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1478B1 - 무해체 보 거푸집 - Google Patents

무해체 보 거푸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1478B1
KR102211478B1 KR1020200021118A KR20200021118A KR102211478B1 KR 102211478 B1 KR102211478 B1 KR 102211478B1 KR 1020200021118 A KR1020200021118 A KR 1020200021118A KR 20200021118 A KR20200021118 A KR 20200021118A KR 102211478 B1 KR102211478 B1 KR 1022114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b
recessed space
ribs
bent
stirr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1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우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콘
Priority to KR1020200021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14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14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14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9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 E04C3/29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the materials being steel and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가 타설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함몰공간을 포함하는 무해체 보 거푸집은 상기 함몰공간의 하단에 배치되며, 하면부와, 상기 하면부의 양 단부로부터 절곡 형성되어 제 1 방향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함몰공간의 하단을 지지하는 한 쌍의 리브를 포함하는 하부 유닛, 상기 함몰 공간의 양 하부 모서리에 배치되되 상기 하부 유닛의 양측에 연결 배치되고, 상기 하부 유닛의 하면부와 이어지는 하면부, 상기 하면부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되는 측면부와, 상기 하면부 및 상기 측면부로부터 각각 절곡 형성되어 상기 함몰 공간을 향하도록 상기 제 1 방향, 제 3 방향 또는 제 4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함몰공간의 측단과 하단을 지지하는 한 쌍의 리브를 포함하는 한 쌍의 제 1 측부 유닛, 및 상기 함몰 공간의 좌우측에 배치되되 상기 제 1 측부 유닛에 연결 배치되고, 측면부와, 상기 측면부의 양 단부로부터 절곡 형성되어 상기 함몰 공간을 향하도록 상기 제 3 방향 또는 상기 제 4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리브를 포함하는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제 2 측부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무해체 보 거푸집{PERMANENT BEAM FORMWORK}
본 발명은 무해체 보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작업자의 공사 안전을 개선하고 시공 속도를 개선하고 인력 투입 비용을 절감하며 건축 폐자재 발생량을 감소시키고, 강성이 높은 재료를 거푸집에 사용하여 동바리를 제거하거나 감소시켜 작업공간을 더 확보할 수 있으며, 별도의 장소에서 제작가능하여 건축공간에서의 소음과 진동을 감소시키는 무해체 보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슬라브 거푸집 또는 보 거푸집과 같은 거푸집은 유동성을 가지고 있는 콘크리트를 소정의 형태 및 치수로 만들기 위하여 설치하는 구조물이다. 통상적으로 거푸집은 콘크리트가 어느 정도 양생 될 때까지의 짧은 기간 동안에 설치되었다가 콘크리트의 양생이 진행된 이후에는 제거해 버리는 가설재로서 이용되는 경우가 많다.
이 때 종래 탈형(해체식) 거푸집의 설치와 해체 작업은 전체 콘크리트 공사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 중 매우 큰 부분을 차지하는 번거로운 공정이다. 특히, 해체식 거푸집의 해체 작업은 작업자의 위해 요소로 작용하여 안전상의 문제가 존재하며, 슬래브 거푸집과 보 거푸집을 해체하고 상층으로 운반하는 재 설치 과정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종래의 해체식 거푸집의 경우 부재의 해체 및 운반까지도 인력에 의존하므로 중량의 강재 거푸집을 사용하게 되면 시공 속도가 늦어지고 인력 수급 상황에 민감해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경량이고 취급이 용이한 목재와 같은 재료의 사용이 선호되는 경향이 있다. 다만, 이러한 목재 해체식 거푸집은 콘크리트공사 후 건축 폐자재를 다량으로 발생시키며 거푸집 공사 시 소음과 진동을 발생시킨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35619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해체작업이 필요하지 않아서 특히 작업자의 공사 안전을 개선하고 시공 속도를 개선하고 인력 투입 비용을 절감하며 건축 폐자재 발생량을 감소시키고, 강성이 높은 재료를 거푸집에 사용하여 동바리를 제거하거나 감소시켜 작업공간을 더 확보할 수 있으며, 별도의 장소에서 제작가능하여 건축공간에서의 소음과 진동을 감소시키는 무해체 보 거푸집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무해체 보 거푸집은, 콘크리트가 타설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함몰공간을 포함하는 무해체 보 거푸집으로, 상기 함몰공간의 하단에 배치되며, 하면부와, 상기 하면부의 양 단부로부터 절곡 형성되어 제 1 방향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함몰공간의 하단을 지지하는 한 쌍의 리브를 포함하는 하부 유닛과, 상기 함몰 공간의 양 하부 모서리에 배치되되 상기 하부 유닛의 양측에 연결 배치되고, 상기 하부 유닛의 하면부와 이어지는 하면부, 상기 하면부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되는 측면부와, 상기 하면부 및 상기 측면부로부터 각각 절곡 형성되어 상기 함몰 공간을 향하도록 상기 제 1 방향, 제 3 방향 또는 