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8691B1 - 마감재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마감재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8691B1
KR101338691B1 KR1020120065772A KR20120065772A KR101338691B1 KR 101338691 B1 KR101338691 B1 KR 101338691B1 KR 1020120065772 A KR1020120065772 A KR 1020120065772A KR 20120065772 A KR20120065772 A KR 20120065772A KR 101338691 B1 KR101338691 B1 KR 1013386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ishing material
connecting member
insulating connecting
wall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5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준철
최준석
오경명
김양규
김규식
정문수
곽진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씨씨
주식회사 한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씨씨, 주식회사 한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to KR10201200657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86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8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86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3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 E04F13/0846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the fastening elements engaging holes or grooves in the side faces of the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5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keys or str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마감재를 외벽체 측에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마감재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마감재 설치구조는 건축물의 외벽체가 시공될 때 상기 건축물의 외벽체 측에 일체로 매설된 하나 이상의 앵커부재; 상기 앵커부재 측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단열성 연결부재; 및 상기 단열성 연결부재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설치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설치브라켓 측에 마감재가 설치되며, 상기 단열성 연결부재는 상기 외벽체와 마감재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길이로 이루어지고, 상기 앵커부재는 상기 외벽체가 시공될 때 콘크리트의 양생 시에 일체로 매설되는 거푸집 간격유지조립체의 콘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마감재 설치구조{FINISHING MATERIRALS MOUNTING STRUCTURE}
본 발명은 마감재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의 마감재를 외벽체 측에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마감재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건축물의 외벽체를 시공하기 위해서는 외벽체의 두께에 맞게 내/외측의 거푸집들을 일정 간격으로 설치한 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건축물의 외벽체를 시공한다.
내측 거푸집은 복수의 유로폼(euro form)이 조립되고, 외측 거푸집은 복수의 갱폼(gang form)이 조립되며, 내측 거푸집 및 외측 거푸집 사이에는 복수의 거푸집 간격유지 조립체가 설치됨에 따라 내측 거푸집과 외측 거푸집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내측 거푸집과 외측 거푸집 사이의 공간에 콘크리트가 타설된다.
한편, 거푸집 간격유지조립체는 간격유지봉 및 간격유지봉의 적어도 일단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콘부재 등으로 이루어지고, 간격유지봉의 콘부재 등을 통해 내측 거푸집과 외측 거푸집 사이에는 외벽체에 대응하는 공간이 형성된다. 내측 거푸집과 외측 거푸집 사이의 공간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양생됨에 따라 외벽체가 시공된다. 이렇게 외벽체의 시공이 완료된 후에, 거푸집 간격유지 조립체의 간격유지봉은 외벽체 내에 매립되며, 콘부재는 간격유지봉의 단부에 분리된다. 그리고, 콘부재가 분리된 부분은 밀봉부재 등을 통해 평탄하게 마감처리된다.
그리고, 건축물의 외벽체 측에는 건축물의 외벽체을 보호하고, 외벽체의 외관을 미려하게 장식하기 위하여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진 마감재가 설치된다.
이러한 마감재는 복수의 마감재용 앵커를 통해 외벽체 측에 설치되고, 마감재용 앵커는 외벽체 측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마감재용 앵커 측에는 브라켓을 매개로 복수의 수평바 및 복수의 수직바가 격자 형태로 용접을 통해 결합되며, 수직바 측에 마감재가 설치된다.
하지만, 종래의 마감재 설치구조는 마감재용 앵커의 결합작업이 먼저 진행됨에 따라 마감재의 시공작업이 매우 번거롭게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작업공정이 복잡해지면서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었다.
