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4294B1 - 대칭형 보강리브가 구비된 무용접 유닛 강판 거푸집 - Google Patents

대칭형 보강리브가 구비된 무용접 유닛 강판 거푸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4294B1
KR102654294B1 KR1020240002331A KR20240002331A KR102654294B1 KR 102654294 B1 KR102654294 B1 KR 102654294B1 KR 1020240002331 A KR1020240002331 A KR 1020240002331A KR 20240002331 A KR20240002331 A KR 20240002331A KR 102654294 B1 KR102654294 B1 KR 1026542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unit
plate portion
reinforcing ribs
symmet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02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성홍
김용덕
허재석
김미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반석티브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반석티브이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반석티브이에스
Priority to KR1020240002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42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4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42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3/00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 E04G13/04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lintels, beams, or transoms to be encased separately; Special tying or clamp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9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 E04C3/29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the materials being steel and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U형 단면 강판 거푸집의 측면판부 또는 하부판부를 구성하는 단위유닛들을 단면 축을 기준으로 보강리브와 걸림후크가 좌우 대칭이 되도록 절곡 형성함으로써, 단위 자재를 회전시킬 필요가 없어 제작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고, 제작 및 자재 관리가 용이한 대칭형 보강리브가 구비된 무용접 유닛 강판 거푸집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철근콘크리트 보를 시공하기 위해 하부판부, 상기 하부판부의 양단에 구비되는 한 쌍의 코너판부 및 상기 각 코너판부의 상단에 구비되는 측면판부로 구성되는 강판 거푸집에서, 상기 하부판부는 하부판과 한 쌍의 보강리브와 상기 각 보강리브의 상단에서 하향 절곡된 걸림후크로 구성되고, 상기 코너판부는 L자 형상의 코너판과 한 쌍의 보강리브와 상기 각 보강리브의 상단에서 하향 절곡된 걸림후크로 구성되며, 상기 측면판부는 측면판과 한 쌍의 보강리브와 상기 각 보강리브의 상단에서 내측 또는 외측으로 하향 절곡된 제1걸림후크로 구성되는 제1측면유닛 및 측면판과 한 쌍의 보강리브와 상기 각 보강리브의 상단에서 제1측면유닛의 제1걸림후크와 반대 반향으로 하향 절곡된 제2걸림후크로 구성되는 제2측면유닛이 수직 방향으로 번갈아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대칭형 보강리브가 구비된 무용접 유닛 강판 거푸집{Non-welded steel form with symmetrical reinforcing ribs}
본 발명은 U형 단면 강판 거푸집의 측면판부 또는 하부판부를 구성하는 단위유닛들을 단면 축을 기준으로 보강리브와 걸림후크가 좌우 대칭이 되도록 절곡 형성함으로써, 단위 자재를 회전시킬 필요가 없어 제작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고, 제작 및 자재 관리가 용이한 대칭형 보강리브가 구비된 무용접 유닛 강판 거푸집에 대한 것이다.
기존 재래식 철근콘크리트 공법은 현장에서 합판이나 유로폼 등의 거푸집을 설치하고, 거푸집 내부에 철근을 배근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각종 부재를 시공하는 습식 공법이다.
종래 철근콘크리트 부재 시공을 위한 거푸집은 일정한 규격으로 생산된 거푸집 패널을 연속으로 복수 매 이어서 설치하는데, 이러한 거푸집 설치 과정은 현장 작업 인력에 의해 시공되므로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요된다. 그리고 층고가 높은 경우 거푸집 설치 및 해체시 고소 작업으로 인한 안전사고 발생 우려가 크고, 거푸집 탈형시 거푸집이 바닥에 떨어지면서 발생하는 소음으로 인해 민원 제기 우려가 크다.
이에 최근에는 얇은 금속 박판을 절곡하여 형성한 경량의 U형 선조립 거푸집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경량 거푸집은 두께 1.0~1.2㎜ 정도의 얇은 강판을 롤포밍 성형하여 자동 생산하므로 제작이 용이하고 경제적이다. 그리고 별도의 지지프레임 없이 강판만으로 구성되므로, 거푸집 중량이 가벼워 운반이나 취급 및 설치가 용이하다.
또한, 공장에서 선조립된 완제품 상태로 현장에 반입하여 설치하므로 현장 작업을 최소화할 수 있고, 거푸집 지지를 위한 가설 부재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별도의 탈형 공정이 필요 없는 영구 거푸집이어서 투입 인력과 공기를 단축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영구 거푸집이므로 거푸집 탈형시 발생하는 소음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현장 환경을 깨끗하게 관리할 수 있다.
등록특허 제10-2344705호에는 단위연장판을 폭 방향으로 조립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부재를 제작할 수 있는 거푸집에 대한 기술이 개시된다.
상기 등록기술은 단위연장판의 양단에 ㄱ자형 비드를 절곡 형성하여 인접하는 하부판이나 측판 또는 코너판과 접합되도록 함으로써, 생산 효율을 높이고 부재의 폭 또는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 가능하다.
이러한 단위연장판은 ㄱ자형 비드가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절곡되어 좌우 비대칭으로 형성되며, 좌우 측면판에 사용되는 단위연장판은 서로 대칭이 되도록 배치된다.