제 4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함몰공간의 측단과 하단을 지지하는 한 쌍의 리브를 포함하는 한 쌍의 제 1 측부 유닛 및 상기 함몰 공간의 좌우측에 배치되되 상기 제 1 측부 유닛에 연결 배치되고, 측면부와, 상기 측면부의 양 단부로부터 절곡 형성되어 상기 함몰 공간을 향하도록 상기 제 3 방향 또는 상기 제 4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리브를 포함하는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제 2 측부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면 대 면으로 접촉되는 2개의 리브들 중 일측 리브의 끝단이 상기 제 4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고, 타측 리브의 끝단은 중앙에 형성되는 홈을 포함하는 "U"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일측 리브의 끝단이 상기 타측 리브의 홈에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측 리브의 끝단 중 절곡된 일부 영역이 함몰 공간 내 스터럽의 하부 길이 방향으로 배치됨으로써 상기 리브들의 끝단이 상기 스터럽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일측 리브의 끝단의 절곡 영역을 감싸도록 상기 타측 리브의 끝단이 적어도 1회 더 절곡되어 상기 함몰 공간의 반대 방향인 상기 제 2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측 리브의 단부에 상기 제 1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며, 그 내측 단부에 상기 함몰 공간에 배근되는 스터럽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 홈이 포함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타측 리브의 끝단의 일부가 상기 삽입 홈에 삽입된 상기 스터럽의 하부와 대면 되도록 배치됨으로써 상기 스터럽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면 대 면으로 접촉되는 2개의 리브들 중 일측 리브의 끝단이 상기 함몰 공간을 향하도록 상기 제 1 방향, 상기 제 3 방향 또는 상기 제 4 방향으로 연장되고, 타측 리브의 끝단은 중앙에 형성되는 홈을 포함하는 "U"형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일측 리브의 끝단이 상기 타측 리브의 홈에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면 대 면으로 접촉되는 2개의 리브들 중 일측 리브의 끝단이 "U"자 형상으로 접히도록 절곡 형성되고, 타측 리브의 끝단은 중앙에 형성되는 홈을 포함하는 "U"형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일측 리브의 끝단의 접힌 부분이 상기 타측 리브의 홈에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일측 리브의 끝단과 상기 타측 리브의 끝단이 겹쳐 형성된 결속 영역의 일부가 상기 제 3 방향 또는 상기 제 4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절곡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측 리브의 끝단이 상기 “U”자 형상의 중앙에 홈을 포함하고, 상기 타측 리브의 끝단은 상기 타측 리브의 끝단이 상기 일측 리브의 홈에 삽입되도록 절곡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함몰 공간 내측에 스터럽이 용접 결합되고, 상기 스터럽은 하부 유닛, 제 1 측부 유닛 및 제 2 측부 유닛의 리브들의 끝단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무해체 보 거푸집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해체 작업이 필요하지 않아서 작업자의 공사 안전을 도모하고 시공 속도를 개선하고 인력 투입 비용을 절감하며 건축 폐자재 발생량을 감소시킬 수 있어 친환경적이다.
둘째, 강성이 높은 재료를 거푸집에 사용하여 동바리를 없애거나 줄여 작업공간을 더 확보할 수 있다.
셋째, 별도의 장소에서 제작가능하여 건축공간에서의 소음과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무해체 보 거푸집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무해체 보 거푸집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무해체 보 거푸집의 리브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무해체 보 거푸집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무해체 보 거푸집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무해체 보 거푸집의 리브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무해체 보 거푸집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무해체 보 거푸집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 예에 따른 무해체 보 거푸집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 예에 따른 무해체 보 거푸집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 예에 따른 무해체 보 거푸집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9 실시 예에 따른 무해체 보 거푸집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 예에 따른 무해체 보 거푸집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9 실시 예에 따른 무해체 보 거푸집의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시된 구성은 상세한 설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일 뿐 이로 인해 권리 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을 명시한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무해체 보 거푸집의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무해체 보 거푸집(10)은 하부 유닛(120), 제 1 측부 유닛(140) 및 제 2 측부 유닛(160)을 포함할 수 있다. 무해체 보 거푸집의 내부에는 콘크리트 타설이 가능한 함몰 공간(300)이 형성된다.
