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7223B1 - 복공판 - Google Patents

복공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7223B1
KR100647223B1 KR1020040030328A KR20040030328A KR100647223B1 KR 100647223 B1 KR100647223 B1 KR 100647223B1 KR 1020040030328 A KR1020040030328 A KR 1020040030328A KR 20040030328 A KR20040030328 A KR 20040030328A KR 100647223 B1 KR100647223 B1 KR 1006472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forated plate
plate
concrete
frame
support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0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4887A (ko
Inventor
최영덕
Original Assignee
최영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영덕 filed Critical 최영덕
Priority to KR1020040030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7223B1/ko
Publication of KR20050104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48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7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72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08Temporary pavings
    • E01C9/086Temporary pavings made of concrete, wood, bitumen, rubber or synthetic material or a combination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08Temporary pavings
    • E01C9/083Temporary pavings made of metal, e.g. plates, net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철 건설과 같은 지하 시설 공사시 도로면을 복개하기 위해 사용되는 복공판에 관한 것로서, 복공판 지지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프레임 지지면과, 측면으로 이루어지며, 노면을 형성하는 면이 개방된 복공판 프레임과, 복공판 프레임의 내부에 채워져 형성된 콘크리트 플레이트로 구성된 복공판을 제공한다. 따라서, 노면의 마찰력을 증대시켜 미끄럼을 줄일 수 있으며, 콘크리트 재질의 특성상 진동을 감쇠시켜 소음을 현저히 줄일 뿐만 아니라, 제조 비용을 절감시켜 준다.
복공판

