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3804Y1 - 수직벽 지지 장치용 보강 파이프 - Google Patents

수직벽 지지 장치용 보강 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3804Y1
KR200493804Y1 KR2020190002726U KR20190002726U KR200493804Y1 KR 200493804 Y1 KR200493804 Y1 KR 200493804Y1 KR 2020190002726 U KR2020190002726 U KR 2020190002726U KR 20190002726 U KR20190002726 U KR 20190002726U KR 200493804 Y1 KR200493804 Y1 KR 2004938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vertical
insertion hole
lifting frame
vertical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27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0036U (ko
Inventor
한상윤
한성환
한정호
김유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엔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엔티
Priority to KR20201900027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804Y1/ko
Publication of KR2021000003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03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8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80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14Bracing or strutting arrangements for formwalls; Devices for aligning 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의 한 가지 양태에 따라서, 수직벽 지지 장치의 수직 승강 프레임에 결합되어, 콘크리트 타설시 상기 수직 승강 프레임에 가해지는 수평 방향으로의 힘을 지탱하기 위한 금속 재질의 보강 파이프가 제공된다. 상기 보강 파이프는 상기 수직 승강 프레임과 대향하는 대향벽의 좌우 측벽에 형성된 제1 삽입홀 및 상기 대향벽의 반대쪽 벽에 형성된 제2 삽입홀 중 적어도 하나를 갖고, 전체적으로 직육면체의 중공(中空)형의 본체부로서, 상기 제1 삽입홀 또는 제2 삽입홀에는 상기 수직벽 지지 장치에 제공되어, 상기 보강 파이프와 결합되는 경사 지지 유닛의 일단이 체결되는 것인, 상기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제1 결합 부재 및 제2 결합 부재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 결합 부재 각각은 상기 본체부의 좌우 측벽에 고정되는 한 쌍의 결합 요소를 포함하고, 각각의 결합 요소는 상기 본체부의 좌우 측벽에 고정되어 있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과 평행하게 연장하고, 상기 수직 승강 프레임의 대응 측벽에 결합되고,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는 제3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부분의 삽입홀과, 상기 수직 승강 프레임에 형성된 제2 삽입홀을 통해 체결 부재가 관통하여 체결됨으로써, 상기 보강 파이프가 상기 수직 승강 프레임에 대하여 결합되도룩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직벽 지지 장치용 보강 파이프{PIPE FOR REINFORCING SUPPORT DEVICE FOR VERTICAL WALL}
본 고안은 수직벽 지지 장치용 보강 파이프에 관한 것이다.
수직벽 지지 장치가 알려져 있다(예컨대, 등록번호 제10-1439101호 참조).
일반적으로, 건축 또는 토목 공사시 소정의 구조물의 제작을 위해 콘크리트 타설이 필수적이며, 이러한 콘크리트 타설을 위해 옹벽, 합벽 또는 기타의 수직 구조벽에 대해 거푸집을 설치하여야 한다. 타설 구조물의 크기가 큰 경우 수직 설치된 거푸집의 높이도 높아지는데, 높이가 높아짐에 따라 수평 방향의 지지력이 불안정해져서 거푸집의 붕괴와 같은 사고의 위험성이 높아지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안정 구조의 거푸집 지지 장치가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거푸집 지지 장치는 예컨대, 수직 지지 프레임, 경사 지지 프레임 및 이들 수직 지지 프레임과 경사 지지 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는 보조 지지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베이스 프레임 구조체를 형성하되, 수직 지지 프레임의 상부에 수직으로 승강 가능한 높이 조절 프레임을 설치하고 수직 지지 프레임의 수평 방향으로 수평 지지 프레임과 해당 수평 지지 프레임을 지지하도록 수직으로 지면에 대해 또는 경사 프레임에 경사지게 지지 프레임을 연결한 구조를 갖는 것이 통상적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프레임 구조체의 경우, 수직벽의 높이가 높아지면 수직 지지 프레임과 높이 조절 프레임의 지지를 보강하기 위해 수평 지지 프레임을 길게 하거나 여러 개의 프레임 피스를 직렬 연결하고, 해당 프레임 피스를 지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지지하는 한편, 지지된 프레임 피스에 대해 높이 조절 프레임에 연결된 경사 지지 프레임을 지지 연결한다.