하부 유닛(120)은 함몰 공간(300)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하부 유닛(120)은 하면부(123)와, 하면부의 양 단부로부터 절곡 형성되어 제 1 방향으로 연장되어 함몰 공간(300)의 하단을 지지하는 한 쌍의 리브(121, 1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방향은 도면 기준으로 상방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 1 방향”의 용어는 도면 기준으로 상방, “제 2 방향”의 용어는 도면 기준으로 하방이면서 “제 1 방향”의 반대 방향, “제 3 방향”의 용어는 도면 기준으로 좌측 방향, “제 4 방향”은 도면 기준으로 우측 방향이면서 “제 3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정의된다.
하부 유닛(120) 복수 개는 연속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하부 유닛(120)의 개수에 따라 타설될 콘크리트 보의 수평 폭이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무해체 보 거푸집(10)을 사용할 경우 하부 유닛의 종류를 최소한으로 하여 다양한 수평 폭을 갖는 콘크리트 보들을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함몰 공간(300)의 좌우측 양 하부 모서리에 각각 하나씩 한 쌍의 제 1 측부 유닛(140)이 배치될 수 있다. 제 1 측부 유닛(140)은 하부 유닛(120)과 연결 배치됨과 동시에 상세히 후술될 제 2 측부 유닛(160)과 연결 배치되고, 하부 유닛(120) 및 제 2 측부 유닛(160)의 사이에 위치한다.
제 1 측부 유닛(140)은 하면부(144), 측면부(143) 및 한 쌍의 리브(141, 142)를 가질 수 있다. 하면부(144)는 하부 유닛의 하면부(123)와 이어진다. 측면부(143)는 함몰 공간(300)의 양 하부 모서리를 따라 하면부(144)로부터 절곡 형성되며 제 2 측부 유닛의 측면부(163)와 이어진다.
한 쌍의 리브들(141, 142)은 하면부(144) 및 측면부(143)로부터 각각 절곡 형성되어 함몰 공간(300)을 향하는 방향인 제 1 방향, 제 3 방향 또는 제 4 방향으로 연장되어 함몰 공간(300)의 측단과 하단을 지지할 수 있다. 이 때 제 1 방향은 도면 기준으로 한 쌍의 리브들(141, 142) 중 일측 리브(141)는 하부 유닛의 일측 리브(121, 122)와 면 대 면으로 1차 결속될 수 있다. 타측 리브(142)는 상기 제 2 측부 유닛의 일측 리브(162)와 면 대 면으로 1차 결속될 수 있다.
제 2 측부 유닛(160)은 하부 유닛의 좌우측에 한 쌍 이상이 배치될 수 있다. 제 2 측부 유닛(160)들 중 최하단 좌우측에 배치된 한 쌍은 제 1 측부 유닛에 연결 배치된다. 제 2 측부 유닛(160)은 측면부(163) 및 측면부의 양 단부로부터 절곡 형성되어 함몰 공간(300)을 향하는 방향인 제 3 방향 또는 제 4 방향으로 수평 확장되는 한 쌍의 리브(161, 16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측부 유닛(160) 복수 개는 연속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 2 측부 유닛의 개수에 따라 타설될 콘크리트 보의 수직 두께가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무해체 보 거푸집(10)을 사용할 경우 제 2 측부 유닛의 종류를 최소한으로 하여 다양한 수직 두께를 갖는 콘크리트 보들을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복수 개의 제 2 측부 유닛들은 면 대 면으로 접촉되는 리브들 간의 1차 결속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의 제 2 측부 유닛(160)의 하부 리브(162)와 하부의 제 2 측부 유닛(160)의 상부 리브(161)가 면 대 면으로 1차 결속됨으로써 두 개의 제 2 측부 유닛들(160)이 연속적으로 결합된다. 제 2 측부 유닛들(160)은 무해체 보 거푸집(10)의 좌 또는 우 양측에서 연속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무해체 보 거푸집(10)의 외형은 서로 연속되는 하부 유닛(120), 제 1 측부 유닛(140) 및 제 2 측부 유닛(160)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하부 유닛(120), 제 1 측부 유닛(140) 및 제 2 측부 유닛(160)의 각 한 쌍의 리브가 서로 면 대 면으로 접촉되고, 상기 접촉되는 리브들의 끝단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스터럽(200)의 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스터럽(200)은 콘크리트 타설 시 측압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리브들의 끝단에 스터럽(200)의 측면이 용접 고정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무해체 보 거푸집의 리브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면 대 면으로 접촉되는 리브들 중 적어도 한 쌍의 리브를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벳 결속홀(18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1차 결속은 리벳 결속홀(181)을 통해 리벳(182) 결속되는 방식일 수 있다. 