그러나 상기 등록기술은 단위연장판을 좌우 측면판과 상관없이 동일한 방향으로 롤포밍하여 제작하기 때문에, 단일 규격의 단위연장판을 좌우 측면판에 모두 적용하기 위해서는 어느 일측의 측면판에 사용되는 단위연장판을 회전시켜 뒤집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뿐만 아니라 단위연장판이 보 길이 방향으로 길게 제작되므로, 단위연장판을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넓은 제작 공간이 필요하다. 이에 동일 면적에서 제작할 수 있는 자재 수에 제약이 있어 생산 효율이 떨어진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조립형 강판 거푸집 제작시 단위 자재를 회전할 필요가 없어 제작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고, 제작 및 자재 관리가 용이한 대칭형 보강리브가 구비된 무용접 유닛 강판 거푸집을 제공하고자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철근콘크리트 보를 시공하기 위해 하부판부, 상기 하부판부의 양단에 구비되는 한 쌍의 코너판부 및 상기 각 코너판부의 상단에 구비되는 측면판부로 구성되는 강판 거푸집에서, 상기 하부판부는 하부판과 하부판의 양단에서 수직 절곡되는 한 쌍의 보강리브와 상기 각 보강리브의 상단에서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하향 절곡된 걸림후크로 구성되고, 상기 코너판부는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보의 하부 코너부를 형성하는 코너판과 상기 코너판의 양단에서 수직 절곡되는 한 쌍의 보강리브와 상기 각 보강리브의 상단에서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하향 절곡된 걸림후크로 구성되며, 상기 측면판부는 측면판과 상기 측면판의 양단에서 수직 절곡되는 한 쌍의 보강리브와 상기 각 보강리브의 상단에서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내측 또는 외측 중 어느 한 방향으로 하향 절곡된 제1걸림후크로 구성되는 제1측면유닛 및 측면판과 상기 측면판의 양단에서 수직 절곡되는 한 쌍의 보강리브와 상기 각 보강리브의 상단에서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내측 또는 외측 중 상기 제1측면유닛의 제1걸림후크와 반대 반향으로 하향 절곡된 제2걸림후크로 구성되는 제2측면유닛이 수직 방향으로 번갈아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칭형 보강리브가 구비된 무용접 유닛 강판 거푸집을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하부판부는 하부판과 하부판의 양단에서 수직 절곡되는 한 쌍의 보강리브와 상기 각 보강리브의 상단에서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내측 또는 외측 중 어느 한 방향으로 하향 절곡된 제1걸림후크로 구성되는 중앙유닛 및 상기 중앙유닛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것으로 하부판과 하부판의 양단에서 수직 절곡되는 한 쌍의 보강리브와 상기 각 보강리브의 상단에서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내측 또는 외측 중 중앙유닛의 제1걸림후크와 반대 방향으로 하향 절곡되는 제2걸림후크로 구성되는 확장유닛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칭형 보강리브가 구비된 무용접 유닛 강판 거푸집을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측면판부의 최상부에는 제1측면유닛과 제2측면유닛 중 걸림후크가 외측으로 절곡 형성된 측면유닛이 배치되는 경우, 상기 측면판부의 상부에는 측면판과 상기 측면판의 양단에서 수직 절곡되는 한 쌍의 보강리브와 상기 보강리브의 상단에서 서로 대칭되도록 내측으로 하향 절곡된 걸림후크로 구성되는 마구리유닛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칭형 보강리브가 구비된 무용접 유닛 강판 거푸집을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강판 거푸집의 내부에는 수평부와 수평부의 양단에서 수직 절곡된 수직부로 구성된 U형의 스터럽이 구비되고, 상기 스터럽의 수평부와 수직부는 각각 복수의 하부스터럽고정구와 측면스터럽고정구에 의해 하부판부와 측면판부의 걸림후크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칭형 보강리브가 구비된 무용접 유닛 강판 거푸집을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하부스터럽고정구와 측면스터럽고정구의 어느 일측에는 걸림후크가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다른 일측에는 스터럽이 삽입되는 삽입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칭형 보강리브가 구비된 무용접 유닛 강판 거푸집을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양측 측면판부의 사이에는 양단에 후크부가 절곡 형성된 측압철근이 구비되고, 상기 측압철근의 후크부는 측면스터럽고정구에 의해 측면판부의 걸림후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칭형 보강리브가 구비된 무용접 유닛 강판 거푸집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U형 단면의 조립 강판 거푸집을 구성하는 하부판부, 코너판부 및 측면판부가 각각 하부판, 코너판 및 측면판의 양단에 보강리브와 걸림후크가 좌우 대칭이 되도록 절곡되어 형성된 대칭형 보강리브가 구비된 무용접 유닛 강판 거푸집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좌우 측면판부 구성을 위해 수직 방향으로 번갈아 배치되는 제1, 2측면유닛들이 모두 단면 축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므로, 각 측면유닛들을 회전시키지 않고도 좌우 어느 측면판부에나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하부판부 형성을 위해 구비되는 중앙유닛과 양측의 확장유닛 역시 단면 축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으로 형성함으로써, 각 단위 자재들을 회전시키지 않고 그대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하부판부 또는 측면판부를 구성하는 각 단위 자재들은 동일한 단위유닛으로 제작한 후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강판 거푸집 제작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거푸집의 폭과 춤에 따라 단위유닛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어 제작 및 자재 관리가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 대칭형 보강리브가 구비된 무용접 유닛 강판 거푸집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하부판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코너판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측면판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도 1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6은 걸림후크가 반대 방향으로 형성된 강판 거푸집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분할형 하부판부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8은 분할형 하부판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9는 분할형 하부판부가 구비된 강판 거푸집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0은 도 9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1은 걸림후크가 반대 방향으로 형성된 분할형 하부판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2는 다양한 폭의 단위 부재들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13은 마구리유닛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14는 스터럽 및 측압철근이 구비된 강판 거푸집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15는 하부스터럽고정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6은 하부스터럽고정구의 설치 상태를 도시하는 확대 사시도.
