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7808B1 - 철근콘크리트 보용 일체형 강판 거푸집 및 이의 제작 방법 - Google Patents
철근콘크리트 보용 일체형 강판 거푸집 및 이의 제작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17808B1 KR102317808B1 KR1020210058193A KR20210058193A KR102317808B1 KR 102317808 B1 KR102317808 B1 KR 102317808B1 KR 1020210058193 A KR1020210058193 A KR 1020210058193A KR 20210058193 A KR20210058193 A KR 20210058193A KR 102317808 B1 KR102317808 B1 KR 10231780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ormwork
- steel plate
- flat plate
- unit
- reinforced concret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9—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 E04C3/29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the materials being steel and concret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2—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low bending resistance
- E04C5/03—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low bending resistance with indentations, projections, ribs, or the like, for augmenting the adherence to the concret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E04C5/0604—Prismatic or cylindrical reinforcement cages composed of longitudinal bars and open or closed stirrup r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면부재와 한 쌍의 측면부재에 각 부재의 폭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보강리브가 구비된 U형 단면 보 유닛을 이용함으로써 측압에 대한 저항성이 우수하여 강판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고, 가공이 용이하며, 거푸집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철근콘크리트 보용 일체형 강판 거푸집 및 이의 제작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 철근콘크리트 보용 일체형 강판 거푸집은 철근콘크리트 보를 시공하기 위해 하면부재와 상기 하면부재의 양단 상부에 구비되는 한 쌍의 측면부재로 구성되어 U형 단면인 복수의 보 유닛을 길이 방향으로 연결한 일체형 강판 거푸집에서, 상기 하면부재는 제1평판부 및 상기 제1평판부의 상면에 돌출되는 것으로 보 거푸집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 열의 제1보강리브로 구성되고, 상기 측면부재는 제2평판부 및 상기 제2평판부의 내측면에 돌출되는 것으로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 열의 제2보강리브로 구성되되, 상기 보강리브는 평판부에서 수직 절곡되는 수직절곡부와 상기 수직절곡부의 단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절곡되는 수평절곡부로 구성되어, 상기 제1보강리브와 제2보강리브의 수직절곡부는 서로 분리되고, 수평절곡부가 서로 연결되며, 상기 제1평판부와 제2평판부는 단부가 서로 이격된다.
본 발명 철근콘크리트 보용 일체형 강판 거푸집은 철근콘크리트 보를 시공하기 위해 하면부재와 상기 하면부재의 양단 상부에 구비되는 한 쌍의 측면부재로 구성되어 U형 단면인 복수의 보 유닛을 길이 방향으로 연결한 일체형 강판 거푸집에서, 상기 하면부재는 제1평판부 및 상기 제1평판부의 상면에 돌출되는 것으로 보 거푸집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 열의 제1보강리브로 구성되고, 상기 측면부재는 제2평판부 및 상기 제2평판부의 내측면에 돌출되는 것으로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 열의 제2보강리브로 구성되되, 상기 보강리브는 평판부에서 수직 절곡되는 수직절곡부와 상기 수직절곡부의 단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절곡되는 수평절곡부로 구성되어, 상기 제1보강리브와 제2보강리브의 수직절곡부는 서로 분리되고, 수평절곡부가 서로 연결되며, 상기 제1평판부와 제2평판부는 단부가 서로 이격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하면부재와 한 쌍의 측면부재에 각 부재의 폭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보강리브가 구비된 U형 단면 보 유닛을 이용함으로써 측압에 대한 저항성이 우수하여 강판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고, 가공이 용이하며, 거푸집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철근콘크리트 보용 일체형 강판 거푸집 및 이의 제작 방법에 대한 것이다.
철근콘크리트 공법은 현장에서 유로폼이나 알폼 등의 거푸집을 설치하고, 거푸집 내부에 철근을 배근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각종 구조 부재를 시공하는 습식 공법이다.
종래 철근콘크리트 시공을 위한 거푸집은 일정 크기의 거푸집 판넬 여러 매를 인력에 의해 설치하므로, 거푸집 설치에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요된다. 그리고 층고가 높은 경우 고소 작업으로 인해 안전사고 발생 가능성이 크고, 거푸집 탈형시 소음 발생으로 인한 민원 제기 우려가 있다.
이에 최근에는 도 1과 같이 얇은 금속 박판을 절곡한 U형의 선조립 거푸집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등록특허 제10-1009753호).
이러한 종래 경량 거푸집은 두께 1.0~1.2㎜의 얇은 강판을 롤포밍 성형하여 자동 생산하므로 생산이 용이하고 경제적이다. 그리고 별도의 지지 프레임 없이 강판만으로 거푸집이 이루어지므로, 중량이 가벼워 취급 및 설치가 용이하다.
또한, 공장에서 선조립된 완제품 상태로 현장에 반입하여 설치하므로 현장 작업을 최소화할 수 있고, 가설 부재를 최소화하여 별도의 탈형 공정이 필요 없는 영구 거푸집이어서 투입 인력 및 공기를 단축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종래 거푸집 탈형시 발생하는 소음 민원을 방지할 수 있고, 현장 환경을 개선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량 거푸집은 하부판과 측판을 별도로 제작하여 용접 결합하므로, 보 형상에 따라 각 부재의 크기와 형상이 달라져 제작 공정이 복잡하고 비효율적이다.
또한, 두께가 얇은 강판을 보강하기 위해 내측에 보강리브가 돌출 형성되는데, 이러한 보강리브는 거푸집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므로 콘크리트 측압에 대한 저항성이 약하다. 이에 보강리브에 스터럽을 용접 고정하는 등 별도의 보강 조치가 필요하다.
더욱이 거푸집을 길이 방향으로 연결하기가 어려워 보 부재의 전체 길이에 걸쳐 단일판으로 거푸집을 제작해야 하므로, 제작 설비 부담이 크고 부재의 취급이 용이하지 않다.