이 경우, 개별 수평 지지 프레임의 직렬 연결과 해당 지지 프레임에 대한 경사 지지 프레임의 연결은 각각의 연결을 모두 개별적으로 수행하여야 하므로 설치가 복잡하고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즉, 상기 특허 문헌의 도 1, 도 2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벽의 높이가 증가함에 따라, 수직 승강 프레임의 높이를 증가시키고 이 수직 승강 프레임을 지지하기 위하여, 경사 지지 유닛을 설치한다. 수직 승강 프레임의 높이가 높지 않을 경우, 하나의 경사 지지 유닛을 설치하지만, 수직 승강 프레임의 높이가 증가하게 되면, 그 증가된 높이 만큰 수직 승강 프레임(및 거푸집)을 지지하기 위하여 추가의 경사 지시 유닛을 설치하여, 콘크리트 타설시 그 연장된 수직 승강 프레임에 가해지는 힘을 지탱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공사 현장에서 추가의 경사 지지 유닛을 수직 승강 프레임에 결합하고 또 수평 프레임을 연장하여 그 연장된 수평 프레임에 대하여 연결하는 작업은 복잡하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있어, 이에 대한 개선이 요구된다.
등록번호 제10-1439101호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추가의 경사 지지 프레임 없이 간단한 구성으로, 수직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수직 승강 프레임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는 수직벽 지지 장치용 보강 파이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한 가지 양태에 따라서, 수직벽 지지 장치의 수직 승강 프레임에 결합되어, 콘크리트 타설시 상기 수직 승강 프레임에 가해지는 수평 방향으로의 힘을 지탱하기 위한 금속 재질의 보강 파이프가 제공된다. 상기 보강 파이프는 상기 수직 승강 프레임과 대향하는 대향벽의 좌우 측벽에 형성된 제1 삽입홀 및 상기 대향벽의 반대쪽 벽에 형성된 제2 삽입홀 중 적어도 하나를 갖고, 전체적으로 직육면체의 중공(中空)형의 본체부로서, 상기 제1 삽입홀 또는 제2 삽입홀에는 상기 수직벽 지지 장치에 제공되어, 상기 보강 파이프와 결합되는 경사 지지 유닛의 일단이 체결되는 것인, 상기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제1 결합 부재 및 제2 결합 부재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 결합 부재 각각은 상기 본체부의 좌우 측벽에 고정되는 한 쌍의 결합 요소를 포함하고, 각각의 결합 요소는 상기 본체부의 좌우 측벽에 고정되어 있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과 평행하게 연장하고, 상기 수직 승강 프레임의 대응 측벽에 결합되고,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는 제3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부분의 삽입홀과, 상기 수직 승강 프레임에 형성된 제2 삽입홀을 통해 체결 부재가 관통하여 체결됨으로써, 상기 보강 파이프가 상기 수직 승강 프레임에 대하여 결합되도룩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 가지 실시예에 있어서, 한 쌍의 결합 요소의 제1 부분 사이의 폭과 제3 부분 사이의 폭은 실질상 동일할 수 있다.
한 가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과 제3 부분 사이에는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경사지게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부분이 추가로 마련되고, 상기 제3 부분은 상기 외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제2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1 부분과 평행하게 연장되며, 상기 제1 부분, 제2 부분 및 제3 부분을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 가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 사이의 폭은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제3 부분을 향해 점차 증가할 수 있다.
한 가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에는 하나 이상의 체결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부분이 밀착하여 고정되는 상기 본체부의 좌우 측벽에는 상기 삽입홀에 대응하여 제2 체결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결홀과 제2 체결홀을 관통하여 체결 요소가 통과하여 체결됨으로써, 상기 결합 요소가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고정될 수 있다.
