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6404A - 복공판 - Google Patents

복공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6404A
KR20060006404A KR1020040055416A KR20040055416A KR20060006404A KR 20060006404 A KR20060006404 A KR 20060006404A KR 1020040055416 A KR1020040055416 A KR 1020040055416A KR 20040055416 A KR20040055416 A KR 20040055416A KR 20060006404 A KR20060006404 A KR 200600064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forated plate
plate
bottom member
cross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5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08992B1 (ko
Inventor
최영덕
Original Assignee
최영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영덕 filed Critical 최영덕
Priority to KR1020040055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8992B1/ko
Publication of KR20060006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64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89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89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08Temporary pavings
    • E01C9/083Temporary pavings made of metal, e.g. plates, net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08Temporary pavings
    • E01C9/086Temporary pavings made of concrete, wood, bitumen, rubber or synthetic material or a combination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철 건설과 같은 지하 시설 공사시 도로면을 복개하기 위해 사용되는 복공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복공판은 노면이 개방되며 수용공간이 형성된 복공판 프레임과, 복공판 프레임의 수용공간에 채워져 형성된 콘크리트 플레이트로 구성된다. 여기서, 복공판 프레임은 복공판 지지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며, 단면이 사각인 각형 강관을 측방향으로 여러개 용접하여 형성된 바닥부재와, 상기 바닥부재의 측면에 결합되며 높이가 상기 바닥부재 보다 높게 형성된 측면부재와, 상기 바닥부재의 단면에 결합되며 높이가 상기 바닥부재 보다 높게 형성된 단면부재로 구성된다. 따라서, 노면의 마찰력을 증대시켜 미끄럼을 줄일 수 있으며, 콘크리트 재질의 특성상 진동을 감쇠시켜 소음을 현저히 줄일 뿐만 아니라, 제조 비용을 절감시켜 준다.
복공판

