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7376B1 - C형강을 이용한 복공판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C형강을 이용한 복공판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7376B1
KR102397376B1 KR1020220006753A KR20220006753A KR102397376B1 KR 102397376 B1 KR102397376 B1 KR 102397376B1 KR 1020220006753 A KR1020220006753 A KR 1020220006753A KR 20220006753 A KR20220006753 A KR 20220006753A KR 102397376 B1 KR102397376 B1 KR 1023973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ms
welding
fixed
shaped steel
cross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6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유텍
최영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유텍, 최영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유텍
Priority to KR1020220006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73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7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73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08Temporary pavings
    • E01C9/083Temporary pavings made of metal, e.g. plates, net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3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characterised by material or composition used for beds or joints; characterised by the way of lay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6Elements joined together
    • E01C2201/167Elements joined together by reinforcement or me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형강을 이용한 복공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복공판은, 지면에 대해 수직하게 이루어진 수직부(11)와, 상기 수직부(11)의 상단에 연결된 채 수직부(11)에 대해 직교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상부수평부(12)와, 상기 수직부(11)의 하단에 연결된 채 수직부(11)에 대해 직교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하부수평부(13)로 구성되어 있고, 상부수평부(12)와 하부수평부(13)의 표면에 요철(14)이 형성되어 있으며, 서로 이격된 채 평행하게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 두 개의 H형강(10)과; 양 단부가 상기 두 H형강(10)의 마주보는 수직부(11) 표면에 맞대어진 채 용접 고정되어 있으며, 양측 하단은 하부수평부(13)에 안착된 채 용접 고정되어 있고, H형강(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채 다수 설치되어 있는 판상의 크로스바(20)와; 상기 크로스바(20)의 상부에 안착된 채 용접 고정되는 바닥지지부(31)와, 상기 바닥지지부(31)의 양 단부로부터 수직하게 상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상향연장부(32)와, 상기 상향연장부(32)의 단부로부터 직교하게 꺾여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어 있는 상부돌출부(33)로 이루어져 있고, 다수 개가 상기 H형강(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된 채 상향연장부(32)들끼리 맞대어진 채 상호 용접 고정되어 하부거푸집(A)을 형성하되, 상기 크로스바(20)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부돌출부(33)는 상기 H형강(10)의 상부수평부(12)와 이격된 이격공간(34)을 형성하며, 상기 바닥지지부(31)와 상향연장부(32)의 연결 지점 및 상향연장부(32)와 상부돌출부(33)의 연결 지점은 라운드진 라운드부(35)에 의해 연결되어 상향연장부(32)들이 서로 맞대질 때 인접한 라운드부(35)가 마주하여 형성되는 틈새공간(36)을 통해 용접 처리가 이루어지는 다수 개의 C형강(30)과; 상기 C형강(30)들의 상부돌출부(33)에 안착된 채 양 단부가 상기 이격공간(34) 내부에 위치하는 망상 구조의 보강철근망(40)과; 상기 C형강(30)들의 내부 공간 및 보강철근망(40) 상측으로 소정의 두께만큼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양생 처리된 콘크리트층(50)과; 상기 두 H형강(10)의 단부 및 두 H형강(10) 사이의 C형강(30)들의 단부가 용접 고정되어 측면거푸집(B)을 형성하는 판상의 엔드바(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두 개의 H형강 사이에 콘크리트층이 형성되어 있되, 콘크리트층의 하부에 다수 개의 C형강이 거푸집 역할을 하면서 쉐어키 역할을 하여 콘크리트층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제작이 간편하면서도 콘크리트층의 크랙 발생 가능성을 낮춘, C형강을 이용한 복공판 및 그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C형강을 이용한 복공판 및 그 제조 방법{deck plate using C-shape steel and manufacturing method of it}
복 발명은 복공판에 관한 것으로,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두 개의 H형강 사이에 콘크리트층이 형성되어 있되, 콘크리트층의 하부에 다수 개의 C형강이 거푸집 역할을 하면서 쉐어키 역할을 하여 콘크리트층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제작이 간편하면서도 콘크리트층의 크랙 발생 가능성을 낮춘, C형강을 이용한 복공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공판은 지하철 건설과 같은 지하 시설 공사를 위해 도로를 파헤치는 경우 교통량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노면 복개에 사용된다.
이러한 복공판은 평평한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다수가 배열되어 그 위로 차량이 지나다니게 된다.
종래의 복공판은 주로 강재만을 재료로 하여 용접한 제품이 주로 이용되어 왔으나, 강재만으로 복공판을 제작하는 경우 가격이 비싸고 용접 불량이나 외부 환경으로 인해 파손되거나 부식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강재 복공판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근래에 들어서는 콘크리트와 강재를 혼합하여 단가를 절감하면서도 우수한 강성과 내부식성을 갖는 콘크리트 복공판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된 바 있다.
