 속이 빈 파이프형 환봉의 일단이 단차를 이루며 연장되는 것이거나, 속이 찬 막대형 환봉의 일단이 단차를 이루며 연장되는 것이다. 상기 속이 빈 파이프형 환봉이 쐐기를 구비한 고정부나, 속이 빈 파이프형 또는 속이 찬 막대형 환봉이 단순히 연장된 고정부는 외부에서 타격으로 고정부가 벽체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앵커의 단열 캡(33)을 씌운 금속 환봉(30)의 단면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금속 환봉(30)은 확장 쐐기의 투과공 나사선과 결합하는 나사(31)를 구비하고, 상기 나사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연장된 단부에 단열 캡(33)을 씌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환봉은 속이 빈 파이프형일 수도 있고 속이 금속강재로 채워진 금속 막대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단열 캡의 재질은 단열성이 뛰어난 재질인 PVC일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앵커의 본체부를 이루는 부품이 배열된 단면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상기 앵커 본체부는, 상기 환봉(30)의 상기 단열 캡(33)을 씌운 부위를 둘러싸고 상기 제1 받침부와 평행하게 접하는 단부는 테두리 내측이 반구형으로 음각된 PVC(Poly vinyl chloride) 재질의 앵커 헤드(head)(40), 길이방향 일 단부가 상기 앵커 헤드 내부의 단열부(45)를 중심에 두고 상기 환봉의 연장방향으로 상기 앵커 헤드에 둘러싸이고 타 단부는 상기 반구형으로 음각된 중심 위치에서 돌출되는 받침부 나사(41), 상기 받침부 나사를 중심에 둔 상기 반구형 부위와 상기 테두리의 전면 및 측면을 코팅하는 불연막(42), 상기 반구형 부위와 테두리부의 불연막 상부에 적층 접합되는 금속재질의 앵커 헤드 고정판(43), 상기 받침부 나사의 지름보다 큰 관통공을 중심에 형성하고 상기 고정판과 대응되는 반구형 부위(46b) 및 플랜지(46a)를 구비한 금속재질의 받침부 고정판(46), 상기 받침부 고정판을 상기 받침부 나사에 고정하는 반구형상의 와셔(48) 및 너트(49)를 포함한다. 상기 와셔와 상기 너트는 상기 받침부 고정판(46)을 상기 헤드(40)에 고정시키고 상기 받침부 나사(41)는 상기 와셔(48) 및 너트(49)를 통과한 뒤 너트(12)를 이용하여 제1 받침부(11)를 함께 고정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PVC재질의 앵커 헤드(head)(40)로 둘러싸인 상기 환봉(30)의 부분은 나사선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PVC재질의 앵커 헤드(head)(40)로 둘러싸인 상기 받침부 나사(41)의 부분도 나사선 형태일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앵커 본체부의 앵커 헤드 고정판을 정면으로 바라 본 개념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앵커 본체부의 앵커의 본체부가 조립된 단면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상기 헤드 고정판(43)과 상기 받침부 고정판(46)은 상기 받침부 나사(41)를 중심에 두고 서로 대향하되, 상기 헤드 고정판(43)에 대해 상기 받침부 고정판(46)의 접촉각도(77)를 조정할 수 있고, 상기 조정된 각도에서 서로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헤드 고정판과 상기 받침부 고정판의 서로 대향하는 각 접촉면에는 복수개의 돌출부(44, 47)가 형성되어 상기 헤드 고정판과 상기 받침부 고정판은 미리 정한 간격으로 이격된다. 상기 헤드 고정판(43)의 돌출부(44)는 상기 헤드 고정판의 접촉각도(77)가 조정된 상태에서 상기 받침부 고정판(46)의 돌출부(47)와 서로 맞물려, 상기 받침부 고정판(46)의 위치를 고정시켜준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PVC재질의 앵커 헤드(head)(40)로 둘러싸인 상기 환봉(30)의 부분은 나사선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PVC재질의 앵커 헤드(head)(40)로 둘러싸인 상기 받침부 나사(41)의 부분도 나사선 형태일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반구형 부위 및 플랜지를 구비한 금속재질의 받침부 고정판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헤드부 고정판에 대한 상기 받침부 고정판의 접촉각도 조정은, 상기 받침부 고정판의 플랜지가 상기 헤드부 고정판의 대향면과 가지는 각도 범위는 10도 