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2646B1 - 앵커 체결이 가능한 단열형 간격유지봉, 이를 이용한 마감재 설치구조 및 단열재 지지구조 - Google Patents

앵커 체결이 가능한 단열형 간격유지봉, 이를 이용한 마감재 설치구조 및 단열재 지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2646B1
KR101402646B1 KR1020130026868A KR20130026868A KR101402646B1 KR 101402646 B1 KR101402646 B1 KR 101402646B1 KR 1020130026868 A KR1020130026868 A KR 1020130026868A KR 20130026868 A KR20130026868 A KR 20130026868A KR 101402646 B1 KR101402646 B1 KR 1014026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insulating
anchor
anchors
wall body
finish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6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준철
최준석
오경명
김민정
김규식
정문수
곽진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씨씨
주식회사 한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씨씨, 주식회사 한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to KR1020130026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26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2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26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E04B1/7637Anchoring of separate elements through the lining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3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 E04F13/0846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the fastening elements engaging holes or grooves in the side faces of the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5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 basic insulating layer and at least one covering lay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단열형 간격유지봉은,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단열성 재질로 이루어진 단열몸체; 상기 단열몸체의 적어도 한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빠짐방지용 경사면을 가진 원추부; 및 상기 단열몸체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환상으로 연장된 지수용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원추부의 내부에는 앵커 및 결합캡 중에서 어느 하나가 분리가능하게 체결되는 체결홈이 형성되며, 상기 원추부의 이탈방지용 경사면은 상기 원추부의 단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앵커 체결이 가능한 단열형 간격유지봉, 이를 이용한 마감재 설치구조 및 단열재 지지구조{INSULATION SPACING MEMBER WITH FASTENABLE ANCHOR FOR CONCRETE FORM, FINISHING MATERIRALS MOUNTING STRUCTURE USING THE SAME, AND INSULATION MATERIRALS SUPPORTING SURUCTUR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단열형 간격유지봉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물의 외벽체에서 발생하는 열교현상을 차단하여 건물의 열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앵커 체결이 가능한 단열형 간격유지봉 및 이를 이용한 마감재 설치구조 및 단열재 지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건축물의 외벽체를 시공하기 위해서는 외벽체의 두께에 맞게 내/외측의 거푸집들을 일정 간격으로 설치한 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건축물의 외벽체를 시공한다.
외벽체의 시공은, 내측 거푸집(예컨대, 유로폼(euro form)으로 이루어짐)과 외측 거푸집(예컨대, 갱폼(gang form)으로 이루어짐)을 개별적으로 시공한 후에 내측 거푸집과 외측 거푸집 사이에 복수의 거푸집 간격유지봉을 설치하여 내측 거푸집과 외측 거푸집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시키고, 이러한 상태에서 내측 거푸집과 외측 거푸집 사이의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이루어진다.
한편, 거푸집 간격유지조립체는 적절한 강성을 가진 간격유지봉과, 이 간격유지봉의 적어도 일단에 분리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콘부재와, 이 콘부재 측에 분리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고정유닛(타이볼트 및 윙너트 등)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콘부재에 고정유닛의 타이볼트 및 웡너트 등이 결합됨에 따라 콘부재는 거푸집을 견고하게 지지하고, 간격유지봉은 콘부재, 고정유닛 등에 의해 내측 거푸집과 외측 거푸집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거푸집 간격유지조립체 의해 내측 거푸집과 외측 거푸집 사이에는 외벽체에 대응하는 공간이 형성된다. 내측 거푸집과 외측 거푸집 사이의 공간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양생됨에 따라 외벽체가 시공된다. 이렇게 외벽체의 시공이 완료된 후에는 거푸집 간격유지 조립체의 간격유지봉은 외벽체 내에 매설된 상태가 되고, 고정유닛을 콘부재에서 분리한 후에 내측 거푸집 및 외측 거푸집을 제거함으로써 외벽체의 시공을 완료한다.
그리고, 외벽체의 시공이 완료된 후에는 콘부재가 외벽체의 표면에 노출될 경우 외벽체의 외관을 해치기 때문에, 마감재의 설치 예정 부분에 대응하는 콘부재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콘부재를 분리한다. 이렇게 남아 있는 콘부재의 암나사부에는 마감재설치용 앵커가 체결되고, 이 마감재설치용 앵커에는 복수의 마감재 설치브라켓을 연결하며, 마감재 설치브라켓를 통해 복수의 마감재를 설치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간격유지봉은 적절한 강성을 위해 스틸 등과 같은 높은 강성을 가진 금속재질로 이루어지지만, 스틸 등과 같은 금속은 열전달율이 높으므로 마감재설치용 앵커가 연결된 간격지지봉을 통해 내/외부간의 열교(thermal bridge)현상이 너무 쉽게 일어날 수 있고, 이로 인해 단열재를 시공하더라도 외벽체 뿐만 아니라 건물의 전체적인 단열성이 극히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간격유지봉은 그 일단에 콘부재가 나사결합되는 구조로 구성됨에 따라 마감재설치용 앵커가 나사결합되는 콘부재의 암나사부의 길이가 제한적으로 이루어져 다양한 설치환경에 적절히 대응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연구 및 개발된 것으로, 건물의 외벽체 내에서 열교현상을 확실하게 차단함으로써 외벽체 뿐만 아니라 건물의 전체적인 단열성이 저하됨을 방지할 수 있는 단열형 간격유지봉, 이를 이용한 마감재 설치구조 및 단열재 지지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열몸체의 적어도 한 단부에 원추부를 일체형으로 성형함으로써 앵커가 체결되는 체결홈의 길이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다양한 설치환경에 대응하여 앵커를 매우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는 단열형 간격유지봉, 이를 이용한 마감재 설치구조 및 단열재 지지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외벽체 내에 매설되되 앵커 체결이 가능한 단열형 간격유지봉으로,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단열성 재질로 이루어진 단열몸체; 상기 단열몸체의 적어도 한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빠짐방지용 경사면을 가진 원추부; 및 상기 단열몸체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환상으로 연장된 지수용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원추부의 내부에는 앵커 및 결합캡 중에서 어느 하나가 분리가능하게 체결되는 체결홈이 형성되며, 상기 원추부의 이탈방지용 경사면은 상기 원추부의 단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이탈방지용 경사면은 단열몸체 또는 원추부 등이 파손될 경우에도 단열몸체의 단부 직경의 확장범위로 부속물이 탈락됨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앵커는 마감재의 설치, 단열재의 지지를 위한 용도로 상기 원추부의 체결홈에 분리가능하게 체결되고,상기 결합캡은 외벽체의 시공을◎위한 거푸집에 결합되며, 상기 결합캡의 일단부에는 원추부의 체결홈에 분리가능하게 체결되는 체결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캡의 타단부에는 거푸집에 결합되는 평탄결합부가 형성되며, 이 평탄결합부에는 웨지핀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웨지핀 결합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열몸체의 일단부에는 원추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단열몸체의 타단부에는 금속재질의 지지몸체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몸체의 일단부는 상기 단열형 몸체의 타단부에 인서트되어 일체로 매설된 구조로 연결되고, 상기 지지몸체의 타단부에는 거푸집에 결합되는 평탄결합부가 형성되며, 이 평탄결합부에는 웨지핀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웨지핀용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평탄결합부에 인접하여 한 쌍의 절취용 홈이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열몸체의 양단부에는 한 쌍의 원추부가 대칭적으로 형성되고, 각 원추부의 내부에는 체결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열몸체의 단부에서 상기 원추부의 체결홈의 바닥면까지의 거리는 상기 단열몸체의 반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원추부의 빠짐방지용 경사면의 수직길이는 체결홈의 나사산 높이 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술한 단열형 간격유지봉을 이용하여 마감재를 설치하기 위한 단열형 간격유지봉을 이용한 마감재 설치구조로서,
외벽체 내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매설되고, 외벽체의 외부로 노출된 체결홈을 가진 단열몸체를 가진 복수의 간격유지봉; 상기 단열몸체의 체결홈에 체결되는 복수의 앵커; 상기 앵커에 연결된 복수의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에 연결되는 복수의 마감재 설치브라켓; 마감재 설치브라켓에 설치되는 복수의 마감재; 및 상기 외벽체와 마감재 사이에 개재되는 단열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재는 서로 직교하는 제1평탄부 및 제2평탄부를 가진 "L"자형 단면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형 간격유지봉을 포함한다.