관련 기술로 본 발명의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복공판"(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08992호, 특허문헌 1)이 공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은 사각 단면 형상을 갖는 관체를 양측의 H형강 사이에 나란히 이어 배열한 후 양 단부의 마감(거푸집)을 설치한 후 빈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시공하였다.
그런데, 특허문헌 1과 같은 기술의 경우 다른 강재에 비해 각관의 경우 불필요한 단면적을 많이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원가 절감 효율이 높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서로 연이어진 각관들의 표면이 평평하게 일자를 이루기 때문에 그 위의 콘크리트층과 각관이 외부 충격에 의해 서로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콘크리트층이 쉽게 파손되어 버리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의 해소와 관련된 기술로, "하부 공동형 콘크리트 복공판"(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50411호, 특허문헌 2)에는 철판을 절곡하여 측벽면과 하부면을 만든 상태에서 그 위로 C형강을 1차로 배치한 다음 그 위로 다시 직교한 방향으로 서로 나란히 배치한 후 콘크리트를 그 위로 타설한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2는 C형강의 돌기 부분으로 인해 특허문헌 1과 비교하여 콘크리트층과의 결합이 우수하다는 장점을 가지나, 바닥 및 외곽의 프레임 부분을 기성 구조 강재를 활용하지 못하고, 철판을 가공해야 하므로 제조 단가가 상승하게 되며, 구조적인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제조 관점에서 볼 때 C형강들을 서로 직교하게 배치하면서 용접하는 경우 하부의 바닥판의 존재로 인해 저부 용접이 용이하지 못하여 토대가 되는 철 구조물의 각부 결합 강도가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측판과 내부 C형강 조립체 사이의 공간이 빈 공간으로 있고, 이 부분에 콘크리트가 채워지는데, 이 부분에 철 구조부재가 배제됨으로 인해 측방향에서의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측면의 철판이 쉽게 변형되는 문제점도 있다.
KR 10-0608992 (2006.07.27) KR 10-0650411 (2006.11.21)
본 발명의 C형강을 이용한 복공판 및 그 제조 방법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두 개의 H형강 사이에 콘크리트층이 형성되어 있되, 콘크리트층의 하부에 다수 개의 C형강이 거푸집 역할을 하면서 쉐어키 역할을 하여 콘크리트층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제작이 간편하면서도 콘크리트층의 크랙 발생 가능성을 낮춘, C형강을 이용한 복공판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C형강을 이용한 복공판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지면에 대해 수직하게 이루어진 수직부(11)와, 상기 수직부(11)의 상단에 연결된 채 수직부(11)에 대해 직교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상부수평부(12)와, 상기 수직부(11)의 하단에 연결된 채 수직부(11)에 대해 직교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하부수평부(13)로 구성되어 있고, 상부수평부(12)와 하부수평부(13)의 표면에 요철(14)이 형성되어 있으며, 서로 이격된 채 평행하게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 두 개의 H형강(10)과; 양 단부가 상기 두 H형강(10)의 마주보는 수직부(11) 표면에 맞대어진 채 용접 고정되어 있으며, 양측 하단은 하부수평부(13)에 안착된 채 용접 고정되어 있고, H형강(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채 다수 설치되어 있는 판상의 크로스바(20)와; 상기 크로스바(20)의 상부에 안착된 채 용접 고정되는 바닥지지부(31)와, 상기 바닥지지부(31)의 양 단부로부터 수직하게 상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상향연장부(32)와, 상기 상향연장부(32)의 단부로부터 직교하게 꺾여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어 있는 상부돌출부(33)로 이루어져 있고, 다수 개가 상기 H형강(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된 채 상향연장부(32)들끼리 맞대어진 채 상호 용접 고정되어 하부거푸집(A)을 형성하되, 상기 크로스바(20)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부돌출부(33)는 상기 H형강(10)의 상부수평부(12)와 이격된 이격공간(34)을 형성하며, 상기 바닥지지부(31)와 상향연장부(32)의 연결 지점 및 상향연장부(32)와 상부돌출부(33)의 연결 지점은 라운드진 라운드부(35)에 의해 연결되어 상향연장부(32)들이 서로 맞대질 때 인접한 라운드부(35)가 마주하여 형성되는 틈새공간(36)을 통해 용접 처리가 이루어지는 다수 개의 C형강(30)과; 상기 C형강(30)들의 상부돌출부(33)에 안착된 채 양 단부가 상기 이격공간(34) 내부에 위치하는 망상 구조의 보강철근망(40)과; 상기 C형강(30)들의 내부 공간 및 보강철근망(40) 상측으로 소정의 두께만큼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양생 처리된 콘크리트층(50)과; 상기 두 H형강(10)의 단부 및 두 H형강(10) 사이의 C형강(30)들의 단부가 용접 고정되어 측면거푸집(B)을 형성하는 판상의 엔드바(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일측 벽면은 상기 엔드바(60)에 맞닿아 용접 고정되고, 상부는 상기 상부수평부(12)에 맞닿아 용접 고정되어 있으며, 하부는 상기 하부수평부(13)에 맞닿아 용접 고정되어 H형강(10)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있는 판상의 측면서포트(70)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양측 측면서포트(70) 사이에 위치한 채 상부는 상기 상부수평부(12)에 맞닿아 용접 고정되어 있으며, 하부는 상기 하부수평부(13)에 맞닿아 용접 고정되어 있되, H형강(10)의 