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1842B1 - 무해체 보거푸집 - Google Patents

무해체 보거푸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1842B1
KR102341842B1 KR1020210009523A KR20210009523A KR102341842B1 KR 102341842 B1 KR102341842 B1 KR 102341842B1 KR 1020210009523 A KR1020210009523 A KR 1020210009523A KR 20210009523 A KR20210009523 A KR 20210009523A KR 102341842 B1 KR102341842 B1 KR 1023418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ide plate
formwork
extension
d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9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희경
Original Assignee
신희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희경 filed Critical 신희경
Priority to KR10202100095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18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18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18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17Floor structures partly formed in situ
    • E04B5/23Floor structures partly formed in situ with stiffening ribs or other beam-like formations wholly or partly prefabricated
    • E04B5/29Floor structures partly formed in situ with stiffening ribs or other beam-like formations wholly or partly prefabricated the prefabricated parts of the beams consisting wholly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9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 E04C3/29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the materials being steel and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해체 보거푸집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보를 성형하며 데크 플레이트가 고정설치될 수 있는 무해체 보 거푸집에 있어서, 하부판과, 상기 하부판에서 수직으로 세워지는 측판을 포함하는 거푸집 본체; 상기 거푸집 본체의 내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스트럽; 및 상기 거푸집 본체와 상기 스트럽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거푸집 본체와 상기 스트럽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고정바로서, 상기 하부판의 상면에 마련되는 하부바와, 상기 측판의 내면에 마련되는 측면바로 이루어지는 고정바;를 포함하되, 상기 거푸집 본체의 측판은, 하부판에 연결되고 수직하게 세워지는 측판본체와, 상기 측판본체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며 그 상면에 데크플레이트의 하면에 접촉될 수 있는 지지판을 포함하되, 상기 지지판에는, 측판본체의 상단보다 상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하고 있어서 데크플레이트의 하면이 지지판에 안착될 때 돌출부가 눌려서 지지판이 탄성변형됨으로서 데크플레이트의 하면에 지지판의 상면이 밀착접촉될 수 있게 하는 무해체 보거푸집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무해체 보거푸집{Non-disband beam mold}
본 발명은 무해체 보거푸집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데크플레이트에 체결되어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무해체 보거푸집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 시공 현장에서의 거푸집 시공과정을 보면, 바닥면에 철근을 배근하고 그 위에 기초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에 상기 철근에 연결하여 수직 수평 철근을 격자형으로 배치하고, 가는 철사로 상기 철근을 교차하는 지점에서 결속한 다음 거푸집을 설치한다.
이러한 종래의 거푸집은 목수들이 현장에서 도면에 따라 합판과 각재를 절단가공하여 거푸집을 만든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 후에는 거푸집을 해체해야 하므로 해체과정에서 대부분이 훼손되어 재사용이 불가하며 오히려 쓰레기로 처리해야 하는 이중 부담이 되었다.
또한, 아파트와 대형 건물에는 공장제작의 구조체를 벽체 또는 슬라브로 사용하는 공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는 구조체 자체의 부피 및 하중이 커서 운반의 어려움이 있고 설치시에는 타워크레인 같은 대형 기중기가 동원되어야 했다.
그리고 세로 타이가 골조면에 돌출되는 단점이 있어 세로 타이의 절단 작업이 필요하며 작업시 생기는 골조면의 흠집을 제거하는 모르타르 작업을 병행해야 한다.
아울러 벽체에서 철근 배근 구조와 거푸집은 서로 연관되지 않고 분리된 구조로 되어 있어 거푸집과 철근과의 적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고정시켜야 하고, 거푸집을 지지하기 위해 벽체의 측면과 슬라브의 하단에 지지부재를 설치하여야 하는 등의 별도의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 일반적인 거푸집에 의하면, 철근의 배근시 복잡성, 거푸집과 배근 사이의 일정한 간격을 유지해야 하는 시공의 난이성, 거푸집의 지지대의 설치로 인해 작업환경이 복잡해지고,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다는 문제점과 거푸집 제거 작업과 흠집제거 작업 및 세로타이 돌출부 제거 작업으로 인해 인건비 상승과 공기가 연장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근래 들어 무해체 벽체 및 슬라브 거푸집이 제시된 바 있다.
이와 같은 무해체 벽체 및 슬라브 거푸집은 공장제작이 가능하므로 블록 구조체, 블록, 볼트 등을 통해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고, 벽체부의 배근 작업을 내부 연결봉과 볼트, 플랫타이의 결합으로 해결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거푸집과 배근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시공의 난이성을 감소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인력을 상대적으로 줄일 수 있었다.