특히, 종래의 마감재 설치구조는 마감재용 앵커가 열전달율이 높은 스틸 등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마감재용 앵커를 통해 외벽체 내외의 열전달이 손쉽게 발생하고, 이로 인해 외벽체와 마감재의 단열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마감재 설치구조는 복수의 수평바 및 복수의 수직바가 격자 형태로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외벽체와 마감재 사이의 간격이 넓어져 단열재, 마감재용 앵커, 수직바 및 수평바 등과 같은 자재가 많이 소비되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마감재 설치구조는 마감재용 앵커 측에 복수의 수평바 및 복수의 수직바가 용접을 통해 결합됨에 따라 외벽체와 마감재 사이의 공간에 단열재를 시공함에 있어서 단열재가 용접열 등에 의해 쉽게 손상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마감재의 시공작업을 매우 신속하게 간편하게 진행함과 더불어 마감재와 외벽체 사이의 열전달을 최소화함으로써 건축물의 외벽체에 대한 단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마감재 설치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건축물의 외벽체 측에 마감재를 설치하기 위한 마감재 설치구조로서,
건축물의 외벽체가 시공될 때 상기 건축물의 외벽체 측에 일체로 매설된 하나 이상의 앵커부재;
상기 앵커부재 측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단열성 연결부재; 및
상기 단열성 연결부재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설치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설치브라켓 측에 마감재가 설치되며,
상기 앵커부재는 상기 외벽체가 시공될 때 콘크리트의 양생 시에 일체로 매설되는 거푸집 간격유지조립체의 콘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앵커부재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외측에 경사지게 형성된 테이퍼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의 내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열성 연결부재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봉 구조로 구성되고, 상기 단열성 연결부재는 상기 외벽체와 마감재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길이로 이루어지며, 상기 단열성 연결부재의 일단부에는 수나사부가 구비되고, 상기 단열성 연결부재의 수나사부가 상기 콘부재의 암나사부 측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단열성 연결부재의 타단부에는 상기 설치브라켓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열성 연결부재의 외주면에 수평보강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수평보강부재의 내주면에 상기 단열성 연결부재의 외주면이 끼워져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열성 연결부재는 전단보강체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단보강체는 상하방향으로 인접한 단열성 연결부재 및 앵커부재들의 사이에서 대각선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단보강체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제1평탄부 및 상기 제1평탄부에 대해 직교하는 제2평탄부를 가짐에 따라 "T"자형 단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평탄부의 상단 및 하단 각각에는 상기 단열성 연결부재가 삽입되는 복수의 원통부가 서로 끼워지도록 교대로 배치되고, 각 원통부에는 상기 단열성 연결부재가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단보강체의 일단부에는 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전단보강체의 타단부에는 L형강이 체결구를 통해 결합되며, 상기 L형강은 외벽체에 인접하여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전단보강체의 하측에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L형강에는 복수의 전단보강체가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단열성 연결부재는 상기 전단보강체 및 상기 L형강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단열성 연결부재는 상기 전단보강체의 절곡부를 관통하고, 상기 단열성 연결부재의 타단부에는 결속부재가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결속부재 측에는 수직바가 결합되며, 상기 결속부재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된 한 쌍의 측벽부를 가지고, 각 측벽부에는 장착슬롯이 형성되며, 상기 장착슬롯 측에 체결구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결속부재의 측벽부 사이에 수직바가 결합되고, 상기 수직바는 상기 마감재에 인접하여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열성 연결부재는 L형강을 관통하여 체결너트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전단보강체의 일단부에는 결속부재가 결합되며, 상기 결속부재의 일측에는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속부재의 결합부는 체결너트에 의해 상기 전단보강체의 절곡부 측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결속부재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된 한 쌍의 측벽부를 가지고, 각 측벽부에는 장착슬롯이 형성되며, 상기 장착슬롯 측에 체결구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결속부재의 측벽부 사이에 수직바가 결합되고, 상기 수직바는 상기 마감재에 인접하여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단보강체는 단열성 연결부재가 끼워지는 원통형 끼움부 및 상기 원통형 끼움부의 하측에 배치된 경사지지부를 가지고, 상기 원통형 끼움부의 내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원통형 끼움부의 관통공 내에 상기 단열성 연결부재가 삽입되고, 상기 경사지지부는 원통형 끼움부의 하부에서 외벽체를 향해 경사진 경사면을 가진 플레이트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열성 연결부재의 타단부에는 커플러를 매개로 결속부재가 연결되고, 상기 결속부재의 일단부에는 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결속부재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된 한 쌍의 측벽부를 가지고, 각 측벽부에는 장착슬롯이 형성되며, 상기 장착슬롯 측에 체결구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상기 결속부재의 측벽부 사이에 수직바가 결합되며, 상기 수직바는 상기 마감재에 인접하여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커플러의 내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커플러의 일측 내경면에는 상기 단열성 연결부재의 타단부가 결합되며, 상기 커플러의 타측 내경면에는 상기 결속부재의 결합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직바는 외벽체의 수직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고, 상기 수직바의 외측면에는 복수의 설치브라켓이 상하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고정되며, 상기 설치브라켓을 통해 복수의 마감재가 상하 수직방향으로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건축물의 외벽체를 시공할 때 이용되는 거푸집 간격유지조립체의 콘부재를 앵커부재로서 활용함으로써 별도의 마감재용 앵커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마감재의 시공작업을 매우 간편하게 진행함과 더불어 그 시공작업을 대폭 단축함으로써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앵커부재와 설치브라켓 사이에 단열성 연결부재가 설치됨에 따라 외벽체와 마감재 사이의 단열성이 대폭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마감재 설치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화살표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의 대안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마감재 설치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B-B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마감재 설치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C-C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마감재 설치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마감재 설치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D-D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참조하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이 용어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리는 것이 마땅하겠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다수의 실시예를 개시하고 있으며, 실시예들 사이에서 동일한 도번을 가진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마감재 설치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마감재 설치구조는 건축물의 외벽체(1) 측에 매설된 복수의 앵커부재(10), 복수의 앵커부재(10) 중에서 일부의 앵커부재(10) 측에 연결되는 복수의 단열성 연결부재(15)를 포함한다.