길이 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다수 개의 보강리브(80)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C형강(30)들 중 양측 외곽에 위치한 C형강(30)은 상기 H형강(10) 수직부(11)와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두 H형강(10) 수직부(11)의 마주보는 표면에는 상면 높이가 상기 크로스바(20)와 동일한 높이를 이루면서 상부가 서로 마주보는 수직부(11) 측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된 다수 개의 지지부재(90)가 크로스바(20)들의 사이 및 크로스바(20)와 엔드바(60)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어, 양측 외곽의 C형강(30)의 하부를 지지하면서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누출을 방지하는 코너거푸집(C) 역할을 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외곽측 C형강(30)과 수직부(11) 사이의 틈으로 고무패드(100)가 끼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C형강을 이용한 복공판의 제조 방법은, 지면에 대해 수직하게 이루어진 수직부(11)와, 상기 수직부(11)의 상단에 연결된 채 수직부(11)에 대해 직교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상부수평부(12)와, 상기 수직부(11)의 하단에 연결된 채 수직부(11)에 대해 직교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하부수평부(13)로 구성되어 있고, 상부수평부(12)와 하부수평부(13)의 표면에 요철(14)이 형성되어 있는 두 개의 H형강(10)을 복공판 규격에 대응되게 서로 일정 거리 이격시킨 채 평행하게 배치한 후, 상기 수직부(11)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를 갖는 판상의 크로스바(20)를 준비하여 크로스바(20) 양측 하단을 하부수평부(13)에 안착시켜 크로스바(20) 상단이 상부수평부(12)와 이격되도록 한 채 크로스바(20)와 H형강(10)의 접촉면을 용접 처리하여 고정하여 프레임(D)을 제조하는 프레임제조단계와; 바닥지지부(31)와, 상기 바닥지지부(31)의 양 단부로부터 수직하게 상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상향연장부(32)와, 상기 상향연장부(32)의 단부로부터 직교하게 꺾여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어 있는 상부돌출부(33)와, 상기 바닥지지부(31)와 상향연장부(32)의 연결 지점 및 상향연장부(32)와 상부돌출부(33)의 연결 지점에 위치하며 라운드진 곡선을 이루는 라운드부(35)로 이루어진 다수 개의 C형강(30)을 준비하여 나란히 배치한 다음 상기 라운드부(35)를 통해 인접한 C형강(30)의 상부와 하부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두 수직부(11) 사이에 끼워질 정도의 폭을 갖는 하부거푸집(A)을 제조하는 C형강조립단계와; 상기 하부거푸집(A)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보강철근망(40)을 재단하여 준비한 후, 보강철근망(40)을 하부거푸집(A)에 용접 고정하는 철근망설치단계와; 상기 하부거푸집(A)을 상기 두 수직부(11) 사이로 끼운채 크로스바(20)에 안착시킨 후, 하부거푸집(A)과 크로스바(20)의 접촉 지점을 용접 고정하는 하부거푸집연결단계와; 상기 프레임(D)의 양 단부에 엔드바(60)를 맞대어 용접 고정하여 측면거푸집(B)을 설치하는 측면거푸집연결단계와; 상기 H형강(10)과 측면거푸집(B)의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양생하여 콘크리트층(50)을 형성하는 콘크리트시공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하부거푸집(A)은 양 단부가 상기 수직부(11)와 이격될 정도의 크기를 갖도록 조립되되, 상기 프레임제조단계에서 상기 두 H형강(10) 수직부(11)의 마주보는 표면에는 상면 높이가 상기 크로스바(20)와 동일한 높이를 이루면서 상부가 서로 마주보는 수직부(11) 측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된 다수 개의 지지부재(90)를 크로스바(20)들의 사이 및 크로스바(20)와 엔드바(60)의 사이에 설치하여, 하부거푸집연결단계에서 하부거푸집(A)의 양 단부가 상기 지지부재(90)의 상면에 안착되도록 하고, 하부거푸집(A)을 지지부재(90) 상면에 안착시킨 후, 하부거푸집(A)의 양 단부와 수직부(11) 사이에 고무패드(100)를 끼우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두 개의 H형강 사이에 콘크리트층이 형성되어 있되, 콘크리트층의 하부에 다수 개의 C형강이 거푸집 역할을 하면서 쉐어키 역할을 하여 콘크리트층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제작이 간편하면서도 콘크리트층의 크랙 발생 가능성을 낮춘, C형강을 이용한 복공판 및 그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C형강을 이용한 복공판을 나타낸 사시도 및 요부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프레임을 조립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및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하부거푸집의 조립 및 프레임에 하부거푸집을 배치한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및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보강철근망을 설치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및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엔드바의 설치 상태 및 측면거푸집이 완성된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및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층을 형성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지지부재를 배치하여 코너거푸집을 형성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서 고무패드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9는 본 발명에서 콘크리트 타설 전의 복공판 상태를 나타낸 사진.