도 17은 측면스터럽고정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8은 측면스터럽고정구의 설치 상태를 도시하는 확대 사시도.
도 19는 측압철근 고정을 위한 측면스터럽고정구를 도시하는 사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대칭형 보강리브가 구비된 무용접 유닛 강판 거푸집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하부판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은 코너판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4는 측면판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6은 걸림후크가 반대 방향으로 형성된 강판 거푸집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대칭형 보강리브가 구비된 무용접 유닛 강판 거푸집은 철근콘크리트 보를 시공하기 위해 하부판부(2), 상기 하부판부(2)의 양단에 구비되는 한 쌍의 코너판부(3) 및 상기 각 코너판부(3)의 상단에 구비되는 측면판부(4)로 구성되는 강판 거푸집(1)에서, 상기 하부판부(2)는 하부판(21)과 하부판(21)의 양단에서 수직 절곡되는 한 쌍의 보강리브(22)와 상기 각 보강리브(22)의 상단에서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하향 절곡된 걸림후크(23)로 구성되고, 상기 코너판부(3)는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보의 하부 코너부를 형성하는 코너판(31)과 상기 코너판(31)의 양단에서 수직 절곡되는 한 쌍의 보강리브(32)와 상기 각 보강리브(32)의 상단에서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하향 절곡된 걸림후크(33)로 구성되며, 상기 측면판부(4)는 측면판(41a)과 상기 측면판(41a)의 양단에서 수직 절곡되는 한 쌍의 보강리브(42a)와 상기 각 보강리브(42a)의 상단에서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내측 또는 외측 중 어느 한 방향으로 하향 절곡된 제1걸림후크(43a)로 구성되는 제1측면유닛(4a) 및 측면판(41b)과 상기 측면판(41b)의 양단에서 수직 절곡되는 한 쌍의 보강리브(42b)와 상기 각 보강리브(42b)의 상단에서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내측 또는 외측 중 상기 제1측면유닛(4a)의 제1걸림후크(43a)와 반대 반향으로 하향 절곡된 제2걸림후크(43b)로 구성되는 제2측면유닛(4b)이 수직 방향으로 번갈아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조립형 강판 거푸집 제작시 단위 자재를 회전시킬 필요가 없어 제작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고, 제작 및 자재 관리가 용이한 대칭형 보강리브가 구비된 무용접 유닛 강판 거푸집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강판 거푸집(1)은 하부판부(2), 상기 하부판부(2)의 양단에 구비되는 한 쌍의 코너판부(3) 및 각 코너판부(3)의 상부에 구비되는 한 쌍의 측면판부(4)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상부가 개방된 U형 단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하부판부(2), 코너판부(3) 및 측면판부(4)는 아연도강판 등 두께가 얇은 금속판으로 제작 가능하며, 보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하부판부(2)는 보의 하면을 형성하는 것이고, 상기 측면판부(4)는 보의 측면을 형성하는 것이며, 상기 코너판부(3)는 하부판부(2)의 단부와 측면판부(4)의 하단을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하부판부(2)는 하부판(21)과 상기 하부판(21)의 양단에서 수직 절곡되는 한 쌍의 보강리브(22)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상부가 개방된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다(도 2).
상기 보강리브(22)는 하부판부(2)의 휨 강성을 보강한다.
상기 각 보강리브(22)의 상단에는 일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절곡된 걸림후크(23)가 구비된다.
여기서 '하향'은 하부판(21) 측을 의미한다.
상기 걸림후크(23)는 보강리브(22)와 예각을 이루도록 경사지게 절곡될 수 있다.
양측에 구비된 한 쌍의 걸림후크(23)는 서로 대칭이 되도록 절곡된다.
즉, 상기 한 쌍의 걸림후크(23)는 모두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거나 모두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내측'은 한 쌍의 걸림후크(23) 사이 측을 의미하고, '외측'은 반대 측을 의미한다.
상기 코너판부(3)는 보의 모서리를 형성한다.
이를 위해 상기 코너판부(3)는 L자형 단면의 코너판(31)과 상기 코너판(31) 양단에서 수직 절곡되는 한 쌍의 보강리브(32)로 구성된다(도 3).
상기 각 보강리브(32)의 상단에는 일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절곡된 걸림후크(33)가 구비된다.