이내이고, 바람직하기로는 5도 이내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각도범위는, 상기 헤드부 고정판과 상기 받침부 고정판이 이격되는 간격 범위 2 내지 5mm로 인해 변위가 제한되어 정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헤드부 고정판 및 상기 받침부 고정판 재질은 아연도금강(GI)이어서 상기 각도 범위로 유지된 상태에서 강성을 유지하며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헤드부 고정판 및 상기 받침부 고정판을 포함하는 헤드부 단면은 다각형 소켓 렌치(Socket Wrench)로 회전가능한 다각형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다각형은 6각형 또는 8각형으로, 이는 6각형 또는 8각형 소켓 렌치가 쉽게 구할 수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불연막 재질은 브롬화아연 25phr 내지 35phr(Parts per Hundred Rubber), 수산화알루미늄 3phr 내지 7phr 첨가된 경질 PVC이다. phr은 parts per hundred rubber 또는 parts per hundred resin의 약자로 고분자 100중량당 첨가되는 첨가주 중량을 나타낸다. 상기 단열 캡의 불연막재질의 바람직한 구성비는 PVC에 브롬화아연 30phr, 수산화알루미늄 5phr로, 단열성과 난연성이 뛰어난 비율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쐐기형 고정부와 속이 빈 파이프형 환봉을 구비한 앵커의 단면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단열부가 개재된 앵커를 구비한 건축물 외장재 고정유닛(1)은 제1 앵커와 제2 앵커가 상하로 배열되고, 상기 단열부가 개재된 앵커는 상부에 배열된 제1 앵커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제2 앵커는, 속이 빈 파이프형 환봉(300); 상기 속이 빈 파이프형 환봉의 일단이 단차를 이루며 연장되고, 상기 연장된 부위의 말단부에 길이방향 절개부가 형성되며, 그 절개부 사이에 밑면의 지름이 상기 말단부의 내부 지름보다 큰 원뿔대 형상의 쐐기를 구비하여, 상기 절개부가 상기 쐐기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절개부가 벌어지는 고정부(200); 및 상기 속이 빈 파이프형 환봉의 타단 부위를 둘러싸고 고정하는 단열 PVC(Poly vinyl chloride) 재질의 앵커 헤드(400), 상기 앵커 헤드의 제2 받침부(110)와 접하는 단부의 중심에 상기 속이 빈 파이프형 환봉과 단열 플라스틱 재질로 이격되어 고정되는 받침부 나사(410)를 포함하는 본체부를 포함한다. 상기 속이 빈 파이프형 환봉(300)앵커와 상기 받침부 나사(410)는 상기 헤드(400) 내부의 단열부(450)를 중심으로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여 단열성능을 확보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 고정유닛은 하나의 앵커를 받침부에 고정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이는 상대적으로 경량인 외장재를 지탱하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앵커를 사용하는 고정유닛은, 환봉(300)의 양쪽 단부가 각각 고정부(200), 본체부와 연결된 앵커; 및 상기 앵커의 본체부와 너트로 고정되는 L자 형상의 받침부를 포함하고, 상기 앵커는, 속이 빈 파이프형 환봉(300); 상기 속이 빈 파이프형 환봉의 일단이 단차를 이루며 연장되고, 상기 연장된 부위의 말단부에 길이방향 절개부가 형성되며, 그 절개부 사이에 밑면의 지름이 상기 말단부의 내부 지름보다 큰 원뿔대 형상의 쐐기를 구비하여, 상기 절개부가 상기 쐐기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절개부가 벌어지는 고정부(200); 및 상기 속이 빈 파이프형 환봉의 타단 부위를 둘러싸고 고정하는 단열 PVC(Poly vinyl chloride) 재질의 앵커 헤드(400), 상기 앵커 헤드의 상기 받침부와 접하는 단부의 중심에 상기 속이 빈 파이프형 환봉과 단열 플라스틱 재질로 이격되어 고정되는 받침부 나사를 포함하는 본체부를 포함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속이 빈 파이프형 고정부 및 환봉을 구비한 앵커의 단면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단열부가 개재된 앵커를 구비한 건축물 외장재 고정유닛(1)은 제1 앵커와 제2 앵커가 상하로 배열되고, 상기 단열부가 개재된 앵커는 상부에 배열된 제1 앵커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제2 