상기 리벳 결속되는 한 쌍의 리브는 하부 유닛의 리브(121, 122) 및 제 1 측부 유닛의 리브(141), 제 2 측부 유닛의 리브(162) 및 제 1 측부 유닛의 리브(142) 또는 상하로 배치된 제 1 측부 유닛들의 리브(161, 162)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무해체 보 거푸집의 측면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무해체 보 거푸집의 면 대 면으로 접촉되는 2개의 리브들 중 일측 리브의 끝단은 제 4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타측 리브의 끝단은 중앙에 형성되는 홈을 포함하는 “U”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타측 리브의 끝단은 적어도 3회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 리브의 끝단은 상기 타측 리브의 홈에 삽입되어 수용됨으로써 리브들 간 결속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타측 리브의 끝단 중 절곡된 일부 영역이 함몰 공간(300) 내 스터럽(200)의 하부 길이 방향으로 배치됨으로써 상기 리브들의 끝단이 상기 스터럽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 유닛의 일측 리브(122)의 끝단이 제 4 방향으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제 1 측부 유닛의 일측 리브(141)의 끝단은 하부 유닛의 일측 리브(122)의 끝단의 절곡 부분을 “U”형으로 감싸도록 제 4 방향, 제 1 방향, 제 3 방향 순으로 총 3회 절곡될 수 있다. 제 1 측부 유닛의 리브(141)의 “U”형상 홈에 하부 유닛의 일측 리브(122)의 끝단이 삽입되어 수용됨으로써 접촉되는 리브들(122, 141) 간에 2차 결속이 이뤄진다.
상기 타측 리브의 끝단 중 절곡된 일부 영역을 함몰 공간(300) 내 스터럽(200)의 하부 길이 방향으로 배치시킬 경우 리브들이 스터럽(200)을 지지하는 면적을 추가로 확보할 수 있고, 충분한 용접 길이가 확보됨으로써 리브들에 스터럽(200)이 견고하게 고정되고 콘크리트 타설 시에 용접살이 떨어져 거푸집이 변형될 위험이 저감된다.
복수 개의 모듈화된 유닛들을 연결하여 보 거푸집을 형성할 경우, 유닛들 간 결속이 반영구적으로 지속될 정도로 충분히 강하지 않다면 건설 현장에 발생하는 진동 또는 외력에 의해 유닛들 간 결속력이 약화되고 심지어는 유닛들 간 이격이 발생하거나 일부 유닛이 보 거푸집으로부터 탈출할 수 있다. 일부 유닛의 이격 또는 탈출 현상 때문에 보 거푸집의 기능이 약화 및 상실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보 거푸집이 내장된 구조물의 내구성 및 안전성에도 영향이 미칠 수 있다.
상기 문제점들을 보완하기 위해서 유닛과 유닛 사이를 용접 결합하여 결속시키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유닛 간 용접 결합은 시간이 오래 걸리고 작업의 간소화가 어려우며 숙련된 기술을 가진 인력이 요구되므로 보 거푸집의 경제성을 떨어뜨릴 염려가 있다. 또는 유닛과 유닛이 겹치는 부분이 고정되도록 리브를 절곡하여 삽입 홈 및 삽입 돌기를 형성하는 방법도 있으나 홈에 돌기가 결합되는 방식만으로는 유닛 간 결속이 지속적으로 유지되기에 무리가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무해체 보 거푸집은 간단한 시공으로 제작 가능한 유닛 간 2차 결속 구조를 포함함으로써 유닛 간 결속을 반영구적으로 지속시킬 수 있고 무해체 보 거푸집의 내구성 및 무해체 보 거푸집을 사용한 구조물의 내구성 및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일측 리브가 제 4 방향 대신 제 3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제 1 측부 유닛의 끝단(141)이 제 3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고 하부 유닛(122)의 끝단이 일측 리브의 끝단(141)을 감싸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무해체 보 거푸집의 측면도이다.
