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0853B1 - 다웰바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다웰바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0853B1
KR101520853B1 KR1020140184804A KR20140184804A KR101520853B1 KR 101520853 B1 KR101520853 B1 KR 101520853B1 KR 1020140184804 A KR1020140184804 A KR 1020140184804A KR 20140184804 A KR20140184804 A KR 20140184804A KR 101520853 B1 KR101520853 B1 KR 1015208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wel bar
fastening
bar
dowel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4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승환
Original Assignee
로고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고스(주) filed Critical 로고스(주)
Priority to KR1020140184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08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0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08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02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Methods of making joints; Packing for joints
    • E01C11/04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Methods of making joints; Packing for joints for cement concrete paving
    • E01C11/14Dowel assembly ; Design or construction of reinforcements in the area of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 E04B1/6801Filling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에 사용되는 다웰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웰바와, 다웰바의 양 단부에 결합되는 제1 체결캡과 제2 체결캡을 포함한 체결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제2 체결캡의 하부에 개방부를 구비하여 다웰바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게 하며, 제1 체결캡에 받침부가 구비되어 다웰바의 일측을 지지함에 따라 다웰바가 제1 체결캡을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다웰바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웰바 어셈블리{DOWEL-BAR ASSEMBLY}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에 사용되는 다웰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웰바와, 다웰바의 양 단부에 결합되는 제1 체결캡과 제2 체결캡을 포함한 체결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제2 체결캡의 하부에 개방부를 구비하여 다웰바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게 하며, 제1 체결캡에 받침부가 구비되어 다웰바의 일측을 지지함에 따라 다웰바가 제1 체결캡을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다웰바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 등의 구조물이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타설전 철근 조립시 부착하는 다웰바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다웰바에 관한 종래기술들이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다.
먼저 공개실용신안 제실1999-0041195호 『콘크리트 슬래브용 신축줄눈재의 다웰바 지지장치』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지지부재의 수용홈에 상 하 끼워 맞춤식으로 결합되어 지지부재의 높이보다 높게 설치된 다웰바를 수평으로 받쳐 지지하는 보조지지부재를 구성하여 다웰바가 설치된 위치가 받침부재에 안착된 지지부재보다 높을 경우 지지부재의 상부에 선택적으로 적층되어 다웰바를 수평으로 지지할 수 있는 콘크리트 슬래브용 신축줄눈재의 다웰바 지지장치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콘크리트를 타설하기에 앞서, 상기 다웰바가 흔들리거나 움직여 원하는 기능을 수행하지 못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로 공개특허 제10-2012-0069986호 『콘크리트 포장용 다웰바 어셈블리』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포장체를 횡단하는 가로 줄눈의 절단면을 직교하여 가로 줄눈 양측 포장체에 매입되는 다수의 다웰바와, 가로 줄눈의 절단면 상에서 다웰바와 십자연결구를 통하여 직각으로 연결되는 평행바와, 평행바와 T자연결구를 통하여 수직으로 연결되는 수직바와, 수직바 하단에 T자연결구를 통하여 다웰바와 평행한 방향으로 연결되는 하단바로 구성된 콘크리트 포장용 다웰바 어셈블리를 제시하고 있다.
나아가 종래기술로 등록특허 제10-1132742호 『조립형 다웰바 어셈블리』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틈새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설치되는 금속재질의 봉형태를 가지는 다웰바와, 상기 다웰바를 지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10~30cm 이격되는 높이에 수평으로 고정되도록 하는 다웰바지지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립형 다웰바 어셈블리를 제시하고 있다.