상기 앵커는 서로 다른 길이로 이루어진 제1앵커 및 제2앵커로 이루어지고, 제1앵커 및 제2앵커는 상하방향으로 인접한 간격유지봉들의 각 단열몸체에 개별적으로 체결됨으로써 상하방향으로 인접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제2앵커는 상기 제1앵커 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제2앵커는 상기 제1앵커의 돌출된 길이 보다 더 길게 돌출되고, 상기 지지부재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제1앵커와 상기 제2앵커 사이에 대각선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와 복수의 마감재 설치브라켓 사이에는 마감재 지지용 트러스구조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에는 복수의 전단보강체가 개별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단보강체는 하부에 경사면을 가진 플레이트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전단보강체의 일측은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전단보강체의 타측에는 결속부재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결속부재에는 외벽체의 높이방향으로 연장된 수직바가 결속되고, 상기 수직바에는 상기 복수의 마감재 설치브라켓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단열형 간격유지봉을 이용하여 단열재를 지지하기 위한 단열형 간격유지봉을 이용한 단열재 지지구조로서,
외벽체 내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매설되고, 외벽체의 외부로 노출된 체결홈을 가진 단열몸체를 가진 복수의 간격유지봉; 상기 외벽체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단열재; 상기 단열몸체의 체결홈에 체결되어 단열재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앵커; 및 상기 앵커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마감재가 부착되는 마감재 부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앵커의 일측에는 체결홈에 체결되는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앵커의 타측에는 단열재 지지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단열재 지지부는 외측으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는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단열재를 관통하여 상기 단열재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건물의 외벽체 내에서 열교현상을 확실하게 차단함으로써 외벽체 뿐만 아니라 건물의 전체적인 단열성이 저하됨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열몸체의 적어도 한 단부에 원추부를 일체형으로 성형함으로써 앵커가 체결되는 체결홈의 길이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다양한 설치환경에 대응하여 앵커를 매우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단열형 간격유지봉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단열형 간격유지봉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마감재 설치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마감재 설치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마감재 설치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A-A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마감재 설치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단열재 지지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단열재 지지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참조하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이 용어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리는 것이 마땅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단열형 간격유지봉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단열형 간격유지봉(10)은 단열성 재질로 이루어진 단열몸체(11)와, 이 단열몸체(11)의 적어도 한 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원추부(15)와, 단열몸체(11)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지수용 리브(18)를 포함한다.
단열몸체(11)는 그 폭에 비해 길이가 길게 연장된 구조로 형성되되 FRP(Fiber Reinforcement Plastics;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등과 같이 강성이 높으면서도 단열성을 가진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원추부(15)는 단열몸체(11)의 적어도 한 단부에 구비되고, 원추부(15)의 내부에는 체결홈(15a)이 형성된다. 원추부(15)의 체결홈(15a)에는 결합캡(19) 또는 앵커(51, 52, 53, 55)가 분리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이 체결홈(15a)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결합캡(19)은 웨지핀(미도시)에 의해 거푸집에 결합되고, 앵커(51, 52, 53)는 마감재를 설치하거나 단열재를 지지하기 위한 용도로 이용된다(도 3 내지 도 9 참조).
한편, 원추부(15)는 단열몸체(11)의 적어도 한 단부에 금형 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금형 성형에 의해 원추부(15)가 단열몸체(11)에 일체로 성형될 때 원추부(15)의 체결홈(15a)의 길이는 설치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원추부(15)의 외주면에는 빠짐방지용 경사면(15b)이 형성되고, 빠짐방지용 경사면(15b)은 원추부(15)의 단부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는 구조로 이루어져 원추부(15)가 외벽체(1)에서 빠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빠짐방지용 경사면(15b)에 의해 원추부(15) 또는 단열몸체(11)의 일부가 파손될 경우에도 그 빠짐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단열몸체(11)의 단부에서 원추부(15)의 체결홈(15a)의 바닥면(15c)까지의 거리(P')는 단열몸체(11)의 반경(P)보다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단열몸체(11)의 인발 시에 그 강성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또한, 원추부(15)의 빠짐방지용 경사면(15b)의 수직길이(n')는 체결홈(15a)의 나사산 높이(n) 보다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나사산의 주변이 파괴될 경우에도 원추부(15)에 의한 구속력을 확보할 수 있다.
지수용 리브(18)는 단열몸체(11)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이 지수용 리브(18)는 외벽체(1) 내에 매설된 단열몸체(11)의 외면을 따라 수분이 전달됨을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단열형 간격유지봉(10)의 단열몸체(11)는 그 일단부에 원추부(15)가 일체로 형성되고, 단열몸체(11)의 타단부에는 금속재질의 지지몸체(13)가 일체로 형성된다.
외벽체(1)의 시공 시에는 원추부(15)의 체결홈(15a)에 결합캡(19)이 분리가능하게 체결된다. 결합캡(19)의 일단부에는 체결나사부(19a)가 형성되고, 결합캡(19)의 타단부에는 외측 거푸집(미도시)에 결합되는 평탄결합부(19b)가 형성되며, 이 평탄결합부(19b)에는 웨지핀(미도시)이 웨지핀 결합공(19c)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몸체(13)는 스틸 등과 같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지지몸체(13)는 인서트 사출성형 등을 통해 단열몸체(11)에 일체화되게 결합된다.
지지몸체(13)의 일단부(13a)는 단열형 몸체(11)의 타단부에 인서트되어 일체로 매설된 구조로 연결되고, 지지몸체(13)의 타단부(13b)에는 내측 거푸집(미도시)에 결합되는 평탄결합부(14)가 평탄하게 형성된다. 평탄결합부(14)에는 웨지핀(미도시)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웨지핀 결합공(14a)이 형성된다. 그리고, 평탄결합부(14)에 인접하여 한 쌍의 절단용 홈(14b)이 대칭적으로 형성된다.
