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7827Y1 - 슬래브 거푸집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슬래브 거푸집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7827Y1
KR200457827Y1 KR2020090010757U KR20090010757U KR200457827Y1 KR 200457827 Y1 KR200457827 Y1 KR 200457827Y1 KR 2020090010757 U KR2020090010757 U KR 2020090010757U KR 20090010757 U KR20090010757 U KR 20090010757U KR 200457827 Y1 KR200457827 Y1 KR 2004578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oke member
yoke
reinforcing member
supporter
slab form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07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1884U (ko
Inventor
김시영
Original Assignee
(주)에이원알폼
김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원알폼, 김시영 filed Critical (주)에이원알폼
Priority to KR20200900107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7827Y1/ko
Publication of KR201100018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188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78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782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04G11/50Girders, beams, or the like as supporting members for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38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for plane ceilings of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서포터(동바리)의 사용을 최소화하면서도 슬래브 거푸집을 안정되고 견고하게 떠받칠 수 있는 거푸집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멍에부재의 처짐을 줄이면서도 서포터의 설치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설치와 해체가 매우 간단하게 이루어지면서도 멍에부재를 보강할 수 있는 슬래브 거푸집 지지장치를 제안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서는 멍에부재(20)의 내부에 볼트머리가 수용되면서 하부로 볼트 몸체가 노출될 수 있는 구조로 멍에부재(20)를 구성하고, 볼트공이 형성된 보강부재(30)를, 서포터(40)가 지지될 위치의 멍에부재 하부에 견고히 결합하여 서포트를 상기 보강부재(30)의 하부 중간위치에 밀착시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슬라브, 멍에, 지지, 보강, 보강부재, 동바리, 서포터, 설치간격, 사각 파이프, 재활용