또, 기존의 벽체와 슬라브의 거푸집 작업시는 다수의 지지부재를 설치해야 함으로써 공사장이 복잡해지고 작업공간이 그만큼 협소해졌으나, 블록 구조체에 삽입된 볼트와 연결되는 플랫타이 및 내부 연결봉의 인장력을 통해, 그리고 층간베이스 형강과 블록구조체와 볼트결합으로 인해 블록구조체 상호간과 층간구획부를 위한 별도의 지지부재를 사용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작업공간을 보다 깨끗하고 넓게 이용할 수 있으며, 지지부재의 설치 비용을 줄일 수 있었다.
아울러 콘크리트 양생 후 벽체 및 슬라브의 거푸집을 해체할 필요가 없어 작업의 효율은 물론이고 공기의 단축과 공사비의 절감할 수 있어 최근들어 무해체 거푸집이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건축자재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데크 플레이트(deck plate)라 함은 건축 구조물의 바닥판을 형성함에 있어 거푸집 대용으로서 콘크리트 타설 후에도 해체되지 않고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도록 아연도 강판과 같은 금속제 플레이트를 일정하게 가공하여 소정 크기의 판 상으로 제조된 슬래브용 자재를 말한다.
이와 같은 데크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슬래브 구조체를 구축시공하게 되면 바닥 콘크리트 공사용 형틀이 필요 없으므로 가설 공사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단위 제품을 보 상부에 연속적으로 거치 고정하는 것만으로 시공이 이루어지므로 공사를 신속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아울러 공장 생산된 제품을 사용함으로써 일정 이상의 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등의 여러 가지 장점이 있는 바, 최근 들어서는 이와 같이 데크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슬래브 구조체를 시공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데크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바닥 슬래브를 형성함에 있어서는 콘크리트의 타설시의 압력이나 기타 시공중의 외력에 의해 설치된 데크 플레이트가 정위치로부터 밀려 이탈할 가능성이 있으며, 이 경우 자칫 데크 플레이트가 붕괴함으로써 대형 사고가 일어날 우려가 있게 된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데크 플레이트를 설치한 후에는 그 단부 부위를 철골보나 RC보 거푸집의 상부면에 견고히 고정시킬 것이 요구되고 있다.
종래 일반적인 무해체 보 거푸집과 데크 플레이트의 결합구조를 도 1을 참조하면서 살펴보면, 보들의 외측에 설치되는 무해체 보 거푸집(10)들의 상면에 데크 플레이트 받침판(11)을 절곡 형성하고, 바닥기판(21)의 상부에 고정 설치된 트리거 거더(22)의 양단부에 데크 수직 고정봉(23)이 구비된 데크 플레이트(20)를 두 보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두 무해체 보 거푸집(10) 사이에 재치시키되, 상기 데크 플레이트(20)의 바닥기판(21) 양측 일부를 포함하여 데크 수직 고정봉(23)들이 각각 두 무해체 보 거푸집(10)들의 데크 플레이트 받침판(11) 상면에 올려지도록 한 다음, 용접을 통해 상기 데크 플레이트(20)의 데크 수직 고정봉(23) 또는 바닥기판(21)을 무해체 보 거푸집(10)의 데크 플레이트 받침판(11)에 일체로 고정시켜 주거나 또는 나사못을 이용하여 데크 플레이트(20)의 바닥기판(21)을 무해체 보 거푸집(10)의 데크 플레이트 받침판(11)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결합구조를 갖고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구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에 있다.
무해체 보 거푸집과 데크 플레이트를 상호 결합한 후에는 보 거푸집에 콘크리트 액을 타설한 후에 경화시키는 공정을 수반하게 되는데, 보 거푸집 내에 투입된 콘크리트 액 중 일부는 보 거푸집을 넘어서 외부로 유출되는 일이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보 거푸집과 데크플레이트의 체결부위를 통하여 콘크리트액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경우가 있게 된다.