한편, 외벽체(1)의 시공 시에 내측 거푸집(예컨대, 유로폼)과 외측 거푸집(예컨대, 갱폼)이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가설된 후에 양측의 거푸집 사이에 단열형 간격유지봉(10)이 설치된다. 이러한 단열형 간격유지봉(10)의 설치 시에, 원추부(15)의 체결홈(15a)에 체결된 결합캡(19)은 그 평탄결합부(19b)가 외측 거푸집의 결합홈에 삽입된 후에, 웨지핀(미도시)이 평탄결합부(19b)의 웨지핀 결합공(19c)에 결합됨에 따라 평탄결합부(19b)는 외측 거푸집에 결합된다. 또한, 지지몸체(13)의 평탄결합부(14)가 내측 거푸집의 결합홈에 삽입된 후에 평탄결합부(14)의 웨지핀 결합공(14a)에 웨지핀(미도시)이 결합됨에 따라 평탄결합부(14)는 내측 거푸집에 결합된다.
그리고, 외벽체(1)의 시공이 완료된 후에 간격유지봉(10)의 단열몸체(11) 및 지지몸체(13)는 외벽체(1) 내에 매설된 상태가 되고, 외측 거푸집 및 내측 거푸집을 제거하면 원추부(15)의 체결홈(15a)에 체결된 결합캡(19) 및 지지몸체(13)의 평탄결합부(14)는 외벽체(1)의 양측면에서 돌출된다. 이때, 결합캡(19)을 원추부(15)의 체결홈(15)에서 분리하고, 절단용 홈(14b)을 통해 평탄결합부(14)를 지지몸체(13)에서 절단함으로써 외벽체(1)의 양측면이 평탄해질 수 있다. 이렇게 결합캡(19)이 분리된 원추부(15)의 체결홈(15a)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도 3 내지 도 9 참조) 마감재의 설치를 위한 앵커(51, 52) 또는 단열재의 지지를 위한 앵커(53)를 분리가능하게 체결하고, 이러한 앵커(51, 52, 53)를 이용하여 마감재 설치구조 및 단열재 지지구조를 매우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단열형 간격유지봉(10)은 단열몸체(11)에 의해 외벽체(1)에서 열교(thermal bridge)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도 3 내지 도 9 참조) 원추부(15)의 체결홈(15a)에 마감재의 설치 또는 단열재의 지지를 위한 앵커(51, 52, 53)가 분리가능하게 체결될 경우에도 단열형 간격유지봉(10)의 단열몸체(11)에 의해 열교현상이 차단됨으로써 건물의 단열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단열형 간격유지봉(10)를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단열형 간격유지봉(20)은 양단부에 한 쌍의 원추부(25)가 대칭적으로 형성된 단열몸체(21)를 포함한다.
본 제2실시예의 단열몸체(21)는 제1실시예의 단열몸체(11) 보다 길게 형성되어 그 양단부에 한 쌍의 원추부(25)가 대칭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각 원추부(25)의 내부에는 체결홈(25a)이 개별적으로 형성되고, 각 원추부(25)의 체결홈(25a)에는 결합캡(19) 또는 앵커(51, 52, 53)가 분리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각 원추부(25)의 외주면에는 빠짐방지용 경사면(25b)이 형성되고, 빠짐방지용 경사면(25b)은 원추부(25)의 단부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는 구조로 이루어져 원추부(25)가 외벽체(1)에서 빠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지수용 리브(28)는 단열몸체(21)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한 쌍의 지수용 리브(28)가 단열몸체(21)의 외주면에 대칭적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지수용 리브(28)는 외벽체(1) 내에 매설된 단열몸체(21)의 외면을 따라 수분이 전달됨을 차단할 수 있다.
외벽체(1)의 시공 시에는 내측 거푸집과 외측 거푸집 사이에 단열형 간격유지봉(20)의 단열몸체(21)를 배치한 후에, 각 원추부(25)에 결합캡(19)을 체결하며, 각 결합캡(19)을 내측 거푸집 및 외측 거푸집에 각각 결합한다. 이때, 결합캡(19)은 웨지핀(미도시)이 각 웨지핀 결합공(19c)에 결합됨에 따라 내측 거푸집 및 외측 거푸집에 각각 결합된다. 이에 의해, 단열형 간격유지봉(20)이 내측 거푸집과 외측 거푸집의 간격을 유지하는 상태에서 콘크리트의 타설 및 경화를 진행함으로써 외벽체(1)의 시공을 완료한다.
이렇게 외벽체(1)의 시공이 완료된 후에는 각 원추부(25)의 체결홈(25a)에서 결합캡(19)을 분리한 후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도 3 내지 도 9 참조) 단열몸체(22)의 일단에 위치한 원추부(25)의 체결홈(25a)에 앵커(51, 52, 53)를 체결하여 외벽체(1)의 외측에 외장 마감재를 설치하거나 단열재를 지지하는 구조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단열몸체(21)의 타단에 위치한 원추부(25)의 체결홈(25a)에 앵커(51, 52, 53, 55)를 체결함으로써 외벽체(1)의 내측에 내장 마감재를 설치하거나 내장 단열재를 지지하는 구조를 선택적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단열형 간격유지봉(20)은 단열몸체(21)의 양단 측에 원추부(25)가 대칭적으로 형성된 구조를 이용하여 외벽체(1)의 외측 및 내측 각각에 마감재, 단열재 등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형 간격유지봉(10)을 이용한 마감재 설치구조를 실시예 별로 도시한 도면으로, 외벽체(1)의 시공이 완료된 후에 외벽체(1) 내에 매설된 단열형 간격유지봉(10)을 이용하여 마감재(105, 115, 125, 135)를 설치하기 위한 마감재 설치구조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마감재 설치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마감재 설치구조(100)는 외벽체(1) 내에 일정간격으로 매설된 복수의 간격유지봉(10)과, 각 간격유지봉(10)의 원추부(15)에 분리가능하게 체결된 복수의 앵커(51)와, 각 앵커(51)에 결합된 복수의 지지부재(101)와, 각 지지부재(101)에 연결된 복수의 마감재 설치브라켓(103)과, 마감재 설치브라켓(103)에 설치되는 복수의 마감재(105), 외벽체(1)의 외면과 마감재(105) 사이에 개재되는 단열재(107)를 포함한다.
외벽체(1)의 시공이 완료된 후에 결합캡(19)이 분리되면 간격유지봉(10)의 원추부(15)의 체결홈(15a)은 외벽체(1)의 외측을 향해 개방되고, 원추부(15)의 체결홈(15a)에는 앵커(51)가 분리가능하게 체결되며, 이 앵커(51)를 이용하여 마감재(105)를 설치할 수 있다.
앵커(51)는 마감재(105)를 설치하기 위한 연결용 체결구로서, 외주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무두볼트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앵커(51)의 일부는 원추부(15)의 체결홈(15a)에 체결된 후에 앵커(51)의 나머지 외주면은 외벽체(1)의 외측으로 돌출하고, 외벽체(1)의 외측으로 돌출된 앵커(51)의 외주면에는 와셔(102)가 결합되어 있다.
지지부재(101)는 외벽체(1)의 외측으로 돌출된 앵커(51)의 외주면에 와셔(102) 및 체결너트(104)의 나사결합에 의해 결합된다.
특히, 지지부재(101)는 서로 직교하는 제1평탄부(101a) 및 제2평탄부(101b)를 가진 "L"자형 단면구조로 이루어진다. 지지부재(101)의 제1평탄부(101a)는 앵커(51) 측에 와셔(102) 및 체결너트(104)의 나사결합에 의해 결합되고, 지지부재(101)의 제2평탄부(101b)는 외벽체(1)의 외측에서 수평방향으로 배치된다.