먼저, 건축물의 외벽체(1)가 시공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외측 거푸집과 내측 거푸집이 각각 설치된 후에 거푸집 간격유지조립체가 설치됨에 따라 외측 거푸집과 내측 거푸집 사이의 간격을 유지한다. 거푸집 간격유지조립체에 의해 외측 거푸집과 내측 거푸집 사이의 공간에 콘크리트가 타설된 후에 양생됨으로써 건축물의 외벽체(1)가 시공된다. 이렇게 건축물의 외벽체(1)가 시공될 때 콘크리트의 양생 시에 거푸집 간격유지조립체의 간격유지봉(13) 및 콘부재(10)가 외벽체(1) 내에 일체로 매설된다.
이에, 본 발명은 외벽체(1)의 시공과정에서 외벽체(1) 내에 일체로 매설된 콘부재(10)를 분리하지 않고, 외벽체(1) 내에 매설된 콘부재(10)를 앵커부재(10)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외벽체(1) 내에 매설된 콘부재(10)를 앵커부재(10)로서 활용함으로써 별도로 마감재용 앵커를 외벽체(1) 측에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마감재(5)의 시공작업이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마감재(5)의 시공시간이 단축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앵커부재(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1) 및 몸체부(11)의 외측에 경사지게 형성된 테이퍼부(12)로 구성된다. 몸체부(11)의 일단에는 간격유지봉(13)이 연결되며, 몸체부(11)의 타단에는 암나사부(11a)가 형성되어 있다.
대안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퍼부(12)는 그 외주면에 복수의 돌기(12a)가 형성되고, 복수의 돌기(12a)에 의해 앵커부재(10)는 외벽체(1)의 콘크리트 측에 보다 기밀하게 밀착되어 매설될 수 있며, 이를 통해 앵커부재(10)는 외벽체(1)의 내부에 보다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단열성 연결부재(15)는 외벽체(1)와 마감재(5)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길이로 이루어지고, 단열성 연결부재(15)의 일단부는 앵커부재(10) 측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며, 단열성 연결부재(15)의 타단부에는 설치브라켓(17)이 분리가능하게 연결된다.
단열성 연결부재(15)는 스테인레스 등과 같이 열전도율이 낮은 단열성 금속, 단열성 합성수지 등과 같은 단열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단열성 연결부재(15)의 일단부에는 수나사부(15a)가 형성되고, 단열성 연결부재(15)의 수나사부(15a)가 앵커부재(10)의 암나사부(11a)에 나사결합된다.
단열성 연결부재(15)의 타단부에는 설치브라켓(17)의 일측이 체결너트(16)를 통해 결합되고, 설치브라켓(17)의 타측에는 한 쌍의 고정부(19)가 상하 대칭적으로 돌출한다. 설치브라켓(17)의 고정부(19) 측에 마감재(5)의 상단 또는 하단이 끼워지고, 이에 복수의 마감재(5)는 외벽체(1)에 대해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상하 적층되어 설치된다.
또한, 설치브라켓(17)과 마감재(5)의 내측면 사이에는 복수의 완충부재(18)가 개재될 수 있고, 이러한 완충부재(18)에 의해 설치브라켓(17)과 마감재(5)의 견고한 결합이 완충될 수 있다.