여기서 '하향'은 코너판(31) 측을 의미한다.
양측에 구비된 한 쌍의 걸림후크(33)는 서로 대칭이 되도록 내측 또는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코너판부(3)와 하부판부(2)의 결합을 위해 코너판부(3)의 걸림후크(33)는 하부판부(2)의 걸림후크(23)와 반대 방향으로 절곡 형성한다.
즉, 상기 하부판부(2)의 걸림후크(23)가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면, 상기 코너판부(3)의 걸림후크(33)는 외측으로 절곡 형성한다. 이에 따라 이웃하는 양측 보강리브(22, 32)가 서로 밀착된 상태에서, 코너판부(3)의 걸림후크(33)가 하부판부(2)의 걸림후크(23) 상부를 감싸도록 중첩되어 결합된다(도 1, 도 5).
반대로 상기 하부판부(2)의 걸림후크(23)가 외측으로 절곡 형성되면, 상기 코너판부(3)의 걸림후크(33)는 내측으로 절곡 형성한다. 이에 따라 이웃하는 양측 보강리브(22, 32)가 서로 밀착된 상태에서, 하부판부(2)의 걸림후크(23)가 코너판부(3)의 걸림후크(33) 상부를 감싸도록 중첩되어 결합된다(도 6).
상기 측면판부(4)는 복수의 측면유닛을 조립하여 구성된다(도 4).
즉, 상기 측면판부(4)는 제1측면유닛(4a)과 제2측면유닛(4b)을 수직 방향으로 번갈아 배치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측면유닛(4a)과 제2측면유닛(4b)은 각각 측면판(41a, 41b)과 상기 측면판(41a, 41b)의 양단에서 수직 절곡되는 한 쌍의 보강리브(42a, 42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측면유닛(4a)의 보강리브(42a) 상단에는 일측으로 하향 절곡된 제1걸림후크(43a)가 구비되고, 제2측면유닛(4b)의 보강리브(42b) 상단에는 제1걸림후크(43a)와 반대 방향으로 하향 절곡된 제2걸림후크(43b)가 구비된다.
여기서, '하향'은 측면판(41a, 41b) 측을 의미한다.
양측에 구비된 한 쌍의 제1걸림후크(43a)는 서로 대칭이 되도록 내측 또는 외측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한 쌍의 제2걸림후크(43b)는 서로 대칭이 되도록 내측 또는 외측 중 상기 제1걸림후크(43a)와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인접하는 제1측면유닛(4a)과 제2측면유닛(4b)은 인접하는 보강리브(42a, 42b)가 서로 밀착된 상태에서 제1걸림후크(43a)와 제2걸림후크(43b)가 서로 중첩되어 결합된다.
이때 상기 측면판부(4)의 최하부에 위치하는 측면유닛은 코너판부(3)의 걸림후크(33)가 절곡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서로 중첩 결합된다.
이와 같이 좌우 측면판부(4)를 구성하는 각 측면유닛들은 모두 단면 축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므로, 각 측면유닛들을 회전시키지 않고 절곡 제작한 상태 그대로 좌우 어느 측면판부(4)에나 사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단면 축은 양측 보강리브(42a, 42b) 사이 중앙에서 보강리브(42a, 42b)와 평행한 축을 의미한다.
상기 코너판부(3) 역시 단일 규격의 단위 자재를 회전시키지 않고 좌우 코너판부(3) 어디에나 적용할 수 있도록 단면 축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단면 축은 양측 보강리브(32) 사이 중앙인 모서리에서 45˚인 축을 의미한다.
도 7은 분할형 하부판부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분할형 하부판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9는 분할형 하부판부가 구비된 강판 거푸집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11은 걸림후크가 반대 방향으로 형성된 분할형 하부판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2는 다양한 폭의 단위 부재들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판부(2)는 하부판(21a)과 하부판(21a)의 양단에서 수직 절곡되는 한 쌍의 보강리브(22a)와 상기 각 보강리브(22a)의 상단에서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내측 또는 외측 중 어느 한 방향으로 하향 절곡된 제1걸림후크(23a)로 구성되는 중앙유닛(2a) 및 상기 중앙유닛(2a)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것으로 하부판(21b)과 하부판(21b)의 양단에서 수직 절곡되는 한 쌍의 보강리브(22b)와 상기 각 보강리브(22b)의 상단에서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내측 또는 외측 중 중앙유닛(2a)의 제1걸림후크(23a)와 반대 방향으로 하향 절곡되는 제2걸림후크(23b)로 구성되는 확장유닛(2b)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보의 폭이 큰 경우, 상기 하부판부(2)는 복수의 유닛으로 분할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하부판부(2)를 구성하는 각 유닛들을 단면 축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으로 형성하기 위해 상기 하부판부(2)는 가운데의 중앙유닛(2a)과 상기 중앙유닛(2a)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확장유닛(2b)을 조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하부판부(2)는 홀수 개의 유닛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중앙유닛(2a)은 하부판(21a)과 상기 하부판(21a)의 양단에서 수직 절곡되는 한 쌍의 보강리브(22a)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상부가 개방된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중앙유닛(2a)의 각 보강리브(22a) 상단에는 하향 경사지게 절곡된 제1걸림후크(23a)가 구비된다.