Description

복공판{DECK PLATE}
도 1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복공판을 도시한 사시도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2는 복공판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복공판 프레임의 사시도
도 4는 도 2의 복공판의 측면도
도 5는 도 2의 복공판 프레임의 저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복공판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복공판 지지 프레임 100: 복공판
110: 프레임 지지면
111, 112: (프레임 지지면) I형 부재
120: 측면 124: 플랜지 지지부재
140, 240: 단면 플레이트 150, 160: 인장 부재
171: 스톱퍼 172: 프레임 지지면 보강부재
173: 패드 200: 콘크리트 플레이트
210: 노면
본 발명은 지하철 건설과 같은 지하 시설 공사시 도로면을 복개하기 위해 사용되는 복공판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미끄럼을 방지하며 소음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 비용을 현저하게 줄인 복공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공판은 지하철 건설과 같은 지하 시설 공사를 위해 도로를 파헤치는 경우, 교통량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노면을 복개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복공판은 평평한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수십 내지 수백개가 평평하게 배열되어 그 위로 차량이 지나다니게 된다. 또한 이러한 복공판은 노후 교량의 보수시 우회 도로를 건설하는데도 사용되기도 한다.
이와 같은 복공판을 도면을 참조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복공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복공판은 장방향의 상자 형상으로, 크게 1개의 상판(1)과, 상판(1)의 양측 하부에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측판(2), 상판의 하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리브판(3) 및 리브판(3)의 하부에 고정되는 보강판(4)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재질로는 통상 강철이 사용된다.
상판(1)은 다수의 ㄷ형 채널 부재(1a)가 나란히 배열되어 이루어지며,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판의 표면에는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판 위로 지나가는 차량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참고로, 미설명 부호 5는 복공판의 시 공시 복공판이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하는 스토퍼이고, 6은 미끄럼방지 및 충격 흡수를 위한 패드이며, 7은 지주대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복공판은 강철로 표면이 이루어져 비록 상판의 표면에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미끄럼이 발생할 우려가 높으며, 강철의 재료적 특징으로 인해 충격에 의한 소음이 많이 발생한다. 또한, 강철의 원재료가의 상승으로 복공판의 제조 비용이 고가라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미끄럼을 방지하며 소음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 비용을 현저하게 줄인 복공판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복공판 지지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프레임 지지면과, 측면으로 이루어지며, 노면을 형성하는 면이 개방된 복공판 프레임; 및 상기 복공판 프레임의 내부에 채워져 형성된 콘크리트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을 제공한다. 따라서, 노면이 콘크리트로 형성됨으로써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의 진동 감쇠 특성으로 인해 소음이 현저히 줄어들며,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콘크리트 플레이트의 내부에 배치되는 인장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콘크리트 플레이트의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전술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2는 복공판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복공판 프레임의 사시도, 도 4는 도 2의 복공판의 측면도, 도 5는 도 2의 복공판 프레임의 저면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복공판은 복공판의 노면(210)이 개방된 복공판 프레임(100)과, 복공판 프레임(100)의 내부에 채워져 상면이 노면(210)이되는 콘크리트 플레이트(200)와, 상기 콘크리트 플레이트(200)의 내부에 배치된 인장부재(150, 160)와, 복공판 지지 프레임(50)에 의해 지지되는 면에 부착되어, 복공판이 복공판 지지 프레임(50)에 대해 판상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톱퍼(171)와, 방진을 위한 패드(173)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는 콘크리트 플레이트와 복공판 프레임의 결합된 형태를 제시하고 있으나, 복공판 프레임을 제외한 콘크리트 플레이트만으로도 구성될 수 있다. 이때에는 복공판 지지 프레임(50)에 의해 지지되는 면이 콘크리트 플레이트의 하면이 될 것이다.
복공판 프레임(100)은 복공판의 하면을 구성하며 복공판 지지프레임(50)에 의해 지지되는 프레임 지지면(110)과, 프레임 지지면(110)의 양측면을 형성하는 측면(120)과, 상기 양측면을 제외한 면에 결합되는 단면 플레이트(140)로 구성된다.
프레임 지지면(110)은 횡방향으로 용접 결합된 I형 부재(112)와, 프레임 지지면(110)이 콘크리트 플레이트를 향하는 면에 고정된 스터드 볼트(111)로 구성된다. 프레임 지지면(110)을 구성하는 I형 부재(112)는 높이가 측면(120)의 높이보다 낮으며, 하부 플랜지(112c)의 너비가 상부 플랜지(112a)의 너비 보다 넓다. 따라서, 하부 플랜지(112c)의 측면을 연속하여 결합하면, I형 부재(112)간에 개방된 공간이 형성된다. 따라서,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콘크리트가 I형 부재 사이에 쉽게 스며들 수 있다. 따라서, 복공판의 강성을 훨씬 증대 시킬 수 있다. 그러나, 콘크리트 플레이트(200)의 부피의 증대로 무게가 필요 이상으로 증가될 수 있다. 이의 해소 방안으로서, 도 7과 같이 상부 플랜지(112a) 및 하부 플랜지(112c)의 폭이 동일한 I형 부재(112)로 프레임 지지면(110)을 형성함으로써, I형 부재(112)간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여, 무게를 줄일 수 있다. I형 부재(112)는 열간 성형 방법으로 형성되거나, 상부 플랜지(112a) 및 하부 플랜지(112c)와 웹(112b) 사이가 용접되어 형성된다.
측면(120)은 프레임 지지면(110)의 I형 부재(112) 보다 높이가 높은 I형 부재(120)와, I형 부재(120)의 상부 플랜지(121)와 하부 플랜지(123)에 양끝단이 연결되어 상부 플랜지(121)를 지지하는 플랜지 지지부재(124)로 구성된다. 플랜지 지지부재(124)는 L형 앵글을 절단하여 형성한다. 또한, 측면 모서리에 측면 모서리 지지부재(130)가 더 구비된다. 측면 모서리 지지부재(130) 또한 L형 앵글을 절단하여, 단면의 꺽이는 부분이 I형 부재(120)의 플랜지의 끝모서리와 일치하도록 형성된다.
프레임 지지면(110)의 복공판 지지 프레임(50)을 향하는 면에는 스톱퍼(171)와, 프레임 지지면 보강부재(172)와, 패드(173)가 구비된다. 스톱퍼(171)는 L형 앵글로 구성되며, 복공판이 도 5의 화살표(174)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프레임 지지면(110)에 고정된다. 따라서, 복공판이 복공판 지지 프레임(5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스톱퍼(171)는 프레임 지지면 보강부재(172)와 함께 스톱퍼(171)의 길이 방향으로 발생하는 인장강도를 증대 시켜 준다. 프레임 지지면 보강부재(172) 또한 L형 앵글로 형성된다. 패드(173)는 충격을 완화시켜줄 수 있는 고무 등과 같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장 부재(150, 160)는 콘크리트 플레이트(200)의 인장력을 증대시키는 것으로서, 철근(150) 이나 앵글(160)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격자형으로 형성된 와이어 메쉬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인장 부재(150, 160)는 제조 단계에서 정확한 위치에 고정되기 위해서 프레임 지지면(110)의 I형 부재의 상부 플렌지(112a) 혹은 웹(112b)에 고정된다. 즉, 상부 인장 부재(150)는 높이가 높은 I형 부재(112)의 상부 플렌지(112a)에 고정되며, 하부 인장 부재(160)는 I형 부재의 웹 사이에 고정된다.
단면 플레이트(140)는 측면 I형 부재(120)가 형성되지 않는 부위에 측면 콘크리트 및 노면과 측면 사이의 모서리를 보호하기 위해 구비된다. 따라서, 단면 플레이트(140)는 노면(210)의 일부면과, 단면을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됨으로써, 모서리 보호 부재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콘크리트의 특성상 모서리 부위에 지속적인 충격이 가해질 경우 쉽게 파손되는 단점을 보완한 것이다.
콘크리트 플레이트(200)는 고강도 콘크리트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한, 콘크리트 플레이트(200)의 노면에는 MMA 폴리머 코팅이 도포될 수도 있다. MMA 폴리머 코팅은 내마모성, 미끄럼 저항성 및 내유동성과 내충격성이 탁월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콘크리트 플레이트(200)의 네 모서리에는 크레인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작업공(212)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복공판은 콘크리트 플레이트(200)가 가해지는 하중 중에 압축응력을 대부분을 부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콘크리트 플레이트의 높이가 복공판의 높이의 절반 이상이 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는 굽힘 응력이 가해질 경우 압축응력이 복공판 단면의 중심부 근처까지 형성되기 때문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복공판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복공판의 사시도이다.
제 2 실시예의 복공판은 제 1 실시예의 복공판과 단면 플레이트(140)의 형상만 상이할 뿐 나머지의 구성은 동일하다. 즉, 제 2 실시예의 복공판의 단면 플레이트(140)는 노면(210)의 일부면을 덮을 수 없도록 평면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단면만 덮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복공판은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로 형성함으로써, 압축력은 콘크리트가 부담하며, 인장력은 복공판 프레임이 부담하도록 함으로써,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콘크리트 플레이트로 형성됨으로써, 종래의 철제 복공판에 비해 노면의 미끄럼을 방지 효과가 월등하다. 또한, 콘크리트의 노면 위에 직접 차선등을 표시할 경우, 철제에 비해 식별력이 뛰어나며, 쉽게 벗겨지지도 않는다. 이러한 특성 은 콘크리트 플레이트 노면위에 MMA 폴리머 코팅을 함으로써 훨씬 증대될 수 있다.
그리고, 콘크리트 재질의 특성상 종래의 복공판에 사용된 금속에 비해 진동 감쇠 효과가 뛰어나다. 따라서 소음이 현저하게 줄어든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복공판은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로 형성함으로써, 압축력은 콘크리트가 부담하며, 인장력은 복공판 프레임이 부담하도록 함으로써,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콘크리트 플레이트로 형성됨으로써, 종래의 철제 복공판에 비해 노면의 미끄럼을 방지 효과가 월등하다. 또한, 콘크리트의 노면 위에 직접 차선등을 표시할 경우, 철제에 비해 식별력이 뛰어나며, 쉽게 벗겨지지도 않는다. 이러한 특성은 콘크리트 플레이트 노면위에 MMA 폴리머 코팅을 함으로써 훨씬 증대될 수 있다.
그리고, 콘크리트 재질의 특성상 종래의 복공판에 사용된 금속에 비해 진동 감쇠 효과가 뛰어나다. 따라서 소음이 현저하게 줄어든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Claims (32)