이러한 종래 경량 거푸집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도 2와 같이 횡방향으로 돌기부가 형성된 선조립 경량 거푸집이 개발되었다(등록특허 제10-2177975호).
상기 특허는 돌기부를 횡방향으로 형성하여 콘크리트 측압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키며, 횡방향 돌기부를 이용하여 길이 방향 접합이 가능하므로 보 부재의 길이 변화에 쉽게 대응 가능하다. 또한, 단일판을 절곡하여 형성하므로 제작이 신속하고, 거푸집 일체성이 우수하다.
그러나 상기 특허는 돌기부를 V형으로 절취하여 절곡홈을 형성한 후 데크플레이트를 절곡하여 제작된다. 이에 돌기부 성형 후 돌기부를 일일이 V컷으로 절단 및 절취하므로, 가공 시간과 인력이 지나치게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강판에 미리 절곡홈을 형성한 수 돌기부를 성형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강판 절곡홈으로 인해 롤포밍 가공이 곤란해져 돌기부를 제대로 성형할 수 없다. 더욱이 돌기부가 T형 또는 자 단면인 경우 절취 형상이 복잡하고, 절취 면적이 커 가공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등 제작 효율이 크게 떨어진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종래 경량 거푸집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측압에 대한 우수한 저항성 확보로 강판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으면서 가공이 용이한 철근콘크리트 보용 일체형 강판 거푸집 및 이의 제작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거푸집의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철근콘크리트 보용 일체형 강판 거푸집 및 이의 제작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철근콘크리트 보를 시공하기 위해 하면부재와 상기 하면부재의 양단 상부에 구비되는 한 쌍의 측면부재로 구성되어 U형 단면인 복수의 보 유닛을 길이 방향으로 연결한 일체형 강판 거푸집에서, 상기 하면부재는 제1평판부 및 상기 제1평판부의 상면에 돌출되는 것으로 보 거푸집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 열의 제1보강리브로 구성되고, 상기 측면부재는 제2평판부 및 상기 제2평판부의 내측면에 돌출되는 것으로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 열의 제2보강리브로 구성되되, 상기 보강리브는 평판부에서 수직 절곡되는 수직절곡부와 상기 수직절곡부의 단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절곡되는 수평절곡부로 구성되어, 상기 제1보강리브와 제2보강리브의 수직절곡부는 서로 분리되고, 수평절곡부가 서로 연결되며, 상기 제1평판부와 제2평판부는 단부가 서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콘크리트 보용 일체형 강판 거푸집을 제공한다.
삭제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복수의 보 유닛의 측면부재 상단에는 거치용 앵글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콘크리트 보용 일체형 강판 거푸집을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복수의 보 유닛의 하부 모서리 외측에는 일측 레그와 타측 레그가 각 보 유닛의 제1평판부와 제2평판부 외측면에 각각 고정되는 코너 앵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콘크리트 보용 일체형 강판 거푸집을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강판 거푸집의 내부에는 복수의 스터럽을 연결바로 연결한 스터럽 조립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콘크리트 보용 일체형 강판 거푸집을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철근콘크리트 보용 일체형 강판 거푸집을 제작하기 위한 것으로, (a) 강판을 포밍하여 평판부와 상기 평판부의 상면에 폭 방향으로 복수 열의 보강리브가 돌출된 복수의 데크플레이트 유닛을 제작하는 단계; (b) 상기 복수의 데크플레이트 유닛을 길이 방향으로 서로 연결하여 고정하는 단계; (c) 상기 데크플레이트 유닛의 양 측단에서 강판 거푸집의 높이에 대응되는 위치의 평판부와 수직절곡부를 절단하는 단계; 및 (d) 상기 평판부가 절단된 위치에서 데크플레이트 유닛의 양측을 수직 절곡하여 중앙에 상기 하면부재가 형성되고, 양측에 상기 측면부재가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콘크리트 보용 일체형 강판 거푸집의 제작 방법을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연결된 복수의 데크플레이트 유닛 양단에 거치용 앵글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콘크리트 보용 일체형 강판 거푸집의 제작 방법을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철근콘크리트 보용 일체형 강판 거푸집을 제작하기 위한 것으로, (a) 강판을 포밍하여 평판부와 상기 평판부의 상면에 폭 방향으로 복수 열의 보강리브가 돌출된 복수의 데크플레이트 유닛을 제작하는 단계; (b) 상기 데크플레이트 유닛의 양 측단에서 강판 거푸집의 높이에 대응되는 위치의 평판부와 수직절곡부를 절단하는 단계; (c) 상기 평판부가 절단된 위치에서 데크플레이트 유닛의 양측을 수직 절곡하여 중앙에 상기 하면부재가 형성되고, 양측에 상기 측면부재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보 유닛을 제작하는 단계; 및 (d) 상기 복수의 보 유닛을 길이 방향으로 서로 연결하여 고정하는 단계;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콘크리트 보용 일체형 강판 거푸집의 제작 방법을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연결된 복수의 보 유닛의 측면부재 상단에 거치용 앵글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콘크리트 보용 일체형 강판 거푸집의 제작 방법을 제공한다.
삭제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연결된 복수의 보 유닛의 하부 모서리 외측에는 일측 레그와 타측 레그가 각 보 유닛의 제1평판부와 제2평판부 외측면에 각각 고정되도록 코너 앵글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콘크리트 보용 일체형 강판 거푸집의 제작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면부재와 한 쌍의 측면부재로 구성되는 U형 단면 보 유닛을 길이 방향으로 복수 개 연결하여 형성되는 강판 거푸집에서, 각각 평판부와 복수 열의 보강리브로 구성되는 하면부재와 측면부재의 보강리브가 각 부재의 폭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철근콘크리트 보용 일체형 강판 거푸집 및 이의 제작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보강리브의 구성에 따라 거푸집의 강성을 증대시키고, 내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와의 일체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 측압에 대항 저항성이 우수하여 강판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보강리브의 결합에 의하여 인접하는 보 유닛을 쉽게 결합할 수 있으므로, 보 유닛의 개수를 조절하여 강판 거푸집의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아울러 단일판인 데크플레이트 유닛을 절단 및 절곡하는 과정을 통하여 동시에 하면부재와 측면부재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러므로 가공이 용이하고, 데크플레이트의 규격을 단일화할 수 있어 제작 효율이 크게 향상된다.