앵커는, 속이 빈 파이프형 환봉(310); 상기 속이 빈 파이프형 환봉의 일단이 단차를 이루며 연장된 고정부; 및 상기 속이 빈 파이프형 환봉(310)의 타단 부위를 둘러싸고 고정하는 단열 PVC(Poly vinyl chloride) 재질의 앵커 헤드(400), 상기 앵커 헤드의 제2 받침부와 접하는 단부의 중심에 상기 속이 빈 파이프형 환봉과 단열 플라스틱 재질로 이격되어 고정되는 받침부 나사(410)를 포함하는 본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단열부가 개재된 앵커를 포함하는 건축물 외장재 고정유닛은, 상기 속이 빈 파이프형 환봉(310)앵커와 상기 받침부 나사(410)는 상기 헤드(400) 내부의 단열부(450)를 중심으로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여 단열성능을 확보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 고정유닛은 하나의 앵커를 받침부에 고정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이는 상대적으로 경량인 외장재를 지탱하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앵커를 사용하는 고정유닛은, 환봉의 양쪽 단부가 각각 고정부, 본체부와 연결된 앵커; 및 상기 앵커의 본체부와 너트로 고정되는 L자 형상의 받침부를 포함하고, 상기 앵커는, 속이 빈 파이프형 환봉(310); 상기 속이 빈 파이프형 환봉의 일단이 단차를 이루며 연장된 고정부; 및 상기 속이 빈 파이프형 환봉의 타단 부위를 둘러싸고 고정하는 단열 PVC(Poly vinyl chloride) 재질의 앵커 헤드(400), 상기 헤드의 상기 받침부와 접하는 단부의 중심에 상기 속이 빈 파이프형 환봉과 단열 플라스틱 재질로 이격되어 고정되는 받침부 나사(410)를 포함하는 본체부를 포함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속이 찬 막대형 고정부 및 환봉을 구비한 앵커의 단면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단열부가 개재된 앵커를 구비한 건축물 외장재 고정유닛(1)은 제1 앵커와 제2 앵커가 상하로 배열되고, 상기 단열부가 개재된 앵커는 상부에 배열된 제1 앵커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제2 앵커는, 속이 찬 막대형 환봉(320); 상기 속이 찬 막대형 환봉의 일단이 단차를 이루며 연장된 고정부; 및 상기 속이 찬 막대형 환봉의 타단 부위를 둘러싸고 고정하는 단열 PVC(Poly vinyl chloride) 재질의 앵커 헤드(400), 상기 앵커 헤드의 제2 받침부와 접하는 단부의 중심에 상기 속이 찬 막대형 환봉과 단열 플라스틱 재질로 이격되어 고정되는 받침부 나사(410)를 포함하는 본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단열부가 개재된 앵커를 포함하는 건축물 외장재 고정유닛은, 상기 속이 찬 막대형 환봉(320)앵커와 상기 받침부 나사(410)는 상기 헤드(400) 내부의 단열부(450)를 중심으로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여 단열성능을 확보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 고정유닛은 하나의 앵커를 받침부에 고정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이는 상대적으로 경량인 외장재를 지탱하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앵커를 사용하는 고정유닛은, 속이 찬 막대형 환봉(320); 상기 속이 찬 막대형 환봉의 일단이 단차를 이루며 연장된 고정부; 및 상기 속이 찬 막대형 환봉의 타단 부위를 둘러싸고 고정하는 단열 PVC(Poly vinyl chloride) 재질의 앵커 헤드(400), 상기 헤드의 상기 받침부와 접하는 단부의 중심에 상기 막대형 환봉과 단열 플라스틱 재질로 이격되어 고정되는 받침부 나사(410)를 포함하는 본체부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본원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원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원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원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는, 달리 정의되지 않는 이상, 본 발명의 관련 분야에서 통상의 당업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바와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 참고문헌으로 기재되는 모든 간행물의 내용은 본 발명에 도입된다.