제 3 실시예의 경우, 무해체 보 거푸집(10)의 다른 구성요소는 제 2 실시예와 동일하게 형성되나 면 대 면으로 접촉되는 2개의 리브들의 2차 결속 형태가 다르다.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일측 리브의 끝단의 절곡 영역을 감싸도록 상기 타측 리브의 끝단이 적어도 1회 더 절곡되어 함몰 공간(300)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측부 유닛의 일측 리브(141)의 끝단이 3회 절곡되어 형성된 “U”자 홈이 형성되고, 하부 유닛의 일측 리브(122)의 끝단이 제 4 방향으로 절곡됨으로써 제 1 측부 유닛 일측 리브(141)의 “U”자 홈에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다. 그 다음 제 1 측부 유닛의 일측 리브(141)의 끝단이 제 2 방향으로 1회 더 절곡됨으로써 하부 유닛의 일측 리브(122)의 끝단의 절곡 형성된 면을 감싸면서 연장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무해체 보 거푸집의 리브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면 대 면으로 접촉되는 한 쌍의 리브의 2차 결속된 면들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벳 결속홀이 형성되고, 상기 리벳 결속홀을 통해 리벳 결속됨으로써 3차 결속이 이뤄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측부 유닛의 끝단(141)이 일측 리브의 끝단(122)을 감싸면서 면 대 면으로 접촉되는 리브들 간에 2차 결속이 이뤄진 후, 리벳 결속홀(185)을 통해 리벳(186) 결속이 이뤄진다.
도 6에 도시된 2차 결속 구조 이외에도 리벳 결속이 이뤄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4 실시예 또는 후술될 제 6 실시예 내지 제 9 실시 예에 도시된 리브들의 2차 결속 구조를 관통하여 리벳 결속이 이뤄질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무해체 보 거푸집의 측면도이다.
제 5 실시예의 경우, 다른 구성요소는 제 3 실시예와 동일하게 형성되나 면 대 면으로 접촉되는 2개의 리브들의 2차 결속 형태가 다르다.
도 7을 참고하면, 면 대 면으로 접촉되는 2개의 리브들 중 일측 리브(122)의 끝단은 함몰 공간(300)을 향하는 방향인 제 1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타측 리브(141)의 끝단은 중앙에 형성되는 홈을 포함하는 “U”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일측 리브의 끝단이 상기 타측 리브의 홈에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다. 이 경우, 타측 리브(141)의 끝단은 제 3 방향, 제 2 방향 순으로 적어도 2회 절곡되어 “U”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무해체 보 거푸집의 측면도이다.
제 6 실시예의 경우, 다른 구성요소는 제 3 실시예와 동일하게 형성되나 면 대 면으로 접촉되는 2개의 리브들의 2차 결속 형태가 다르다.
도 8을 참고하면, 면 대 면으로 접촉되는 2개의 리브들 중 적어도 하나의 일측 리브(122)의 끝단이 적어도 2회 절곡 형성된다. 이 경우 2회 절곡된 일측 리브의 끝단은 “U”자 형상으로 접혀 함몰 공간(300)의 반대 방향인 제 2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타측 리브(141)의 끝단은 적어도 2회 절곡되어 중앙에 형성되는 홈을 포함하는 “U”형으로 형성되고 마찬가지로 함몰 공간(300)의 반대 방향인 제 2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측 리브(122)의 끝단의 접힌 부분이 타측 리브(141)의 홈에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 및 제 6 실시 예에 따른 무해체 보 거푸집의 2차 결속 구조에 의한 효과에 대해서는 제 2 실시예의 2차 결속 구조의 효과에 대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무해체 보 거푸집의 측면도이다.
제 7 실시예의 경우, 다른 구성요소는 제 6 실시예와 동일하게 형성되나 면 대 면으로 접촉되는 2개의 리브들의 2차 결속 후 상기 2차 결속된 리브들의 일부 영역이 절곡 형성된다는 점이 다르다.