도 1은 종방향으로 보강리브가 형성된 종래 선조립 경량 거푸집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횡방향으로 돌기부가 형성된 종래 선조립 경량 거푸집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 철근콘크리트 보용 일체형 강판 거푸집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보 유닛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스터럽 조립체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스터럽 조립체가 구비된 강판 거푸집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7 내지 도 10은 일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 철근콘크리트 보용 일체형 강판 거푸집의 제작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데크플레이트 유닛과 거치용 앵글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2 내지 도 14는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 철근콘크리트 보용 일체형 강판 거푸집의 제작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
도 15는 절단 부위가 점선으로 표시된 데크플레이트 유닛의 사시도.
도 16은 도 10의 A 부분을 도시하는 확대도.
도 2는 횡방향으로 돌기부가 형성된 종래 선조립 경량 거푸집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 철근콘크리트 보용 일체형 강판 거푸집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보 유닛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스터럽 조립체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스터럽 조립체가 구비된 강판 거푸집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7 내지 도 10은 일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 철근콘크리트 보용 일체형 강판 거푸집의 제작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데크플레이트 유닛과 거치용 앵글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2 내지 도 14는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 철근콘크리트 보용 일체형 강판 거푸집의 제작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
도 15는 절단 부위가 점선으로 표시된 데크플레이트 유닛의 사시도.
도 16은 도 10의 A 부분을 도시하는 확대도.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 철근콘크리트 보용 일체형 강판 거푸집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보 유닛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 도 4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철근콘크리트 보용 일체형 강판 거푸집은 철근콘크리트 보를 시공하기 위해 하면부재(10a)와 상기 하면부재(10a)의 양단 상부에 구비되는 한 쌍의 측면부재(10b)로 구성되어 U형 단면인 복수의 보 유닛(10')을 길이 방향으로 연결한 일체형 강판 거푸집(1)에서, 상기 하면부재(10a)는 제1평판부(11a) 및 상기 제1평판부(11a)의 상면에 돌출되는 것으로 보 거푸집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 열의 제1보강리브(12a)로 구성되고, 상기 측면부재(10b)는 제2평판부(11b) 및 상기 제2평판부(11b)의 내측면에 돌출되는 것으로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 열의 제2보강리브(12b)로 구성되되, 상기 제1평판부(11a)와 제2평판부(11b)는 단부가 서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경량 거푸집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측압에 대한 저항성이 우수해 강판 두께를 최소화하면서도 가공이 용이하고, 거푸집의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철근콘크리트 보용 일체형 강판 거푸집 및 이의 제작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강판 거푸집(1)은 하면부재(10a)와 한 쌍의 측면부재(10b)로 구성되어 상부가 개방된 U형 단면인 보 유닛(10')을 복수 개 길이 방향으로 연결하여 형성된다.
상기 보 유닛(10')은 아연도금 강판 등 금속판을 사용하여 제작 가능하다.
상기 하면부재(10a)와 측면부재(10b)는 보의 하면과 측면을 각각 형성하는 평판부(11a, 11b)와 상기 평판부(11a, 11b)의 일측면에 복수 열로 돌출되는 보강리브(12a, 12b)로 구성된다.
상기 보강리브(12a, 12b)는 하면부재(10a)와 측면부재(10b)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거푸집의 강성을 증대시키고, 내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와의 일체성을 확보한다.
상기 보강리브(12a, 12b)는 보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기존 경량 거푸집의 리브와 달리 각 부재(10a, 10b)의 폭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콘크리트 측압에 효율적으로 저항할 수 있다.
종래 보강리브가 부재의 종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경량 거푸집은 두께 1㎜ 이상의 강판을 사용하여야 했다. 이와 달리 본 발명은 보강리브(12a, 12b)가 부재(10a, 10b)의 횡방향으로 형성되어 측압 저항 성능이 향상되므로, 두께 0.5㎜의 강판 사용이 가능하여 경제적이다.
각 보 유닛(10')은 평판부(11a, 11b)의 전단과 후단에 각각 보강리브(12a, 12b)가 돌출 형성될 있다.
이에 따라 인접하는 보 유닛(10') 연결시 보강리브(12a, 12b)를 서로 밀착시켜 용접 등으로 고정하면 되므로, 보 유닛(10')의 개수에 따라 강판 거푸집(1)의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보 유닛(10')은 단일판인 데크플레이트 유닛(10)을 절곡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데크플레이트 유닛(10)은 평판부(11)의 상면에 복수 열의 보강리브(12)가 데크플레이트 유닛(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도 7).
이때, 상기 데크플레이트 유닛(10)의 평판부(11)를 하면부재(10a)와 측면부재(10b)의 위치를 고려하여 2열로 절단할 수 있다. 그리고 보강리브(12)가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데크플레이트 유닛(10)의 양측을 상부로 수직 절곡한다. 즉, 데크플레이트 유닛(10)의 절곡부 위치가 평판부(11)를 절단하는 절단선(100)이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데크플레이트 유닛(10)의 중앙부는 하면부재(10a)를 형성하고, 하면부재(10a) 양측의 수직 방향으로 절곡된 부분은 측면부재(10b)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데크플레이트 유닛(10) 절곡시 평판부(11)가 절곡되는 것이 아니라 보강리브(12)가 절곡된다. 그러므로 제1보강리브(12a)와 제2보강리브(12b)는 서로 연결되고, 제1평판부(11a)와 제2평판부(11b)는 단부가 서로 이격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단일판인 데크플레이트 유닛(10)으로 동시에 하면부재(10a)와 측면부재(10b)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러므로 데크플레이트의 규격을 단일화할 수 있어 제작 효율이 크게 향상된다.