해체되어 제거되는 보 거푸집과 달리 무해체 보거푸집은 작업후에도 경화된 콘크리트와 함께 건물내에 계속 남아있게 되는데, 콘크리트 액이 보거푸집의 외측면에 흘러내린 상태로 남아 있게 되는 경우에는 미관상 좋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서 통상적으로는 보 거푸집 외관의 오염을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청소공정을 추가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서 비용이 증가함은 물론 청소과정에서 콘크리트 액으로 인한 환경오염이 발생하는 등 다양한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타설과정에서 콘크리트 액이 흘러넘처 외관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무해체 보거푸집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기술적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무해체 보거푸집은, 건축물의 보를 성형하며 데크 플레이트가 고정설치될 수 있는 무해체 보 거푸집에 있어서,
하부판과, 상기 하부판에서 수직으로 세워지는 측판을 포함하는 거푸집 본체;
상기 거푸집 본체의 내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스트럽; 및
상기 거푸집 본체와 상기 스트럽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거푸집 본체와 상기 스트럽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고정바로서, 상기 하부판의 상면에 마련되는 하부바와, 상기 측판의 내면에 마련되는 측면바로 이루어지는 고정바;를 포함하되,
상기 거푸집 본체의 측판은,
하부판에 연결되고 수직하게 세워지는 측판본체와, 상기 측판본체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며 그 상면에 데크플레이트의 하면에 접촉될 수 있는 지지판을 포함하되,
상기 지지판에는, 측판본체의 상단보다 상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하고 있어서 데크플레이트의 하면이 지지판에 안착될 때 돌출부가 눌려서 지지판이 탄성변형됨으로서 데크플레이트의 하면에 지지판의 상면이 밀착접촉될 수 있다.
상기 무해체 보거푸집에서,
상기 지지판은, 측판본체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1수평연장부를 포함하되, 상기 돌출부는 제1수평연장부의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무해체 보거푸집에서,
상기 돌출부는 제1수평연장부의 단부에서 상방향으로 완만하게 굽을 수 있다.
상기 무해체 보거푸집에서,
상기 제1수평연장부는, 측판본체와 측면바의 단부 사이의 거리의 1/2 보다 크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무해체 보거푸집에서,
상기 지지판에는, 돌출부에서 절곡되어 측판본체를 향하여 연장되는 제2수평연장부가 더 마련되고, 상기 제2수평연장부는 상기 제1수평연장부의 상면에 적층될 수 있다.
상기 무해체 보거푸집에서,
제2수평연장부는 측판본체를 통과하여 단부가 스트럽에 고정되고,
데크플레이트가 지지판에 안착될 때, 단부가 스트럽에 고정된 제2수평연장부는 돌출부로부터 측판본체로 갈수록 상향으로 만곡되어 측판본체 주변에서 테크플레이트의 하면에 밀착접촉될 수 있다.
상기 무해체 보거푸집에서,
상기 제2수평연장부의 단부는 2단으로 하향절곡될 수 있다.
상기 무해체 보거푸집에서,
상기 측판은, 제1측판과, 상기 제1측판의 상단에 수직한방향으로 세워지는 제2측판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바는, 제1측판의 상단에서 내측을 향하여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1연장판과, 상기 제2측판의 하단에서 내측을 향하여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2연장판을 포함하되,
상기 제1연장판과 제2연장판의 사이에는 콘크리트 액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게 하기 위한 실링체가 충전될 수 있다.
상기 무해체 보거푸집에서,
상기 제1연장판에는 상향 또는 하향으로 돌출된 제1요철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연장판에서 제1요철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제1요철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되 제1요철과의 사이에 충진공간이 형성되는 제2요철이 형성되되,
상기 충진공간에 실링체가 충전되어 있어 제1연장판과 제2연장판 사이에 콘크리트액이 통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무해체 보거푸집에서,
상기 수용공간은, 측판의 수평길이방향을 따라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무해체 보거푸집에서,
상기 제1연장판과 제2연장판은 저항용접에 의하여 접합될 수 있다.
상기 무해체 보거푸집에서,
상기 제1연장판의 단부는 상방향으로 직각 절곡되어 있으며,
상기 제2연장판의 단부는 상기 제1연장판의 단부 내면과 외면을 감싸도록 "∩"자형태로 구부러져서 절곡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해체 보거푸집은, 거푸집 본체의 측판 상단에 데크플레이트가 설치되는 과정에서 데크플레이트에 눌려 탄성변형되는 돌출부를 가지는 지지판이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무해체 보거푸집은, 돌출부가 눌려지면서 지지판이 탄성변형되어 데크플레이트의 하면에 밀착접촉됨으로서 콘크리트 액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도 데크플레이트의 저면에 밀착됨으로서 콘크리트 액이 유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콘크리트 타설과정에서 무해체 보거푸집과 데크플레이트의 체결부위를 통하여 콘크리트 액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추가적인 청소공정의 부가가 필요없게 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무해체 보거푸집이 데크플레이트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해체 보거푸집을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측면도.