1. 고정유닛 2. 벽체 3. 단열재
4. 구멍 10. 제1 앵커 11. 제1 받침부
12, 49, 120, 150. 너트 20. 확장 쐐기 21. 나사선
22. 투과공 25. 확장 슬리브 27. 확장 슬리브 돌기
30. 환봉 31, 130, 741. 나사 33. 단열 캡
40, 400. 앵커 헤드 41, 410. 받침부 나사 42. 불연막
43. 앵커 헤드 고정판 44, 47. 돌출부 45, 450. 단열부
46. 받침부 고정판 46a. 플랜지 46b. 반구형 부위
48. 와셔 77. 접촉각도 80. 상부 앵커
90. 하부 앵커 100. 제2 앵커 110. 제2 받침부
200. 고정부 720. 쐐기 740. 단열피복
300, 310. 속이 빈 파이프형 환봉 320. 속이 찬 막대형 환봉
730. 쐐기 형상을 구비한 환봉

Claims (17)

  1. 단열부가 개재된 앵커를 포함하는 건축물 외장재 고정유닛으로,
    상기 고정유닛은,
    환봉의 양쪽 단부가 각각 고정부, 본체부와 연결된 제1 앵커;
    상기 제1 앵커의 본체부와 너트로 고정되는 L자 형상의 제1 받침부;
    상기 제1 앵커의 수직 하부에 상기 제1 앵커와 평행하게 배열되고, 환봉의 양쪽 단부가 각각 고정부, 본체부와 연결된 제2 앵커; 및
    상기 제2 앵커의 본체부와 너트로 고정되며, 상기 제1 받침부와 상하 대칭인 Γ자 형상으로 서로 접하게 배열되어 체결부로 연결되는 제2 받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앵커는,
    상기 제1 앵커를 상기 건축물에 고정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와 결합하는 나사, 속이 찬 막대 또는 속이 빈 파이프를 일 단부에 구비하고 상기 일 단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연장된 타 단부에 단열 캡을 씌운 금속 환봉; 및
    상기 환봉의 상기 단열 캡을 씌운 부위를 둘러싸고 상기 제1 받침부와 평행하게 접하는 단부는 테두리 내측이 반구형으로 음각된 PVC(Poly vinyl chloride) 재질의 앵커 헤드(head), 길이방향 일 단부가 상기 앵커 헤드 내부의 단열부를 중심에 두고 상기 환봉의 연장방향으로 상기 앵커 헤드에 둘러싸이고 타 단부는 상기 반구형으로 음각된 중심 위치에서 돌출되는 받침부 나사, 상기 받침부 나사를 중심에 둔 상기 반구형 부위와 상기 테두리의 전면 및 측면을 코팅하는 불연막, 상기 반구형 부위와 테두리부의 불연막 상부에 적층 접합되는 금속재질의 앵커 헤드 고정판, 상기 받침부 나사의 지름보다 큰 관통공을 중심에 형성하고 상기 고정판과 대응되는 반구형 부위 및 플랜지를 구비한 금속재질의 받침부 고정판, 상기 받침부 고정판을 상기 받침부 나사에 고정하는 반구형상의 와셔 및 너트를 포함하는 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헤드 고정판과 상기 받침부 고정판은 상기 받침부 나사를 중심에 두고 서로 대향하되, 상기 헤드 고정판에 대해 상기 받침부 고정판의 접촉각도를 조정할 수 있고, 상기 조정된 각도에서 서로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헤드 고정판과 상기 받침부 고정판의 서로 대향하는 각 접촉면에는 복수개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헤드 고정판과 상기 받침부 고정판은 미리 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단열부가 개재된 앵커를 포함하는 건축물 외장재 고정유닛.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금속 환봉의 나사와 결합하도록 길이방향으로 나사선이 형성된 투과공을 구비하고 상기 투과공의 외벽 단면이 투과공의 일 방향을 따라 점차 증가하는 확장 쐐기(expansion wedge), 상기 확장 쐐기를 둘러싸되 상기 외벽단면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길이방향 절개가 되어 있는 확장 슬리브(sleeve), 상기 확장 쐐기와 나사결합한 금속 강재 환봉을 구조물 내부에서 회전시킬 때 상기 확장 슬리브가 회전하지 않도록 잡아주는 확장슬리브 돌기를 포함하는,
    단열부가 개재된 앵커를 포함하는 건축물 외장재 고정유닛.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속이 빈 파이프가 단차를 이루며 연장되고, 상기 연장된 부위의 말단부에 길이방향 절개부가 형성되며, 그 절개부 사이에 밑면의 지름이 상기 말단부의 내부 지름보다 큰 원뿔대 형상의 쐐기를 구비하여, 상기 절개부가 상기 쐐기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절개부가 벌어지는,
    단열부가 개재된 앵커를 포함하는 건축물 외장재 고정유닛.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속이 빈 파이프가 단차를 이루며 연장되는,