상기 평판부(11)는 엠보싱 돌부(111)를 형성하여 보강할 수 있다(도 4).
상기 강판 거푸집(1)의 변형을 방지하고, 양중시 양중바를 연결할 수 있도록 양측 측면부재(10b)의 상단에는 띠철판 등 폭고정부재(4)를 용접하여 상호 연결할 수 있다(도 3).
도 4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강리브(12a, 12b)는 평판부(11a, 11b)에서 수직 절곡되는 수직절곡부(121a, 121b)와 상기 수직절곡부(121a, 121b)의 단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절곡되는 수평절곡부(122a, 122b)로 구성되어, 상기 제1보강리브(12a)와 제2보강리브(12b)의 수직절곡부(121a, 121b)는 서로 분리되고, 수평절곡부(122a, 122b)가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보강리브(12a, 12b)는 평판부(11a, 11b)에서 일체로 수직 절곡되는 수직절곡부(121a, 121b)와 상기 수직절곡부(121a, 121b)의 단부에서 수평 방향, 즉 평판부(11a, 11b)와 평행한 방향으로 수직 절곡되는 수평절곡부(122a, 122b)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수평절곡부(122a, 122b)는 수직절곡부(121a, 121b)의 일측 또는 양측으로 절곡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보강리브(12a, 12b)는 ㄱ자 또는 T자 형상으로 형성 가능하다.
상기 수평절곡부(122a, 122b)는 보강리브(12a, 12b)의 단면계수를 증가시켜 강성을 향상시킨다.
상기 제1보강리브(12a)와 제2보강리브(12b)의 수직절곡부(121a, 121b)는 하면부재(10a)와 측면부재(10b)가 연결되는 절단선(100)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므로, 데크플레이트 유닛(10) 절곡시 찌그러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데크플레이트 유닛(10)의 평판부(11) 절단시 보강리브(12)의 수직절곡부(121)까지 같이 절단하고, 수직절곡부(121) 상부의 수평절곡부(122) 부분만 하면부재(10a)와 측면부재(10b) 측이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평절곡부(122)는 절단선(100)과 평행하므로 절곡이 용이하고, 절곡시 찌그러질 우려가 없다.
이 경우 상기 데크플레이트 유닛(10)의 일정 부분을 절취하는 것이 아니라 평판부(11)와 수직절곡부(121)를 일직선으로 절단하는 것이므로, 강판을 롤포밍하여 보강리브(12)가 형성된 데크플레이트 유닛(10)을 제작한 상태에서 평판부(11)와 수직절곡부(121)를 동시에 절단 가능하다.
즉, 롤포밍 과정에서 강판에 절개부가 없으므로 롤포밍 작업이 용이하고, 롤포밍시 보강리브(12)의 형상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절단장비의 절단 깊이를 조절하여 데크플레이트 유닛(10)의 평판부(11)와 수직절곡부(121)를 1회 연속 커팅으로 절단할 수 있으므로 제작 효율이 우수하고, 제작 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다.
한편, 도 7, 도 15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평판부(11)의 전단과 후단에 위치하는 보강리브(12)는 인접하는 보 유닛(10')과의 견고한 접합을 위해 수평절곡부(122)의 단부에서 하부로 수직 절곡된 연장절곡부(123)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평판부(11) 및 수직절곡부(121) 절단시 연장절곡부(123)도 같이 절단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데크플레이트 유닛(10)의 보강리브(12) 형상과 상관없이, 보강리브(12) 형성 후 수평절곡부(122)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일직선으로 절단하여 절곡하기만 하면 보 유닛(10')을 제작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보강리브(12)의 형상을 자유롭게 형성하여도 제작 효율에 지장을 주지 않는다.
도 3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보 유닛(10')의 측면부재(10b) 상단에는 거치용 앵글(2)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강판 거푸집(1)을 현장 설치한 후 강판 거푸집(1)의 측면부재(10b) 상단에는 슬래브 데크(미도시)가 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측면부재(10b)는 두께가 얇은 제2평판부(11b)와 제2보강리브(12b)로 형성되므로 슬래브 데크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어렵고, 슬래브 데크와 접촉 면적이 작아 콘크리트 타설시 페이스트가 유출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슬래브 데크를 안정적으로 거치하고, 콘크리트 페이스트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측면부재(10b)의 상단에 거치용 앵글(2)을 결합할 수 있다.
상기 거치용 앵글(2)은 일측 레그는 측면부재(10b)의 외측면에 고정하고, 타측 레그는 제2평판부(11b)와 제2보강리브(12b)의 상단을 덮어 이웃하는 제2보강리브(12b) 사이 공간을 폐쇄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복수의 데크플레이트 유닛(10)을 서로 연결한 상태에서 데크플레이트 유닛(10)을 절곡하는 경우, 복수의 데크플레이트 유닛(10)을 동시에 동일하게 절곡하기 위해서는 복수의 데크플레이트 유닛(10)의 일체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상기 거치용 앵글(2)은 데크플레이트 유닛(10)의 양단에서 인접하는 데크플레이트 유닛(10)들을 상호 연결하여 일체화함으로써 절곡 작업을 용이하게 한다.