도 4는 도 2의 무해체 보거푸집의 일부 확대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도 2의 무해체 보거푸집에 데크플레이트가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도 2의 무해체 보거푸집에 데크플레이트가 결합된 후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무해체 보거푸집의 분리사시도.
도 9는 도 8의 결합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일부확대도.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이나 이들 실시예들에 대한 구체적 설명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갖는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를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이며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기술된 단수형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상호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며,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또는 중요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경우,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거나 접속될 수 있는 것으로, 또는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로 하여 연결될 수 있거나 접속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상방"의 방향지시어는 데크플레이트가 보거푸집에 위치하는 방향에 근거하고, "하방"의 방향지시어는 상방의 반대 방향을 의미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상하 방향"의 방향지시어는 상방 방향과 하방 방향을 포함하지만, 상방 방향과 하방 방향 중 특정한 하나의 방향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한 도면에 도시된 예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이 설명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이하에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예들은, 데크플레이트와 연결되는 무해체 보거푸집에 관련된다. 도 2 내지 도 7의 무해제 보거푸집은 측판과 하부판이 각각 하나의 철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예시하고, 도 8 내지 도 10은 측판과 하부판이 각각 복수의 철판을 결합한 구조를 예시한다.
도 2 내지 도 7의 무해체 보거푸집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해체 보거푸집(100)은, 거푸집 본체(110), 스트럽(140) 및 고정바(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거푸집 본체(110)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면이 개방된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서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거푸집 본체(110)는 하부판(120)과 측판(13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판(120)은 거푸집 본체(110)의 하면을 구성하는 것으로서 대략 1mm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철판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하부판(120)은 직사각형의 판형태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측판(130)은 상기 하부판(120)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수직으로 세워져서 연결된 것으로서 한 쌍이 상기 하부판(120)의 양측에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측판(130)은 전체적으로 대략 1mm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철판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측판(130)은, 측판본체(131)와, 지지판(13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측판본체(131)는 하부판(120)의 양측가장자리에서 세워지며 대략 직사각형의 판형태로 이루어지고 측판본체(131)의 대부분을 구성한다.
상기 지지판(132)은, 상기 측판본체(131)의 상단측에 배치된 것으로서 상기 측판본체(131)의 상단에서 수평하게 연장되며 그 상면에 데크플레이트(160)의 하면이 접촉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지지판(132)은, 제1수평연장부(1321), 돌출부(1322) 및 제2수평연장부(13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수평연장부(1321)는 측판본체(131)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것으로서 수평하게 연장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제1수평연장부(1321)는, 금속판재를 90도 절곡하여 형성된 것으로서, 공장에서 미리 필요한 형상을 제작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제1수평연장부(1321)는 콘크리트 액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충분한 길이로서 측판본체(131)와 측면바(152)의 단부 사이의 거리의 1/2보다 큰 것이 좋으며, 측판본체(131)와 측면바(152)의 단부 사이의 거리보다는 짧은 것이 좋다.
제1수평연장부(1321)가 측판본체(131)와 측면바(152)의 단부 사이의 거리의 1/2보다 작은 경우에는 콘크리트 액이 유출되었을 때 콘크리트 액이 측판본체(131)의 외면에 묻어버릴 염려가 있어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제1수평연장부(1321)가 측판본체(131)와 측면바(152)의 단부 사이의 거리보다 큰 경우에는 콘크리트 액이 유출되었을 때 콘크리트 액이 측판본체(131)의 외면에 묻을 수 있어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돌출부(1322)는, 상기 제1수평연장부(1321)의 단부에 형성된 것으로서, 상방항으로 완만하게 굽어진 형상을 가지게 된다. 돌출부(1322)는 철판을 상방향으로 절곡하여 형성한 것으로서 데크플레이트(160)가 설치된 기준높이보다 상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측판본체(131)의 상단보다 높게 위치하여 데크플레이트(160)가 안착되었을 때 데크플레이트(160)에 접촉하여 지지판(132)이 하방향으로 눌려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돌출부(1322)는 철판을 상측으로 절곡한 후에 접어서 형성하도록 구성되며 끝단이 데크플레이트(160)를 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1322)는 데크플레이트(160)가 안착되는 과정에서 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지지판(132)은 활처럼 휘어지면서 지지판(132)의 중앙인 측판본체(131)와 대응되는 부분이 상방향으로 올라가게 되고, 이에 따라서 지지판(132)이 데크플레이트(160)와 기밀성이 있게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콘크리트 액이 지지판(132)과 데크플레이트(160) 사이를 통하여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돌출부(1322)도 데크플레이트(160)에 접촉되어 있으므로 콘크리트 액이 유출되는 것을 최종적으로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돌출부(1322)는 철판을 접어서 상방향으로 돌출형성시켰으므로 지지판(132)의 강성도 높일 수 있게 된다. 즉 단일 철판으로 이루어진 것과 대비할 때 철판을 접었을 뿐 아니라, 끝단을 상방향으로 돌출시켜놓았기 때문에 보다 확실한 강성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거푸집 본체(110)에서 돌출되는 길이가 길어도 쳐지거나 휘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수평연장부(1323)는, 철판을 접어서 형셩시킨 돌출부(1322)로부터 거푸집 본체(110)의 내부까지 길게 연장된 것으로서, 데크플레이트(160)의 하면에 접촉되는 부분이다. 제2수평연장부(1323)는, 제1수평연장부(1321)의 상부에 적층된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끝단이 스트럽(140)에 용접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게 된다.