한 가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이 상기 본체부의 좌우 측벽에 대하여 용접 결합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보강 파이프를 리벳과 같은 간단한 체결 수단으로 수직 승강 프레임에 고정 장착하고, 이 보강 파이프에 대하여 경사 지지 프레임을 연결하기만 하면, 수직 승강 프레임이 수직 방향 상측으로 길게 연장되는 경우에도, 그 연장된 길이 만큼의 수직 승강 프레임을 지지하기 위하여, 추가의 경사 지지 프레임을 연결하지 않아도, 연장된 길이의 수직 승강 프레임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추가의 경사 지지 프레임을 수직 승강 프레임에 연결하는 작업, 또 수평 프레임에 추가의 연장 프레임을 연결하고 그 연장 프레임에 대하여 추가의 경사 지지 프레임을 연결하는 작업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추가의 경사 지지 프레임의 연결과 관련된 구성 및 연결 작업을 생략할 수 있어, 시공 시간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강 파이프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보강 파이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보강 파이프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보강 파이프를 거푸집에 대하여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보강 파이프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당업계에 이미 널리 알려진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예컨대, 수직벽 지지 장치를 수직벽, 예컨대 거푸집에 대하여 설치하는 구체적인 구성 및 그 설치 과정, 수직벽 지지 장치의 세부적인 구성 등은 예컨대 상기 특허문헌 등을 통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설명을 생략하더라도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특징적 구성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제1 실시예
도 1 내지 도 4에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강 파이프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은 상기 보강 파이프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보강 파이프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보강 파이프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보강 파이프를 거푸집에 대하여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보강 파이프(100)은 크게, 본체부(110)와, 이 본체부의 상단 및 하단에 고정된 제1 및 제2 결합 부재(120, 130)를 포함한다. 한편, 제1 및 제2 결합 부재는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따라서 이하에서는 제1 결합 부재(120)에 대하여 설명하며, 이 설명은 제2 결합 부재(130)에 대하여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본체부(110)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의 형태로 되어 있으며, 그 내부는 비어 있는, 즉 중공(中空)형의 부재이며, 예컨대 금속 재질로 구성된다. 본체부의 양단은 개방되어 있다.
본체부(110)의 양측벽, 즉 본체부가 수직 승강 프레임(200)(도 4 참조)에 결합될 때, 이 프레임에 대하여 대향하는 대향벽(도면 부호 생략)의 좌우 측벽에는 각각 제1 삽입홀(11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대향벽과 반대쪽의 측벽, 즉 외부로 노출되는 측벽에는 제2 삽입홀(114)이 형성되어 있다. 즉, 본 실시예의 경우, 경사 지지 유닛(400)의 일단에는 본체부(110) 내부로 삽입되는 돌기(도시 생략)가 형성되어 있고, 이 돌기가 상기 제2 삽입홀(114)에 억지끼움식으로 끼워져 본체부 내부로 삽입되어 경사 지지 유닛이 보강 프레임에 대하여 고정 및 지지된다. 한편, 경사 지지 유닛(400)은 다른 방식, 예컨대 상기 특허문헌의 도 1 등에 도시한 방식으로 본체부(11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즉, 경사 지지 유닛의 일단에, 본체부의 상기 좌우 측벽에 밀착하여 결합되고 핀이 통과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연결부가 마련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사 지지 유닛을 본체부(110)에 결합할 때에는, 상기 연결부 사이에 본체부를 끼운 채, 상기 연결부의 관통홀 및 상기 제1 삽입홀(112)을 통해 핀과 같은 체결 수단을 통과시켜, 경사 지지 프레임을 본체부에 연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삽입홀 및 제2 삽입홀은 경사 지지 유닛의 보강 프레임과의 결합 방식에 대응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반드시 제1 삽입홀 및 제2 삽입홀을 형성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며, 제1 삽입홀 및 제2 삽입홀 중 어느 하나만을 형성할 수도 있다.