나아가 종래기술로 공개특허 제10-2013-0033008호 『다웰바 어셈블리』가 있는데,
다웰바를 지지하는 다웰바 지지체에 다웰바가 안착 고정될 수 있는 요홈부를 형성하여 다웰바의 용접 고정 작업을 더욱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다웰바 지지체를 이루는 상부 및 하부 크로스바와 체어바의 용접 개소를 감소시킴으로써, 제작 공정이 단순화되고 용접 불량률 또한 감소시킬 수 있으며, 체어바를 일직선 바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체어바의 재료 소요량 또한 절감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전체적인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어 설치 및 운반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그 배치 구조상 체어바의 용접 부위의 강도가 상대적으로 강화되어 변형이 방지되고 더욱 안정적인 구조를 이룰 수 있는 다웰바 어셈블리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들은 다웰바를 체결함에 있어서, 다웰바가 쉽게 위치이동이 가능하게 구비됨에 따라 콘크리트 타설 또는 외부 충격에 의하여 흔들려 시공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다웰바 어셈블리에 있어서, 다웰바의 양측에 결합되는 제1 체결캡과 제2 체결캡으로 이루어지는 체결수단과, 상기 체결수단의 하부에 구비되는 지지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체결수단과 다웰바 및 상기 체결수단과 지지수단의 결합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다웰바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체결캡에는 다웰바의 일측 단부를 지지하는 받침부를 구비하여 다웰바의 단부가 제1 체결캡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제2 체결캡에는 개방부를 구비하여 다웰바의 신속한 결합 및 분리를 가능하게 하는 다웰바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체결수단의 제1 체결캡과 제2 체결캡에는 제1 및 제2 지지결합부를 구비하여 다웰바가 체결된 체결수단이 편리하게 지지수단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다웰바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웰바 어셈블리는
다웰바;
상기 다웰바의 일측이 결합되는 제1 체결부를 포함하는 제1 체결캡과, 상기 다웰바의 타측이 결합되는 제2 체결부를 포함하는 제2 체결캡으로 이루어지는 체결수단;
상기 체결수단의 하부에 결합되는 지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 체결부는 다웰바가 내삽되는 내삽부와, 상기 다웰바의 일측 단부를 지지하는 받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체결부는 다웰바가 관통되는 관통부와, 관통부 하부에 구비되는 개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제1 체결캡과, 제2 체결캡에는 상기 지지수단과 결합하는 제1 및 제2지지결합부를 각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웰바 어셈블리는 다웰바와 지지수단을 결합하는 체결수단을 다웰바의 양 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제1 체결캡과 제2 체결캡으로 구성하여 결합이 용이하고, 지지수단과의 체결 또한 편리하게 구성됨에 따라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제1 체결캡은 다웰바의 이탈을 방지하는 받침부가 구비되고, 제2 체결캡은 다웰바의 신속한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개방부를 구비하여 다웰바가 제1 체결캡의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작업의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다웰바를 상기 지지수단에 보다 신속하고 편리하게 결합될 수 있는 제1 및 제2 지지결합부를 통하여 견고하게 고정됨과 동시에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기 체결수단에 결합된 다웰바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수단을 더 구비하여 흔들림 없이 견고하게 정위치 고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웰바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웰바 어셈블리의 실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체결수단의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웰바 어셈블리의 변형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웰바 어셈블리(A)는 다웰바(10)와, 상기 다웰바(10)와 결합되는 체결수단(20) 및 상기 체결수단(20)과 결합되는 지지수단(3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일반적으로 다웰바(10)는 '다우??바'라고도 하며,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부등 침하 시 수직 응력을 증대시키고, 수축팽창 변위(수평변위) 시에 일정 방향으로 균일하게 변화한 후 복원될 수 있도록 하는 제품으로, 일반 이형철근에 비하여 탄소 함량이 높아 강서이 우수하여 최근 시행되고 있는 공사에서는 90% 이상이 미각 처리된 라운드 바 형태의 다웰바(10)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다우레바는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의 수축 및 신축 줄눈 부위에 균열 유도와 신축 및 수축 작용시 포장면에 발생하는 유해한 요소를 제거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다시 본 발명에 따른 다웰바 어셈블리(A)는 복수개가 일정거리 이격되어 서로 평행을 이루어 구비되는 다웰바(10)와, 상기 각각의 다웰바(10)의 양측에 구비되어 다웰바(10)의 단부에 결합되는 체결수단(20) 및 상기 체결수단(20)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다웰바(10)와 수직을 이루어 인접하는 복수개의 체결수단(20)을 서로 연결하는 지지수단(3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다웰바(10)를 설명하기에 앞서, 상기 다웰바(10)와 결합하는 지지수단(30)에 대하여 먼저 설명하면, 상기 지지수단(30)은 상부체어바(31)와 하부체어바(33)가 각각 한쌍으로 서로 평행한 상태를 이루어 구비되게 되고, 서로 이격되어 평행한 상태로 이루어지는 상부체어바(31)를 후술하는 다웰바(10)가 서로 연결하게 된다.