그리고, 마감재(5)들과 외벽체(1) 사이의 공간에는 미네랄울, 글래스울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단열재(3)가 설치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단열성 연결부재(15)는 일정 길이로 연장된 봉 구조로 구성됨에 따라 휨 또는 처짐 등에 대응하기 위하여 각 단열성 연결부재(15)의 외주면에 일정 길이의 수평보강부재(20)가 설치될 수 있다. 수평보강부재(20)의 내경에 단열성 연결부재(15)의 외주면에 끼워져 설치됨에 따라 각 단열성 연결부재(15)는 길이방향의 휨 또는 처짐 등을 보강할 수 있다.
또한, 단열성 연결부재(15)는 휨 또는 처짐 등으로 인한 전단력을 심하게 받을 수 있으므로, 단열성 연결부재(15)의 전단력을 보강하기 위한 복수의 전단보강체(21)가 상하방향으로 인접한 단열성 연결부재(15) 및 앵커부재(10)들 사이에서 대각선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단보강체(21)는 바 또는 봉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복수의 전단보강체(2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인접한 단열성 연결부재(15)와 앵커부재(10)들 사이에서 대각선방향으로 설치되며, 복수의 전단보강체(21)가 상하방향으로 연속되게 설치됨에 따라 복수의 전단보강체(21)는 상하방향으로 인접한 단열성 연결부재(15)과 앵커부재(10)들 사이에서 트러스구조로 설치되고, 이에 각 단열성 연결부재(15)의 전단력이 확실하게 보강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에서는 일측 전단보강체(21)가 단열성 연결부재(15)의 타단부에서 그 하부에 위치한 앵커부재(10) 측으로 대각선방향(좌측에서 우측 하부방향)으로 연결되고, 타측 전단보강체(21)는 타측 단열성 연결부재(15)의 타단부에서 그 상부에 위치한 앵커부재(10) 측으로 대각선방향(좌측에서 우측 상부방향)으로 연결된다.
한편, 종래의 마감재 설치구조는 마감재를 설치하기 위한 마감재용 앵커를 별도로 설치하여야 하고, 마감재용 앵커 측에 브라켓, 수직바 및 수평바 등을 설치한 후에 마감재를 시공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외벽체와 마감재 사이의 간격이 넓어 단열재, 수평바, 수직바, 마감재용 앵커 등과 같은 다양한 자재들이 많이 소비되어 시공비용이 높은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마감재 설치구조는 마감재용 앵커가 스틸 등과 같이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마감재용 앵커를 통해 마감재와 외벽체 사이의 단열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
하지만, 본 발명은 별도의 마감재용 앵커를 사용하지 않고, 건축물의 외벽체(1)를 시공할 때 이용되는 거푸집 간격유지조립체의 콘부재(10) 및 간격유지봉(13)을 앵커부재(10)로서 활용함으로써 별도의 앵커 설치공정이 요구되지 않고, 이를 통해 마감재(5)의 시공작업을 매우 간편하게 진행함과 더불어 그 시공작업을 대폭 단축함으로써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앵커부재(10)와 설치브라켓(17) 사이에 단열성 연결부재(15)가 설치됨에 따라 외벽체(1)와 마감재(5) 사이의 단열성이 대폭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마감재 설치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마감재 설치구조는 단열성 연결부재(15)의 전단력이 수직방향으로 서로 연결되는 복수의 전단보강체(22)에 의해 보강되도록 구성된다.
본 제2실시예의 전단보강체(2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벽체(1)의 수직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전단보강체(22)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제1평탄부(22a) 및 이 제1평탄부(22a)에 대해 직교하는 제2평탄부(22b)를 가짐에 따라 "T"자형 단면으로 이루어진다.
제1평탄부(22a)에는 복수의 관통부(22e)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이를 통해 제1평탄부(22a)의 중량 감소 및 재료 절감을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제2평탄부(22b)는 마감재(5)측에 인접하도록 배치된다.