Description

복공판{DECK PLATE}
도 1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복공판을 도시한 사시도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2는 복공판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복공판 프레임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2의 복공판의 측면도
도 5는 도 2의 복공판 프레임의 저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복공판의 분리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복공판 지지 프레임 100: 복공판
110: 바닥부재
111: 바닥부재 스터드 볼트 112: 사각 각형 강관
120: 측면부재 124: 플랜지 지지부재
140: 단면 플레이트 150: 인장 부재
171: 스톱퍼 172: 바닥보강부재
173: 패드 200: 콘크리트 플레이트
210: 노면
본 발명은 지하철 건설과 같은 지하 시설 공사시 도로면을 복개하기 위해 사용되는 복공판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미끄럼을 방지하며 소음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 비용을 현저하게 줄인 복공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공판은 지하철 건설과 같은 지하 시설 공사를 위해 도로를 파헤치는 경우, 교통량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노면을 복개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복공판은 평평한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수십 내지 수백개가 평평하게 배열되어 그 위로 차량이 지나다니게 된다. 또한 이러한 복공판은 노후 교량의 보수시 우회 도로를 건설하는데 사용되기도 한다.
이와 같은 복공판을 도면을 참조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복공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복공판은 장방향의 상자 형상으로, 크게 1개의 상판(1)과, 상판(1)의 양측 하부에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측판(2), 상판의 하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리브판(3) 및 리브판(3)의 하부에 고정되는 보강판(4)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재질로는 통상 강철이 사용된다.
상판(1)은 다수의 ㄷ형 채널 부재(1a)가 나란히 배열되어 이루어지며,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판의 표면에는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판 위로 지나가는 차량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참고로, 미설명 부호 5는 복공판의 시 공시 복공판이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하는 스토퍼이고, 6은 미끄럼방지 및 충격 흡수를 위한 패드이며, 7은 지주대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복공판은 강철로 표면이 이루어져 비록 상판의 표면에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미끄럼이 발생할 우려가 높으며, 강철의 재료적 특징으로 인해 충격에 의한 소음이 많이 발생한다. 또한, 강철의 원재료가의 상승으로 복공판의 제조 비용이 고가라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미끄럼을 방지하며 소음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 비용을 현저하게 줄인 복공판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복공판 지지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며, 단면이 사각인 각형 강관을 측방향으로 여러개 용접하여 형성된 바닥부재와, 상기 바닥부재의 측면에 결합되며 높이가 상기 바닥부재 보다 높게 형성된 측면부재와, 상기 바닥부재의 단면에 결합되며 높이가 상기 바닥부재 보다 높게 형성된 단면부재를 포함하는 복공판 프레임; 및 상기 복공판 프레임의 상기 바닥부재, 상기 측면부재 및 상기 단면부재로 이루어지는 수용공간에 채워져 형성된 콘크리트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복공판을 제공한다.
따라서, 노면이 콘크리트로 형성됨으로써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의 진동 감쇠 특성으로 인해 소음이 현저히 줄어들며,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콘크리트 플레이트의 내부에 배치되는 인장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콘크리트 플레이트의 강성 증대 및 균열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부재의 상기 콘크리트 플레이트와 접하는 방향에 고정된 스터드 볼트;를 더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따라서, 콘크리트 플레이트와 복공판 프레임간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전술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2는 복공판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복공판 프레임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2의 복공판의 측면도, 도 5는 도 2의 복공판 프레임의 저면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복공판은 복공판의 노면(210)이 개방된 복공판 프레임(100)과, 복공판 프레임(100)의 내부에 채워져 상면이 노면(210)이되는 콘크리트 플레이트(200)와, 상기 콘크리트 플레이트(200)의 내부에 배치된 인장부재(150)와, 복공판 지지 프레임(50)에 의해 지지되는 면에 부착되어, 복공판이 복공판 지지 프레임(50)에 대해 판상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톱퍼(171)와, 방진을 위한 패드(173)로 구성된다.
복공판 프레임(100)은 복공판의 하면을 구성하며 복공판 지지프레임(50)에 의해 지지되는 바닥부재(110)와, 바닥부재(110)의 양측면을 형성하는 측면부재(120)와, 바닥부재(110)의 단면에 결합되는 단면부재(140)로 구성된다.
바닥부재(110)는 사각 각형 강관(112)이 측방으로 여러개 용접되어 형성된다. 사각 각형 강관(112)의 콘크리트 플레이트(200)를 향하는 면에는 스터드 볼트(111)가 고정된다. 바닥부재(110)의 사각 각형 강관(112)의 높이는 측면부재(120) 및 단면부재(140)의 높이보다 낮도록 형성된다.
측면부재(120)는 바닥부재(110)의 사각 각형 강관(112) 보다 높이가 높은 I형 부재(120)와, I형 부재(120)의 상부 플랜지(121)와 하부 플랜지(123)에 양끝단이 연결되어 상부 플랜지(121)를 지지하는 플랜지 지지부재(124)로 구성된다. 플랜지 지지부재(124)는 L형 앵글을 절단하여 형성한다. 또한, 측면 모서리에 측면 모서리 지지부재(130)가 더 구비된다. 측면 모서리 지지부재(130) 또한 L형 앵글을 절단하여, 단면의 꺽이는 부분이 I형 부재(120)의 플랜지의 끝모서리와 일치하도록 형성된다. I형 부재(120)의 상부 플랜지(121)는 표면에 요철이 형성된 체크 플래이트로 형성되는 것이 미끄럼 방지에 보다 효과적이다.
바닥부재(110)의 복공판 지지 프레임(50)을 향하는 면에는 스톱퍼(171)와, 프레임 지지면 보강부재(172)와, 패드(173)가 구비된다. 스톱퍼(171)는 L형 앵글로 구성되며, 복공판이 도 5의 화살표(174)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바닥부재(110)에 고정된다. 따라서, 복공판이 복공판 지지 프레임(5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스톱퍼(171)는 프레임 지지면 보강부재(172)와 함께 스톱퍼 (171)의 길이 방향으로 발생하는 인장강도를 증대 시켜 준다. 프레임 지지면 보강부재(172)는 플래이트 형상으로 형성된다. 패드(173)는 충격을 완화시켜줄 수 있는 고무 등과 같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장 부재(150)는 콘크리트 플레이트(200)의 인장력을 증대시키는 것으로서, 격자형으로 형성된 와이어 메쉬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철근 이나 앵글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단면 플레이트(140)는 측면 I형 부재(120)가 형성되지 않는 바닥부재의 단면에 구비된다.
콘크리트 플레이트(200)는 고강도 콘크리트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콘크리트 플레이트(200)의 노면에는 MMA 폴리머 코팅이 도포될 수도 있다. MMA 폴리머 코팅은 내마모성, 미끄럼 저항성 및 내유동성과 내충격성이 탁월하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코팅재가 반드시 MMA 폴리머 코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아스콘 등 그 외의 다른 재질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별도의 코팅재 없이 사용될 수도 있따. 그리고, 콘크리트 플레이트(200)의 네 모서리에는 크레인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작업공(212)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복공판은 콘크리트 플레이트(200)가 가해지는 하중 중에 압축응력을 대부분을 부담할 수 있는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복공판 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복공판 프레임의 분해 사시도이다.
제 2 실시예의 복공판은 제 1 실시예의 복공판과 측면부재(120)의 형상만 상이할 뿐 나머지의 구성은 동일하다. 즉, 제 2 실시예의 복공판의 측면부재(120)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표면에 엠보싱이 형성된 체크 플레이트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복공판은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로 형성함으로써, 압축력은 콘크리트가 부담하며, 인장력은 복공판 프레임이 부담하도록 함으로써,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콘크리트 플레이트로 형성됨으로써, 종래의 철제 복공판에 비해 노면의 미끄럼을 방지 효과가 월등하다. 또한, 콘크리트의 노면 위에 직접 차선등을 표시할 경우, 철제에 비해 식별력이 뛰어나며, 쉽게 벗겨지지도 않는다. 이러한 특성은 콘크리트 플레이트 노면위에 MMA 폴리머 코팅을 함으로써 훨씬 증대될 수 있다.
그리고, 콘크리트 재질의 특성상 종래의 복공판에 사용된 금속에 비해 진동 감쇠 효과가 뛰어나다. 따라서 소음이 현저하게 줄어든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복공판은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로 형성함으로써, 압축력은 콘크리트가 부담하며, 인장력은 복공판 프레임이 부담하도록 함으로써,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콘크리트 플레이트로 형성됨으로써, 종래의 철제 복공판에 비해 노면의 미끄럼을 방지 효과가 월등하다. 또한, 콘크리트의 노면 위에 직접 차선등을 표 시할 경우, 철제에 비해 식별력이 뛰어나며, 쉽게 벗겨지지도 않는다. 이러한 특성은 콘크리트 플레이트 노면위에 MMA 폴리머 코팅을 함으로써 훨씬 증대될 수 있다.
그리고, 콘크리트 재질의 특성상 종래의 복공판에 사용된 금속에 비해 진동 감쇠 효과가 뛰어나다. 따라서 소음이 현저하게 줄어든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Claims (15)