도 3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보 유닛(10')의 하부 모서리 외측에는 일측 레그와 타측 레그가 각 보 유닛(10')의 제1평판부(11a)와 제2평판부(11b) 외측면에 각각 고정되는 코너 앵글(3)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데크플레이트 유닛(10) 절곡시 보강리브(12)를 절곡하여 보 유닛(10')의 하면부재(10a)와 측면부재(10b)를 형성하므로, 하면부재(10a)의 제1평판부(11a)와 측면부재(10b)의 제2평판부(11b) 사이가 이격되어 공간이 형성된다.
이에 콘크리트 타설을 위해서는 상기 공간을 폐쇄하여야 한다.
상기 공간은 별도의 거푸집이나 강판을 덧대 폐쇄할 수 있다. 그러나 부재(10a, 10b)의 절곡 각도를 유지하고, 보 유닛(10')의 모서리를 보강하여 측압을 지지할 수 있도록 강판 거푸집(1)의 하부 모서리 양측에 별도의 코너 앵글(3)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코너 앵글(3)은 서로 연결되는 복수의 보 유닛(10')을 일체화하여 지지함으로써 거푸집 강성을 증대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강판 거푸집(1)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거치용 앵글(2)과 코너 앵글(3)이 강판 거푸집(1)의 길이 방향으로 연속되게 구비되고, 거치용 앵글(2)과 코너 앵글(3) 사이에 보강리브(12)가 앵글(2, 3)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내부 보강 부재 없이도 측압에 효과적으로 저항 가능하다.
도 5는 스터럽 조립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6은 스터럽 조립체가 구비된 강판 거푸집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강판 거푸집(1)의 내부에는 복수의 스터럽(51)을 연결바(52)로 연결한 스터럽 조립체(5)가 구비될 수 있다.
철근콘크리트 보에는 전단력을 지지하고 상부 철근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스터럽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스터럽은 강판 조립보 설치 후 현장에서 설치 가능하다. 그러나 도 5와 같이 복수의 스터럽(51)을 연결바(52)로 연결한 스터럽 조립체(5)를 강판 조립보 내에 설치하는 경우 현장 작업을 최소화할 수 있어 편리하다.
상기 연결바(52)는 보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스터럽(51)을 상호 고정하여 이웃하는 스터럽(51)의 간격을 유지한다.
상기 스터럽 조립체(5)는 공장 제작 단계에서 강판 거푸집(1) 내부에 미리 설치할 수 있다. 또한, 현장에서 강판 조립보 설치 후 별도로 스터럽 조립체(5)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 내지 도 10은 일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 철근콘크리트 보용 일체형 강판 거푸집의 제작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 철근콘크리트 보용 일체형 강판 거푸집의 제작 방법은 전술한 본 발명 철근콘크리트 보용 일체형 강판 거푸집을 제작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강판 거푸집은 도 3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전술한 바와 같다.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는 복수의 데크플레이트 유닛(10)을 먼저 연결한 후 동시에 절곡하는 제1실시예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먼저, (a) 강판을 포밍하여 평판부(11)와 상기 평판부(11)의 상면에 폭 방향으로 복수 열의 보강리브(12)가 돌출된 복수의 데크플레이트 유닛(10)을 제작한다(도 7).
즉, 강판을 포밍하여 평판부(11)의 상면에 횡방향으로 복수 열의 보강리브(12)가 돌출 형성된 데크플레이트 유닛(10)을 복수 개 제작한다.
이때, 상기 데크플레이트 유닛(10)의 폭은 일정한 값으로 규격화하고, 길이는 보의 폭과 양측 높이를 더한 값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데크플레이트 유닛(10)의 폭은 450㎜로 할 수 있다.
여기에서 데크플레이트 유닛(10)의 폭은 보강리브(12)와 직교하는 방향의 크기이고, 데크플레이트 유닛(10)의 길이는 보강리브(12)의 길이 방향 크기를 의미한다.
그리고 (b) 상기 복수의 데크플레이트 유닛(10)을 길이 방향으로 서로 연결하여 고정한다(도 8).
상기 (b) 단계에서는 평판 형태인 데크플레이트 유닛(10)을 폭 방향으로 이웃하도록 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 연결한다.
즉, 상기 데크플레이트 유닛(10)의 폭 방향은 강판 거푸집(1)의 길이 방향이 된다.
상기 데크플레이트 유닛(10)의 개수는 보의 길이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인접하는 데크플레이트 유닛(10)은 최외측 보강리브(12)를 상호 밀착시켜 용접 등으로 고정함으로써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이후, (c) 상기 데크플레이트 유닛(10)의 양 측단에서 강판 거푸집(1)의 높이에 대응되는 위치의 평판부(11)와 수직절곡부(121)를 절단한다(도 9).
상기 (c) 단계에서는 복수의 데크플레이트 유닛(10)이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하면부재(10a)와 측면부재(10b)의 경계부인 절곡될 부위의 평판부(11)와 수직절곡부(121)를 절단한다.
즉, 상기 데크플레이트 유닛(10)의 길이 방향 양 측단에서 강판 거푸집(1)의 높이, 즉 보의 춤에 대응되는 위치의 평판부(11)를 절단선(100)을 따라 연속으로 절단한다.
상기 측면부재(10b)는 하면부재(10a)의 양측에 절곡 형성되므로, 데크플레이트 유닛(10)의 평판부(11)는 2열로 절단한다.
마지막으로 (d) 상기 평판부(11)가 절단된 위치에서 데크플레이트 유닛(10)의 양측을 수직 절곡하여 중앙에 상기 하면부재(10a)가 형성되고, 양측에 상기 측면부재(10b)가 형성되도록 한다(도 10).
즉, 2열로 절단된 평판부(11) 부위를 따라 데크플레이트 유닛(10)을 절곡하여 데크플레이트 유닛(10)의 양측을 수직 방향으로 세운다.
이에 따라 상기 데크플레이트 유닛(10)의 중앙부는 하면부재(10a), 양측은 측면부재(10b)를 이루게 된다.