제1 결합 부재(120)는 한 쌍의 결합 요소로 구성된다. 각각의 결합 요소는 금속 재질로 구성되고, 본체부의 좌우 측벽과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좌우 측벽에 밀착된 채 결합되는 제1 부분(120a)과, 평면으로 보았을 때, 제1 부분(120a)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 부분(120b)과, 상기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 부분으로부터 다시 본체부의 좌우 측벽, 즉 제1 부분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3 부분(120c)으로 구성되며, 이들은 모두 예컨대 금속 재질로 일체로 구성된다. 도면을 통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부분(120a)은 본체부(110)에 대하여 밀착된 채 결합되는 부분이고, 제2 부분(120b) 및 제3 부분(120c)이 수직 승강 프레임(200)에 대하여 밀착된 채 결합되는 부분이다(도 4 참조).
본 실시예에 있어서, 두 결합 요소가 본체부(110)에 대하여 결합되었을 때, 두 결합 요소 사이의 폭은, 제1 부분 사이의 폭이 가장 작고, 제2 부분 사이의 폭은 제3 부분 사이를 향해 점차 증가하며, 제3 부분 사이의 폭은 제2 부분 사이의 가장 큰 폭과 동일하다. 제1 결합 부재(120), 즉 한 쌍의 결합 요소 사이에 수직 승강 프레임(200)이 결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결합 요소의 제2 및 제3 부분 사이에 수직 승강 프레임(200)이 결합되는데, 수직 승강 프레임의 폭, 즉 평면에서 보았을 때, 두 결합 요소 사이의 수직 승강 프레임의 좌우 방향의 폭은 두 결합 요소 사이의 폭과 거의 동일하거나 작을 수가 있다. 수직 승강 프레임의 폭이 두 결합 요소 사이의 폭과 실질상 동일한 경우, 두 결합 요소 사이에 수직 승강 프레임을 끼우기가 곤란하다. 따라서, 제2 부분(120b)과 같이 폭이 점차 넓어지는 부분을 마련하고 또 수직 승강 프레임의 측벽 부분과 밀착하는 제3 부분(120c)을 마련함으로써, 수직 승강 프레임의 폭이 두 결합 요소 사이의 폭과 실질상 동일한 경우에도, 두 결합 요소 사이에 수직 승강 프레임을 끼우는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또 두 결합 요소 사이에 수직 승강 프레임을 밀착시켜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제1 부분(120a)은 본체부의 좌우 측벽에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그 둘레 방향으로 복수 개(본 실시예의 경우, 4개)의 체결홀(124)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관통홀에 대응되는 본체부의 부위에도 역시 체결홀(도면 부호 생략)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부분의 체결홀(124)과 본체부의 체결홀을 정렬시킨 후, 복수 개(본 실시예의 경우, 4개)의 체결 요소(140)(예컨대, 리벳)를 상기 체결홀을 통해 삽입하여 리벳 체결하면, 결합 요소가 본체부의 측벽에 고정된다(도 2 참조). 제3 부분(120c)에도 관통홀(122)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관통홀은 보강 파이프를 수직 승강 프레임(200)에 결합할 때 체결 요소(P1)을 관통시키기 위해 제공된다.
