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4200B1 - 복공판 - Google Patents

복공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4200B1
KR100954200B1 KR1020070131901A KR20070131901A KR100954200B1 KR 100954200 B1 KR100954200 B1 KR 100954200B1 KR 1020070131901 A KR1020070131901 A KR 1020070131901A KR 20070131901 A KR20070131901 A KR 20070131901A KR 100954200 B1 KR100954200 B1 KR 1009542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dominal
perforated plate
members
stopper
width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1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4632A (ko
Inventor
조우연
윤태양
김진국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주) 케이 이엔씨
주식회사 스틸코리아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주) 케이 이엔씨, 주식회사 스틸코리아,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1319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4200B1/ko
Publication of KR20090064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46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4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42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08Temporary pavings
    • E01C9/083Temporary pavings made of metal, e.g. plates, net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복공판 상면을 일체화된 구조로 형성하고 미끄럼 방지부를 형성하여 미끄럼 성능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복공판을 제공한다. 복공판은 기 설정된 형상으로 절곡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복부재, 복부재의 하측에 구비되어 복수의 복부재들을 상호 연결하는 하부재, 및 복부재의 상측에 구비되어 복수의 복부재들을 상호 연결하는 상부재를 포함하며, 상부재는 복부재가 내측에 포함되도록 복부재의 상면과 측면을 덮는 일체의 판형상으로 형성한다.
복공판, 복부재, 상부재, 무늬강판