한편, 제1평탄부(22a)의 상단 및 하단 각각에는 단열성 연결부재(15)가 삽입되는 복수의 원통부(24, 25)가 서로 끼워지도록 교대로 배치된다. 예컨대, 도 4 및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전단보강체(22)의 하단 측에 한 쌍의 제1원통부(24)가 이격되게 형성되고, 전단보강체(22)의 상단 측에는 단일의 제2원통부(25)가 형성되며, 제2원통부(25)의 길이는 제1원통부(24)들 사이의 이격틈새에 대응하고, 이에 상측 전단보강체(22)의 제1원통부(24)들 사이의 이격틈새에 그 하측 전단보강체(22)의 제2원통부(25)가 끼워진다. 각 원통부(24, 25)의 내부에는 단열성 연결부재(15)가 삽입되는 관통공(24a, 25a)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인접한 전단보강체(22)들은 제1원통부(24) 및 제2원통부(25)의 각 관통공(24a, 25a) 측에 단열성 연결부재(15)가 삽입됨에 따라 서로 연결되고, 각 단열성 연결부재(15)는 상하로 인접한 전단보강체(22)들의 제1원통부(24) 및 제2원통부(25) 측에 제1 및 제2 조절너트(23a, 23b)의 나사결합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전단보강체(22)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예컨대, 앵커부재(10), 단열성 연결부재(15), 설치브라켓(17))이 선행하는 실시예와 동일 내지 유사하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마감재 설치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마감재 설치구조는 단열성 연결부재(15)가 관통하는 전단보강체(40)를 구비하고, 단열성 연결부재(15)의 타단부에는 결속부재(50)가 일체로 연결되며, 결속부재(50)측에는 수직바(6)가 결합되고, 수직바(6)는 마감재(5)의 내측에 인접하여 수직방향으로 설치된다.
제3실시예에 따른 전단보강체(40)는 그 일단부에 절곡부(41)가 형성되고, 전단보강체(40)의 타단부는 L형강(42) 측에 체결구(43)를 통해 결합되며, L형강(42)은 외벽체(1)의 외측에 인접하여 수직방향으로 설치된다. 전단보강체(40)의 타단부에는 체결슬롯 또는 체결홀 등이 형성되어 체결구(43)가 체결될 수 있다.
전단보강체(40)의 하측에는 경사면(45)이 형성되고, 이에 전단보강체(40)에 의한 단열성 연결부재(15)의 전단보강력이 보강될 수 있다.
특히, 복수의 전단보강체(40)가 L형강(42) 측에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고, 단열성 연결부재(15)는 L형강(42) 및 각 전단보강체(40)의 절곡부(41)를 관통하도록 구성된다.
결속부재(5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된 한 쌍의 측벽부(52)를 가진 "ㄷ"자형 단면구조로 형성되고, 각 측벽부(52)는 장착슬롯(54)이 형성되며, 이 장착슬롯(54)측에 체결구(53)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결속부재(50)의 측벽부(52) 사이에 수직바(6)가 결합된다. 그리고, 결속부재(50)는 장착슬롯(54)을 통해 수직바(6)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그 위치가 적절히 조절될 수 있고, 이렇게 조절된 후에 결속부재(50)의 측벽부(52)가 수직바(6) 측에 체결구(53)에 의해 결합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바(6)의 측면 내측에는 "T"자형 단면을 가진 체결홈(6a)이 각각 형성되고, 체결구(53)는 헤드부(53a)를 가진 체결볼트로서 체결구(53)의 헤드부(53a)는 체결홈(6a) 내에는 끼워진다. 그리고, 체결구(53)는 체결너트(55)에 의해 장착슬롯(54)측에 체결된다.
수직바(6)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벽체(1)의 수직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고, 수직바(6)의 외측면에는 복수의 설치브라켓(17)이 상하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고정된다. 각 설치브라켓(17)의 단부에는 한 쌍의 고정부(19)가 상하 대칭적으로 돌출하고, 각 고정부(19) 측에 마감재(5)의 상단 또는 하단이 끼워지며, 이에 복수의 마감재(5)는 외벽체(1)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상하 적층된다.
한편, 본 제3실시예에 따르면, L형강(42), 전단보강체(40) 및 결속부재(50)는 스테인레스 등과 같이 열전도율이 낮은 금속 또는 단열성 합성수지 등과 같은 단열성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단열성을 높일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마감재 설치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마감재 설치구조는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 단열성 연결부재(15)가 L형강(42)을 관통하여 체결너트(48)에 의해 결합된다. 특히, 본 제4실시예의 단열성 연결부재(15)는 L형강(42)만을 관통하여 체결되고, 전단보강체(40)를 관통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L형강(42)측에는 전단보강체(40)의 타단부가 결합되며, 전단보강체(40)의 일단부에는 결속부재(50)가 결합되고, 결속부재(50)측에는 수직바(6)가 결합되며, 수직바(6)는 마감재(5)의 내측에 인접하여 수직방향으로 설치된다.