이하, 본 실시예의 보강 파이프(100)의 설치 과정을 설명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지의 방법에 따라 거푸집(M)과 거푸집 지지 부재(MS)를 수직벽에 대하여 설치한다. 이어서, 수직벽 지지 장치를 거푸집에 대하여 고정 설치하는데, 이러한 설치 작업은 공지의 것이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수직벽 지지 장치는 베이스 프레임 유닛(300)과, 수직벽의 높이가 높아짐에 다라 상기 베이스 프레임 유닛으로부터 길이 연장 가능한 수직 승강 프레임(200)과, 수직 승강 프레임(200)을 지지하기 위한 경사 지지 유닛(400)을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종래의 수직벽 지지 장치에서는, 수직벽의 높이가 높아지면, 수직 승강 프레임(200)을 수직 방향으로 추가로 길게 연장하고, 이 길게 연장된 수직 승강 프레임을 지지하기 위하여 추가의 경사 지지 유닛(도시 생략)(상기 특허문헌 참조)을 설치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예컨대, 수직벽을 대략 높이 범위(H) 내에서 설치하여도 되는 공사 현장이라면, 도시한 것과 같이 예컨대 하나의 경사 지지 유닛(400)을 수직 승강 프레임(200)과, 베이스 프레임 유닛(300)의 수평 프레임에 대하여 연결하여, 수직 승강 프레임(200)을 지지하면 된다.
그런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벽의 높이가 높아 수직 승강 프레임(200)을 그 높이에 맞춰 수직 방향 상측으로 길게 연장(예컨대, 도 4의 추가 높이(OH, OverHeight))하여 설치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도시한 경사 지지 유닛(400)외에, 추가의 경사 지지 유닛(도시 생략)을 수직 승강 프레임(200)의 추가 높이 부분(OH)에 연결하여야 하고, 또 베이스 프레임 유닛(300)의 수평 프레임에 대하여 수평의 연장 프레임을 연결하고, 이 연장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추가의 경사 지지 유닛을 연결하는 작업을 수행하여야 한다. 이를 통해 콘크리트 타설시, 추가 높이(OH) 부분에서 거푸집에 대하여 가해지는 수평 방향으로의 힘을 지탱하도록 하고 있다. 만약, 이러한 추가의 경사 지지 유닛을 설치하지 않는 경우, 추가 높이(OH) 부분에서 가해지는 수평 방향으로의 힘을 지탱할 수 없어, 수직 승강 프레임이 휘거나 무너지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추가의 경사 지지 유닛을 설치하는 작업은 복잡하고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이에 반하여, 본 실시예의 보강 프레임(100)을 연장된 수직 승강 프레임(200)에 맞춰 설치하고, 수직 승강 프레임(200)에 형성된 관통홀(210)과 체결 요소의 관통홀(122)을 정렬한 후 체결 요소(예컨대, 핀이나 리벳)(P1, P2)를 삽입하여, 보강 프레임(100)을 수직 승강 프레임(200)에 대하여 고정한다. 이어서, 경사 지지 유닛(400)의 선단에 마련된 돌기를 본체부(110)의 제2 삽입홀(114)에 끼우면, 보강 파이프의 설치 작업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보강 파이프를 수직 승강 프레임에 대하여 설치하면, 추가의 경사 지지 유닛을 설치하지 않아도, 보강 파이프(100)가 추가 높이 부분(OH)의 수직 승강 프레임(200)을 지지할 수가 있게 된다. 즉 추가 높이 부분(OH)에 대하여 보강 프레임(100)의 일부가 제공되어 수직 승강 프레임(200)을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콘크리트 타설시 그 추가 높이 부분에서도 수직 승강 프레임을 지지할 수가 있어, 추가의 경사 지지 유닛을 제공할 필요가 없게게 된다.