마감재 설치브라켓(103)은 평탄한 플레이트로 형성되어 지지부재(101) 측에 연결되어 수평방향으로 평탄하게 배치된다.
마감재 설치브라켓(103)의 일측은 지지부재(101)의 제2평탄부(101b)에 체결볼트(106a) 및 체결너트(106b)에 의해 결합된다. 마감재 설치브라켓(103)의 타측에는 끼움돌기부(103a)가 상하 대칭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이 끼움돌기부(103a) 측에 상하방향으로 적층되는 마감재(105)들의 끼움홈들이 끼워져 설치된다.
외벽체(1)의 외면과 마감재(105)들 사이에는 단열재(107)가 개재되고, 이 단열재(107)는 미네랄울, 글래스울 등과 같은 다양한 단열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마감재 설치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마감재 설치구조(110)는 외벽체(1) 내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매설된 복수의 간격유지봉(10)과, 각 간격유지봉(10)의 원추부(15)에 분리가능하게 체결된 복수의 앵커(51)와, 각 앵커(51)에 결합된 복수의 지지부재(111)와, 복수의 지지부재(111)에 연결된 마감재 지지용 트러스구조(116)와, 이 마감재 지지용 트러스구조(116)에 결합된 복수의 마감재 설치브라켓(113)과, 각 마감재 설치브라켓(113)에 설치되는 복수의 마감재(115), 외벽체(1)의 외면과 마감재(115) 사이에 개재되는 단열재(117)를 포함한다.
외벽체(1)의 시공이 완료된 후에는 결합캡(19)이 분리되면 간격유지봉(10)의 원추부(15)의 체결홈(15a)은 외벽체(1)의 외측을 향해 개방되고, 원추부(15)의 체결홈(15a)에는 앵커(51)가 분리가능하게 체결되며, 이 앵커(51)를 이용하여 마감재(115)를 설치할 수 있다.
앵커(51)는 마감재(115)를 설치하기 위한 연결용 체결구로서, 외주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무두볼트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앵커(51)의 일부가 원추부(15)의 체결홈(15a)에 체결된 후에 앵커(51)의 나머지 외주면은 외벽체(1)의 외측으로 돌출하고, 외벽체(1)의 외측으로 돌출된 앵커(51)의 외주면에는 와셔(112)가 결합되어 있다.
지지부재(111)는 외벽체(1)의 외측으로 돌출된 앵커(51)의 외주면에 와셔(112) 및 체결너트(114)의 나사결합에 의해 결합된다.
특히, 지지부재(111)는 서로 직교하는 제1평탄부(111a) 및 제2평탄부(111b)를 가진 L형강으로 이루어진다. 지지부재(111)의 제1평탄부(111a)는 앵커(51) 측에 와셔(112) 및 체결너트(114)의 나사결합에 의해 결합되고, 지지부재(111)의 제2평탄부(111b)는 외벽체(1)의 외측에서 수평방향으로 배치된다.
마감재 지지용 트러스구조(116)는 복수의 부재에 의해 다양한 트러스구조로 구성되고, 이 마감재 지지용 트러스구조(116)의 일측에는 지지부재(111)의 수평부(111b)가 용접 등을 통해 결합된다. 이러한 마감재 지지용 트러스구조(116)에 의해 중량형 마감재(115)의 설치가 용이해진다.
마감재 설치브라켓(113)은 서로 직교하는 제1평탄부(113a) 및 제2평탄부(113b)를 가진 "L"자형 단면구조로 이루어진다. 마감재 설치브라켓(113)의 제1ㅍ평탄부(113a)는 마감재 지지용 트러스구조(116)의 타측에 용접 등을 통해 결합된다. 마감재 설치브라켓(113)의 제2평탄부(113b)에는 마감재(115)들이 안착되어 설치된다.
외벽체(1)의 외면과 마감재(115)들 사이에는 단열재(117)가 개재되고, 이 단열재(117)는 미네랄울, 글래스울 등과 같은 다양한 단열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마감재 설치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마감재 설치구조(120)는 외벽체(1) 내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매설된 복수의 간격유지봉(10)과, 이 간격유지봉(10)의 원추부(15)에 분리가능하게 체결된 복수의 앵커(51)와, 각 앵커(51)에 결합된 복수의 지지부재(121)와, 이 지지부재(121)에 연결된 복수의 전단보강체(126)와, 이 전단보강체(126)의 단부에 결합된 복수의 마감재 설치브라켓(123)과, 각 마감재 설치브라켓(123)에 설치되는 복수의 마감재(125)와, 외벽체(1)의 외면과 마감재(125) 사이에 개재되는 단열재(127)를 포함한다.
외벽체(1)의 시공이 완료된 후에는 결합캡(19)이 분리되면 간격유지봉(10)의 원추부(15)의 체결홈(15a)은 외벽체(1)의 외측을 향해 개방되고, 원추부(15)의 체결홈(15a)에는 앵커(51)가 분리가능하게 체결되며, 이 앵커(51)를 이용하여 마감재(125)를 설치할 수 있다.
앵커(51)는 마감재(125)를 설치하기 위한 연결용 체결구로서, 외주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무두볼트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앵커(51)의 일부가 원추부(15)의 체결홈(15a)에 체결된 후에 앵커(51)의 나머지 외주면은 외벽체(1)의 외측으로 돌출하고, 외벽체(1)의 외측으로 돌출된 앵커(51)의 외주면에는 와셔(122)가 결합되어 있다.
지지부재(121)는 외벽체(1)의 외측으로 돌출된 앵커(51)의 외주면에 와셔(122) 및 체결너트(124)의 나사결합에 의해 결합된다.
특히, 지지부재(121)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직교하는 제1평탄부(121a) 및 제2평탄부(121b)를 가진 L형강으로 이루어져 외벽체(1)의 높이방향을 따라 길게 설치된다. 지지부재(121)의 제1평탄부(121a)는 앵커(51) 측에 와셔(122) 및 체결너트(124)의 나사결합에 의해 결합되고, 지지부재(111)의 제2평탄부(111b)는 외벽체(1)의 외측으로 연장되게 배치된다.
전단보강체(126)는 그 하부에 경사면(126a)을 가진 플레이트로 형성되고, 전단보강체(126)의 일측은 지지부재(121)의 제2평탄부(121b)에 복수의 체결볼트(126b) 및 체결너트(126c)를 통해 결합된다. 전단보강체(126)의 타측에는 결속부재(128)가 일체로 형성되며, 결속부재(128)에는 수직바(129)가 결합되고, 이 수직바(129)는 마감재(125)의 내측에 인접하여 수직방향으로 설치된다.
전단보강체(126)는 마감재 설치브라켓(123) 측에 인가되는 전단력에 대한 저항력을 높여 마감재 설치브라켓(123)에서 발생하는 휨 또는 처짐 등을 보강할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마감재(125)가 설치되는 마감재 설치브라켓(123)이 지지부재(121) 측에 연결됨에 따라 마감재 설치브라켓(123) 측에 전단력에 의해 휨 또는 처짐 등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응하여 전단보강체(126)가 지지부재(121)와 마감재 설치브라켓(123) 사이에 설치됨으로써 휨 또는 처짐 등을 보다 확실하게 보강할 수 있다.