도 9를 참고하면, 일측 리브(122)의 끝단과 타측 리브(141)의 끝단이 겹쳐 형성된 2차 결속 영역의 일부가 제 4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절곡 형성될 수 있다. 돌출 반경, 돌출 형태 또는 돌출 방향은 필요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것과 달리 돌출 영역이 갖는 형상은 둥근 반구의 일부에 대응하는 형상일 수 있다. 다른 변형예로서 상기 2차 결속 영역의 일부가 제 3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2차 결속 영역의 일부가 절곡됨으로써 일측 리브와 상기 타측 리브 간 결속력이 강화될 수 있다. 콘크리트 타설 시 일정 방향의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돌출 영역이 결속된 리브가 순간적으로 결속 구조에서 탈출함으로써 보 거푸집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무해체 보 거푸집(10) 전체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무해체 보 거푸집의 측면도이다.
제 8 실시예의 경우, 다른 구성요소는 제 6 실시예와 동일하게 형성되나 면 대 면으로 접촉되는 2개의 리브들의 2차 결속 형태가 다르다.
도 10을 참고하면, 면 대 면으로 접촉되는 2개의 리브들 중 적어도 하나의 일측 리브(122)의 끝단이 적어도 2회 절곡 형성되어 “U”자 형상으로 접힌다. 일측 리브(122)의 끝단은 상기 “U”자 형상의 중앙에 홈을 포함한다. 타측 리브(141)의 끝단은 적어도 2회 절곡되어 중앙에 형성되는 홈을 포함하는 “U”형으로 형성되고, 일측 리브(122)의 끝단의 접힌 부분이 타측 리브(141)의 홈에 삽입되어 수용된다. 이 경우, 타측 리브(141)의 끝단은 일측 리브(122)의 끝단과 겹쳐지는 부분으로부터 더 연장되는 부분을 가질 수 있다. 더 연장된 타측 리브(141)의 끝단은 적어도 2회 더 절곡되어 타측 리브(141)의 끝단이 일측 리브(122)의 홈에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다.
무해체 보 거푸집(10)이 상방으로 힘을 받을 때 일측 리브(122)의 홈에 삽입된 타측 리브(141)의 끝단이 제 1 측부 유닛(140)이 상방으로 탈출하는 현상을 방지해주고, 무해체 보 거푸집(10)이 하방으로 힘을 받을 때 타측 리브(141)의 홈에 삽입된 일측 리브(122)의 끝단이 하부 유닛(120)이 하방으로 탈출하는 현상을 방지해준다. 따라서, 타측 리브의 끝단을 한 번 일측 리브의 함몰된 영역에 삽입함으로써 2차 결속에 의한 리브들의 결속력이 더 향상된다. 특히, 제 8 실시예의 2차 결속 구조는 좌우 진동뿐만 아니라 산업 현장에서 자주 발생 가능한 상하 진동에도 2차 결속을 유지할 수 있어 무해체 보 거푸집(10)의 전체 내구성 향상에 기여한다.
제 5 실시예 내지 제 8 실시 예에 있어서, 면 대 면으로 접촉되는 2개의 리브들 간 결속구조는 예시된 하부 유닛의 리브와 제 1 측부 유닛의 리브 간 결속 구조 이외에도 하부 유닛들의 리브 간 결속 구조, 제 1 측부 유닛의 리브와 제 2 측부 유닛의 리브 간 결속 구조, 제 2 측부 유닛의 리브 간 결속 구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무해체 보 거푸집의 측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무해체 보 거푸집의 부분 확대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무해체 보 거푸집의 부분 사시도, 그리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 9 실시 예에 따른 무해체 보 거푸집의 평면도이다.
제 9 실시예의 경우 다른 구성요소는 제 2 실시예와 동일하게 형성되나 면 대 면으로 접촉되는 2개의 리브들 중 하나의 리브가 연장부 및 삽입 홈을 더 포함한다는 점이 다르다.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면 대 면으로 접촉되는 2개의 리브들에 있어서, 일측 리브(142)의 끝단이 삽입된 타측 리브(162)의 끝단이 제 3 방향으로 확장 형성됨으로써 타측 리브의 단부에 연장부(165)가 형성된다. 연장부(165)의 내측 단부에는 거푸집의 내부에 배근되는 스터럽이 삽입 후 용접 고정되는 삽입 홈(166)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 홈(166)의 형상은 도 11에 도시된 것 만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스터럽(200)이 삽입 홈에 삽입된 후 스터럽 주변에 충분한 용접 길이가 확보되도록 변형될 수 있다.