    단열부가 개재된 앵커를 포함하는 건축물 외장재 고정유닛.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속이 찬 막대의 일단이 단차를 이루며 연장되는,
    단열부가 개재된 앵커를 포함하는 건축물 외장재 고정유닛.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고정판에 대한 상기 받침부 고정판의 접촉각도 조정은, 상기 받침부 고정판의 플랜지가 상기 헤드 고정판의 대향면과 가지는 각도 범위가 10도 이내인,
    단열부가 개재된 앵커를 포함하는 건축물 외장재 고정유닛.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고정판과 상기 받침부 고정판이 이격되는 상기 미리 정한 간격은 2 내지 5mm인,
    단열부가 개재된 앵커를 포함하는 건축물 외장재 고정유닛.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고정판 및 상기 받침부 고정판 재질은 아연도금강(GI)이며, 상기 헤드 고정판 및 상기 받침부 고정판을 포함하는 헤드부 단면은 다각형 소켓 렌치(Socket Wrench)로 회전가능한 다각형인,
    단열부가 개재된 앵커를 포함하는 건축물 외장재 고정유닛.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다각형은 6각형 또는 8각형인,
    단열부가 개재된 앵커를 포함하는 건축물 외장재 고정유닛.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 캡의 재질은 PVC이며, 상기 불연막 재질은 브롬화아연 25phr 내지 35phr(Parts per Hundred Rubber), 수산화알루미늄 3phr 내지 7phr 첨가된 경질 PVC인,
    단열부가 개재된 앵커를 포함하는 건축물 외장재 고정유닛.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환봉은 속이 빈 파이프형 또는 속이 찬 막대형 환봉인,
    단열부가 개재된 앵커를 포함하는 건축물 외장재 고정유닛.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앵커는,
    속이 빈 파이프형 환봉;
    상기 속이 빈 파이프형 환봉의 일단이 단차를 이루며 연장되고, 상기 연장된 부위의 말단부에 길이방향 절개부가 형성되며, 그 절개부 사이에 밑면의 지름이 상기 말단부의 내부 지름보다 큰 원뿔대 형상의 쐐기를 구비하여, 상기 절개부가 상기 쐐기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절개부가 벌어지는 고정부; 및
    상기 속이 빈 파이프형 환봉의 타단 부위를 둘러싸고 고정하는 단열 PVC(Poly vinyl chloride) 재질의 앵커 헤드, 상기 헤드의 상기 제2 받침부와 접하는 단부의 중심에 상기 속이 빈 파이프형 환봉과 단열 플라스틱 재질로 이격되어 고정되는 받침부 나사를 포함하는 본체부를 포함하는,
    단열부가 개재된 앵커를 포함하는 건축물 외장재 고정유닛.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앵커는,
    속이 빈 파이프형 환봉;
    상기 속이 빈 파이프형 환봉의 일단이 단차를 이루며 연장된 고정부; 및
    상기 속이 빈 파이프형 환봉의 타단 부위를 둘러싸고 고정하는 단열 PVC(Poly vinyl chloride) 재질의 앵커 헤드, 상기 헤드의 상기 제2 받침부와 접하는 단부의 중심에 상기 속이 빈 파이프형 환봉과 단열 플라스틱 재질로 이격되어 고정되는 받침부 나사를 포함하는 본체부를 포함하는,
    단열부가 개재된 앵커를 포함하는 건축물 외장재 고정유닛.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앵커는,
    속이 찬 막대형 환봉;
    상기 속이 찬 막대형 환봉의 일단이 단차를 이루며 연장된 고정부; 및
    상기 속이 찬 막대형 환봉의 타단 부위를 둘러싸고 고정하는 단열 PVC(Poly vinyl chloride) 재질의 앵커 헤드, 상기 헤드의 상기 제2 받침부와 접하는 단부의 중심에 상기 속이 찬 막대형 환봉과 단열 플라스틱 재질로 이격되어 고정되는 받침부 나사를 포함하는 본체부를 포함하는,
    단열부가 개재된 앵커를 포함하는 건축물 외장재 고정유닛.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170167282A 2017-12-07 2017-12-07 단열부가 개재된 앵커를 포함하는 건축물 외장재 고정유닛 KR1020003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7282A KR102000365B1 (ko) 2017-12-07 2017-12-07 단열부가 개재된 앵커를 포함하는 건축물 외장재 고정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7282A KR102000365B1 (ko) 2017-12-07 2017-12-07 단열부가 개재된 앵커를 포함하는 건축물 외장재 고정유닛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9741A Division KR20190070903A (ko) 2019-06-13 2019-06-13 단열부를 포함하는 건축물 외장재 고정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7390A KR20190067390A (ko) 2019-06-17