다시 상기 지지수단(30)은 상부체어바(31)와 하부체어바(33)가 한쌍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상부체어바(31)와 하부체어바(33)를 잇는 크로스바(35)가 구비되게 된다.
즉, 상기 크로스바(35)는 상부체어바(31)와 하부체어바(33) 사이에서 크로스바(35)의 양단부가 각각 결합되는 구조로서, 이러한 체어바와 크로스바(35)는 용접 방식을 이용하여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크로스바(35)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체어바(31)와 하부체어바(33)를 수직으로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고, 이러한 경우에는 용접부위가 두군데로 이루어지며, 이와 달리 크로스바(35) 두 개 또는 꺾인 크로스바(35)가 구비되어 측면이 삼각형을 이루어 상부체어바(31)에는 하나의 용접부위가 하부체어바(33)에는 두 개의 용접부위가 형성되어 구비됨에 따라 힘을 분배 시키고,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다시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수단(30), 특히 상부체어바(31)에는 체결수단(20)이 구비되고, 이러한 체결수단(20)에 다웰바(10)가 결합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체결수단(20)은 다웰바(10)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이격되는 상부체어바(31) 두 곳에 각각 구비되는 제1 체결캡(21)과 제2 체결캡(23)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먼저 제1 체결캡(21)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1 체결캡(21)에는 다웰바(10)가 결합되는 제1 체결부(211)와, 상기 제1 체결부(211)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상부체어바(31)와 결합되는 제1 지지결합부(213)가 구비되게 된다. 이 때 상기 제1 체결부(211)는 원통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원통형의 다웰바(10)가 내삽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제1 체결부(211)의 하부에는 한쌍의 제1 지지결합부(213)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지지결합부(213)와 제1 체결부(211) 사이에는 제1 보강대(215)가 형성되어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상기 한 쌍의 제1 지지결합부(213)는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반원통형의 형상으로 구비되어 내부에 상기 상부체어바(31)를 손쉽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상부체어바(31)와 다웰바(10)는 서로 직교되는 방향으로 형성됨에 따라 제1 지지결합부(213)도 이에 대응되게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체결부에는 다웰바(10)가 삽입되는 내삽부(211A)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내삽부(211A)의 단부, 즉 다웰바(10)의 일측 단부가 접하는 부분에는 받침부(211B)가 형성되어 다웰바(10)의 일측 단부를 지지하게 된다. 이로써 다웰바(10)는 상기 제1 체결캡(21)을 관통하여 돌출되지 못하고,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상기 다웰바(10)의 타측단부에는 제2 체결캡(23)이 구비되어 있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2 체결캡(23)의 하부에는 상기 제1 체결캡(21)과 마찬가지로 상기 상부체어바(31)에 결합될 수 있는 제2 지지결합부(23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지지결합부(213)와 동일한 형상으로 구비되며, 제2 보강대(235) 또한 형성되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나아가 상기 제2 체결부(231)에는 상기 다웰바(10)의 타측 단부가 관통될 수 있는 관통공(231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공(231A)의 하부에는 개방부(231B)가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다웰바(10)를 삽입하는 경우, 상기 관통공(231A)을 통해 관통시켜 제1 체결캡(21)에 결합시키는 것도 가능하나, 일측을 제1 체결캡(21)에 결합시킨 후 밑에서 개방부(231B)를 통해 제2 체결캡(23)에 다웰바(10)를 결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한쪽의 상부체어바(31)에는 상기 제1 체결캡(21)과 제2 체결캡(23)이 서로 교차되어 구비됨에 따라 일정한 다웰바 어셈블리(A)에 있어서 균일한 모양으로 견고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다웰바 어셈블리(A)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웰바(10)와 체결수단(20)의 고정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고정수단(40)이 더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고정수단(40)은 상기 제2 체결부(231)에 구비되는 결합공(41)과, 상기 관통공(231A)을 침범하도록 상기 결합공(41)에 힌지결합되는 고정부재(43) 및 상기 고정부재(43)의 외면을 가압하는 가압부재(45)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체결캡에 결합된 다웰바(10)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체결수단(20) 특히 제2 체결캡(23)의 상부에는 결합공(41)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결합공(41)에는 고정부재(43)가 힌지결합되어 구비되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43)에는 후술하는 고정홈(47)에 결합되기 위하여 관통공(231A)방향으로 절곡된 걸림부(43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부재(43)가 상기 관통공(231A)을 침범 또는 제2 체결캡(23)의 외부로 돌출 될 수 있도록 구비되게 된다.