제2수평연장부(1323)의 끝단은 하방향으로 2번의 절곡을 형성하여 구성되어 있는데, 이에 따라서 지지판(132)의 강성을 보다 높일 수 있게 된다.
제2수평연장부(1323)의 끝단이 스트럽(140)에 고정된 상태에서 돌출부(1322)가 데크플레이트(160)에 의하여 하방향으로 눌리면 제2수평연장부(1323)의 중앙인 측판본체(131) 주변부는 상방향으로 휘어지는데, 이러한 힘에 의하여 데크플레이트(160)에 지지판(132)이 확실하게 밀착접촉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스트럽(140)은, 상기 거푸집 본체(110)의 내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상기 거푸집 본체(110) 내부로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보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스트럽(140)은 고정바(150)에 의하여 거푸집 본체(110)의 내부와 일정한 간격(예를 들어, 20mm ~ 40mm)을 두고 설치되며, 거부집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예를 들어, 75 ~ 300mm)를 두고 다수개가 구비되며, 거푸집 내부로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보강한다.
본 발명에서 스트럽(140)은 "U"자 형태로 형성되고 양측 상단이 각각 내측 중앙을 향하여 일정한 각도(예를 들어, 90°~ 150°)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바(150)는, 거푸집 본체(110)와 스트럽(140) 사이에 배치되며, 거푸집 본체(110)와 스트럽(140) 사이의 간격(예를 들어, 20mm ~ 40mm)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준다. 이러한 고정바(150)는 일측이 스트럽(140)에 연결되고 타측은 거푸집 본체(110)와 연결되고 있으며, 전체적으로 거푸집 본체(110)의 강성을 높이를 기능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고정바(150)는, 하부바(151)와, 측면바(152)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바(151)는, 하부판(120)의 상면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하부판(12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길게 연장되는 것으로서 하부판(120)의 길이방향과 직각인 방향으로 복수개가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러한 하부바(151)는 "T"자 단면형상을 가지고 있어서,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하부바(151)의 주변에 빈틈이 없이 밀하게 충진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측면바(152)는, 측판(130)의 내면에 부착되는 것으로 상하방향으로 복수개가 이격되어 배치되고, 측판(13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길게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측면바(152)를 그 내측면이 스트럽(140)에 고정되어 스트럽(140)을 지지하는 기능과 함께 거푸집 본체(110)의 강성을 높이를 기능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무해체 보거푸집(100)은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가진다.
본 개시의 무해제 보거푸집(100)은, 지지판(132)이 측판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길이를 길게 함으로서, 데크플레이트(160) 설치시 보 거푸집과의 겹침량을 증대시켜서 콘크리트 액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판(132)의 돌출부(1322)를 데크플레이트(160)의 설치위치보다 높은 곳에 위치시켜 데크플레이트(160)가 돌출부(1322)를 눌러 변형시켰을 때 1차적으로 금속소재의 탄성을 이용한 데크플레이트(160)의 설치면인 제2수평연장부(1323)의 중앙이 데크플레이트(160)쪽으로 들어올라오게 하여 지지판(132)가 데크플레이트(160)에 완전히 밀착되게 하여 콘크리트 액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수평연장부(1323)의 중앙과 데크플레이트(160)의 하면 사이를 콘크리트 액이 통과하여도 콘크리트 액이 돌출부(1322) 사이의 공간에 갇히게 함으로서 2차적으로 누수를 보완한다. 구체적으로 돌출부(1322)는 데크플레이트(160)의 하면에 밀착접촉되어 있으므로 콘크리트 액이 누설되어도 제2수평연장부(1323)와 돌출부(1322) 사이의 공간 내에 콘크리트 액이 충전되게 함으로서 콘크리트 액이 지지판(132)을 통과하여 흘러내리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지지판(132)을 통과하여 콘크리트 액이 흘러나오는 일이 없어서, 보 거푸집의 측면을 오염시키지 않는다. 더욱이 콘크리트 액이 돌출부(1322)를 통과하더라도 지지판(132)이 측판본체(131)의 외측으로 충분하게 이격되어 있어서 콘크리트 액은 측판본체(131)의 외면에 접촉되지 않고 즉시 바닥으로 떨어져 보 거푸집 오염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8 내지 도 10을 참고로 하면서 설명한다.