상기 양측 한 쌍의 제1걸림후크(23a)는 서로 대칭이 되도록 내측 또는 외측으로 절곡 형성된다.
상기 확장유닛(2b)은 한 쌍으로 구비되어 중앙유닛(2a)의 좌우 양측에 각각 배치된다.
상기 확장유닛(2b)은 하부판(21b)과 상기 하부판(21b)의 양단에서 수직 절곡되는 한 쌍의 보강리브(22b)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상부가 개방된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확장유닛(2b)의 각 보강리브(22b) 상단에는 하향 경사지게 절곡된 제2걸림후크(23b)가 구비된다.
상기 양측 한 쌍의 제2걸림후크(23b)는 서로 대칭이 되도록 내측 또는 외측으로 절곡 형성되되, 상기 중앙유닛(2a)의 제1걸림후크(23a)와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어 인접하는 제1걸림후크(23a)와 제2걸림후크(23b)가 서로 중첩되어 결합된다.
상기 코너판부(3)와 확장유닛(2b)을 결합하기 위해 코너판부(3)의 걸림후크(33)는 중앙유닛(2a)의 제1걸림후크(23a)와 동일한 방향으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상기 확장유닛(2b)의 일측에는 중앙유닛(2a)이 결합되고, 타측에는 코너판부(3)가 결합된다.
상기 확장유닛(2b)의 제2걸림후크(23b)는 측면판부(4)의 최하부에 위치하는 측면유닛의 걸림후크(도 9 등의 실시예에서는 제1걸림후크(43a))와 동일한 방향으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코너판부(3)의 일측에는 확장유닛(2b)이 결합되고, 타측에는 제1측면유닛(4a)과 제2측면유닛(4b) 중 어느 하나가 결합된다.
보의 폭에 따라 상기 확장유닛(2b)의 외측 즉, 확장유닛(2b)과 코너판부(3)의 사이에는 중앙유닛(2a)과 동일한 형상의 서브확장유닛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측면유닛(4a), 제2측면유닛(4b), 중앙유닛(2a) 및 확장유닛(2b)은 동일한 단위유닛을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단위유닛은 부재 폭에 따라 복수의 규격으로 제작할 수 있다.
즉 최소 단위 폭을 기준으로 하여 최소 단위 폭의 배수가 되도록 복수의 단위유닛을 생산하고, 강판 거푸집(1)의 폭과 춤에 따라 단위유닛을 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소 단위 폭을 50㎜로 설정하면, 단위유닛은 50㎜, 100㎜, 150㎜의 폭을 갖도록 생산하고, 이들을 조합하여 50㎜ 단위로 다양한 크기의 강판 거푸집(1)을 제작할 수 있다(도 12).
도 13은 마구리유닛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면판부(4)의 최상부에는 제1측면유닛(4a)과 제2측면유닛(4b) 중 걸림후크(43a, 43b)가 외측으로 절곡 형성된 측면유닛(4a, 4b)이 배치되는 경우, 상기 측면판부(4)의 상부에는 측면판(51)과 상기 측면판(51)의 양단에서 수직 절곡되는 한 쌍의 보강리브(52)와 상기 보강리브(52)의 상단에서 서로 대칭되도록 내측으로 하향 절곡된 걸림후크(53)로 구성되는 마구리유닛(5)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측면판부(4)의 상단에는 슬래브 시공을 위해 재래식 거푸집이나 데크플레이트 등 슬래브 거푸집(미도시)이 거치된다.
이때 상기 측면판부(4)의 최상단에 위치하는 걸림후크(43a, 43b)가 외측으로 절곡 형성된 경우에는 걸림후크(43a, 43b)의 간섭으로 인해 슬래브 거푸집의 거치 폭 확보가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측면판부(4)의 최상부에 걸림후크(43a, 43b)가 외측으로 절곡된 측면유닛(4a, 4b)이 배치되는 경우, 상기 측면판부(4)의 상부에 마구리유닛(5)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마구리유닛(5)은 측면판(51) 및 한 쌍의 보강리브(52)와 한 쌍의 걸림후크(53)로 구성되며, 상기 한 쌍의 걸림후크(53)는 서로 대칭되도록 내측으로 절곡 형성된다.
상기 측면판부(4)는 상부에 슬래브 거푸집 거치시 작업하중 등으로 인해 최상단에 응력 집중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측면유닛(4a, 4b)은 측면판(41a, 41b)의 폭이 상대적으로 커 슬래브 거푸집의 직접 거치에 따른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마구리유닛(5)은 국부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측면판(51)의 폭을 좁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4는 스터럽 및 측압철근이 구비된 강판 거푸집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강판 거푸집(1)의 내부에는 수평부(61)와 수평부(61)의 양단에서 수직 절곡된 수직부(62)로 구성된 U형의 스터럽(6)이 구비되고, 상기 스터럽(6)의 수평부(61)와 수직부(62)는 각각 복수의 하부스터럽고정구(7a)와 측면스터럽고정구(7b)에 의해 하부판부(2)와 측면판부(4)의 걸림후크(23, 43)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강판 거푸집(1)은 두께가 얇은 강판을 사용하는데다 보강리브 및 걸림후크가 거푸집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므로 콘크리트 타설시 측압에 대한 저항성이 약하다.