다시 상기 걸림부(431)는 다웰바(10)의 일측에 구비되는 고정홈(47)에 결합되게 되는데, 다웰바(10)를 결합하는 경우, 상기 걸림부(431)가 고정홈(47)에 결합되어 다웰바(10)가 제2 체결캡(23)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결합 완료된 고정부재(43)가 외부 충격에 의해 고정홈(47)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2 체결캡(23)에는 가압부재(45)가 구비되게 되고, 상기 가압부재(45)는 반원통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제2 체결캡(23)의 외면에 결합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체결캡(23)에 가압부재(45)가 결합됨에 따라 가압부재(45)가 상기 고정부재(43)의 상면을 가압하여 고정홈(47)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견고하게 다웰바(10)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가압부재(45)의 일측에는 걸림홈(453)이 구비되고, 상기 걸림홈(453)에 상응하는 걸림돌기(451)가 상기 제2 체결캡(23)에 구비됨에 따라 상기 가압부재(45)가 상기 제2 체결캡(23)의 상부에 정위치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나아가 위치 조정등을 이유로 다웰바(10)를 분리하는 경우에는 상기 가압부재(45)를 제거하고, 고정부재(43)를 외부로 돌출시켜 고정홈(47)으로부터 이탈시켜야 하는데, 고정부재(43)가 관통공(231A)을 침범하여 구비됨에 따라 돌출시키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발생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홈(47)에는 다웰바(10)의 길이방향으로는 단턱(471)이 형성되어 있고,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방향, 즉 상기 단턱(471)의 양측방향으로는 경사부(473)이 형성되게 된다.
다시 말해 고정홈(47)에 고정부재(43)가 결합되는 경우, 상기 단턱(471)에 의하여 다웰바(10)는 길이방향으로 후진되지 않음에 따라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으나, 다웰바(10)를 이탈시키는 경우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웰바(10)를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고정부재(43)가 단턱(471) 측면의 경사부(473)을 따라 자연스럽게 고정홈(47)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고, 회전 완료된 다웰바(10)는 손쉽게 체결수단(20)으로부터 이탈 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여 상기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다웰바 어셈블리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 : 다웰바 어셈블리 10 : 다웰바
20 : 체결수단 21 : 제1 체결캡
211 : 제1 체결부 211A : 내삽부
211B : 받침부 213 : 제1 지지결합부
215 : 제1 보강대 23 : 제2 체결캡
231 : 제2 체결부 231A : 관통공
231B : 개방부 233 : 제2 지지결합부
235 : 제2 보강대 30 : 지지수단
31 : 상부체어바 33 : 하부체어바
35 : 크로스바 40 : 고정수단
41 : 결합공 43 : 고정부재
431 : 걸림부 45 : 가압부재
451 : 걸림돌기 453 : 걸림홈
47 : 고정홈 471 : 단턱
473 : 경사부

Claims (4)

  1. 다웰바(10);
    상기 다웰바(10)의 일측이 결합되는 제1 체결부(211)를 포함하는 제1 체결캡(21)과, 상기 다웰바(10)의 타측이 결합되는 제2 체결부(231)를 포함하는 제2 체결캡(23)으로 이루어지는 체결수단(20);
    상기 체결수단(20)의 하부에 결합되는 지지수단(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 체결부(211)는 다웰바(10)가 내삽되는 내삽부(211A)와, 상기 다웰바(10)의 일측 단부를 지지하는 받침부(211B)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체결부(231)는 다웰바(10)가 관통되는 관통공(231A)과, 상기 관통공(231A) 하부에 구비되는 개방부(231B)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체결수단(20)에는 고정수단(40)이 더 구비되고,
    상기 고정수단(40)은 상기 제2 체결부(231)에 구비되는 결합공(41)과, 상기 관통공(231A)을 침범하도록 상기 결합공(41)에 힌지결합되는 고정부재(43) 및 상기 고정부재(43)의 외면을 가압하는 가압부재(4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웰바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캡(21)과, 제2 체결캡(23)에는 상기 지지수단(30)과 결합하는 제1 및 제2지지결합부(213)(233)를 각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웰바 어셈블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웰바(10)에는 상기 고정부재(43)가 결합되는 고정홈(47)이 구비되되,
    상기 고정홈(47)은 다웰바(10)의 길이방향으로 단턱(471)이 구비되고, 단턱(471)의 양측 방향으로 경사부(47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웰바 어셈블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45)의 일측에는 걸림홈(453)이 구비되고, 상기 걸림홈(453)에 상응하는 걸림돌기(451)가 상기 제2 체결캡(23)에 구비되어, 상기 가압부재(45)가 상기 제2 체결캡(23)에 정위치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웰바 어셈블리.