전단보강체(40)의 일단부에는 절곡부(41)가 형성되고, 결속부재(50)의 일측에는 결합부(51)가 형성되며, 결속부재(50)의 결합부(51)는 전단보강체(40)의 절곡부(41) 측에 체결너트(51a)를 통해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 외에 나머지 구성은 선행하는 제3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마감재 설치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마감재 설치구조는 단열성 연결부재(15)의 타단부에 커플러(14)를 매개로 결속부재(50)가 연결되고, 결속부재(50)측에는 수직바(6)가 결합되며, 단열성 연결부재(15)는 경사지지형 전단보강체(31)에 의해 전단력이 보강되도록 구성된다.
본 제5실시예에 따른 전단보강체(31)는 단열성 연결부재(15)가 끼워지는 원통형 끼움부(32) 및 이 원통형 끼움부(32)의 하측에 배치된 경사지지부(33)를 가진다.
원통형 끼움부(32)의 내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이 원통형 끼움부(32)의 관통공 내에 단열성 연결부재(15)가 삽입된다.
경사지지부(33)는 원통형 끼움부(32)의 하부에서 외벽체(1)를 향해 경사진 경사면(35)을 가진 플레이트 구조로 형성되고, 경사지지부(33)의 일측면은 외벽체(1) 측에 접촉되어 지지될 수 있다.
커플러(14)는 그 내부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커플러(14)의 일측 내경면에는 단열성 연결부재(15)의 타단부가 나사결합 등을 통해 결합되며, 커플러(14)의 타측 내경면에는 결속부재(50)의 결합부(51)가 나사결합 등을 통해 결합된다.
이러한 전단보강체(31)에 의해 단열성 연결부재(15)는 휨 내지 처짐 등과 같은 전단력에 대응하여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결속부재(50)의 일측에는 결합부(51)가 형성되고, 이 결합부(51)는 커플러(14)의 타측 내경면에 나사결합 등을 통해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결속부재(50)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된 한 쌍의 측벽부(52)를 가진 "ㄷ"자형 단면구조로 형성되고, 각 측벽부(52)에는 장착슬롯(54)이 형성되며, 이 장착슬롯(54)측에 체결구(53)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결속부재(50)의 측벽부(52) 사이에 수직바(6)가 결합된다. 그리고, 수직바(6)는 장착슬롯(54)을 통해 결속부재(50)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그 위치가 적절히 조절될 수 있고, 이렇게 조절된 후에 수직바(6)는 결속부재(50)의 측벽부(52) 측에 체결구(53)에 의해 결합된다.
수직바(6)의 측면 내측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T"자형 단면을 가진 체결홈(6a)이 각각 형성되고, 체결구(53)는 헤드부(53a)를 가진 체결볼트로서 체결구(53)의 헤드부(53a)는 체결홈(6a) 내에는 끼워진다. 그리고, 체결구(53)는 체결너트(55)에 의해 장착슬롯(54)측에 체결된다.
수직바(6)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벽체(1)의 수직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고, 수직바(6)의 외측면에는 복수의 설치브라켓(17)이 상하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고정된다. 각 설치브라켓(17)의 단부에는 한 쌍의 고정부(19)가 상하 대칭적으로 돌출하고, 각 고정부(19) 측에 마감재(5)의 상단 또는 하단이 끼워지며, 이에 복수의 마감재(5)는 외벽체(1)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상하 적층된다.
한편, 전단보강체(30) 및 결속부재(50)는 스테인레스 등과 같이 열전도율이 낮은 금속 또는 단열성 합성수지 등과 같은 단열성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단열성을 높일 수 있다.