2. 제2 실시예
상기 제1 실시예에서는, 결합 요소가 3개의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결합 요소 사이에 끼워지는 수직 승강 프레임의 폭이 결합 요소 사이의 폭과 실질상 동일한 경우, 수직 승강 프레임을 결합 요소 사이에 끼우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폭이 점차 증가하는 제2 부분(120b)을 마련하고 있다. 그러나, 수직 승강 프레임의 폭이 결합 요소 사이의 폭보다 작은 경우에는 이와 같이 제2 부분을 마련하지 않아도, 두 결합 요소 사이에 수직 승강 프레임을 끼워 고정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한 제2 실시예의 보강 파이프(100A)에서는, 이러한 경우를 고려하여, 결합 요소에 있어서, 폭이 점차 증가하는 제2 부분을 생략하고, 본체부에 밀착하여 결합되는 제1 부분과, 수직 승강 프레임의 측벽에 밀착하여 결합되는 제3 부분만으로 구성하고, 제1 부분 사이의 폭과 제3 부분 사이의 폭은 동일하게 구성한다. 기타 다른 구성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본 고안을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제3 부분은 측면에서 보았을 때, 그 평면 형태가 삼각형의 형태로 되어 있지만, 제1 부분과 마찬가지로 사각형의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각 결합 요소를 리벳과 같은 체결 요소를 통해 본체부에 고정하고 있지만, 각 결합 요소의 제1 부분을 본체부에 대하여 용접 등에 의해 고정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실시예는 본 고안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으며, 이들은 모두 본 고안의 범위 내에서속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100, 100A: 보강 파이프
110: 본체부
120: 제1 결합 부재
130: 제2 결합 부재
122: 관통홀
124: 체결홀
140: 체결 요소
120a, 120b, 120c; 제1 부분, 제2 부분, 제3 부분

Claims (6)

  1. 수직 프레임과, 경사 지지 프레임 및 이들 수직 지지 프레임과 경사 지지 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는 보조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는 베이스 프레임 유닛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 유닛의 수직 프레임에 대하여 높이 조절 가능하게 삽입되어 결합되는 직육면체의 중공(中空)형의 수직 승강 프레임과, 상기 수직 승강 프레임을 지지하기 위한 경사 지지 유닛을 포함하며, 거푸집을 지지하기 위한 공지의 수직벽 지지 장치의 상기 수직 승강 프레임과 상기 경사 지지 유닛 사이에 별도의 구성 요소로서 결합되어, 콘크리트 타설시 상기 수직 승강 프레임에 가해지는 수평 방향으로의 힘을 지탱하기 위한 금속 재질의 보강 파이프로서,
    상기 수직 승강 프레임과 대향하는 대향벽의 좌우 측벽에 형성된 제1 삽입홀 및 상기 대향벽의 반대쪽 벽에 형성된 제2 삽입홀 중 적어도 하나를 갖고, 전체적으로 상기 수직 승강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대응하여 연장되는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대향벽이 수직 승강 프레임의 일측벽의 절반 길이 이상에 걸쳐 밀착하여 결합되도록 구성된 직육면체의 중공형의 본체부로서, 상기 제1 삽입홀 또는 제2 삽입홀에 상기 경사 지지 유닛의 연결부가 체결되어 결합되도록 하는 것인, 상기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제1 결합 부재 및 제2 결합 부재
    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 결합 부재 각각은 상기 본체부의 좌우 측벽에 고정되는 한 쌍의 결합 요소를 포함하고,
    각각의 결합 요소는 상기 본체부의 좌우 측벽에 고정되어 있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과 평행하게 상기 대향벽을 넘어 연장하고, 상기 수직 승강 프레임의 대응 측벽에 결합되게 구성되고,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는 제3 부분과, 상기 제1 부분과 제3 부분 사이에서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경사지게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부분은 상기 외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제2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1 부분과 평행하게 연장되며, 상기 제1 부분, 제2 부분 및 제3 부분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3 부분의 삽입홀과, 상기 수직 승강 프레임에 형성된 제2 삽입홀을 통해 체결 부재가 관통하여 체결됨으로써, 상기 보강 파이프가 상기 수직 승강 프레임에 대하여 결합되도룩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파이프.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 사이의 폭은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제3 부분을 향해 점차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파이프.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에는 하나 이상의 체결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부분이 밀착하여 고정되는 상기 본체부의 좌우 측벽에는 상기 삽입홀에 대응하여 제2 체결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결홀과 제2 체결홀을 관통하여 체결 요소가 통과하여 체결됨으로써, 상기 결합 요소가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파이프.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이 상기 본체부의 좌우 측벽에 대하여 용접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파이프.