KR1020140184804A 2014-12-19 2014-12-19 다웰바 어셈블리 KR1015208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4804A KR101520853B1 (ko) 2014-12-19 2014-12-19 다웰바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4804A KR101520853B1 (ko) 2014-12-19 2014-12-19 다웰바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0853B1 true KR101520853B1 (ko) 2015-05-18

Family

ID=53394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4804A KR101520853B1 (ko) 2014-12-19 2014-12-19 다웰바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085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3306Y1 (ko) * 2016-12-01 2017-04-26 이태석 다웰바 어셈블리
KR101739344B1 (ko) * 2016-08-01 2017-05-25 크로바 주식회사 다웰바 어셈블리
EP3536855A1 (en) * 2018-03-09 2019-09-11 Illinois Tool Works, Inc. Concrete slab load transfer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11203840B2 (en) 2019-06-25 2021-12-21 Illinois Tool Work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wo-lift concrete flatwork placem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92960A (en) * 1998-10-27 2000-07-25 Mccallion; James P. Concrete joint restraint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92960A (en) * 1998-10-27 2000-07-25 Mccallion; James P. Concrete joint restraint system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9344B1 (ko) * 2016-08-01 2017-05-25 크로바 주식회사 다웰바 어셈블리
KR200483306Y1 (ko) * 2016-12-01 2017-04-26 이태석 다웰바 어셈블리
EP3536855A1 (en) * 2018-03-09 2019-09-11 Illinois Tool Works, Inc. Concrete slab load transfer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10837144B2 (en) 2018-03-09 2020-11-17 Illinois Tool Works Inc. Concrete slab load transfer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11434612B2 (en) 2018-03-09 2022-09-06 Illinois Tool Works Inc. Concrete slab load transfer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11203840B2 (en) 2019-06-25 2021-12-21 Illinois Tool Work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wo-lift concrete flatwork place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0238B1 (ko) 피씨벽체를 이용한 구조물 시공구조
KR101520853B1 (ko) 다웰바 어셈블리
KR101758493B1 (ko) 프리캐스트 영구거푸집 및 그 시공방법
KR101702459B1 (ko) 건축용 패널 고정구 및 이를 이용한 건축용 패널 조립체 시공방법
KR101762155B1 (ko) 탈착트러스를 갖는 트윈월 및 그 제작방법
CN110337519A (zh) 永久性混凝土模壳及使用这种模壳制造金属混凝土复合结构的方法
KR101540649B1 (ko) 원터치 고정형 격자철선을 이용한 철근 일체형 합성구조
KR101648664B1 (ko) 기둥 거푸집 고정지지대
KR101125472B1 (ko) 판넬결합용 클램프 및 이를 이용한 판넬의 결합방법
KR102166208B1 (ko) 멍에클램프
KR101722084B1 (ko) 입체 격자 철근조립체의 제작방법
KR101696070B1 (ko) 데크플레이트용 스페이서
KR101438030B1 (ko) 지지보강틀을 이용한 강합성보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
KR20170050143A (ko) 포밍관을 이용한 조립식 거푸집
KR101098878B1 (ko) 강관파일용 밴드 압착식 두부보강장치
KR200461500Y1 (ko) 방수턱 거푸집
KR200357642Y1 (ko) 인코너판넬 보강구조
KR101381660B1 (ko) 거푸집용 간격 유지구
KR100885662B1 (ko) 중간 지지대의 최소화가 가능한 콘크리트 구조물
KR20110006970U (ko) 목판과 스틸판으로 이루어진 거푸집
KR200412766Y1 (ko) 거푸집판 체결부재
KR20090077325A (ko) 보강대를 이용한 유로폼 패널의 벽체 설치공법 및 그보강대
RU127788U1 (ru) Опалубка
KR101319065B1 (ko) 조립식 그레이팅의 제조방법
KR101300928B1 (ko) 거푸집 시공용 간격유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