따라서 보 내부에 배근되는 스터럽(6)을 이용하여 상기 스터럽(6)에 하부판부(2)와 측면판부(4)를 고정함으로써, 측압을 지지하고 강판 거푸집(1)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스터럽(6)은 하부의 수평부(61)와 상기 수평부(61)의 양단에서 상향으로 수직 절곡된 수직부(62)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판부(2)는 하부스터럽고정구(7a)에 의해 스터럽(6)의 수평부(61)와 고정되고, 상기 측면판부(4)는 측면스터럽고정구(7b)에 의해 스터럽(6)의 수직부(62)와 고정된다.
상기 하부스터럽고정구(7a) 및 측면스터럽고정구(7b)는 복수의 지점에서 보강리브 단부의 걸림후크 즉, 이웃하는 부재의 접합부에 결합되어 강판 거푸집(1)을 지지함으로써 강판 거푸집(1)의 변형을 방지한다.
상기 하부스터럽고정구(7a) 및 측면스터럽고정구(7b)는 합성수지재, 금속재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5는 하부스터럽고정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6은 하부스터럽고정구의 설치 상태를 도시하는 확대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7은 측면스터럽고정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8은 측면스터럽고정구의 설치 상태를 도시하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15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스터럽고정구(7a)와 측면스터럽고정구(7b)의 어느 일측에는 걸림후크가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홈(71)이 형성되고, 다른 일측에는 스터럽(6)이 삽입되는 삽입홈부(7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스터럽고정구(7a)와 측면스터럽고정구(7b)는 하부판부(2) 또는 측면판부(4)의 걸림후크가 결합되는 한편, 스터럽(6)의 수평부(61) 또는 수직부(62)가 결합되어 강판 거푸집(1)과 스터럽(6)을 연결한다.
이를 위해 상기 하부스터럽고정구(7a)와 측면스터럽고정구(7b)에는 걸림후크가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홈(71)과 스터럽(6)이 삽입되는 삽입홈부(7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홈(71)에는 인접하는 부재의 단위유닛을 형성하는 걸림후크가 서로 중첩되어 결합된 상태에서 동시에 삽입된다.
예를 들어 도 16에서와 같이, 상기 하부스터럽고정구(7a)의 걸림홈(71)에는 확장유닛(2b)의 제2걸림후크(23b)와 코너판부(3)의 걸림후크(33)가 중첩되어 결합된 상태에서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8에서와 같이, 상기 측면스터럽고정구(7b)의 걸림홈(71)에는 제1측면유닛(4a)의 제1걸림후크(43a)와 제2측면유닛(4b)의 제2걸림후크(43b)가 중첩되어 결합된 상태에서 삽입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걸림홈(71)은 걸림후크의 절곡 각도와 대응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중첩된 2개의 걸림후크의 두께와 동일한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홈부(72)는 일측이 개방된 C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스터럽(6)의 수평부(61) 또는 수직부(62)가 억지끼움 방식으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하부스터럽고정구(7a)는 일측면에 하향 경사지게 걸림홈(71)이 형성되어 하부판부(2)의 걸림후크(23)가 삽입되고, 삽입홈부(72)는 상면에 걸림홈(71)과 직교하는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어 스터럽(6)의 수평부(61)가 삽입된다(도 15, 도 16).
상기 측면스터럽고정구(7b)는 하면에 상향 경사지게 걸림홈(71)이 형성되어 측면판부(4)의 걸림후크(43a, 43b)가 삽입되고, 삽입홈부(72)는 일측면에 걸림홈(71)과 직교하는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스터럽(6)의 수직부(62)가 삽입된다(도 17, 도 18).
상기 측면스터럽고정구(7b)의 후단에는 작업자가 손으로 쉽게 잡을 수 있고, 원자재 물량을 줄이기 위해 V컷된 홈부(73)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9는 측압철근 고정을 위한 측면스터럽고정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4,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 측면판부(4)의 사이에는 양단에 후크부(81)가 절곡 형성된 측압철근(8)이 구비되고, 상기 측압철근(8)의 후크부(81)는 측면스터럽고정구(7b')에 의해 측면판부(4)의 걸림후크(43a, 43b)에 결합될 수 있다.
강판 거푸집(1)은 상부가 개방된 U자형 단면으로 형성되므로, 콘크리트 타설압을 지지하기 위해서는 양측의 측면판부(4)를 서로 연결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양측 측면판부(4) 사이에 측압철근(8)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측압철근(8)의 양단에는 하향으로 수직 절곡된 후크부(81)가 구비된다.
상기 측압철근(8)은 양단의 후크부(81)를 스터럽(6)의 양측 수직부(62)에 걸어 결속선 등으로 고정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측압철근(8)의 간격과 스터럽(6)의 간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등에는 측면스터럽고정구(7b')에 의해 직접 측면판부(4)에 고정할 수 있다. 즉 상기 후크부(81)를 측면스터럽고정구(7b')를 이용하여 측면판부(4)의 걸림후크(43a, 43b)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측면스터럽고정구(7b')는 일측면에 수직 방향으로 삽입홈부(72)가 형성되므로, 상기 삽입홈부(72)에 측압철근(8)의 후크부(81)를 삽입하여 고정 가능하다(도 19).