도 10은 본 발명에서 복공판의 저부를 나타낸 사진.
도 11은 본 발명에서 C형강들의 연결부위의 용접 처리 상태를 나타낸 사진.
이하, 본 발명의 C형강을 이용한 복공판 및 그 제조 방법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C형강을 이용한 복공판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두 개의 H형강(10), 두 H형강(10)을 연결하는 다수 개의 크로스바(20), 크로스바(20) 위에 설치되는 다수 개의 C형강(30), C형강(30) 위에 설치되는 보강철근망(40),두 H형강(10)의 단부를 연결하는 엔드바(50) 및 두 H형강(10) 사이 공간에 타설되어 양생된 콘크리트층(50)으로 구성되어 있다.
두 개의 H형강(10)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서로 이격된 채 평행하게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H형강(10)은 지면에 대해 수직하게 이루어진 수직부(11)와, 상기 수직부(11)의 상단에 연결된 채 수직부(11)에 대해 직교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상부수평부(12)와, 상기 수직부(11)의 하단에 연결된 채 수직부(11)에 대해 직교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하부수평부(13)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부수평부(12)와 하부수평부(13)의 표면에 요철(14)이 형성되어 미끄럼 방지 역할을 하도록 되어 있다.
크로스바(20)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H형강(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채 다수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크로스바(20)는 도시된 것처럼 판상의 형태를 취하고, 양 단부가 상기 두 H형강(10)의 마주보는 수직부(11) 표면에 맞대어진 채 용접 고정되어 있으며, 양측 하단은 하부수평부(13)에 안착된 채 용접 고정되어 있다.
크로스바(20)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H형강(10)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단이 수직부(11)의 중간 지점에 위치하여, 그 위로 C형강(30), 보강철근망(40) 및 콘크리트층(50)이 형성될 수 있을 정도의 여유 공간을 형성하도록 한다.
이때,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크로스바(20)들의 길이 방향에 직교한 방향으로 크로스바(20)들을 상호 연결하는 보강바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C형강(30)은 상기 크로스바(20)의 상부에 안착된 채 용접 고정되는 바닥지지부(31)와, 상기 바닥지지부(31)의 양 단부로부터 수직하게 상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상향연장부(32)와, 상기 상향연장부(32)의 단부로부터 직교하게 꺾여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어 있는 상부돌출부(33)로 이루어져 있다.
상부돌출부(33), 상향연장부(32) 및 바닥지지부(31)에 의해 둘러쌓인 공간에는 도시된 것처럼 콘크리트가 충진되는 바, 상부돌출부(33)는 일종의 쉐어키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C형강(30)은 다수 개가 상기 H형강(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된 채 상향연장부(32)들끼리 맞대어진 채 상호 용접 고정되어 하부거푸집(A)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C형강(30)이 상기 크로스바(20)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부돌출부(33)는 상기 H형강(10)의 상부수평부(12)와 이격된 이격공간(34)을 형성하여 콘크리트층(50)이 충분한 두께를 갖고 형성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C형강(30)의 기본적인 규격에 따라 상기 바닥지지부(31)와 상향연장부(32)의 연결 지점 및 상향연장부(32)와 상부돌출부(33)의 연결 지점은 라운드진 라운드부(35)에 의해 연결되는데, 서로 인접한 C형강(30)의 상향연장부(32)들이 서로 맞대질 때 인접한 라운드부(35)가 마주하여 형성되는 틈새공간(36)을 통해 용접 처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도면기호 37은 틈새공간(36)에 용접 처리가 이루어져 형성된 용접부(37)이다.
이에 따라 용접 처리에 의해 형성되는 용접부(37)는 상부돌출부(33)의 상부 및 바닥지지부(31)의 하부로 돌출되지 않거나 최소한으로 돌출될 수 있게 된다.