그외 나머지 구성은 선행하는 실시예들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5실시예는 외벽체(1)와 마감재(2) 사이에 마감재(3)가 개재된 외단열 공간벽 구조(external insulation cavity wall system)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1: 외벽체 3: 단열재
5: 마감재 10: 앵커부재
15: 단열성 연결부재
17: 설치브라켓 19: 고정부
21, 22, 31, 40: 전단보강체
42: L형강 50: 결속부재

Claims (13)

  1. 삭제
  2. 건축물의 외벽체 측에 마감재를 설치하기 위한 마감재 설치구조로서,
    건축물의 외벽체가 시공될 때 상기 건축물의 외벽체 측에 일체로 매설된 하나 이상의 앵커부재;
    상기 앵커부재 측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단열성 연결부재; 및
    상기 단열성 연결부재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설치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설치브라켓 측에 마감재가 설치되며,
    상기 앵커부재는 상기 외벽체가 시공될 때 콘크리트의 양생 시에 일체로 매설되는 거푸집 간격유지조립체의 콘부재이고,
    상기 앵커부재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외측에 경사지게 형성된 테이퍼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의 내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재 설치구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단열성 연결부재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봉 구조로 구성되고, 상기 단열성 연결부재는 상기 외벽체와 마감재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길이로 이루어지며,
    상기 단열성 연결부재의 일단부에는 수나사부가 구비되고, 상기 단열성 연결부재의 수나사부가 상기 콘부재의 암나사부 측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단열성 연결부재의 타단부에는 상기 설치브라켓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재 설치구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단열성 연결부재의 외주면에 수평보강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수평보강부재의 내주면에 상기 단열성 연결부재의 외주면이 끼워져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재 설치구조.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단열성 연결부재는 전단보강체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재 설치구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전단보강체는 상하방향으로 인접한 단열성 연결부재 및 앵커부재들의 사이에서 대각선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재 설치구조.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전단보강체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제1평탄부 및 상기 제1평탄부에 대해 직교하는 제2평탄부를 가짐에 따라 "T"자형 단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평탄부의 상단 및 하단 각각에는 상기 단열성 연결부재가 삽입되는 복수의 원통부가 서로 끼워지도록 교대로 배치되고, 각 원통부에는 상기 단열성 연결부재가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재 설치구조.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전단보강체의 일단부에는 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전단보강체의 타단부에는 L형강이 체결구를 통해 결합되며,
    상기 L형강은 외벽체에 인접하여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전단보강체의 하측에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재 설치구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L형강에는 복수의 전단보강체가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단열성 연결부재는 상기 전단보강체 및 상기 L형강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단열성 연결부재는 상기 전단보강체의 절곡부를 관통하고, 상기 단열성 연결부재의 타단부에는 결속부재가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결속부재 측에는 수직바가 결합되며,
    상기 결속부재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된 한 쌍의 측벽부를 가지고, 각 측벽부에는 장착슬롯이 형성되며, 상기 장착슬롯 측에 체결구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결속부재의 측벽부 사이에 수직바가 결합되고, 상기 수직바는 상기 마감재에 인접하여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재 설치구조.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단열성 연결부재는 L형강을 관통하여 체결너트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전단보강체의 일단부에는 결속부재가 결합되며, 상기 결속부재의 일측에는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속부재의 결합부는 체결너트에 의해 상기 전단보강체의 절곡부 측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결속부재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된 한 쌍의 측벽부를 가지고, 각 측벽부에는 장착슬롯이 형성되며, 상기 장착슬롯 측에 체결구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결속부재의 측벽부 사이에 수직바가 결합되고, 상기 수직바는 상기 마감재에 인접하여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재 설치구조.
  11.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전단보강체는 단열성 연결부재가 끼워지는 원통형 끼움부 및 상기 원통형 끼움부의 하측에 배치된 경사지지부를 가지고,
    상기 원통형 끼움부의 내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원통형 끼움부의 관통공 내에 상기 단열성 연결부재가 삽입되고, 상기 경사지지부는 원통형 끼움부의 하부에서 외벽체를 향해 경사진 경사면을 가진 플레이트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재 설치구조.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단열성 연결부재의 타단부에는 커플러를 매개로 결속부재가 연결되고,
    상기 결속부재의 일단부에는 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결속부재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된 한 쌍의 측벽부를 가지고, 각 측벽부에는 장착슬롯이 형성되며, 상기 장착슬롯 측에 체결구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상기 결속부재의 측벽부 사이에 수직바가 결합되며, 상기 수직바는 상기 마감재에 인접하여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커플러의 내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커플러의 일측 내경면에는 상기 단열성 연결부재의 타단부가 결합되며, 상기 커플러의 타측 내경면에는 상기 결속부재의 결합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재 설치구조.