상기 측면스터럽고정구(7b, 7b')는 스터럽(6)뿐 아니라 측압철근(8)을 설치하여 고정하는 데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소요 부자재가 적어 현장 관리가 용이하고, 동일 부자재를 이용하여 스터럽(6)과 측압철근(8)을 모두 설치할 수 있으므로 제작이 용이하다.
1: 강판 거푸집 2: 하부판부
21: 하부판 22: 보강리브
23: 걸림후크 2a: 중앙유닛
21a: 하부판 22a: 보강리브
23a: 제1걸림후크 2b: 확장유닛
21b: 하부판 22b: 보강리브
23b: 제2걸림후크
3: 코너판부 31: 코너판
32: 보강리브 33: 걸림후크
4: 측면판부 4a: 제1측면유닛
41a: 측면판 42a: 보강리브
43a: 제1걸림후크 4b: 제2측면유닛
41b: 측면판 42b: 보강리브
43b: 제2걸림후크
5: 마구리유닛 51: 측면판
52: 보강리브 53: 걸림후크
6: 스터럽 61: 수평부
62: 수직부 7a: 하부스터럽고정구
7b: 측면스터럽고정구 71: 걸림홈
72: 삽입홈부 73: 홈부
8: 측압철근 81: 후크부

Claims (6)

  1. 철근콘크리트 보를 시공하기 위해 하부판부(2), 상기 하부판부(2)의 양단에 구비되는 한 쌍의 코너판부(3) 및 상기 각 코너판부(3)의 상단에 구비되는 측면판부(4)로 구성되는 강판 거푸집(1)에서,
    상기 하부판부(2)는 하부판(21)과 하부판(21)의 양단에서 수직 절곡되는 한 쌍의 보강리브(22)와 상기 각 보강리브(22)의 상단에서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하향 절곡된 걸림후크(23)로 구성되고,
    상기 코너판부(3)는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보의 하부 코너부를 형성하는 코너판(31)과 상기 코너판(31)의 양단에서 수직 절곡되는 한 쌍의 보강리브(32)와 상기 각 보강리브(32)의 상단에서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하향 절곡된 걸림후크(33)로 구성되며,
    상기 측면판부(4)는 측면판(41a)과 상기 측면판(41a)의 양단에서 수직 절곡되는 한 쌍의 보강리브(42a)와 상기 각 보강리브(42a)의 상단에서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내측 또는 외측 중 어느 한 방향으로 하향 절곡된 제1걸림후크(43a)로 구성되는 제1측면유닛(4a) 및 측면판(41b)과 상기 측면판(41b)의 양단에서 수직 절곡되는 한 쌍의 보강리브(42b)와 상기 각 보강리브(42b)의 상단에서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내측 또는 외측 중 상기 제1측면유닛(4a)의 제1걸림후크(43a)와 반대 반향으로 하향 절곡된 제2걸림후크(43b)로 구성되는 제2측면유닛(4b)이 수직 방향으로 번갈아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칭형 보강리브가 구비된 무용접 유닛 강판 거푸집.
  2. 제1항에서,
    상기 하부판부(2)는 하부판(21a)과 하부판(21a)의 양단에서 수직 절곡되는 한 쌍의 보강리브(22a)와 상기 각 보강리브(22a)의 상단에서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내측 또는 외측 중 어느 한 방향으로 하향 절곡된 제1걸림후크(23a)로 구성되는 중앙유닛(2a) 및 상기 중앙유닛(2a)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것으로 하부판(21b)과 하부판(21b)의 양단에서 수직 절곡되는 한 쌍의 보강리브(22b)와 상기 각 보강리브(22b)의 상단에서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내측 또는 외측 중 중앙유닛(2a)의 제1걸림후크(23a)와 반대 방향으로 하향 절곡되는 제2걸림후크(23b)로 구성되는 확장유닛(2b)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칭형 보강리브가 구비된 무용접 유닛 강판 거푸집.
  3. 제1항에서,
    상기 측면판부(4)의 최상부에는 제1측면유닛(4a)과 제2측면유닛(4b) 중 걸림후크(43a, 43b)가 외측으로 절곡 형성된 측면유닛(4a, 4b)이 배치되는 경우, 상기 측면판부(4)의 상부에는 측면판(51)과 상기 측면판(51)의 양단에서 수직 절곡되는 한 쌍의 보강리브(52)와 상기 보강리브(52)의 상단에서 서로 대칭되도록 내측으로 하향 절곡된 걸림후크(53)로 구성되는 마구리유닛(5)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칭형 보강리브가 구비된 무용접 유닛 강판 거푸집.
  4. 제1항에서,
    상기 강판 거푸집(1)의 내부에는 수평부(61)와 수평부(61)의 양단에서 수직 절곡된 수직부(62)로 구성된 U형의 스터럽(6)이 구비되고, 상기 스터럽(6)의 수평부(61)와 수직부(62)는 각각 복수의 하부스터럽고정구(7a)와 측면스터럽고정구(7b)에 의해 하부판부(2)와 측면판부(4)의 걸림후크(23, 43)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칭형 보강리브가 구비된 무용접 유닛 강판 거푸집.