보강철근망(40)은 철근이나 철봉이 망상 구조를 갖도록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C형강(30)들의 상부돌출부(33)에 안착된 채 양 단부가 상기 이격공간(34) 내부에 위치한다.
이러한 보강철근망(40)은 C형강(30)들 위에 배치된 상태에서 C형강(30)에 용접 고정된다.
콘크리트층(50)은 상기 C형강(30)들의 내부 공간 및 보강철근망(40) 상측으로 소정의 두께만큼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양생 처리되어 형성되어 있다.
엔드바(60)는 판상의 형태를 취하며, 상기 두 H형강(10)의 단부 및 두 H형강(10) 사이의 C형강(30)들의 단부가 용접 고정되어 측면거푸집(B)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두 H형강(10)의 바깥쪽 상부수평부(12)와 하부수평부(13)를 연결하고, 엔드바(60)에 맞닿아연결되는 측면서포트(7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서포트(70)는 일측 벽면이 상기 엔드바(60)에 맞닿아 용접 고정되고, 상부는 상기 상부수평부(12)에 맞닿아 용접 고정되어 있으며, 하부는 상기 하부수평부(13)에 맞닿아 용접 고정되어 H형강(10)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있는 판상의 형태를 취한다.
또, 양측 측면서포트(70)의 사이에는 다수 개의 보강리브(80)들이 설치될 수 있다.
보강리브(80)는 양측 측면서포트(70) 사이에 위치한 채 상부는 상기 상부수평부(12)에 맞닿아 용접 고정되어 있으며, 하부는 상기 하부수평부(13)에 맞닿아 용접 고정되어 있되, H형강(10)의 길이 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복공판은 대체적으로 폭이 500mm, 750mm, 1000mm 등의 규격으로 이루어지고, 높이는 대략 200mm, 길이는 1990mm로 이루어지고, 이때 사용되는 H형강은 높이 200mm, 너비 200mm의 H형강이 사용될 수 있다.
더하여, C형강은 너비 150mm, 높이 50mm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1000mm 폭의 복공판 제작시 H형강 수직부의 두께를 감안하여 C형강이 배치될 수 있는 폭은 대략 780 ~ 800mm 정도에 이르게 되는데, C형강 5개를 연속으로 이어붙일 경우 폭은 750mm가 되어 대략 30 ~ 50mm의 공간은 빈 공간이 된다.
즉, 규격화된 구조재들을 사용할 경우 일반적인 복공판 규격에 따라 제작할 경우 C형강(30)들 중 양측 외곽에 위치한 C형강(30)은 상기 H형강(10) 수직부(11)와 이격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C형강(30)들이 상호 연결되어 형성된 하부거푸집(A)이 하부 공간을 충분히 밀폐시키지 못하여 콘크리트 타설시 이격된 틈으로 콘크리트가 충진되지 못하고 새는 현상이 발생할 수있다.
이처럼 C형강(30)들 중 양측 외곽에 위치한 C형강(30)은 상기 H형강(10) 수직부(11)와 이격되어 있는 경우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두 H형강(10) 수직부(11)의 마주보는 표면에는 상면 높이가 상기 크로스바(20)와 동일한 높이를 이루면서 상부가 서로 마주보는 수직부(11) 측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된 다수 개의 지지부재(90)가 크로스바(20)들의 사이 및 크로스바(20)와 엔드바(60)의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도면에서 지지부재(90)는 앵글로 표시되어 있다.
이러한 지지부재(90)는 양측 외곽의 C형강(30)의 하부를 지지하면서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누출을 방지하는 코너거푸집(C)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C형강(30)의 규격에 의해 발생하는 외곽측 C형강(30)과 수직부(11) 사이의 틈으로 콘크리트가 충진되도록 할 수도 있으나,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고무패드(100)가 끼워질 수도 있다.
상기 틈에 콘크리트가 충진되는 경우 틈의 크기가 10 ~ 30mm의 작은 틈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콘크리트의 고른 충진이 어려워 빈 공간이 자연스럽게 형성될 수 밖에 없고, 이 틈으로 수분이 침투하여 하부거푸집(A)과 프레임(D)의 연결 부위의 부식을 촉진시켜 수명이 짧아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고무패드(100)를 끼워 콘크리트가 충진되지 않도록 하고 고무패드(100)가 수분의 침투를 억제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C형강(30)들을 서로 맞대어 용접 연결하는 과정에서의 표면 상태, 작업시의 온도, 용접 숙련도 등에 따라 이 틈의 크기가 달라질 수 있는데, 탄력이 있는 고무패드(100)를 강제로 끼우는 경우 이러한 변수에 대해서도 틈을 잘 메울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층(50)에 가해진 하중, 충격이 C형강(30)에 전달되고, 이 하중과 충격이 H형강(10)에 전달되게 되는데, 틈에 고무패드(100)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충격을 흡수하고, 소음 발생을 저감시켜주는 효과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고무패드(100)는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H형강(10)의 상부수평부(12) 저면까지 연장되어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C형강을 이용한 복공판은 공장에서 제작된 후 현장에서 간편하게 상호 조립될 수 있다.