  13. 청구항 9, 10,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바는 외벽체의 수직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고, 상기 수직바의 외측면에는 복수의 설치브라켓이 상하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고정되며, 상기 설치브라켓을 통해 복수의 마감재가 상하 수직방향으로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재 설치구조.
KR1020120065772A 2012-06-19 2012-06-19 마감재 설치구조 KR1013386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5772A KR101338691B1 (ko) 2012-06-19 2012-06-19 마감재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5772A KR101338691B1 (ko) 2012-06-19 2012-06-19 마감재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8691B1 true KR101338691B1 (ko) 2013-12-06

Family

ID=49987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5772A KR101338691B1 (ko) 2012-06-19 2012-06-19 마감재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86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6159B1 (ko) * 2016-08-26 2018-02-06 이형기 외단열 벽체용 브래킷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3515A (ja) * 1998-08-31 2000-03-07 Emoto Kogyo Kk 外装材の支持金物および建物の外壁構造
KR20000064534A (ko) * 1996-03-16 2000-11-06 에른스트 하츠 외장판취부장치
KR20090089733A (ko) * 2008-02-19 2009-08-24 손영숙 석재고정용 앵커볼트
JP2010242500A (ja) * 2010-06-29 2010-10-28 Tsuzuki Co Ltd 建築物の外断熱工法における支持ボルトの補強工法及び補強金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4534A (ko) * 1996-03-16 2000-11-06 에른스트 하츠 외장판취부장치
JP2000073515A (ja) * 1998-08-31 2000-03-07 Emoto Kogyo Kk 外装材の支持金物および建物の外壁構造
KR20090089733A (ko) * 2008-02-19 2009-08-24 손영숙 석재고정용 앵커볼트
JP2010242500A (ja) * 2010-06-29 2010-10-28 Tsuzuki Co Ltd 建築物の外断熱工法における支持ボルトの補強工法及び補強金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6159B1 (ko) * 2016-08-26 2018-02-06 이형기 외단열 벽체용 브래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3809B1 (ko) 트러스거더 고정용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데크플레이트와 트러스거더 간의 결합구조
KR101490808B1 (ko) 거푸집 탈부착형 강-콘크리트 합성부재용 선조립 골조
KR101584008B1 (ko) 성형강판을 이용한 기둥 영구거푸집
KR101402646B1 (ko) 앵커 체결이 가능한 단열형 간격유지봉, 이를 이용한 마감재 설치구조 및 단열재 지지구조
KR101752275B1 (ko) 성형강판을 이용하여 내부에 t형 돌기를 갖는 기둥 영구거푸집
KR101452940B1 (ko) 들뜸방지 탈형 데크 플레이트
US8776468B2 (en) Insulation roof or floor panels with deformation resistant elements for composite insulated concrete roof or floor system and such system
KR101526889B1 (ko) 영구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코핑 시공방법
KR101731493B1 (ko) 단열 내력패널과 이의 제작 및 시공방법
KR101355926B1 (ko) 재사용이 가능한 와플형 슬래브 거푸집 어셈블리
KR101237330B1 (ko) 탈형 데크용 스페이서
CN204001650U (zh) 建筑用悬挑式脚手架
KR101447360B1 (ko) 결합 채널을 이용한 에이엘씨 패널 횡벽 설치방법
KR101338691B1 (ko) 마감재 설치구조
KR101904115B1 (ko) 합성기둥과 보의 접합 시스템
KR101072234B1 (ko) 기둥 내진 성능향상 및 지속적인 체결력 유지용 체결부를 구비하는 복합재료 보강장치
CN211873851U (zh) 一种对拉螺栓组件、施工支护体系及现浇自保温围护墙
CN216587078U (zh) 一种现浇混凝土复合保温系统
KR20180016697A (ko) 패널 고정 장치 및 이를 사용한 패널 고정 방법
ITUB20159339A1 (it) Sistema per la realizzazione di facciate di edifici.
KR101734127B1 (ko)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슬래브 구조체
KR101781492B1 (ko) 조립형강과 데크 플레이트를 활용한 일체화 구조를 갖는 수벽
KR200457827Y1 (ko) 슬래브 거푸집 지지장치
KR101366503B1 (ko) 콘크리트 측압 저항성능이 증진된 현장타설형 중단열 벽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286016B1 (ko) 편심 파형 에프알피 전단연결재를 이용한 현장 중단열벽체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