Description

슬래브 거푸집 지지장치{SUPPORTING SYSTEM FOR REINFORCING BEAM OF SLAB PANNEL}
본 고안은 시멘트 몰탈을 이용해 축조되는 건축물 시공에 있어서 슬래브 성형을 위한 슬래브 거푸집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서포터(동바리)의 사용을 최소화하면서도 슬래브 거푸집을 안정되고 견고하게 떠받칠 수 있는 거푸집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멘트몰탈로 축조되는 건축물의 슬래브 성형은 대개 건축물의 측벽 거푸집(또는 기둥 거푸집)에 지지되는 멍에부재를 설치하고, 이 멍에부재 상부에 유로폼이나 알루미늄폼 등과 같은 슬래브 거푸집을 얹어 설치하고, 이렇게 평면적으로 설치된 슬래브 거푸집 하부에서 여러 개의 서포트로써 상기 멍에부재를 여러 군데 떠받쳐 슬래브거푸집을 지지한다.
이러한 멍에부재는 다소의 슬래브 하중을 견딜 수 있는 단면형상을 갖도록 설계되며, 또한 일정 간격으로 서포터('동바리'라고도 함)로 하부를 떠받쳐 멍에부 재에 처짐이 발생되지 않도록 더욱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거푸집 지지방식은 멍에부재의 처짐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요구되는 서포터의 설치간격이 너무 좁아, 건물 한 층의 슬래브 시공에 필요한 서포터의 수량이 많아질 수밖에 없고, 또한 서포터 설치작업이 많아지다 보니, 작업기간이 길어지고 많은 인력이 요구되는 문제까지 발생된다.
슬래브 거푸집의 지지를 견고히 하기 위해, 종래 많은 기술들이 제시되어 왔는데, 1999.10.08.자로 출원되어 등록된 특허 제300137호(이하 '종래기술1'이라 함)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멍에부재(20)의 보강을 위해 받침목의 좌우에 중공 사각 파이프를 볼트로 결합하여 강성을 증대시킨 것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1은 받침목의 '좌우 양측면'에 보강재(사각 파이프)를 결합시킨 것으로서, 단면 2차 모멘트를 증대시키는 효과가 매우 미흡할 뿐만 아니라, 전(全) 길이에 걸쳐 보강재를 결합함으로 인해 멍에부재 자체중량이 증대되는 요인이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멍에부재의 처짐을 줄이면서도 서포터의 설치를 최소화하기 위한 종래기술로서, 2006.04.28.자로 출원되어 등록된 특허 제763003호(이하 '종래기술2'라 한다)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포터(3)에 의해 지지되는 멍에부재(20)의 하부에 일정 간격으로 수직 지지체(51)를 고정하고, 이 지지체(51)의 하부에 형성된 수평 관통홀을 관통하면서 좌,우로 유동되지 않게 고정되는 횡형봉(52)으로 구성된 보강 지지수단에 의해 멍에부재(20)의 처짐을 방지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2는 서포터(3)의 설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을 얻을 수 있으나, 수직 지지체(51)를 멍에부재(20)의 하부에 고정하는 작업이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이 고정부에 큰 응력집중이 발생되어 크랙 발생의 근원이 되기도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횡형봉(52)을 각 지지체(51)에 견고히 고정하는 작업이 매우 어렵고 반대로 횡형봉의 고정이 느슨할 경우에는 보강지지효과를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고안으로서, 멍에부재의 처짐을 줄이면서도 서포터의 설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슬래브 거푸집 지지장치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고안은 설치와 해체가 매우 간단하게 이루어지면서도 멍에부재를 보강할 수 있는 슬래브 거푸집 지지장치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서는 멍에부재(20)의 내부에 볼트머리가 수용되면서 하부로 볼트 몸체가 노출될 수 있는 구조로 멍에부재(20)를 구성하고, 볼트공이 형성된 보강부재(30)를, 서포터(40)가 지지될 위치의 멍에부재 하부에 견고히 결합하여 서포트를 상기 보강부재(30)의 하부 중간위치에 밀착시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본 고안에서의 보강부재(30)는 건설현장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사각형의 중공파이프를 일정 길이로 절단하고, 멍에부재와의 결합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간격으로 볼트공을 형성하는 것만으로 간단히 제작할 수 있어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점에서 부수적인 특징이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슬래브 거푸집 지지장치는 멍에부재의 처짐을 줄이면서도 서포터의 설치를 최소화할 수 있어 서포터(동바리) 투입 수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어, 시공 자재비용과 인건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지지장치의 시공작업과 해체작업이 단순하여 효용성이 높고,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준으로 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고안의 특징은, 소정 길이를 갖는 보강부재(30)를 멍에부재(20)의 하부에, 상기 멍에부재(20)의 길이방향으로 일체가 되도록 견고하게 결합시키고, 서포터(40)가 상기 보강부재(30)를 떠받치도록 지지함으로써, 서포터(40)의 설치 간격을 최대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특징을 구현하기 위한 첫번째 조건으로서, 멍에부재(20)의 하부면(23a)과 보강부재(30)의 상부면이 견고히 체결되고 쉽게 해체될 수 있는 구성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상기 보강부재(30)가 멍에부재(20)와 일체로 거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는 보강부재의 상부면과 멍에부재의 하부면(23a)이 긴밀하게 결합되어 두 접촉면 사이에 허용전단응력이 최대로 확보될 수 있어야 한다. 이와 동시에 서포터(40)와 보강부재(30)를 해체하기 용이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본 고안에서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멍에부재(20) 및 보강부재(30)를 개시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슬래브 거푸집 지지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사시도면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로서의 멍에부재(20)의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멍에부재(20)의 내부에 볼트 머리가 수용되면서 하부로 볼트 몸체가 노출될 수 있는 구조로 멍에부재(20)를 구성하고, 볼트공이 형성된 보강부재(30)를, 서포터(40)가 지지될 위치의 멍에부재 하부면에 견고히 결합하여 서포트(40)를 상기 보강부재(30)의 하부면에 중간위치에 밀착시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멍에부재(20)는 편평한 상부면을 형성하는 상부플랜지(21)와, 웨브(22), 편평한 하부면을 형성하는 하부플랜지(23)로 구성되는데, 상기 상부플랜지(21)의 상부면(21a) 위에 슬래브 패널이 얹혀지게 된다.