KR2020190002726U 2019-06-28 2019-06-28 수직벽 지지 장치용 보강 파이프 KR2004938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2726U KR200493804Y1 (ko) 2019-06-28 2019-06-28 수직벽 지지 장치용 보강 파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2726U KR200493804Y1 (ko) 2019-06-28 2019-06-28 수직벽 지지 장치용 보강 파이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036U KR20210000036U (ko) 2021-01-06
KR200493804Y1 true KR200493804Y1 (ko) 2021-06-08

Family

ID=74130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2726U KR200493804Y1 (ko) 2019-06-28 2019-06-28 수직벽 지지 장치용 보강 파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80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0248B1 (ko) * 2022-04-15 2024-05-28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동바리 간격 조절용 추가 멍에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6144B1 (ko) * 2007-01-03 2007-12-17 박상목 건축물의 슬래브 성형을 위한 거푸집 받침장치에 적합한보강받침대
KR200457827Y1 (ko) * 2009-08-18 2012-01-11 (주)에이원알폼 슬래브 거푸집 지지장치
KR101439101B1 (ko) * 2013-09-26 2014-09-12 주식회사 빌드윈 수직벽용 지지 장치
KR101507936B1 (ko) * 2013-11-03 2015-04-08 주식회사 블루폼 지게차 이송용 거푸집 지그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7062A (ja) * 1983-04-14 1984-02-13 鈴木工業株式会社 コンクリ−ト型枠の多段積工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6144B1 (ko) * 2007-01-03 2007-12-17 박상목 건축물의 슬래브 성형을 위한 거푸집 받침장치에 적합한보강받침대
KR200457827Y1 (ko) * 2009-08-18 2012-01-11 (주)에이원알폼 슬래브 거푸집 지지장치
KR101439101B1 (ko) * 2013-09-26 2014-09-12 주식회사 빌드윈 수직벽용 지지 장치
KR101507936B1 (ko) * 2013-11-03 2015-04-08 주식회사 블루폼 지게차 이송용 거푸집 지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036U (ko) 2021-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94464B2 (en) Assemblable and disassemblable container
KR102401463B1 (ko) 절곡강판을 이용한 비탈형 보 거푸집
JP6358584B2 (ja) 分解可能な自己組立構造
CN111236638A (zh) 组装型梁模具
KR102174773B1 (ko) 횡좌굴 방지 클립부재를 구비한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파형 플레이트의 합성데크 및 그 제작방법
KR200493804Y1 (ko) 수직벽 지지 장치용 보강 파이프
JP3939742B1 (ja) パレット
KR101618703B1 (ko) 건축용 바닥슬래브 거푸집패널
KR101520853B1 (ko) 다웰바 어셈블리
KR102296581B1 (ko) 나선형 띠철근 시공용 고정지그
KR101516296B1 (ko) 블록 턴오버 지그
KR200478138Y1 (ko) 블록 턴오버 보조 장치
JP2018145715A (ja) 足場用梁枠および仮設足場の開口部構造
JP5451550B2 (ja) 柱脚金物
KR20190042121A (ko) 스토퍼를 이용한 슬라브패널 하강장치
KR101680773B1 (ko) 조립식 팔레트
US10422153B2 (en) Joint mechanism for an iron-made tent
KR101501693B1 (ko) 거푸집 패널 지지장치
KR20220055831A (ko) 무해체 거푸집과 호리빔 결합구조
KR102211478B1 (ko) 무해체 보 거푸집
KR101794100B1 (ko) 건식 공법으로 제조되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용 스페이서
KR102575921B1 (ko) 건축물의 골조 형성용 결합구조체
KR20150117347A (ko) 선박 블록 받침용 지그 조립체
KR102619660B1 (ko) 다점 접합 구속근을 갖는 보 거푸집
KR102270444B1 (ko) 측면 및 하부강판을 고정철물과 연결강봉을 이용하여 일체화시키는 강판 거푸집 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