특히, 전단보강체(126)는 하부에 경사면(126a)을 가진 플레이트 구조로 구성되어 마감재 설치브라켓(123)과 지지부재(121) 사이에 연결됨으로써 마감재 설치브라켓(123) 측에 인가되는 전단력에 대해 보다 확실하게 저항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는 전단보강체(126)에 의해 휨 또는 처짐 등에 대한 보강력이 높아 중량형 마감재(125)의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결속부재(128)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한 쌍의 측벽부(128a)를 가진 "ㄷ"자형 단면구조로 형성되고, 각 측벽부(128a)에는 장착슬롯(128b)이 형성되며, 이 장착슬롯(128b)에 체결구(128c)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결속부재(128)의 측벽부(128a) 사이에 수직바(129)가 결합되고, 수직바(129)는 외벽체(1)의 높이방향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결속부재(128)는 장착슬롯(128b)을 통해 수직바(129)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그 위치가 적절히 조절될 수 있고, 이렇게 조절된 후에 결속부재(128)의 측벽부(128a)가 수직바(129) 측에 체결볼트(128c)에 의해 결합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바(129)의 측면 내측에는 "T"자형 단면을 가진 체결홈(129a)이 각각 형성되고, 체결볼트(128c)의 헤드부(128d)가 체결홈(129a) 내에는 끼워진다. 그리고, 체결구(128c)는 체결너트(128e)에 의해 장착슬롯(128b)에 체결된다.
수직바(129)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벽체(1)의 수직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고, 수직바(129)의 외측면에는 마감재 설치브라켓(123)이 체결구 등을 통해 결합된다.
마감재 설치브라켓(123)은 서로 직교하는 제1평탄부(123a) 및 제2평탄부(123b)를 가진 "L"자형 단면으로 이루어진다. 마감재 설치브라켓(123)의 제1평탄부(123a)는 수직바(129) 측에 용접 등을 통해 결합되고, 마감재 설치브라켓(123)의 제2평탄부(123b)에는 끼움돌기부(123c)가 상하 대칭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이 끼움돌기부(123c) 측에 상하방향으로 적층되는 마감재(125)들의 끼움홈이 끼워져 설치된다.
외벽체(1)의 외면과 마감재(125)들 사이에는 단열재(127)가 개재되고, 이 단열재(127)는 미네랄울, 글래스울 등과 같은 다양한 단열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제3실시예의 마감재 설치구조(120)에 따르면, 지지부재(121), 전단보강체(126) 및 결속부재(128)는 스테인레스 등과 같이 열전도율이 낮은 금속 또는 단열성 합성수지 등과 같은 단열성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단열성을 높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마감재 설치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마감재 설치구조(130)는 외벽체(1) 내에 일정간격으로 매설된 복수의 간격유지봉(10), 간격유지봉(10)에 분리가능하게 체결되는 복수의 앵커(51, 52), 복수의 앵커(51, 52)들 사이에서 대각선방향으로 설치된 복수의 지지부재(131), 각 지지부재(131)에 연결된 복수의 마감재 설치브라켓(133), 이 마감재 설치브라켓(133)에 설치되는 복수의 마감재(135), 외벽체(1)의 외면과 마감재(135) 사이에 개재되는 단열재(137)를 포함한다.
외벽체(1)의 시공이 완료된 후에는 결합캡(19)이 분리되면 간격유지봉(10)의 원추부(15)의 체결홈(15a)은 외벽체(1)의 외측을 향해 개방되고, 원추부(15)의 체결홈(15a)에는 앵커(51, 52)가 분리가능하게 체결되며, 이 앵커(51, 52)를 이용하여 마감재(135)를 설치할 수 있다.
앵커(51, 52)는 마감재(137)를 설치하기 위한 연결용 체결구로서, 외주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무두볼트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앵커(51, 52)의 일부는 원추부(15)의 체결홈(15a)에 체결된 후에 앵커(51, 52)의 나머지 외주면은 외벽체(1)의 외측으로 돌출하고, 외벽체(1)의 외측으로 돌출된 앵커(51, 52)의 외주면에는 와셔(132)가 결합되어 있다.
본 제4실시예에 따르면, 앵커(51, 52)는 서로 다른 길이로 이루어진 제1앵커(51) 및 제2앵커(52)로 이루어지고, 제1앵커(51) 및 제2앵커(52)는 상하방향으로 인접한 간격유지봉(10)들의 각 원추부(15)에 개별적으로 체결됨으로써 상하방향으로 인접한 상태를 유지한다.
특히, 제1앵커(51)는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로 이루어지고, 제2앵커(52)는 제1앵커(51) 보다 길게 형성됨으로써 제1앵커(51) 및 제2앵커(52)는 외벽체(1)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길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된다. 즉, 제2앵커(52)는 제1앵커(51)의 돌출된 길이 보다 더 길게 돌출되어 있다.
또한, 제2앵커(52)는 외벽체(1)에서 외측으로 상대적으로 길게 돌출됨에 따라 휨 또는 처짐 등이 발생하므로, 이에 대응하기 위하여 제2앵커(52)의 외주면에는 일정길이의 수평보강부재(59)가 설치될 수 있다. 수평보강부재(59)의 내주면에 제2앵커(52)의 외주면이 끼워져 설치됨에 따라 제2앵커(52)는 길이방향으로의 휨 또는 처짐 등이 방지될 수 있다.
지지부재(131)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바 또는 봉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외벽체(1)에서 상하방향으로 인접한 제1앵커(51) 및 제2앵커(52) 사이에 대각선방향으로 설치된다.
지지부재(131)의 상단(131a)은 와셔(132a) 및 체결너트(134a)의 나사결합에 의해 제1앵커(51)의 돌출된 단부에 결합되고, 지지부재(131)의 하단(131b)은 제2앵커(52)의 돌출된 단부에 연결됨으로써 지지부재(131)는 도 7과 같이 하향으로 경사진 대각선 방향으로 설치된다. 이와 같이 외벽체(1)의 외측에서 높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지지부재(131)가 대각선방향으로 설치됨에 따라 전단력에 대한 저항력이 높아져 전단보강력이 향상될 수 있다.
마감재 설치브라켓(133)은 서로 직교하는 제1평탄부(133a) 및 제2평탄부(133b)를 가진 "L"자형 단면으로 이루어진다. 마감재 설치브라켓(133)의 제1평탄부(133a)는 제2앵커(52)의 외측단에 와셔(132b) 및 체결너트(134b)의 나사결합에 의해 결합된다.
마감재 설치브라켓(133)의 제2평탄부(133b)에는 끼움돌기부(133c)가 상하 대칭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이 끼움돌기부(133c) 측에 상하방향으로 적층되는 마감재(135)들의 끼움홈(135a)이 끼워져 고정된다.