  1. 복공판 지지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프레임 지지면과, 측면으로 이루어지며, 노면을 형성하는 면이 개방된 복공판 프레임; 및
    상기 복공판 프레임의 내부에 채워져 형성된 콘크리트 플레이트;
    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지지면에는 콘크리트가 채워지지 않는 공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지지면은 단면의 높이가 상기 측면의 높이보다 낮은 I형 부재가 여러 개 연결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지지면을 형성하는 I형 부재들 사이의 공간에 콘크리트가 삽입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지지면을 형성하는 I형 부재들은 상부 플렌지의 폭과 하부 플렌지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플레이트의 내부에 배치되는 인장부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부재는 철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부재는 와이어 메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
  8.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플레이트는 단면의 높이가 복공판 전체 높이의 절반 이상이 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
  9.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플레이트는 압축 하중을 주로 부담하며, 상기 복공판 프레임은 인장 응력을 주로 부담하도록 상기 콘크리트 플레이트의 단면의 면적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
  10. 삭제
  11.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지지면의 상기 콘크리트 플레이트와 접하는 방향에 고정된 스터드 볼트;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
  12.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은 I형 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플레이트의 반대 방향의 상기 측면 I형부재의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에 연결되어 상부 플랜지를 지지하는 플랜지 지지부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
  14. 여러개의 I형 부재가 횡방향 결합되어 형성된 프레임 지지면;
    상기 프레임 지지면의 양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프레임 지지면의 I형 부재보다 높은 I형 부재로 이루어진 측면; 및
    상기 프레임 지지면과 상기 측면 I형 부재로 이루어지는 수용공간에 채워지는 콘크리트 플레이트;
    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지지면을 형성하는 I형 부재들 사이의 공간에 콘크리트가 삽입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I형 부재가 결합되지 않은 측면에 결합된 단면 플레이트;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지지면의 복공판 지지 프레임과 접하는 면에 부착되어, 상기 복공판이 복공판 지지 프레임에 대해 판상 방향으로 상대적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톱퍼;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는 'L'자형 앵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지지면을 형성하는 I형 부재는 상부 플렌지의 폭이 하부 플렌지의 폭보다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
  19.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플레이트는 단면의 높이가 복공판 전체 높이의 절반 이상이 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
  20.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플레이트는 압축 하중을 주로 부담하며, 상기 복공판 프레임은 인장 응력을 주로 부담하도록 상기 콘크리트 플레이트의 단면의 면적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
  21. 제 14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I형 부재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콘크리트 플레이트 내부에 배치되는 인장부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부재는 철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부재는 와이어 메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또는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플레이트의 상기 노면의 상면에 코팅된 미끄럼 방지 코팅;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방지 코팅은 MMA 코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KR1020040030328A 2004-04-30 2004-04-30 복공판 KR1006472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0328A KR100647223B1 (ko) 2004-04-30 2004-04-30 복공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0328A KR100647223B1 (ko) 2004-04-30 2004-04-30 복공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4887A KR20050104887A (ko) 2005-11-03
KR100647223B1 true KR100647223B1 (ko) 2006-11-23