상술한 도 2 내지 도 7에 따른 무해제 보거푸집은, 하부판과 측판이 각각 하나의 금속소재를 가지고 형성되어 있는 것인데 반해서,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하부판(220)과 측판(230)이 여러 개의 부재를 서로 연결하여 제작하는 것에 차이가 있다. 도 8 내지 도 10에 개시된 바와 같이 측판(230)과 하부판(220)을 각각 여러개를 연결하여 형성하는 경우에는 동일한 형상의 각 부재를 위치변경을 통해 각 위치에 적용함으로서 범용적이라는 장점이 있게 된다.
이러한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해체 보거푸집(200)은, 거푸집 본체(210), 스트럽(240), 고정바(250)를 포함한다.
상기 거푸집 본체(210)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면이 개방된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서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거푸집 본체(210)는 하부판(220)과 측판(23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판(220)은, 복수개의 단위모듈이 서로 연결되어 구성된 것으로서 각 단위모듈은 대략적으로 동일한 형태를 가지고 있어서 서로 연결하여 결합함으로서 필요에 맞게 길이나 치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측판(230)은, 하부판(220)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상방향으로 세워져 배치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측판(230)도 하나의 단일한 금속판재로 제작되는 것이 아니라 복수의 단위모듈을 서로 연결하여 제작한 것이다.
이때 각 단위모듈 중에서 어느 하나의 단위모듈을 하측모듈이라고 하고, 하측모듈의 상측에 배치되는 단위모듈을 상측모듈이라고 한다.
상기 하측모듈은 수직한 방향으로 세워지는 제1측판(231)과, 상기 제1측판(231)의 상단에서 내측을 향하여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1연장판(251)을 포함한다.
상기 제1측판(231)은 측판(230)을 외형 일부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직사각형 판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연장판(251)은, 제1측판(231)의 상단에서 90도 절곡되어 수평하게 연장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연장판(252)의 단부는 상방향으로 직각절곡되어 있으며, 그 단부를 제2연장판(252)의 단부가 감싸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연장판(251)의 중앙에는 하향으로 오목하게 절곡된 제1요철(25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제1요철(2511)은 거푸집 본체(210)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게 된다.
상기 상측모듈은, 수직한 방향으로 세워지는 제2측판(232)과, 상기 제2측판(232)의 하단에서 내측을 향하여 수평하게 연장되어 제1연장판(251)에 결합되는 제2연장판(25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측판(232)은, 제1측판(231)의 상측에 연이어 세워지도록 구성되어 측판(230)의 외형 일부를 구성하게 된다.
상기 제2연장판(252)은, 상기 제1연장판(251)과 적층되어 설치되며 제1연장판(251)과 저항용접에 의하여 접합되도록 구성된다. 제2연장판(252)과, 제1연장판(251)이 서로 접합되어 고정바(250)를 구성하게 된다. 제1연장판(251)의 단부에는 제2연장판(251)의 단부 내면과 외면을 감싸도록 "∩"자 형태로 구부러져 절곡되어 있게 된다.
상기 제2연장판(252)에서 제1요철(2511)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오목하게 절곡된 제2요철(2521)이 형성된다. 상기 제2요철(2521)의 형상은 제1요철(2511)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되 제1요철(2511)보다 하방향으로 보다 깊게 절곡되어 있게 된다. 이에 따라서 제1요철(2511)과 제2요철(2521) 사이에는 소정의 충진공간(253)이 길이방향을 따라서 수평하게 길게 연장되어 있게 된다.
이러한 충진공간(253)에는 실링제가 충진되어 있어서 거푸집 본체(210) 내에 채워진 콘크리트로부터 나온 콘크리트 액이 제1연장판(251)과 제2연장판(252) 사이의 틈새를 통과하여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스트럽(240)은 상기 측면바와 하부바에 용접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어서 무해체 보거푸집(200)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게 된다.