상기 데크플레이트 유닛(10)의 절곡 이후, 양측 측면부재(10b)의 상단은 폭고정부재(4)로 연결할 수 있다.
도 11은 데크플레이트 유닛과 거치용 앵글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연결된 복수의 데크플레이트 유닛(10) 양단에 거치용 앵글(2)을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측면부재(10b)의 상단에 거치용 앵글(2)이 구비되는 경우, 데크플레이트 유닛(10)의 절단 및 절곡 전에 복수 매가 상호 연결된 데크플레이트 유닛(10)의 양단에 거치용 앵글(2)을 미리 결합할 수 있다.
상기 거치용 앵글(2)은 복수의 데크플레이트 유닛(10)을 상호 일체화하므로, 데크플레이트 유닛(10)의 절단 및 절곡 작업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2 내지 도 14는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 철근콘크리트 보용 일체형 강판 거푸집의 제작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 철근콘크리트 보용 일체형 강판 거푸집의 제작 방법도 본 발명 철근콘크리트 보용 일체형 강판 거푸집을 제작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도 12 내지 도 14에는 각 데크플레이트 유닛(10)을 절곡하여 보 유닛(10')을 제작한 후 복수의 보 유닛(10')을 연결하는 제2실시예가 도시된다.
앞선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 경우에도 (a) 강판을 포밍하여 평판부(11)와 상기 평판부(11)의 상면에 폭 방향으로 복수 열의 보강리브(12)가 돌출된 복수의 데크플레이트 유닛(10)을 제작하는 단계가 먼저 실시된다(도 7).
그리고 (b) 상기 데크플레이트 유닛(10)의 양 측단에서 강판 거푸집(1)의 높이에 대응되는 위치의 평판부(11)와 수직절곡부(121)를 절단한다(도 12).
상기 (b) 단계에서는 각 데크플레이트 유닛(10)에 대해 절곡될 위치에서 평판부(11)와 수직절곡부(121)를 절단한다.
이후, (c) 상기 평판부(11)가 절단된 위치에서 데크플레이트 유닛(10)의 양측을 수직 절곡하여 중앙에 상기 하면부재(10a)가 형성되고, 양측에 상기 측면부재(10b)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보 유닛(10')을 제작한다(도 13).
즉, 상기 데크플레이트 유닛(10)의 평판부(11)가 절단된 부위를 절곡하여, 상부가 개방된 U형 단면의 보 유닛(10')을 제작한다.
마지막으로 (d) 상기 복수의 보 유닛(10')을 길이 방향으로 서로 연결하여 고정한다(도 14).
상기 (d) 단계에서는 복수의 보 유닛(10')을 보의 길이 방향으로 상호 연결하여 강판 거푸집(1)을 제작한다.
이때, 인접하는 보 유닛(10')은 최외곽 보강리브(12a, 12b)를 밀착시켜 용접 등에 의해 고정하여 연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d) 단계에서는 상기 연결된 복수의 보 유닛(10')의 측면부재(10b) 상단에 거치용 앵글(2)을 결합할 수 있다(도 3).
각 데크플레이트 유닛(10)을 먼저 절곡하여 개별적으로 보 유닛(10')을 제작하는 경우, 복수의 보 유닛(10')을 상호 연결한 후 연속 배치되는 복수의 측면부재(10b) 상단에 거치용 앵글(2)을 결합할 수 있다.
도 15는 절단 부위가 점선으로 표시된 데크플레이트 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0의 A 부분을 도시하는 확대도이다.
도 15,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강리브(12)는 평판부(11)에서 수직 절곡되는 수직절곡부(121)와 상기 수직절곡부(121)의 단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절곡되는 수평절곡부(122)로 구성되어, 상기 데크플레이트 유닛(10)의 평판부(11) 절단시 수직절곡부(121)까지 동시에 절단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보강리브(12)의 강성을 확보하기 위해 보강리브(12)는 수직절곡부(121)와 수평절곡부(122)로 형성하여 ㄱ자 또는 T자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데크플레이트 유닛(10)의 절곡을 용이하게 하고, 보강리브(12)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데크플레이트 유닛(10)의 평판부(11) 절단시 보강리브(12)의 수직절곡부(121)까지 함께 절단할 수 있다.
1: 강판 거푸집 10: 데크플레이트 유닛
10': 보 유닛 10a: 하면부재
11a: 제1평판부 12a: 제1보강리브
10b: 측면부재 11b: 제2평판부
12b: 제2보강리브 100: 절단선
11: 평판부 111: 돌부
12: 보강리브 121: 수직절곡부
122: 수평절곡부 123: 연장절곡부
2: 거치용 앵글 3: 코너 앵글
4: 폭고정부재 5: 스터럽 조립체
51: 스터럽 52: 연결바
10': 보 유닛 10a: 하면부재
11a: 제1평판부 12a: 제1보강리브
10b: 측면부재 11b: 제2평판부
12b: 제2보강리브 100: 절단선
11: 평판부 111: 돌부
12: 보강리브 121: 수직절곡부
122: 수평절곡부 123: 연장절곡부
2: 거치용 앵글 3: 코너 앵글
4: 폭고정부재 5: 스터럽 조립체
51: 스터럽 52: 연결바
Claims (11)
- 철근콘크리트 보를 시공하기 위해 하면부재(10a)와 상기 하면부재(10a)의 양단 상부에 구비되는 한 쌍의 측면부재(10b)로 구성되어 U형 단면인 복수의 보 유닛(10')을 길이 방향으로 연결한 일체형 강판 거푸집(1)에서,
상기 하면부재(10a)는 제1평판부(11a) 및 상기 제1평판부(11a)의 상면에 돌출되는 것으로 보 거푸집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 열의 제1보강리브(12a)로 구성되고,
상기 측면부재(10b)는 제2평판부(11b) 및 상기 제2평판부(11b)의 내측면에 돌출되는 것으로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 열의 제2보강리브(12b)로 구성되되,
상기 보강리브(12a, 12b)는 평판부(11a, 11b)에서 수직 절곡되는 수직절곡부(121a, 121b)와 상기 수직절곡부(121a, 121b)의 단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절곡되는 수평절곡부(122a, 122b)로 구성되어, 상기 제1보강리브(12a)와 제2보강리브(12b)의 수직절곡부(121a, 121b)는 서로 분리되고, 수평절곡부(122a, 122b)가 서로 연결되며,
상기 제1평판부(11a)와 제2평판부(11b)는 단부가 서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콘크리트 보용 일체형 강판 거푸집.