일측 리브를 감싸면서 스터럽의 길이 방향인 제 1 방향 또는 제 2 방향으로 확장되고, 스터럽과 대면되는 타측 리브의 외측면은 스터럽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스터럽을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측부 유닛의 하부 리브(162)의 끝단이 제 1 측부 유닛의 일측 리브(142)의 절곡된 끝단을 감싸면서 하부 리브(162)의 외측면이 삽입 홈(165)에 삽입된 스터럽(200)의 하부와 대면 되도록 제 2 방향으로 연장 배치된다. 이 경우 상기 하부 리브(162)의 외측면의 일부가 스터럽(200)의 하부를 지지한다. 지지되는 스터럽(200)의 하부는 상기 외측면에 용접 결합될 수 있다.
리브의 외측면이 스터럽을 지지함으로써 용접면적을 상대적으로 더 넓게 확보할 수 있어 스터럽이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고 무해체 보 거푸집의 전체 강성이 증가될 수 있다.
제 9 실시 예에 있어서, 연장부 및 삽입 홈은 예시된 제 2 측부 유닛의 리브 이외에 하부 유닛의 리브 또는 제 1 측부 유닛의 리브에도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무해체 보 거푸집 120: 하부 유닛
121: 하부 유닛의 리브 122: 하부 유닛의 리브
123: 하부 유닛의 하면부 140: 제 1 측부 유닛
141: 제 1 측부 유닛의 리브 142: 제 1 측부 유닛의 리브
143: 제 1 측부 유닛의 측면부 144: 제 1 측부 유닛의 하면부
160: 제 2 측부 유닛 161: 제 2 측부 유닛의 리브
162: 제 2 측부 유닛의 리브 163: 제 2 측부 유닛의 측면부
165: 연장부 166: 삽입 홈
200: 스터럽 300: 함몰 공간

Claims (11)

  1. 콘크리트가 타설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함몰공간을 포함하는 무해체 보 거푸집으로,
    상기 함몰공간의 하단에 배치되며, 하면부와, 상기 하면부의 양 단부로부터 절곡 형성되어 제 1 방향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함몰공간의 하단을 지지하는 한 쌍의 리브를 포함하는 하부 유닛;
    상기 함몰공간의 양 하부 모서리에 배치되되 상기 하부 유닛의 양측에 연결 배치되고, 상기 하부 유닛의 하면부와 이어지는 하면부, 상기 하면부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되는 측면부와, 상기 하면부 및 상기 측면부로부터 각각 절곡 형성되어 상기 함몰공간을 향하도록 상기 제 1 방향, 제 3 방향 또는 제 4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함몰공간의 측단과 하단을 지지하는 한 쌍의 리브를 포함하는 한 쌍의 제 1 측부 유닛; 및
    상기 함몰공간의 좌우측에 배치되되 상기 제 1 측부 유닛에 연결 배치되고, 측면부와, 상기 측면부의 양 단부로부터 절곡 형성되어 상기 함몰공간을 향하도록 상기 제 3 방향 또는 상기 제 4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리브를 포함하는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제 2 측부 유닛;
    을 포함하며,
    면 대 면으로 접촉되는 2개의 리브들 중 일측 리브의 끝단이 상기 제 4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고, 타측 리브의 끝단은 중앙에 형성되는 홈을 포함하는 "U" 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일측 리브의 끝단이 상기 타측 리브의 홈에 삽입되며,
    상기 타측 리브의 단부에 상기 제 1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고, 그 내측 단부에 상기 함몰공간에 배근되는 스터럽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 홈이 포함되며,
    상기 삽입 홈은,
    상기 스터럽이 삽입되는 입구가 상기 스터럽의 직경보다 넓은 폭으로 이루어져 상기 함몰공간의 내측에 연속 배치되는 상기 삽입 홈의 오차 범위 보정이 가능하고, 상기 삽입 홈의 내측 끝단까지 상기 스터럽이 삽입되어 상기 스터럽이 상기 삽입 홈에서 3점 용접이 가능한 무해체 보 거푸집.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측 리브의 끝단 중 절곡된 일부 영역이 함몰공간 내 스터럽의 하부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리브들의 끝단이 상기 스터럽의 하부를 지지하는 무해체 보 거푸집.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측 리브의 끝단의 일부가 상기 삽입 홈에 삽입된 상기 스터럽의 하부와 대면 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스터럽의 하부를 지지하는 무해체 보 거푸집.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공간 내측에 스터럽이 용접 결합되고,
    상기 스터럽은 하부 유닛, 제 1 측부 유닛 및 제 2 측부 유닛의 리브들의 끝단에 의해 지지되는 무해체 보 거푸집.