제조 방법은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는데, 일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전술한 H형강(10) 두 개를 복공판 규격에 대응되게 서로 일정 거리 이격시킨 채 평행하게 배치한 후, 상기 수직부(11)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를 갖는 판상의 크로스바(20)를 준비하여 크로스바(20) 양측 하단을 하부수평부(13)에 안착시켜 크로스바(20) 상단이 상부수평부(12)와 이격되도록 한 채 크로스바(20)와 H형강(10)의 접촉면을 용접 처리하여 고정하여 프레임(D)을 제조한다.
그런 다음 전술한 C형강(30)을 하나씩 크로스바(20)에 용접 고정하면서, 서로 맞댄 지점을 용접 고정해나가 하부거푸집(A)을 제조하고, 상기 하부거푸집(A)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보강철근망(40)을 재단하여 준비한 후, 보강철근망(40)을 하부거푸집(A)에 용접 고정한다.
이어 상기 프레임(D)의 양 단부에 엔드바(60)를 맞대어 용접 고정하여 측면거푸집(B)을 설치한 후, H형강(10)과 측면거푸집(B)의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양생하여 콘크리트층(50)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런데, C형강(30)을 크로스바(20) 위에 하나씩 설치해나가는 방식의 경우 C형강(30)의 표면 상태, 용접 기술 등에 따라 C형강(30) 사이에 틈이 발생한다던지 등의 현상이 발생하여 계획보다 폭이 커지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거나, H형강(10)에 근접한 C형강(30)을 크로스바(20)에 용접 고정할 때 작업 공간이 충분히 확보되지 못해 작업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은 제조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1. 프레임제조단계
전술한 H형강(10) 두 개를 복공판 규격에 대응되게 서로 일정 거리 이격시킨 채 평행하게 배치한 후, 상기 수직부(11)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를 갖는 판상의 크로스바(20)를 준비하여 크로스바(20) 양측 하단을 하부수평부(13)에 안착시켜 크로스바(20) 상단이 상부수평부(12)와 이격되도록 한 채 크로스바(20)와 H형강(10)의 접촉면을 용접 처리하여 고정하여 프레임(D)을 제조한다.
2. C형강조립단계
바닥지지부(31)와, 상기 바닥지지부(31)의 양 단부로부터 수직하게 상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상향연장부(32)와, 상기 상향연장부(32)의 단부로부터 직교하게 꺾여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어 있는 상부돌출부(33)와, 상기 바닥지지부(31)와 상향연장부(32)의 연결 지점 및 상향연장부(32)와 상부돌출부(33)의 연결 지점에 위치하며 라운드진 곡선을 이루는 라운드부(35)로 이루어진 다수 개의 C형강(30)을 준비하여 나란히 배치한 다음 상기 라운드부(35)를 통해 인접한 C형강(30)의 상부와 하부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두 수직부(11) 사이에 끼워질 정도의 폭을 갖는 하부거푸집(A)을 제조한다.
3. 철근망설치단계
상기 하부거푸집(A)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보강철근망(40)을 재단하여 준비한 후, 보강철근망(40)을 하부거푸집(A)에 용접 고정한다.
4. 하부거푸집연결단계
상기 하부거푸집(A)을 상기 두 수직부(11) 사이로 끼운채 크로스바(20)에 안착시킨 후, 하부거푸집(A)과 크로스바(20)의 접촉 지점을 용접 고정한다.
이때, 크로스바(20) 사이가 개방된 공간이기 때문에 작업자가 개방된 공간에서 크로스바(20)와 C형강(30)을 용이하게 용접 고정할 수 있다.
또는,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하부거푸집(A)을 뒤집어서 바닥지지부(31)가 상방향으로 노출되도록 하고, 이어 프레임(D)을 뒤집거나, 상기 1단계에서 프레임(D)을 뒤집은 상태로 조립하여 하부거푸집(A) 위에 안착시킨 후 간편하게 작업자가 아래를 보고 크로스바(20)와 C형강(30)의 연결 부위를 용접 고정할 수도 있다.
5. 측면거푸집연결단계
상기 프레임(D)의 양 단부에 엔드바(60)를 맞대어 용접 고정하여 측면거푸집(B)을 설치한다.
6. 콘크리트시공단계
상기 H형강(10)과 측면거푸집(B)의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양생하여 콘크리트층(50)을 형성한다.