- 삭제
- 제1항에서,
상기 복수의 보 유닛(10')의 측면부재(10b) 상단에는 거치용 앵글(2)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콘크리트 보용 일체형 강판 거푸집.
- 제1항에서,
상기 복수의 보 유닛(10')의 하부 모서리 외측에는 일측 레그와 타측 레그가 각 보 유닛(10')의 제1평판부(11a)와 제2평판부(11b) 외측면에 각각 고정되는 코너 앵글(3)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콘크리트 보용 일체형 강판 거푸집.
- 제1항에서,
상기 강판 거푸집(1)의 내부에는 복수의 스터럽(51)을 연결바(52)로 연결한 스터럽 조립체(5)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콘크리트 보용 일체형 강판 거푸집.
- 제1항에 의한 철근콘크리트 보용 일체형 강판 거푸집을 제작하기 위한 것으로,
(a) 강판을 포밍하여 평판부(11)와 상기 평판부(11)의 상면에 폭 방향으로 복수 열의 보강리브(12)가 돌출된 복수의 데크플레이트 유닛(10)을 제작하는 단계;
(b) 상기 복수의 데크플레이트 유닛(10)을 길이 방향으로 서로 연결하여 고정하는 단계;
(c) 상기 데크플레이트 유닛(10)의 양 측단에서 강판 거푸집(1)의 높이에 대응되는 위치의 평판부(11)와 수직절곡부(121)를 절단하는 단계; 및
(d) 상기 평판부(11)가 절단된 위치에서 데크플레이트 유닛(10)의 양측을 수직 절곡하여 중앙에 상기 하면부재(10a)가 형성되고, 양측에 상기 측면부재(10b)가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콘크리트 보용 일체형 강판 거푸집의 제작 방법.
- 제6항에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연결된 복수의 데크플레이트 유닛(10) 양단에 거치용 앵글(2)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콘크리트 보용 일체형 강판 거푸집의 제작 방법.
- 제1항에 의한 철근콘크리트 보용 일체형 강판 거푸집을 제작하기 위한 것으로,
(a) 강판을 포밍하여 평판부(11)와 상기 평판부(11)의 상면에 폭 방향으로 복수 열의 보강리브(12)가 돌출된 복수의 데크플레이트 유닛(10)을 제작하는 단계;
(b) 상기 데크플레이트 유닛(10)의 양 측단에서 강판 거푸집(1)의 높이에 대응되는 위치의 평판부(11)와 수직절곡부(121)를 절단하는 단계;
(c) 상기 평판부(11)가 절단된 위치에서 데크플레이트 유닛(10)의 양측을 수직 절곡하여 중앙에 상기 하면부재(10a)가 형성되고, 양측에 상기 측면부재(10b)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보 유닛(10')을 제작하는 단계; 및
(d) 상기 복수의 보 유닛(10')을 길이 방향으로 서로 연결하여 고정하는 단계;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콘크리트 보용 일체형 강판 거푸집의 제작 방법.
- 제8항에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연결된 복수의 보 유닛(10')의 측면부재(10b) 상단에 거치용 앵글(2)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콘크리트 보용 일체형 강판 거푸집의 제작 방법.
- 삭제
- 제6항 또는 제8항에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연결된 복수의 보 유닛(10')의 하부 모서리 외측에는 일측 레그와 타측 레그가 각 보 유닛(10')의 제1평판부(11a)와 제2평판부(11b) 외측면에 각각 고정되도록 코너 앵글(3)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콘크리트 보용 일체형 강판 거푸집의 제작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58193A KR102317808B1 (ko) | 2021-05-04 | 2021-05-04 | 철근콘크리트 보용 일체형 강판 거푸집 및 이의 제작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58193A KR102317808B1 (ko) | 2021-05-04 | 2021-05-04 | 철근콘크리트 보용 일체형 강판 거푸집 및 이의 제작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17808B1 true KR102317808B1 (ko) | 2021-10-25 |
Family
ID=78258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58193A KR102317808B1 (ko) | 2021-05-04 | 2021-05-04 | 철근콘크리트 보용 일체형 강판 거푸집 및 이의 제작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17808B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21077B1 (ko) * | 2021-12-14 | 2022-07-15 | 주식회사 반석티브이에스 | 철근콘크리트 보용 일체형 강판 거푸집의 제작 방법 |
KR102455353B1 (ko) * | 2021-11-23 | 2022-10-17 | 조강옥 | 무 해체 보 거푸집의 개량구조 |
KR20230105489A (ko) * | 2022-01-04 | 2023-07-11 | (주)제이아이테크 | 현장 절곡 제작형 비탈형 보 거푸집 및 이의 제작 방법 |
KR20230105488A (ko) * | 2022-01-04 | 2023-07-11 | (주)제이아이테크 | 제조·조립분리형 비탈형 보 거푸집의 시공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공장 제작형 비탈형 보 거푸집 |
KR102658814B1 (ko) * | 2023-08-21 | 2024-04-18 | 주식회사 반석티브이에스 | 모서리가 보강된 철근콘크리트 보 타설용 데크 거푸집 및 이의 제작 방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101338A (ja) * | 1992-09-18 | 1994-04-12 | Kajima Corp | 梁用型枠 |