  1. 복공판 지지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며, 단면이 사각인 각형 강관을 측방향으로 여러개 용접하여 형성된 바닥부재와, 상기 바닥부재의 측면에 결합되며 높이가 상기 바닥부재 보다 높게 형성된 측면부재와, 상기 바닥부재의 단면에 결합되며 높이가 상기 바닥부재 보다 높게 형성된 단면부재를 포함하는 복공판 프레임; 및
    상기 복공판 프레임의 상기 바닥부재, 상기 측면부재 및 상기 단면부재로 이루어지는 수용공간에 채워져 형성된 콘크리트 플레이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재는 단면이 'I'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재는 평면 플래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재는 단면이 'ㄷ'자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플레이트의 내부에 배치되는 인장부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부재는 철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부재는 와이어 메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플레이트는 압축 하중을 주로 부담하며, 상기 복공판 프레임은 인장 응력을 주로 부담하도록 상기 콘크리트 플레이트의 단면의 면적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
  9.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재의 상기 콘크리트 플레이트와 접하는 방향에 고정된 스터드 볼트;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플레이트의 반대 방향의 상기 'I'형부재의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에 연결되어 상부 플랜지를 지지하는 플랜지 지지부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
  11.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재의 복공판 지지 프레임과 접하는 면에 부착되어, 상기 복공판이 복공판 지지 프레임에 대해 판상 방향으로 상대적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톱퍼;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는 'L'자형 앵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
  13.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재의의 상기 복공판을 지지하는 프레임에 접하는 부위에 구비되는 패드;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
  14.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플레이트의 상기 노면의 상면에 코팅된 미끄럼 방지 코팅;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방지 코팅은 MMA 코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
KR1020040055416A 2004-07-16 2004-07-16 복공판 KR1006089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5416A KR100608992B1 (ko) 2004-07-16 2004-07-16 복공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5416A KR100608992B1 (ko) 2004-07-16 2004-07-16 복공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6404A true KR20060006404A (ko) 2006-01-19
KR100608992B1 KR100608992B1 (ko) 2006-08-08