KR1020200021118A 2020-02-20 2020-02-20 무해체 보 거푸집 KR1022114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1118A KR102211478B1 (ko) 2020-02-20 2020-02-20 무해체 보 거푸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1118A KR102211478B1 (ko) 2020-02-20 2020-02-20 무해체 보 거푸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1478B1 true KR102211478B1 (ko) 2021-02-05

Family

ID=74558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1118A KR102211478B1 (ko) 2020-02-20 2020-02-20 무해체 보 거푸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14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4294B1 (ko) * 2024-01-05 2024-04-04 주식회사 반석티브이에스 대칭형 보강리브가 구비된 무용접 유닛 강판 거푸집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5946A (ko) * 2002-12-23 2004-06-30 명화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데크플레이트 연결부
KR20050035619A (ko) 2003-10-14 2005-04-19 장진헌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을 위한 분리해체식 거푸집
KR102007464B1 (ko) * 2018-11-29 2019-08-06 주식회사 정인에스앤씨 조립형 보 거푸집
KR102034141B1 (ko) * 2019-03-29 2019-10-18 임환빈 보 거푸집 및 보 거푸집 시공방법
KR102054364B1 (ko) * 2019-07-31 2019-12-10 주식회사 제이씨엔아이 측판 분할형 선조립 경량 거푸집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5946A (ko) * 2002-12-23 2004-06-30 명화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데크플레이트 연결부
KR20050035619A (ko) 2003-10-14 2005-04-19 장진헌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을 위한 분리해체식 거푸집
KR102007464B1 (ko) * 2018-11-29 2019-08-06 주식회사 정인에스앤씨 조립형 보 거푸집
KR102034141B1 (ko) * 2019-03-29 2019-10-18 임환빈 보 거푸집 및 보 거푸집 시공방법
KR102054364B1 (ko) * 2019-07-31 2019-12-10 주식회사 제이씨엔아이 측판 분할형 선조립 경량 거푸집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4294B1 (ko) * 2024-01-05 2024-04-04 주식회사 반석티브이에스 대칭형 보강리브가 구비된 무용접 유닛 강판 거푸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1603B1 (ko) 거푸집 선조립형 보 구조물
KR101777979B1 (ko) 비탈형 보 거푸집
KR101683641B1 (ko) 거푸집 선조립형 기둥 구조물
KR101642420B1 (ko) 단부 보강형 철골구조물
KR101683670B1 (ko) 거푸집 선조립형 보 구조물
KR102401463B1 (ko) 절곡강판을 이용한 비탈형 보 거푸집
JP2006257634A (ja) 波形鋼板ウエブ桁
KR20170132559A (ko) 콘크리트 타설용 파이프 매립형 충전기둥
KR102211478B1 (ko) 무해체 보 거푸집
KR102104382B1 (ko) 철골 보, 합성 기둥, 및 이들의 접합 구조
KR101483362B1 (ko) 외부 돌출 결합부가 형성된 성형강판을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
KR102115986B1 (ko) 거푸집 패널 및 이를 구비하는 선조립 기둥 구조물
KR100197759B1 (ko) 건축물의 콘크리트기둥과 철골보 연결용 접합구조물
KR101482979B1 (ko) 내부 전단 연결부가 형성된 덮개를 구비한 강콘크리트 합성보 및 이를 이용한 구조 시스템
KR101846501B1 (ko) 철근래티스 콘크리트 스틸합성 박스형 기둥 구조체
JP7070890B2 (ja) 仕口部構造
JP7011490B2 (ja) 柱梁接合部の補強構造
KR20180001212A (ko) 강성구조를 갖는 조립식 영구거푸집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칼럼용 영구거푸집의 시공 방법
JP6909000B2 (ja) 重機支持機構
KR101591808B1 (ko) 합성pc보, 이와 합성pc기둥과의 연결구조
EP1416101A1 (en) Composite beam
KR101548215B1 (ko) 보춤이 높은 합성pc보, 이와 합성pc기둥과의 연결구조
KR20170131922A (ko) 강 합성보용 강재 프레임
KR101870436B1 (ko) 보관 및 운반 효율성을 향상시킨 알폼용 거푸집의 조립식 패널 및 그 조립식 패널을 이용한 알폼용 거푸집 조립방법
JP7034580B2 (ja) 型枠装置及びコンクリート構造体の構築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