KR20120062156A (ko) * | 2010-12-06 | 2012-06-14 | 이창남 | 공장용접 철근보에 박강판거푸집을 부착하는 공법 |
KR101384609B1 (ko) * | 2013-04-18 | 2014-04-11 | 이병희 | 측판 강성이 보강된 조립식 보 거푸집 |
KR20200081732A (ko) * | 2018-12-28 | 2020-07-08 | 우선애 |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보 거푸집 시스템 및 보 거푸집 제작설치방법 |
-
2021
- 2021-05-04 KR KR1020210058193A patent/KR102317808B1/ko active IP Right Review Reques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101338A (ja) * | 1992-09-18 | 1994-04-12 | Kajima Corp | 梁用型枠 |
KR20120062156A (ko) * | 2010-12-06 | 2012-06-14 | 이창남 | 공장용접 철근보에 박강판거푸집을 부착하는 공법 |
KR101384609B1 (ko) * | 2013-04-18 | 2014-04-11 | 이병희 | 측판 강성이 보강된 조립식 보 거푸집 |
KR20200081732A (ko) * | 2018-12-28 | 2020-07-08 | 우선애 |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보 거푸집 시스템 및 보 거푸집 제작설치방법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55353B1 (ko) * | 2021-11-23 | 2022-10-17 | 조강옥 | 무 해체 보 거푸집의 개량구조 |
KR102421077B1 (ko) * | 2021-12-14 | 2022-07-15 | 주식회사 반석티브이에스 | 철근콘크리트 보용 일체형 강판 거푸집의 제작 방법 |
KR20230090212A (ko) * | 2021-12-14 | 2023-06-21 | 주식회사 반석티브이에스 | 철근콘크리트 보용 일체형 강판 거푸집의 제작 방법 |
KR102658813B1 (ko) * | 2021-12-14 | 2024-04-18 | 주식회사 반석티브이에스 | 철근콘크리트 보용 일체형 강판 거푸집의 제작 방법 |
KR20230105489A (ko) * | 2022-01-04 | 2023-07-11 | (주)제이아이테크 | 현장 절곡 제작형 비탈형 보 거푸집 및 이의 제작 방법 |
KR20230105488A (ko) * | 2022-01-04 | 2023-07-11 | (주)제이아이테크 | 제조·조립분리형 비탈형 보 거푸집의 시공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공장 제작형 비탈형 보 거푸집 |
KR102620108B1 (ko) * | 2022-01-04 | 2024-01-02 | (주)제이아이테크 | 제조·조립분리형 비탈형 보 거푸집의 시공방법 |
KR102625281B1 (ko) * | 2022-01-04 | 2024-01-15 | (주)제이아이테크 | 현장 절곡 제작형 비탈형 보 거푸집의 제작 방법 |
KR102658814B1 (ko) * | 2023-08-21 | 2024-04-18 | 주식회사 반석티브이에스 | 모서리가 보강된 철근콘크리트 보 타설용 데크 거푸집 및 이의 제작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17808B1 (ko) | 철근콘크리트 보용 일체형 강판 거푸집 및 이의 제작 방법 | |
KR102054364B1 (ko) | 측판 분할형 선조립 경량 거푸집 | |
KR102401463B1 (ko) | 절곡강판을 이용한 비탈형 보 거푸집 | |
KR101805900B1 (ko) | 지하구조물 시공용 거푸집 틀을 이용한 지하 구조물의 시공방법 | |
KR101191502B1 (ko) | 트러스근 일체형 비대칭 에이치형강 합성보 및 엔드빔을 이용한 구조 시스템 | |
KR102080594B1 (ko) | 커플거더 | |
KR101875749B1 (ko) | 건축물용 박스형 강합성보 및 이를 제작하는 방법 | |
KR102271271B1 (ko) | 해체용 보 거푸집 | |
KR102184887B1 (ko) | 경사형 폐합 마구리부를 갖는 강재 데크의 제조방법 및 강재 데크 | |
KR20200014181A (ko) | 스페이서를 구비한 장스팬용 데크플레이트 | |
KR200405361Y1 (ko) | 슬라이딩 엔드 패널 | |
JP4285826B2 (ja) | ハーフpc部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床スラブと壁体の施工方法 | |
KR102658813B1 (ko) | 철근콘크리트 보용 일체형 강판 거푸집의 제작 방법 | |
KR102658814B1 (ko) | 모서리가 보강된 철근콘크리트 보 타설용 데크 거푸집 및 이의 제작 방법 | |
KR102620108B1 (ko) | 제조·조립분리형 비탈형 보 거푸집의 시공방법 | |
KR101499069B1 (ko) | 장경간 슬래브에 사용되는 강재 거푸집 | |
KR102429962B1 (ko) | 폭변동부를 갖는 강판거푸집보 및 폭변동부를 갖는 강판거푸집보와 춤이 깊은 데크플레이트를 적용한 건식화 공법 | |
JP6401883B1 (ja) | デッキプレートとそれに用いられるデッキプレート固定金具 | |
KR102688888B1 (ko) | 타이바 삽입홈이 형성된 골형 데크 및 이를 이용한 철골 수평 조립체 | |
KR101609616B1 (ko) | 중공슬래브 형성을 위한 철골 수평 조립체 | |
KR20130065667A (ko) | 철근트러스 일체형 합성 데크플레이트 및 그 제조방법 | |
CN218622852U (zh) | 一种叠合预制板轻钢c型麻面干法连接节点 | |
KR102654294B1 (ko) | 대칭형 보강리브가 구비된 무용접 유닛 강판 거푸집 | |
KR20090023796A (ko) | 춤이 깊은 데크 플레이트 | |
KR200420294Y1 (ko) | 비대칭 에이치빔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J204 |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100002717;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20930 Effective date: 202308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