Family

ID=37118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5416A KR100608992B1 (ko) 2004-07-16 2004-07-16 복공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899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8711B1 (ko) * 2006-05-04 2007-09-18 나진희 중공 형강으로 이루어진 하부구조의 상부를 콘크리트속채움한 구성을 가진 복공판
KR200447385Y1 (ko) * 2007-11-23 2010-01-22 대성정밀공업 주식회사 복공판
CN110067170A (zh) * 2019-05-15 2019-07-30 魏健 一种建筑工程临时道路结构及其施工方法
KR102397376B1 (ko) * 2022-01-17 2022-05-13 주식회사 포유텍 C형강을 이용한 복공판 및 그 제조 방법
KR20230126376A (ko) * 2022-02-23 2023-08-30 오진석 복공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7895B1 (ko) * 2007-12-20 2011-09-27 수림산업(주) 복공판
KR100986232B1 (ko) 2008-08-14 2010-10-07 최해곤 다목적 가림블럭
KR100933058B1 (ko) * 2009-05-01 2009-12-21 대현테크(주) 합성 복공판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8711B1 (ko) * 2006-05-04 2007-09-18 나진희 중공 형강으로 이루어진 하부구조의 상부를 콘크리트속채움한 구성을 가진 복공판
KR200447385Y1 (ko) * 2007-11-23 2010-01-22 대성정밀공업 주식회사 복공판
CN110067170A (zh) * 2019-05-15 2019-07-30 魏健 一种建筑工程临时道路结构及其施工方法
KR102397376B1 (ko) * 2022-01-17 2022-05-13 주식회사 포유텍 C형강을 이용한 복공판 및 그 제조 방법
KR20230126376A (ko) * 2022-02-23 2023-08-30 오진석 복공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8992B1 (ko) 2006-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9324Y1 (ko) 복공판
KR100665967B1 (ko) 복공판
KR100608992B1 (ko) 복공판
KR100647223B1 (ko) 복공판
KR101390169B1 (ko) 아치형 인도 거더교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029425B1 (ko) 확장 인도교
KR20090049912A (ko) 복공판
KR101630931B1 (ko) 콘크리트의 전단 균열 방지근 및 제작 편의성을 갖는 복공판
KR101034280B1 (ko) 강합성 콘크리트 복공판
KR200416824Y1 (ko) 구조보강용 복공판
KR101105404B1 (ko) 캡 플레이트를 활용한 단부 연속화 데크 플레이트 시스템
JP2008195475A (ja) 建築物耐震用の乗客コンベア装置
KR101184762B1 (ko)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에이치형 단면 강재 보
KR100954200B1 (ko) 복공판
KR101010109B1 (ko) 조립형 콘크리트 충전 강합성 복공판
KR100889021B1 (ko) 교량시공을 위한 구조용빔의 좌굴방지구조
KR20080057555A (ko) 일체형 복공판
KR101168916B1 (ko) 교량 수평지지빔의 보강장치
JP5215683B2 (ja) 補強板材
KR101415337B1 (ko) 하중 지지용 신축이음장치
KR101861570B1 (ko) 내구성이 우수한 확장형 인도교
KR200432583Y1 (ko) 복공판이 필요 없는 임시 가설교량
KR200378276Y1 (ko) 구조보강용 복공판
KR100742222B1 (ko) 복공판이 필요 없는 임시 가설교량
WO2006075863A1 (en) Long-span temporary bridge using cross beam having through-ho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10519

Effective date: 20111027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