Family

ID=37282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0328A KR100647223B1 (ko) 2004-04-30 2004-04-30 복공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722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0850B1 (ko) * 2008-06-30 2008-09-29 주식회사 누리플랜 복공판의 제조방법
KR100870869B1 (ko) * 2008-06-30 2008-11-27 주식회사 누리플랜 복공판
CN109226676A (zh) * 2017-07-10 2019-01-18 张珉镐 球墨铸铁覆工板的制造方法及其球墨铸铁覆工板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0462B1 (ko) * 2006-07-25 2007-09-20 이용호 복공판
KR100665967B1 (ko) * 2006-08-09 2007-01-09 김진팔 복공판
KR100739823B1 (ko) * 2007-02-05 2007-07-1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복공판과 거더 일체형 가설교량
KR100847611B1 (ko) * 2007-03-20 2008-07-21 명근학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복공판
CN104294736B (zh) * 2014-09-18 2016-08-24 天津市何七科技有限公司 一种轻质复合路面
CN106758656B (zh) * 2016-11-23 2019-04-05 上海交通大学 复杂载荷钢板混凝土平台施工方法
KR102397376B1 (ko) * 2022-01-17 2022-05-13 주식회사 포유텍 C형강을 이용한 복공판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0850B1 (ko) * 2008-06-30 2008-09-29 주식회사 누리플랜 복공판의 제조방법
KR100870869B1 (ko) * 2008-06-30 2008-11-27 주식회사 누리플랜 복공판
CN109226676A (zh) * 2017-07-10 2019-01-18 张珉镐 球墨铸铁覆工板的制造方法及其球墨铸铁覆工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4887A (ko) 2005-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9324Y1 (ko) 복공판
KR101203978B1 (ko) 교량의 상부 구조물
KR100647223B1 (ko) 복공판
KR100990857B1 (ko) 복공판
KR100932035B1 (ko) 변단면 콘크리트 합성 조립식 경량 복공판
CA2349855C (en) Tension force adjustable prestressed girder
KR100911451B1 (ko) 메인거더와 대형복공판이 일체화된 합성가설교량용 구조체 및 그를 이용한 합성가설교량 시공방법
KR100929180B1 (ko) 복공판
KR100608992B1 (ko) 복공판
KR101630931B1 (ko) 콘크리트의 전단 균열 방지근 및 제작 편의성을 갖는 복공판
JP5284590B2 (ja) 建築物耐震用の乗客コンベア装置
KR101034280B1 (ko) 강합성 콘크리트 복공판
KR200416824Y1 (ko) 구조보강용 복공판
KR101105404B1 (ko) 캡 플레이트를 활용한 단부 연속화 데크 플레이트 시스템
KR100986232B1 (ko) 다목적 가림블럭
KR100954200B1 (ko) 복공판
KR101010109B1 (ko) 조립형 콘크리트 충전 강합성 복공판
KR101184762B1 (ko)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에이치형 단면 강재 보
KR101043710B1 (ko) 가각부가 형성된 하로교 및 하로교에 가각부를 형성시키는 방법
KR101067895B1 (ko) 복공판
KR100654920B1 (ko) 도로의 슬라이딩 스틸그레이팅이 안착되는 배수로 구조
KR200378276Y1 (ko) 구조보강용 복공판
JP5215683B2 (ja) 補強板材
KR102005969B1 (ko) 조립형 프리스트레스트 강합성 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KR200254553Y1 (ko) 원형빔을 이용한 육교 거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70314

Effective date: 20070830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70206

Effective date: 20070830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Free format text: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J122 Written withdrawal of action (patent cour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