외벽체(1)의 외면과 마감재(135)들 사이에는 단열재(137)가 개재되고, 이 단열재(137)는 미네랄울, 글래스울 등과 같은 다양한 단열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3 내지 도 7에서는 도 1의 간격유지봉(10, 제1실시예)이 외벽체(1) 내에 매설되어 적용된 구성이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에 의한 마감재 설치구조(100, 110, 120, 130)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도 2의 간격유지봉(20, 제2실시예)이 외벽체(1) 내에 매설되어 적용될 수도 있다. 이렇게 도 2의 간격유지봉(20)이 마감재 설치구조(100, 110, 120, 130)에 적용될 경우에는 단열몸체(21)의 일단에 위치한 원추부(25)의 체결홈(25a)에 앵커(51)를 체결하여 외벽체(1)의 외측에 외장 마감재(105) 및 외장 단열재(107) 등을 설치하는 것은 물론이고, 시공 현장의 필요에 따라 단열몸체(21)의 타단에 위치한 원추부(25)의 체결홈(25a)에도 앵커(51)를 체결하여 외벽체(1)의 내측에도 다양한 내장 마감재 또는 내장 단열재 등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마감재 설치구조(100, 110, 120, 130)는 시공이 완료된 외벽체(1)에 매설되어 있는 단열형 간격유지봉(10, 20)에 앵커(51, 52)를 견고하게 체결한 상태에서, 앵커(51, 52) 측에 지지부재(101, 111, 121, 131) 및 설치브라켓(103, 113, 123, 133) 등을 통해 마감재(105, 115, 125, 135)를 설치함에 따라 마감재(105, 115, 125, 135)의 설치가 매우 간편할 뿐만 아니라 마감재(105, 115, 125, 135)를 매우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마감재 설치구조(100, 110, 120, 130)는 단열형 간격유지봉(10)의 단열몸체(11)에 의해 외벽체(1)에서 열교(thermal bridge)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마감재(105, 115, 125, 135)의 설치를 위해 단열형 간격유지봉(10)의 원추부(15)에 앵커(51, 52)를 매개로 지지부재(101, 111, 121, 131), 설치브라켓(103, 113, 123, 133) 등이 연결되더라도 단열형 간격유지봉(10)의 단열몸체(11)에 의해 열교현상이 차단됨으로써 건물 전체의 단열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단열형 간격유지봉(10)을 이용한 마감재 설치구조를 실시예 별로 도시한 도면으로, 외벽체(1)의 시공이 완료된 후에 외벽체(1) 내에 매설된 단열형 간격유지봉(10)을 이용하여 단열재(141, 151)를 지지하기 위한 마감재 설치구조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단열재 지지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단열재 지지구조(140)는 외벽체(1) 내에 일정간격으로 매설된 복수의 간격유지봉(10), 외벽체(1)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단열재(147), 각 간격유지봉(10)에 분리가능하게 체결되어 단열재(147)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앵커(53), 각 앵커(53)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마감재 부착부재(143), 마감재 부착부재(143)에 부착되는 마감재(145)를 포함한다.
외벽체(1)의 시공이 완료된 후에 결합캡(19)이 분리되면 간격유지봉(10)의 원추부(15)의 체결홈(15a)은 외벽체(1)의 외측을 향해 개방되고, 원추부(15)의 체결홈(15a)에는 앵커(53)가 분리가능하게 체결된다.
앵커(53)에는 단열재를 지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앵커(53)의 일측에는 원추부(15)의 체결홈(15a)에 체결되는 체결부(53a)이 형성되고, 앵커(53)의 체결부(53a)의 외주면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원추부(15)의 체결홈(15a) 내에 나사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이와 달리 앵커(53)의 체결부(53a)는 원추부(15)의 체결홈(15a)에 끼움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앵커(53)의 타측에는 단열재 지지부(54)가 일체로 형성되고, 단열재 지지부(54)는 외측으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는 날카로운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에 외벽체(1)에 매설된 간격유지봉(10)의 단열몸체(11)의 원추부(15)에 앵커(53)가 체결된 상태에서 스티로폼 등과 같은 고형의 단열재(147)를 외벽체(1)에 밀착하여 설치할 경우, 단열재(147)의 일부분들이 앵커(53)의 단열재 지지부(54)들에 관통됨에 따라 단열재(147)는 앵커(53)의 단열재 지지부(54)에 관통된 상태로 설치되므로 그 설치가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짐과 더불어 단열재(147)는 앵커(53)의 단열재 지지부(54)에 의해 매우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앵커(53)는 그 단열성의 향상을 위하여 FRP 등과 같은 단열성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마감재 부착부재(143)는 석고판 등과 같은 경량의 마감재(145)가 부착되는 부착면을 가진다.
앵커(53)의 단열재 지지부(54)에 의해 단열재(147)의 시공이 완료된 후에 마감재 부착부재(143)가 단열재 지지부(54)에 결합됨으로써 마감재 부착부재(143)는 앵커(53)에 연결되고, 마감재 부착부재(143)의 부착부(143a)에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석고판 등과 같은 경량의 마감재(145)를 부착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단열재 지지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단열재 지지구조(150)는 외벽체(1) 내에 일정간격으로 매설된 복수의 간격유지봉(10), 외벽체(1)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단열재(157), 각 간격유지봉(10)에 분리가능하게 체결되어 단열재(157)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앵커(55), 각 앵커(55)의 외측단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마감재 부착부재(153), 마감재 부착부재(153)에 부착되는 마감재(155)를 포함한다.
외벽체(1)의 시공이 완료된 후에 결합캡(19)이 분리되면 간격유지봉(10)의 원추부(15)의 체결홈(15a)은 외벽체(1)의 외측을 향해 개방되고, 원추부(15)의 체결홈(15a)에는 앵커(55)가 분리가능하게 체결된다.
앵커(55)는 단열재를 지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앵커(55)의 일측에는 원추부(15)의 체결홈(15a)에 체결되는 체결부(55a)이 형성된다. 앵커(55)의 체결부(55a)의 외주면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원추부(15)의 체결홈(15a) 내에 나사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이와 달리 앵커(55)의 체결부(55a)는 원추부(15)의 체결홈(15a)에 끼움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앵커(55)의 타측에는 단열재 지지부(56)가 일체로 형성되고, 단열재 지지부(56)는 외측으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는 날카로운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에 외벽체(1)에 매설된 간격유지봉(10)의 단열몸체(11)의 원추부(15)에 앵커(55)가 체결된 상태에서 스티로폼 등과 같은 고형의 단열재(157)를 외벽체(1)에 밀착하면, 단열재(157)의 일부분들이 앵커(55)의 단열재 지지부(56)들에 관통됨에 따라 단열재(157)는 앵커(55)의 단열재 지지부(56)에 관통된 상태로 설치되므로 그 설치가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짐과 더불어 단열재(157)는 앵커(55)의 단열재 지지부(56)에 의해 매우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앵커(55)와 단열재 지지부(56) 사이에는 플랜지부(57)가 형성되고, 앵커(55)가 원추부(15)의 체결홈(15a)에 체결되면 플랜지부(57)는 외벽체(1)의 밀착되며, 단열재 지지부(56)는 곡면부(56a)를 통해 플랜지부(57)에 연결된다.
한편, 앵커(55)는 그 단열성의 향상을 위하여 FRP 등과 같은 단열성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마감재 부착부재(153)는 석고판 등과 같은 경량의 마감재(155)가 부착되는 부착면을 가진다.
앵커(55)의 단열재 지지부(56)에 의해 단열재(157)의 시공이 완료된 후에 마감재 부착부재(153)가 단열재 지지부(55)에 결합됨으로써 마감재 부착부재(153)가 앵커(55)에 연결된다. 그런 다음, 마감재 부착부재(153)의 부착부(153a)에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석고판 등과 같은 경량의 마감재(155)를 부착할 수 있다.