이러한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해제 보거푸집(200)은, 저항용접이 되지 않은 부위를 통하여 콘크리트 액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복수의 모듈형태로 이루어진 측판(230)과 하부판(220)에 연결부위에는 저항용접을 통해서 서로 접합시키고 있으나, 용접이 되지 않은 부분을 통해서 콘크리트 액이 누수될 염려가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1요철(2511)과 제2요철(2521)을 각각 형성하고 그 사이에 실링재를 충진함으로서 콘크리트 액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에서는, 보강바(250)이 "L"형상을 가지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강바가 “―" 형상을 가지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보강바에서 스트럽이 접합되는 부분에는 오목홈이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오목홈이 없는 구조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를 들면서 무해체 거푸집을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의하여 합리적으로 해석되는 범위라면 확장되어 해석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100...무해체 보거푸집 110...거푸집 본체
120...하부판 130..측판
131...측판본체 132...지지판
1321...제1수평 연장부 1322...돌출부
1323...제2수평 연장부 140...스트럽
150...고정바 151...하부바
152...측면바

Claims (12)

  1. 건축물의 보를 성형하며 데크 플레이트가 고정설치될 수 있는 무해체 보 거푸집에 있어서,
    하부판과, 상기 하부판에서 수직으로 세워지는 측판을 포함하는 거푸집 본체;
    상기 거푸집 본체의 내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스트럽; 및
    상기 거푸집 본체와 상기 스트럽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거푸집 본체와 상기 스트럽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고정바로서, 상기 하부판의 상면에 마련되는 하부바와, 상기 측판의 내면에 마련되는 측면바로 이루어지는 고정바;를 포함하되,
    상기 거푸집 본체의 측판은,
    하부판에 연결되고 수직하게 세워지는 측판본체와, 상기 측판본체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며 그 상면에 데크플레이트의 하면에 접촉될 수 있는 지지판을 포함하되,
    상기 지지판은, 상기 측판본체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1수평연장부와, 상기 제1수평연장부의 단부에 형성되고 측판본체의 상단보다 상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와, 돌출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측판본체를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측판본체를 지나서 단부가 스트럽에 고정되는 제2수평연장부를 포함하고,
    데크플레이트의 하면이 상기 지지판에 안착될 때 상기 돌출부가 하방으로 눌리고, 단부가 스트럽에 고정된 제2수평연장부는 상기 돌출부로부터 측판본체로 갈수록 상향으로 만곡되어 측판본체 주변에서 테크플레이트의 하면에 밀착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해체 보거푸집.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제1수평연장부의 단부에서 상방향으로 완만하게 굽은 것을 특
    징으로 하는 무해체 보거푸집.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평연장부는, 측판본체와 측면바의 단부 사이의 거리의 1/2 보다 크게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해체 보거푸집.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평연장부는 상기 제1수평연장부의 상면에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해체 보거푸집.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평연장부의 단부는 2단으로 하향절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해체 보거푸집.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은, 제1측판과, 상기 제1측판의 상단에 수직한방향으로 세워지는 제2측판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바는, 제1측판의 상단에서 내측을 향하여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1연장판과, 상기 제2측판의 하단에서 내측을 향하여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2연장판을 포함하되,
    상기 제1연장판과 제2연장판의 사이에는 콘크리트 액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게 하기 위한 실링체가 충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해체 보거푸집.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장판에는 상향 또는 하향으로 돌출된 제1요철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연장판에서 제1요철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제1요철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되 제1요철과의 사이에 충진공간이 형성되는 제2요철이 형성되되,
    상기 충진공간에 실링체가 충전되어 있어 제1연장판과 제2연장판 사이에 콘크리트액이 통과하는 것이 방지되는 무해체 보거푸집.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공간은, 측판의 수평길이방향을 따라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해체 보거푸집.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장판과 제2연장판은 저항용접에 의하여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해체 보거푸집.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장판의 단부는 상방향으로 직각 절곡되어 있으며,
    상기 제2연장판의 단부는 상기 제1연장판의 단부 내면과 외면을 감싸도록 "∩"자형태로 구부러져서 절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해체 보거푸집.