한편, 전술한 것처럼 하부거푸집(A)은 C형강(30)의 규격으로 인해 양 단부가 상기 수직부(11)와 이격될 정도의 크기를 갖도록 조립되는 데, 상기 프레임제조단계에서 상기 두 H형강(10) 수직부(11)의 마주보는 표면에는 상면 높이가 상기 크로스바(20)와 동일한 높이를 이루면서 상부가 서로 마주보는 수직부(11) 측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된 다수 개의 지지부재(90)를 크로스바(20)들의 사이 및 크로스바(20)와 엔드바(60)의 사이에 설치하여, 하부거푸집연결단계에서 하부거푸집(A)의 양 단부가 상기 지지부재(90)의 상면에 안착되도록 하고, 하부거푸집(A)을 지지부재(90) 상면에 안착시킨 후, 하부거푸집(A)의 양 단부와 수직부(11) 사이에 고무패드(100)를 끼울 수도 있다.
10 : H형강 11 : 수직부
12 : 상부수평부 13 : 하부수평부
14 : 요철 20 : 크로스바
30 : C형강 31 : 바닥지지부
32 : 상향연장부 33 : 상부돌출부
34 : 이격공간 35 : 라운드부
36 : 틈새공간 37 : 용접부
40 : 보강철근망 50 : 콘크리트층
60 : 엔드바 70 : 측면서포터
80 : 보강리브 90 : 지지부재
100 : 고무패드 A : 하부거푸집
B : 측면거푸집 C : 코너거푸집
D : 프레임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복공판에 있어서,
    지면에 대해 수직하게 이루어진 수직부(11)와, 상기 수직부(11)의 상단에 연결된 채 수직부(11)에 대해 직교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상부수평부(12)와, 상기 수직부(11)의 하단에 연결된 채 수직부(11)에 대해 직교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하부수평부(13)로 구성되어 있고, 상부수평부(12)와 하부수평부(13)의 표면에 요철(14)이 형성되어 있으며, 서로 이격된 채 평행하게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 두 개의 H형강(10)과;
    양 단부가 상기 두 H형강(10)의 마주보는 수직부(11) 표면에 맞대어진 채 용접 고정되어 있으며, 양측 하단은 하부수평부(13)에 안착된 채 용접 고정되어 있고, H형강(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채 다수 설치되어 있는 판상의 크로스바(20)와;
    상기 크로스바(20)의 상부에 안착된 채 용접 고정되는 바닥지지부(31)와, 상기 바닥지지부(31)의 양 단부로부터 수직하게 상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상향연장부(32)와, 상기 상향연장부(32)의 단부로부터 직교하게 꺾여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어 있는 상부돌출부(33)로 이루어져 있고, 다수 개가 상기 H형강(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된 채 상향연장부(32)들끼리 맞대어진 채 상호 용접 고정되어 하부거푸집(A)을 형성하되, 상기 크로스바(20)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부돌출부(33)는 상기 H형강(10)의 상부수평부(12)와 이격된 이격공간(34)을 형성하며, 상기 바닥지지부(31)와 상향연장부(32)의 연결 지점 및 상향연장부(32)와 상부돌출부(33)의 연결 지점은 라운드진 라운드부(35)에 의해 연결되어 상향연장부(32)들이 서로 맞대질 때 인접한 라운드부(35)가 마주하여 형성되는 틈새공간(36)을 통해 용접 처리가 이루어지는 다수 개의 C형강(30)과;
    상기 C형강(30)들의 상부돌출부(33)에 안착된 채 양 단부가 상기 이격공간(34) 내부에 위치하는 망상 구조의 보강철근망(40)과;
    상기 C형강(30)들의 내부 공간 및 보강철근망(40) 상측으로 소정의 두께만큼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양생 처리된 콘크리트층(50)과;
    상기 두 H형강(10)의 단부 및 두 H형강(10) 사이의 C형강(30)들의 단부가 용접 고정되어 측면거푸집(B)을 형성하는 판상의 엔드바(6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일측 벽면은 상기 엔드바(60)에 맞닿아 용접 고정되고, 상부는 상기 상부수평부(12)에 맞닿아 용접 고정되어 있으며, 하부는 상기 하부수평부(13)에 맞닿아 용접 고정되어 H형강(10)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있는 판상의 측면서포트(70)가 더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양측 측면서포트(70) 사이에 위치한 채 상부는 상기 상부수평부(12)에 맞닿아 용접 고정되어 있으며, 하부는 상기 하부수평부(13)에 맞닿아 용접 고정되어 있되, H형강(10)의 길이 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다수 개의 보강리브(80)가 더 구비되어 있고,

    상기 C형강(30) 및 H형강(10)은 각 부위별 치수가 규격화된 구조재로 이루어져 있고,
    두 H형강(10)의 수직부(11)의 마주보는 표면 사이의 길이는 상기 C형강(30)들의 폭 길이를 합한 치수보다 크게 이루어져 있어 상기 C형강(30)들 중 양측 외곽에 위치한 C형강(30)은 상기 H형강(10) 수직부(11)와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두 H형강(10) 수직부(11)의 마주보는 표면에는 상면 높이가 상기 크로스바(20)와 동일한 높이를 이루면서 상부가 서로 마주보는 수직부(11) 측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된 다수 개의 지지부재(90)가 크로스바(20)들의 사이 및 크로스바(20)와 엔드바(60)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어,
    양측 외곽의 C형강(30)의 하부를 지지하면서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누출을 방지하는 코너거푸집(C) 역할을 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외곽측 C형강(30)과 수직부(11) 사이의 틈으로 고무패드(100)가 끼워져 있되, 상기 고무패드(100)는 H형강(10)의 상부수평부(12) 저면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형강을 이용한 복공판.