한편, 도 8 및 도 9에서는 도 1의 간격유지봉(10, 제1실시예)이 외벽체(1) 내에 매설되어 적용된 구성이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에 의한 단열재 지지구조(140, 150)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도 2의 간격유지봉(20, 제2실시예)이 외벽체(1) 내에 매설되어 적용될 수도 있다. 이렇게 도 2의 간격유지봉(20)이 단열재 지지구조(140, 150)에 적용될 경우에는 단열몸체(21)의 일단에 위치한 원추부(25)의 체결홈(25a)에 앵커(53, 54)를 체결하여 외벽체(1)의 외측에 외장 단열재(147, 157) 등을 지지하는 것은 물론이고, 시공 현장의 필요에 따라 단열몸체(21)의 타단에 위치한 원추부(25)의 체결홈(25a)에도 앵커(55, 57)를 체결하여 외벽체(1)의 내측에도 내장 단열재 등을 지지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단열재 지지구조(140, 150)는 시공이 완료된 외벽체(1)에 매설되어 있는 단열형 간격유지봉(10, 20)에 앵커(53, 55)를 견고하게 체결한 상태에서, 앵커(53, 55)의 단열재 지지부(54, 56)에 단열재(147, 157)를 끼워넣는 방식으로 설치할 수 있으므로, 단열재(147, 157)의 설치가 매우 간편할 뿐만 아니라 단열재(147, 157)를 매우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단열재 지지구조(140, 150)는 단열형 간격유지봉(10)의 단열몸체(11)에 의해 외벽체(1)에서 열교(thermal bridge)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단열재의 지지를 위해 단열형 간격유지봉(10)의 원추부(15)에 앵커(53, 55)를 매개로 단열재(147, 157)의 지지 및 경량형 마감재(145, 155)의 설치를 구현할 경우 단열형 간격유지봉(10)의 단열몸체(11)에 의해 열교현상이 차단됨으로써 건물 전체의 단열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10, 20: 단열형 간격유지봉 11, 21: 단열몸체
13: 지지몸체 14: 평탄결합부
15, 25: 원추부 19, 29: 지수용 리브
100, 110, 120, 130: 마감재 설치구조
14, 150: 단열재 지지구조

Claims (12)

  1. 외벽체 내에 매설되되 앵커 체결이 가능한 단열형 간격유지봉으로,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단열성 재질로 이루어진 단열몸체;
    상기 단열몸체의 적어도 한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빠짐방지용 경사면을 가진 원추부; 및
    상기 단열몸체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환상으로 연장된 지수용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원추부의 내부에는 앵커 및 결합캡 중에서 어느 하나가 분리가능하게 체결되는 체결홈이 형성되며,
    상기 원추부의 이탈방지용 경사면은 상기 원추부의 단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원추부의 빠짐방지용 경사면의 수직길이는 체결홈의 나사산 높이 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형 간격유지봉.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앵커는 마감재의 설치, 단열재의 지지를 위한 용도로 상기 원추부의 체결홈에 분리가능하게 체결되고,
    상기 결합캡은 외벽체의 시공을 위한 거푸집에 결합되며, 상기 결합캡의 일단부에는 원추부의 체결홈에 분리가능하게 체결되는 체결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캡의 타단부에는 거푸집에 결합되는 평탄결합부가 형성되며, 이 평탄결합부에는 웨지핀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웨지핀 결합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형 간격유지봉.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열몸체의 일단부에는 원추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단열몸체의 타단부에는 금속재질의 지지몸체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몸체의 일단부는 상기 단열형 몸체의 타단부에 인서트되어 일체로 매설된 구조로 연결되고, 상기 지지몸체의 타단부에는 거푸집에 결합되는 평탄결합부가 형성되며, 이 평탄결합부에는 웨지핀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웨지핀용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평탄결합부에 인접하여 한 쌍의 절취용 홈이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형 간격유지봉.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열몸체의 양단부에는 한 쌍의 원추부가 대칭적으로 형성되고, 각 원추부의 내부에는 체결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형 간격유지봉.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열몸체의 단부에서 상기 원추부의 체결홈의 바닥면까지의 거리는 상기 단열몸체의 반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형 간격유지봉.
  6. 삭제
  7. 청구항 1항 내지 5항 중에서 어느 한항에 따른 단열형 간격유지봉을 이용하여 마감재를 설치하기 위한 단열형 간격유지봉을 포함하는 마감재 설치구조로서,
    외벽체 내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매설되고, 외벽체의 외부로 노출된 체결홈을 가진 단열몸체를 가진 복수의 간격유지봉;
    상기 단열몸체의 체결홈에 체결되는 복수의 앵커;
    상기 앵커에 연결된 복수의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에 연결되는 복수의 마감재 설치브라켓;
    마감재 설치브라켓에 설치되는 복수의 마감재; 및
    상기 외벽체와 마감재 사이에 개재되는 단열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형 간격유지봉을 이용한 마감재 설치구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서로 직교하는 제1평탄부 및 제2평탄부를 가진 "L"자형 단면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형 간격유지봉을 이용한 마감재 설치구조.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앵커는 서로 다른 길이로 이루어진 제1앵커 및 제2앵커로 이루어지고, 제1앵커 및 제2앵커는 상하방향으로 인접한 간격유지봉들의 각 단열몸체에 개별적으로 체결됨으로써 상하방향으로 인접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제2앵커는 상기 제1앵커 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제2앵커는 상기 제1앵커의 돌출된 길이 보다 더 길게 돌출되고,
    상기 제1앵커와 상기 제2앵커 사이에 대각선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형 간격유지봉을 이용한 마감재 설치구조.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와 복수의 마감재 설치브라켓 사이에는 마감재 지지용 트러스구조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형 간격유지봉을 이용한 마감재 설치구조.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에는 복수의 전단보강체가 개별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단보강체는 하부에 경사면을 가진 플레이트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전단보강체의 일측은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전단보강체의 타측에는 결속부재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결속부재에는 외벽체의 높이방향으로 연장된 수직바가 결속되고,
    상기 수직바에는 상기 복수의 마감재 설치브라켓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형 간격유지봉을 이용한 마감재 설치구조.
  12. 청구항 1항 내지 5항 중에서 어느 한항에 따른 단열형 간격유지봉을 이용하여 단열재를 지지하기 위한 단열형 간격유지봉을 포함하는 단열재 지지구조로서,
    외벽체 내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매설되고, 외벽체의 외부로 노출된 체결홈을 가진 단열몸체를 가진 복수의 간격유지봉;
    상기 외벽체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단열재;
    상기 단열몸체의 체결홈에 체결되어 단열재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앵커; 및
    상기 앵커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마감재가 부착되는 마감재 부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앵커의 일측에는 체결홈에 체결되는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앵커의 타측에는 단열재 지지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단열재 지지부는 외측으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는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단열재를 관통하여 상기 단열재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형 간격유지봉을 이용한 단열재 지지구조.