  5. 제4항에서,
    상기 하부스터럽고정구(7a)와 측면스터럽고정구(7b)의 어느 일측에는 걸림후크가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홈(71)이 형성되고, 다른 일측에는 스터럽(6)이 삽입되는 삽입홈부(7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칭형 보강리브가 구비된 무용접 유닛 강판 거푸집.
  6. 제5항에서,
    양측 측면판부(4)의 사이에는 양단에 후크부(81)가 절곡 형성된 측압철근(8)이 구비되고, 상기 측압철근(8)의 후크부(81)는 측면스터럽고정구(7b')에 의해 측면판부(4)의 걸림후크(43a, 43b)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칭형 보강리브가 구비된 무용접 유닛 강판 거푸집.
KR1020240002331A 2024-01-05 2024-01-05 대칭형 보강리브가 구비된 무용접 유닛 강판 거푸집 KR1026542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02331A KR102654294B1 (ko) 2024-01-05 2024-01-05 대칭형 보강리브가 구비된 무용접 유닛 강판 거푸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02331A KR102654294B1 (ko) 2024-01-05 2024-01-05 대칭형 보강리브가 구비된 무용접 유닛 강판 거푸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4294B1 true KR102654294B1 (ko) 2024-04-04

Family

ID=90637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02331A KR102654294B1 (ko) 2024-01-05 2024-01-05 대칭형 보강리브가 구비된 무용접 유닛 강판 거푸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429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5491B1 (ko) * 2019-09-27 2020-03-31 구연진 보 데크용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탈형 보 시공용 거푸집
KR102211478B1 (ko) * 2020-02-20 2021-02-05 주식회사 비콘 무해체 보 거푸집
KR102341842B1 (ko) * 2021-01-22 2021-12-22 신희경 무해체 보거푸집
KR102455354B1 (ko) * 2021-12-01 2022-10-17 조강옥 기능이 개선된 조립식 무 해체 보 거푸집
KR20230031544A (ko) * 2021-08-27 2023-03-07 구연진 보 시공용 단위부재 및 이를 이용한 보 시공용 거푸집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5491B1 (ko) * 2019-09-27 2020-03-31 구연진 보 데크용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탈형 보 시공용 거푸집
KR102211478B1 (ko) * 2020-02-20 2021-02-05 주식회사 비콘 무해체 보 거푸집
KR102341842B1 (ko) * 2021-01-22 2021-12-22 신희경 무해체 보거푸집
KR20230031544A (ko) * 2021-08-27 2023-03-07 구연진 보 시공용 단위부재 및 이를 이용한 보 시공용 거푸집 시공방법
KR102455354B1 (ko) * 2021-12-01 2022-10-17 조강옥 기능이 개선된 조립식 무 해체 보 거푸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59797B2 (en) Structure constructed using precast members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KR101432260B1 (ko) 강재노출형 철골철근콘크리트 기둥구조
RU2548627C2 (ru) Стальная каркас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u-образной составной балки
KR102317808B1 (ko) 철근콘크리트 보용 일체형 강판 거푸집 및 이의 제작 방법
KR102054364B1 (ko) 측판 분할형 선조립 경량 거푸집
KR20190112903A (ko) 단열재를 거푸집 대신 사용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제작틀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제작틀 설치방법
US10400450B2 (en) Deck panel for construction
KR102144476B1 (ko) 모듈형 강판 거푸집
KR20190115655A (ko) 단열블록을 거푸집 대신 사용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제작틀 및 이의 설치방법
KR102460363B1 (ko) 거푸집 고정용 십자조인트
KR200448085Y1 (ko) 거푸집패널 조립식 프레임
KR102104382B1 (ko) 철골 보, 합성 기둥, 및 이들의 접합 구조
KR102654294B1 (ko) 대칭형 보강리브가 구비된 무용접 유닛 강판 거푸집
KR101415699B1 (ko) 기둥용 거푸집
KR20170050143A (ko) 포밍관을 이용한 조립식 거푸집
KR200357642Y1 (ko) 인코너판넬 보강구조
KR102428828B1 (ko) 합성보 및 합성보의 시공방법
KR102658814B1 (ko) 모서리가 보강된 철근콘크리트 보 타설용 데크 거푸집 및 이의 제작 방법
JP2002213077A (ja) コンクリート壁用組み型枠の構築方法ならびにこれに使用する鋼製型枠
KR200414945Y1 (ko) 유러폼의 슬라브 타설용 데크패널
JP6871808B2 (ja) 補強材、補強構造
KR100658831B1 (ko) 래티스 철선 단부에 수직 고정봉이 부착된 트러스형 데크플레이트
WO2014073506A1 (ja) コンクリート部材の構築方法
KR102620108B1 (ko) 제조·조립분리형 비탈형 보 거푸집의 시공방법
KR102625281B1 (ko) 현장 절곡 제작형 비탈형 보 거푸집의 제작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