KR102000365B1 true KR102000365B1 (ko) 2019-07-15

Family

ID=67064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7282A KR102000365B1 (ko) 2017-12-07 2017-12-07 단열부가 개재된 앵커를 포함하는 건축물 외장재 고정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03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86506A (zh) * 2019-11-19 2020-03-17 上海天补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倒y型锚固件及使用其防止保温系统抗裂层剥落的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2646B1 (ko) * 2013-03-13 2014-06-03 주식회사 케이씨씨 앵커 체결이 가능한 단열형 간격유지봉, 이를 이용한 마감재 설치구조 및 단열재 지지구조
KR101584695B1 (ko) * 2015-09-17 2016-01-12 (주)한은이앤씨 일체형셋앙카를 이용한 건물외장재 고정구조 및 그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0623B1 (ko) 2015-04-22 2016-11-2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외장재 고정유닛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2646B1 (ko) * 2013-03-13 2014-06-03 주식회사 케이씨씨 앵커 체결이 가능한 단열형 간격유지봉, 이를 이용한 마감재 설치구조 및 단열재 지지구조
KR101584695B1 (ko) * 2015-09-17 2016-01-12 (주)한은이앤씨 일체형셋앙카를 이용한 건물외장재 고정구조 및 그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7390A (ko) 2019-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91906B2 (en) Vacuum insulating material providing assembly and vacuum insulating material providing method using same
KR101806527B1 (ko) 외장재 시공용 앵커 조립체
CN1302188C (zh) 管状构造物及其模块式建筑组合体
KR102345489B1 (ko) 단열 커튼월
KR102000365B1 (ko) 단열부가 개재된 앵커를 포함하는 건축물 외장재 고정유닛
KR101897509B1 (ko) 비노출형 커튼월의 지지구조
KR101896867B1 (ko) 방진부를 구비한 앵커볼트 및 이를 포함하는 건축물 외장재 고정유닛
KR200489973Y1 (ko) 결로방지용 패시브 패스너
KR20190081098A (ko) 단열부와 금속지지부를 포함하는 앵커를 구비한 건축물 외장재 고정유닛
KR101997998B1 (ko) 내부 코어와 단열부를 구비한 앵커를 포함하는 건축물 외장재 고정유닛
KR102100754B1 (ko) 단열재가 부착된 건축물의 외부 벽면 상에 외장재를 시공하기 위한 쐐기형 외장재 고정 장치
KR102283371B1 (ko) 열교차단부를 구비한 앵커볼트를 포함하는 건축물 외장재 고정유닛
KR20190070903A (ko) 단열부를 포함하는 건축물 외장재 고정유닛
KR102215903B1 (ko) 내진 유리 커튼 월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내진 유리 커튼 월 시스템
KR20170001383A (ko) 구조적 성능을 보강한 비노출형 단열 커튼월 시스템
KR101743980B1 (ko) 외단열 패널유닛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071781B1 (ko) 단열층을 구비한 앵커를 포함하는 건축물 외장재 고정유닛
KR102240604B1 (ko) 커튼월 프레임의 접합 시스템 및 방법
KR101727818B1 (ko) 건축물 외벽의 조립식 외장재 시공구조
KR101789663B1 (ko) 원통 지지대가 결합된 앵커 볼트 세트
KR102226703B1 (ko) 열교차단부를 구비한 앵커볼트 및 이를 포함하는 건축물 외장재 고정유닛
TWI592547B (zh) Bamboo-style steel construction method
CN212001857U (zh) 一种具有排潮功能的适用构建曲面的建筑系统
JP2006183341A (ja) 外断熱用外壁部材およびその取付方法
KR102571359B1 (ko) 단열 커튼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