KR1020130026868A 2013-03-13 2013-03-13 앵커 체결이 가능한 단열형 간격유지봉, 이를 이용한 마감재 설치구조 및 단열재 지지구조 KR1014026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6868A KR101402646B1 (ko) 2013-03-13 2013-03-13 앵커 체결이 가능한 단열형 간격유지봉, 이를 이용한 마감재 설치구조 및 단열재 지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6868A KR101402646B1 (ko) 2013-03-13 2013-03-13 앵커 체결이 가능한 단열형 간격유지봉, 이를 이용한 마감재 설치구조 및 단열재 지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2646B1 true KR101402646B1 (ko) 2014-06-03

Family

ID=51131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6868A KR101402646B1 (ko) 2013-03-13 2013-03-13 앵커 체결이 가능한 단열형 간격유지봉, 이를 이용한 마감재 설치구조 및 단열재 지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2646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6750B1 (ko) * 2016-09-02 2018-06-12 주식회사 비엔케이 건물외장재 고정브라켓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건물외장재 고정브라켓
KR20190067390A (ko) * 2017-12-07 2019-06-17 신동원 단열부가 개재된 앵커를 포함하는 건축물 외장재 고정유닛
KR20190077901A (ko) * 2017-12-26 2019-07-04 신동원 내부 코어와 단열부를 구비한 앵커를 포함하는 건축물 외장재 고정유닛
KR20190081098A (ko) * 2017-12-29 2019-07-09 신동원 단열부와 금속지지부를 포함하는 앵커를 구비한 건축물 외장재 고정유닛
KR20200115799A (ko) 2019-03-26 2020-10-08 이성대 보강지지대가 구비된 외벽 고정용 앵커
CN111962693A (zh) * 2020-07-27 2020-11-20 北方工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内置复合保温墙体系用支托及其节点构造
CN112267573A (zh) * 2020-10-16 2021-01-26 上海拓铁通信科技有限公司 一种预埋槽道防腐蚀工艺生产方法
CN113700299A (zh) * 2021-09-16 2021-11-26 中联西北工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三段装配式防热桥对拉螺栓及安装方法
KR20230003704A (ko) 2021-06-29 2023-01-06 허성진 외벽 고정용 앵커 조립체
KR20230032134A (ko) * 2021-08-30 2023-03-07 남명진 거푸집 밀림 방지 장치
KR20230144707A (ko) * 2022-04-07 2023-10-17 주식회사 블루폼 패널 간격 유지용 와이어 타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685258B1 (ko) * 2023-07-18 2024-07-17 (주)케이제이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 단열재용 열차단 앵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21936B2 (ja) * 2002-07-11 2005-02-23 アイエスティー株式会社 型枠固定具の製造方法及び型枠固定具
KR100796808B1 (ko) * 2005-07-19 2008-01-22 김동영 노출콘크리트용 유로폼 거푸집과 이를 이용한 노출콘크리트시공방법
JP4764444B2 (ja) * 2008-03-17 2011-09-07 善夫 鈴木 セパレータ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21936B2 (ja) * 2002-07-11 2005-02-23 アイエスティー株式会社 型枠固定具の製造方法及び型枠固定具
KR100796808B1 (ko) * 2005-07-19 2008-01-22 김동영 노출콘크리트용 유로폼 거푸집과 이를 이용한 노출콘크리트시공방법
JP4764444B2 (ja) * 2008-03-17 2011-09-07 善夫 鈴木 セパレータ構造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6750B1 (ko) * 2016-09-02 2018-06-12 주식회사 비엔케이 건물외장재 고정브라켓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건물외장재 고정브라켓
KR20190067390A (ko) * 2017-12-07 2019-06-17 신동원 단열부가 개재된 앵커를 포함하는 건축물 외장재 고정유닛
KR102000365B1 (ko) * 2017-12-07 2019-07-15 신동원 단열부가 개재된 앵커를 포함하는 건축물 외장재 고정유닛
KR20190077901A (ko) * 2017-12-26 2019-07-04 신동원 내부 코어와 단열부를 구비한 앵커를 포함하는 건축물 외장재 고정유닛
KR101997998B1 (ko) * 2017-12-26 2019-07-08 신동원 내부 코어와 단열부를 구비한 앵커를 포함하는 건축물 외장재 고정유닛
KR20190081098A (ko) * 2017-12-29 2019-07-09 신동원 단열부와 금속지지부를 포함하는 앵커를 구비한 건축물 외장재 고정유닛
KR102069955B1 (ko) * 2017-12-29 2020-01-23 신동원 단열부와 금속지지부를 포함하는 앵커를 구비한 건축물 외장재 고정유닛
KR20200115799A (ko) 2019-03-26 2020-10-08 이성대 보강지지대가 구비된 외벽 고정용 앵커
CN111962693A (zh) * 2020-07-27 2020-11-20 北方工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内置复合保温墙体系用支托及其节点构造
CN112267573A (zh) * 2020-10-16 2021-01-26 上海拓铁通信科技有限公司 一种预埋槽道防腐蚀工艺生产方法
KR20230003704A (ko) 2021-06-29 2023-01-06 허성진 외벽 고정용 앵커 조립체
KR20230032134A (ko) * 2021-08-30 2023-03-07 남명진 거푸집 밀림 방지 장치
KR102512093B1 (ko) * 2021-08-30 2023-03-17 남명진 거푸집 밀림 방지 장치
CN113700299A (zh) * 2021-09-16 2021-11-26 中联西北工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三段装配式防热桥对拉螺栓及安装方法
KR20230144707A (ko) * 2022-04-07 2023-10-17 주식회사 블루폼 패널 간격 유지용 와이어 타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685209B1 (ko) * 2022-04-07 2024-07-24 주식회사 블루폼 패널 간격 유지용 와이어 타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685258B1 (ko) * 2023-07-18 2024-07-17 (주)케이제이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 단열재용 열차단 앵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2646B1 (ko) 앵커 체결이 가능한 단열형 간격유지봉, 이를 이용한 마감재 설치구조 및 단열재 지지구조
EP2875195B1 (en) Wall formwork system with a locking device having wall formwork locking device and associated process
US9169635B2 (en) Apparatus to tie forms to existing structures
KR100903212B1 (ko) 트러스거더 연결구
CN211873851U (zh) 一种对拉螺栓组件、施工支护体系及现浇自保温围护墙
KR20180016697A (ko) 패널 고정 장치 및 이를 사용한 패널 고정 방법
KR102045958B1 (ko) 철근의 교호적 배치를 갖는 슬래브의 열교 차단장치
KR20140101046A (ko) 내외벽 연결 구조용 거푸집 시스템 및 그 설치방법
KR101899248B1 (ko) 슬라브 단열재 고정구
KR102393584B1 (ko) 보강지지대가 구비된 외벽 고정용 앵커
US20170016237A1 (en) Assembly and Method for Creating a Wall from a Flowable Material
KR101899297B1 (ko) 단열재 일체형 외벽시공방법 및 시공장치
KR100619466B1 (ko) 건축구조물 시공을 위한 강재 거푸집 측면 보강시설
JP5947105B2 (ja) PCa型枠の固定構造
KR20200053193A (ko) 복합 단열재를 사용한 영구 거푸집
KR20100023228A (ko) 분리형 플렛타이
KR101338691B1 (ko) 마감재 설치구조
KR200443097Y1 (ko)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구
KR101413039B1 (ko) 중공재 부력 방지 장치
KR101933535B1 (ko) 인서트형 철근고정구
KR200476569Y1 (ko) 전선관 지지홀더
KR20180001114U (ko) 슬래브 중공재의 부상 방지 구조
KR101080649B1 (ko) 거푸집용 클램프
KR20110004543U (ko) 거푸집 지지장치
KR101825818B1 (ko) 각도조절용 타이가 일체화된 클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