멍에부재(20)와 보강부재(30)를 견고히 체결하는 체결볼트(25)는 그 머리부가 상기 멍에부재(2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상기 멍에부 재(20)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부플랜지(23) 내부에 볼트머리 수용공간(23b)을 길게 형성하고, 상기 하부플랜지(23)의 하부면(23a)에는 멍에부재(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수용공간(23b)과 연통되는 장공(23c)이 슬롯(slot) 형상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체결볼트(25)의 머리부는 상기 수용공간(23b) 내부에 위치하면서, 지지가이드(24)에 걸려 아래로 빠지지 않게 되며, 상기 볼트 몸체부는 이 장공(23c)을 통해 멍에부재의 하부로 돌출되어, 보강부재(30)와 결합이 가능해진다.
만약, 볼트머리가 멍에부재(20)의 상부면으로 돌출된다면 슬래브 거푸집이 멍에부재 상부면에 편평하게 설치될 수 없으므로, 멍에부재로서의 기능을 할 수 없게 되므로 멍에부재의 내부에 볼트머리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것이 특히 중요하다.
또한, 멍에부재(20)의 하부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장공(23c)이 형성됨으로써, 체결볼트(25)의 위치 변경이 자유로워지게 되어 보강부재(30)의 설치위치를 쉽게 조절할 수 있어 시공작업이 매우 편리해진다.
본 고안에 있어서, 특히 보강부재(30)는 건설현장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중공의 사각 파이프를 일정 길이로 절단하여, 멍에부재(20)와의 결합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간격으로 볼트공(31a)(31b)을 형성하여 구성한다.
이와 같이 간단한 구조로 형성되는 본 고안의 보강부재(30)는 기존 건설자재의 재활용이 가능하다는 측면과,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본 고안의 핵심적 특징 중의 하나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에서 멍에부재(20)와 보강부재(30)를 결합시키는 볼트(25)는 보강부재(30)를 관통하게 되어, 상기 보강부재(30)의 하부면에 너트와의 결합부분이 형성되는데, 이 돌출된 너트 결합부가 서포터(40)를 지지하는 데 방해요소가 될 수 있으므로, 상기 서포트(40)의 상단 플랜지(41) 중앙부에 홈부(42)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너트결합부가 상기 홈부(42) 속에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너트 결합부가 없는 위치에 서포트를 받친다면 홈부(42)를 형성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도 5a는 종래의 일반적인 슬래브 거푸집 지지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5b는 본 고안에 의한 슬래브 거푸집 지지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대비하여 도시한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방법에 의한 거푸집 지지장치에서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에 인접한 양 쪽의 두 서포터는 벽체로부터 약 700cm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고, 가운데의 서포터는 약 800~1,200cm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반해, 본 고안에 의한 거푸집 지지장치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로부터 약 1,200cm 정도까지 이격하여 설치가 가능하며, 가운데 서포터들 사이의 간격도 약 1,800~2,000cm까지 이격시킬 수 있다. 참고로, 서포터 설치간격에 관한 상기한 구체적 수치는 구조설계사의 구조계산 결과에 근거한 수치이다.
이와 같이, 서포터의 이격간격을 넓게 유지할 수 있는 이유는 서포터 지지점에서 멍에부재(20)에 일체로 결합된 보강부재(30)에 의해, 서포터의 지지력이 멍에부재(20)의 길이방향으로 전달되어 멍에부재를 보강하는 기능을 하기 때문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변형예가 도 6에 도시된다.
도 6은 본 고안의 목적과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는 멍에부재(20)의 변형 실시예로서 내부에 볼트머리가 수용되면서, 볼트 몸체가 장공(23c)를 통해 하부로 노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의 멍에부재(20)는 건설현장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중공의 사각 파이프를 본 고안에 의한 멍에부재(20)로 재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장점을 갖는다.
즉, 공지의 중공(中空) 사각 파이프 저면에 장공(23c)을 형성하는 것만으로, 본 고안에 의한 거푸집 지지장치로 재활용될 수 있어,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도 6에 의한 실시예에서의 장공(23c)은 어느 한 쪽에 볼트머리가 들어갈 수 있도록 충분한 폭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3의 실시예와는 달리, 도 6에 의한 실시예에서는 멍에부재(20)의 강성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장공(23c)의 길이를 일정 길이 이하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장공(23c)을 멍에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한다면, 멍에부재의 단면 강성이 크게 저하될 수 있기 때문이다.
나아가, 도 7은 본 고안의 보강부재(30)의 변형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보강부재(30)의 중공부 내에서 체결볼트(25)의 몸체와 너트를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상기 보강부재(30)의 측면 또는 하부면에는 체결용 공구(예; 스패너) 삽입공(32)이 형성되어야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의 보강부재(30)는 하부면에 너트 결합부가 형성되지 않아 훨씬 수월하게 서포트를 지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거푸집 지지장치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 수준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므로, 이러한 변형 역시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1에 개시된 보강된 멍에부재에 관한 설명도면
도 2는 종래기술2에 개시된 멍에부재 보강지지수단에 관한 설명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일실시예에 의한 슬래브 거푸집 지지장치의 구성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멍에부재(20)의 단면도
도 5a는 종래의 일반적인 슬래브 거푸집 지지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5b는 본 고안에 의한 슬래브 거푸집 지지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대비하여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멍에부재(20)를 도시한 설명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보강부재(30)를 도시한 설명도
*주요 도면부호에 대한 명칭*
10: 슬래브 거푸집 20: 멍에부재
30: 보강부재 40: 서포터(동바리)