  6. 삭제
  7. 삭제
KR1020220006753A 2022-01-17 2022-01-17 C형강을 이용한 복공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23973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6753A KR102397376B1 (ko) 2022-01-17 2022-01-17 C형강을 이용한 복공판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6753A KR102397376B1 (ko) 2022-01-17 2022-01-17 C형강을 이용한 복공판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7376B1 true KR102397376B1 (ko) 2022-05-13

Family

ID=81583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6753A KR102397376B1 (ko) 2022-01-17 2022-01-17 C형강을 이용한 복공판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737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8265Y1 (ko) * 2004-09-02 2004-11-18 노윤근 콘크리트 보강형 강재 복공판
KR20050104887A (ko) * 2004-04-30 2005-11-03 최영덕 복공판
KR20060006404A (ko) * 2004-07-16 2006-01-19 최영덕 복공판
KR100650411B1 (ko) 2005-12-29 2006-11-30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하부 공동형 콘크리트 복공판
KR20150124863A (ko) * 2014-04-29 2015-11-06 류인모 Epcd복공판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4887A (ko) * 2004-04-30 2005-11-03 최영덕 복공판
KR20060006404A (ko) * 2004-07-16 2006-01-19 최영덕 복공판
KR100608992B1 (ko) 2004-07-16 2006-08-08 최영덕 복공판
KR200368265Y1 (ko) * 2004-09-02 2004-11-18 노윤근 콘크리트 보강형 강재 복공판
KR100650411B1 (ko) 2005-12-29 2006-11-30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하부 공동형 콘크리트 복공판
KR20150124863A (ko) * 2014-04-29 2015-11-06 류인모 Epcd복공판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49360B2 (ja) 耐震用接合構造及びその構築方法
KR101781603B1 (ko) 거푸집 선조립형 보 구조물
KR102341842B1 (ko) 무해체 보거푸집
KR102149461B1 (ko) 데크가 용접 설치될 수 있는 보 거푸집
CN104060761A (zh) U形钢混凝土组合截面梁及其施工方法
KR20140119465A (ko) 건축용 pc슬래브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805900B1 (ko) 지하구조물 시공용 거푸집 틀을 이용한 지하 구조물의 시공방법
JPH11336021A (ja) 橋梁床版ユニ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橋梁床版の施工方法
KR102397376B1 (ko) C형강을 이용한 복공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2131488B1 (ko) 중공 구조체 및, 기둥과 보의 접합 구조
KR200452300Y1 (ko) 철근 콘크리트용 트러스 거더 데크 플레이트
KR101010109B1 (ko) 조립형 콘크리트 충전 강합성 복공판
KR102321259B1 (ko) 합성기둥 및, 합성기둥과 보부재의 접합구조
KR20190126530A (ko) 앵글형 선조립 기둥
KR102211478B1 (ko) 무해체 보 거푸집
KR100506573B1 (ko)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세그먼트부재에 의해 구축되는강판빔 및 그 시공방법
FI94451B (fi) Betonilaattarakenteiden yhteydessä käytettäväksi tarkoitettu betonilla täytettävä liittopalkki
KR102154622B1 (ko) 단열재가 내부에 구비된 무해체 거푸집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보 구조물 시공방법
CN220598704U (zh) 一种整体式预制钢混框架连接结构
KR102277223B1 (ko) 강판-콘크리트 복합보 구조
CN216839908U (zh) 预制式楼板与钢板剪力墙体连接结构
KR102641227B1 (ko) H형강 및 절곡강판을 이용한 선조립 src기둥용 조립체
RU2780461C1 (ru) Стыковое соединение железобетонного перекрытия с колонной
CN214574906U (zh) 一种承载能力强的剪力墙结构
JP7009731B2 (ja) 床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