KR1020210009523A 2021-01-22 2021-01-22 무해체 보거푸집 KR1023418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9523A KR102341842B1 (ko) 2021-01-22 2021-01-22 무해체 보거푸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9523A KR102341842B1 (ko) 2021-01-22 2021-01-22 무해체 보거푸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1842B1 true KR102341842B1 (ko) 2021-12-22

Family

ID=79164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9523A KR102341842B1 (ko) 2021-01-22 2021-01-22 무해체 보거푸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184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0545B1 (ko) * 2021-12-30 2022-11-25 주식회사 네오솔라텍 누출 방지용 무해체 보 거푸집
KR102595734B1 (ko) 2022-12-27 2023-10-30 엄재훈 무해체 보 거푸집의 철근 고정용 타카
KR102619660B1 (ko) * 2023-01-30 2023-12-29 에이에이아키그룹건축사사무소 주식회사 다점 접합 구속근을 갖는 보 거푸집
KR102654294B1 (ko) * 2024-01-05 2024-04-04 주식회사 반석티브이에스 대칭형 보강리브가 구비된 무용접 유닛 강판 거푸집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9753B1 (ko) * 2010-07-21 2011-01-19 (주)동하이엔지 보 구조용 거푸집
KR102007947B1 (ko) * 2018-12-24 2019-08-06 주식회사 덕신하우징 가변식 탈형 보 데크 및 시공방법
KR102007464B1 (ko) * 2018-11-29 2019-08-06 주식회사 정인에스앤씨 조립형 보 거푸집
JP2020090805A (ja) * 2018-12-04 2020-06-11 Jfe建材株式会社 床型枠材
KR102144045B1 (ko) * 2020-02-19 2020-08-13 이춘기 무 해체 구조용 보 거푸집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9753B1 (ko) * 2010-07-21 2011-01-19 (주)동하이엔지 보 구조용 거푸집
KR102007464B1 (ko) * 2018-11-29 2019-08-06 주식회사 정인에스앤씨 조립형 보 거푸집
JP2020090805A (ja) * 2018-12-04 2020-06-11 Jfe建材株式会社 床型枠材
KR102007947B1 (ko) * 2018-12-24 2019-08-06 주식회사 덕신하우징 가변식 탈형 보 데크 및 시공방법
KR102144045B1 (ko) * 2020-02-19 2020-08-13 이춘기 무 해체 구조용 보 거푸집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0545B1 (ko) * 2021-12-30 2022-11-25 주식회사 네오솔라텍 누출 방지용 무해체 보 거푸집
KR102595734B1 (ko) 2022-12-27 2023-10-30 엄재훈 무해체 보 거푸집의 철근 고정용 타카
KR102619660B1 (ko) * 2023-01-30 2023-12-29 에이에이아키그룹건축사사무소 주식회사 다점 접합 구속근을 갖는 보 거푸집
KR102654294B1 (ko) * 2024-01-05 2024-04-04 주식회사 반석티브이에스 대칭형 보강리브가 구비된 무용접 유닛 강판 거푸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1842B1 (ko) 무해체 보거푸집
KR101781603B1 (ko) 거푸집 선조립형 보 구조물
KR101683670B1 (ko) 거푸집 선조립형 보 구조물
KR102341843B1 (ko) 무해체 보거푸집
KR20180045140A (ko) 고정작업이 필요없는 무해체 보 거푸집과 데크 플레이트의 결합구조
CN109707173B (zh) 装配式叠合梁板安装辅助装置的施工方法
KR102149461B1 (ko) 데크가 용접 설치될 수 있는 보 거푸집
KR101714160B1 (ko) 거치식 벽체-강합성 거더 연결구조를 갖는 강합성 라멘교
KR200381303Y1 (ko) 흙막이벽과 슬래브간의 연결부를 위한 거푸집 구조체
CN214784697U (zh) 一种装配式建筑框架体系
KR101483362B1 (ko) 외부 돌출 결합부가 형성된 성형강판을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
CN106032705A (zh) 一种钢筋混凝土楼盖的一体式浇筑成型施工方法
KR102144769B1 (ko) 강판-콘크리트 복합 보
KR100860592B1 (ko) Pc블럭 적층시공용 가설구조
KR101629743B1 (ko) Pc거더와 pc빔 연결구조
EP1416101A1 (en) Composite beam
KR101346671B1 (ko) 간격재를 이용한 pc보와 수직부재의 접합부 핀접합 구조
KR102397376B1 (ko) C형강을 이용한 복공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2470545B1 (ko) 누출 방지용 무해체 보 거푸집
KR102599781B1 (ko) 데크탈락을 방지하여 안전성이 확보된 데크받이가 구성된 비탈형 거푸집 보
KR20190078141A (ko) 트러스형 데크 플레이트에 적용되는 채움 지지 보강 트러스 거더
KR102619660B1 (ko) 다점 접합 구속근을 갖는 보 거푸집
CN214925372U (zh) 一种大梁模具
KR102280901B1 (ko) 반단면 슬래브와 거더의 합성구조
JP7520373B2 (ja) コンクリート流止め枠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