Claims (5)

  1. 삭제
  2. 수직 거푸집에 고정되어, 슬래브 거푸집(10)을 지지하는 멍에부재(20)와, 상기 멍에부재(20)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다수의 서포터(40)를 포함하는 슬라브 거푸집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40)가 지지될 위치의 멍에부재(20) 하부면에 일정 길이를 갖는 보강부재(30)가 체결볼트(25)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멍에부재(20)의 내부에는, 상기 멍에부재(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볼트 머리가 수용되는 수용공간(23b)이 형성되고, 상기 멍에부재(20)의 하부면(23a)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수용공간(23b)과 연통되는 장공(23c)이 슬롯(slot) 형상으로 길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체결볼트(25)의 위치 변경이 자유로워지게 되어 보강부재(30)의 설치위치를 쉽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거푸집 지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30)는 중공의 사각 파이프이며,
    그 상부면과 하부면에는 소정 간격으로 체결볼트가 관통될 수 있는 체결볼트 삽입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거푸집 지지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멍에부재(20)와 상기 보강부재(30)는 중공의 사각 파이프이며,
    상기 보강부재(30)의 상부면에는 상기 체결볼트가 삽입되는 삽입공(31a)이 형성되고,
    상기 보강부재(30)의 하면 또는 측면에는 상기 체결볼트(25)용 너트를 죄거나 풀기 위한 공구삽입공(32)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거푸집 지지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40)는 그 상단 플랜지(41) 중앙부에 홈부(42)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보강부재(30)의 하부면에 돌출된 볼트몸체와 너트가 상기 홈부(42)에 수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거푸집 지지장치.
KR2020090010757U 2009-08-18 2009-08-18 슬래브 거푸집 지지장치 KR2004578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0757U KR200457827Y1 (ko) 2009-08-18 2009-08-18 슬래브 거푸집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0757U KR200457827Y1 (ko) 2009-08-18 2009-08-18 슬래브 거푸집 지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884U KR20110001884U (ko) 2011-02-24
KR200457827Y1 true KR200457827Y1 (ko) 2012-01-11

Family

ID=44207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0757U KR200457827Y1 (ko) 2009-08-18 2009-08-18 슬래브 거푸집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782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7564B1 (ko) * 2013-04-26 2015-06-10 손종락 슬래브 거푸집용 지지장치
KR20210000036U (ko) * 2019-06-28 2021-01-06 주식회사 피엔티 수직벽 지지 장치용 보강 파이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3000B1 (ko) * 2006-05-19 2007-10-05 심상경 슬라브용 거푸집 보강빔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3000B1 (ko) * 2006-05-19 2007-10-05 심상경 슬라브용 거푸집 보강빔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7564B1 (ko) * 2013-04-26 2015-06-10 손종락 슬래브 거푸집용 지지장치
KR20210000036U (ko) * 2019-06-28 2021-01-06 주식회사 피엔티 수직벽 지지 장치용 보강 파이프
KR200493804Y1 (ko) * 2019-06-28 2021-06-08 주식회사 피엔티 수직벽 지지 장치용 보강 파이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884U (ko) 2011-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787796B (zh) 钢结构混凝土楼板施工用悬挂模板支撑系统
KR100991497B1 (ko) 철근콘크리트 기둥과 철골 보의 복합구조물
CN201627362U (zh) 钢结构混凝土楼板施工用悬挂模板支撑装置
CN102359269B (zh) 现浇混凝土梁模板的支撑结构
CN111101701A (zh) 一种地下室外墙单侧支模体系及其施工方法
CN204001650U (zh) 建筑用悬挑式脚手架
KR200457827Y1 (ko) 슬래브 거푸집 지지장치
KR20140139272A (ko) 보 거푸집과 이를 운반 및 지지하는 새들
CN105649329A (zh) 一种大截面框架柱模板加固结构及施工方法
KR101473218B1 (ko) 지하 구조물의 시공방법
CN103334582B (zh) 一种短肢剪力墙模板支撑体系的安装施工方法
KR101407816B1 (ko) 트러스근 일체형 비대칭 에이치형강 합성보를 이용한 구조 시스템
CN202441058U (zh) 房屋建筑拱式支护体
CN208201597U (zh) 混凝土地面钢模板加固装置及钢模板固定结构
CN204781920U (zh) 一种建筑用钢塑模板
CN210316532U (zh) 一种剪力墙模板
KR102204901B1 (ko) 강판 보강 전단벽
JP2014101654A (ja) コンクリートの補強構造及び補強方法
KR200458490Y1 (ko) 콘크리트 측구 시공용 거푸집 프레임
KR100848081B1 (ko) 조립형 갱폼의 지지부 연장 설치 구조
CN202266025U (zh) 现浇混凝土梁模板的支撑结构
KR101338691B1 (ko) 마감재 설치구조
KR20100004374U (ko) 트러스형 합벽 지지대
KR102409032B1 (ko) 별도의 장선재 없는 리브드 슬래브 거푸집 시스템
CN211816354U (zh) 装配式预制板免拆薄板胎膜复合式固定体系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7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4

Year of fee payment: 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