Description

복공판{DECK PLATE}
본 발명은 복공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공판은 지하철 공사와 같은 지하시설 공사를 위해 도로를 파헤치는 경우나 가설교량을 설치했을 경우 교통량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노면을 복개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복공판은 형강 제품들을 용접으로 접합하여 전체적으로 평평한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수십 내지 수백 개의 복공판이 평평하게 배열된다. 이렇게 배열된 복수개의 복공판 위로 차량이 이동되며, 노후 교량의 보수시 우회도로를 건설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복공판은 공사차량이나 화물차량 등 과하중의 차량 통행시 반복되는 과하중을 견디지 못하여 피로에 의해 용접 부위가 파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복공판의 재질이 강재로 형성되기 때문에 차량의 주행시나 제동시 타이어와의 마찰이 부족하여 미끄러짐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계절적인 영향으로 비나 눈이 내릴 때 미끄러짐에 더욱 취약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복공판 상면을 일체화된 구조로 형성하고 미끄럼 방지부를 형성하여 미끄럼 성능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복공판을 제공한다.
복공판은 기 설정된 형상으로 절곡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복부재, 복부재의 하측에 구비되어 복수의 복부재들을 상호 연결하는 하부재, 및 복부재의 상측에 구비되어 복수의 복부재들을 상호 연결하는 상부재를 포함하며, 상부재는 복부재가 내측에 포함되도록 복부재의 상면과 측면을 덮는 일체의 판형상으로 형성한다.
상부재는 복부재의 상면을 덮는 제1 부재, 제1 부재의 길이방향 양측으로부터 각각 절곡 형성되어 복부재의 길이방향 측면을 덮는 제2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부재의 높이는 복부재의 높이 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부재는 제2 부재로부터 절곡 형성되어 복부재의 하면을 덮는 방향으로 신장되는 바닥부재를 더 포함하며, 바닥부재는 상부재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바닥부재는 제1 부재의 폭방향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어 복수의 복부재들 가운데 복부재의 폭방향 양측에 배치되는 복부재들과 각각 접하며, 바닥부재는 복부재의 폭방향 길이보다 더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상부재는 제1 부재의 폭방향 양측에서 복부재의 폭방향 측면을 덮는 측부재를 더 포함하며, 측부재는 상부재에 용접 결합될 수 있다.
복부재와 하부재는 용접 결합되며, 복부재와 상부재는 용접 결합될 수 있다. 복부재와 상부재의 상측은 점용접으로 결합되고, 복부재와 상부재의 측면은 선용접으로 결합될 수 있다.
하부재는 복부재의 길이방향 양측에 각각 구비되며, 복부재의 폭방향으로 배치되어 복부재를 지지하는 스토퍼부재, 스토퍼부재의 사이에 구비되어 복부재의 폭방향으로 배치되는 보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부재는 'ㄱ'형상으로 형성되며, 수평한 부분에 고무패드가 장착될 수 있다.
스토퍼부재는 바닥부재 및 복부재에 용접으로 결합되며, 나사로도 체결될 수 있다. 스토퍼부재와 바닥부재 및 복부재는 나사 체결 부위에 각각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고무패드에는 스토퍼부재와의 결합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개의 돌기를 가지며, 스토퍼부재에는 돌기가 삽입되는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부재와 고무패드는 나사로도 체결될 수 있으며, 스토퍼부재와 고무패드는 나사 체결 부위에 각각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상부재의 상면에서 모서리측에는 인양홀이 형성되며, 상부재는 무늬강판으로 형성할 수 있다.
복부재는 수직면들 사이에 수평면이 상하로 번갈아 연결되는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복부재는 3개의 수직면과 2개의 수평면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복부재는 3개의 수직면과 3개의 수평면을 가질 수 있으며, 스토퍼부재와 측부재는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복공판은 상면을 일체화된 구조로 구성하여 내구성 향상과 복공판 단면 최적화 및 단순화로 강재 중량 감소, 제작비 절감을 통한 경제성 향상 및 복공판 상면에 미끄럼 방지부를 형성하여 미끄럼 성능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도면에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공판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복공판은 복부재(100), 하부재, 상부재(110)를 포함한다.
복부재(100)는 기 설정된 형상으로 절곡되어 배치되며, 복수개의 조합으로 형성된다. 복부재(1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등간격으로 절곡될 수 있으며, 부등간격으로도 절곡될 수 있다. 복부재(100)는 수직면들 사이에 수평면이 상하로 번갈아 연결되는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복부재(100)는 3개의 수직면과 2개의 수평면을 갖는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곡된 형상으로 복부재(100)는 복공판의 폭방향을 중심으로 중앙에 대칭으로 위치하게 되며 복공판의 상부하중을 하부로 전달 및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절곡된 형상은 프레스 가공이나 롤포밍 가공 등을 통해 대량 제작이 가능하여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다.
하부재는 복부재(100)의 하측에 구비되어 복수의 복부재(100)들을 상호 연결한다. 하부재는 복부재(100)의 길이방향 양측에 각각 구비되며, 스토퍼부재(130), 보강부재(140)를 포함한다.
스토퍼부재(130)는 복부재(100)의 폭방향으로 배치되어 복부재(100)를 지지한다. 스토퍼부재(130)는 복부재(100)를 하부재에 거치할 때 복부재(100)의 이격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스토퍼부재(130)는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ㄱ'형상으로 형성되며, 수평한 부분에 고무패드(132)가 장착될 수 있다.
고무패드(132)는 상부재(110)의 상부에서 차량 이동 시에 충격을 완화시키는 기능을 한다. 고무패드(132)는 다양한 방법으로 스토퍼부재(130)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무패드(132)는 복수개의 돌기(133)를 형성하여 스토퍼부재(130)와 체결할 수 있다. 돌기(133)는 스토퍼부재(130)와의 결합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경우, 스토퍼부재(130)와 바닥부재(116) 및 복부재(100)는 고무패드(132)의 돌기(133)가 결합되는 부위에 각각 구멍(131, 117, 101)이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부재(130)와 고무패드(132)는 나사로도 체결될 수 있으며, 스토퍼부재(130)와 고무패드(132)는 나사 체결 부위에 각각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즉, 고무패드(132)에 복수개의 돌기(133)를 일체로 형성하여 스토퍼부재(130)와 결합할 수 있으며, 돌기(133)의 형성 위치에 구멍을 형성하여 나사를 체결함으로써 스토퍼부재(130)와의 결합관계를 유지할 수도 있다.
보강부재(140)는 스토퍼부재(130)의 사이에 구비되어 복부재(100)의 폭방향 으로 배치된다. 보강부재(140)는 복공판 구조의 비틀림 강성을 증가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부재(110)는 복부재(100)의 상측에 구비되어 복수의 복부재(100)들을 상호 연결한다. 상부재(110)는 무늬강판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부재(110)는 복부재(100)가 내측에 포함되도록 복부재(100)의 상면과 측면을 각각 덮는 일체의 판형상으로 형성한다.
상부재(110)는 복부재(100)의 상면을 덮는 제1 부재(112), 제1 부재(112)의 길이방향 양측으로부터 각각 절곡 형성되어 복부재(100)의 길이방향 측면을 덮는 제2 부재(114)를 포함한다. 제2 부재(114)의 높이는 복부재(100)의 높이 보다 더 길게 형성된다.
상부재(110)는 제2 부재(114)로부터 절곡 형성되어 복부재(100)의 하면을 덮는 방향으로 신장되는 바닥부재(116)를 더 포함한다. 바닥부재(116)는 상부재(110)와 일체로 형성된다. 바닥부재(116)는 제1 부재(112)의 폭방향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어 복수의 복부재(100)들 가운데 복부재(100)의 폭방향 양측에 배치되는 복부재(100)들과 각각 접한다. 바닥부재(116)는 복부재(100)의 폭방향 길이보다 더 짧게 형성된다.
상부재(110)는 제1 부재(112)의 폭방향 양측에서 복부재(100)의 폭방향 측면을 덮는 측부재(118)를 더 포함한다. 측부재(118)는 상부재(110)에 용접 결합될 수 있다.
상부재(110)의 상면에서 모서리측에는 인양홀(113)이 형성될 수 있다. 인양 홀(113)은 복공판의 운반, 가설 및 해체시 인양장치를 거치하는데 사용한다.
복부재(100)의 절곡된 하면과 하부재는 용접 결합된다. 즉, 하부재를 구성하는 스토퍼부재(130)는 바닥부재(116) 및 복부재(100)와 용접으로 결합된다. 복부재(100)의 절곡된 상면과 상부재(110)도 용접 결합될 수 있다. 복부재(100)의 절곡된 상면과 상부재(110)의 상측은 점용접으로 결합되고, 복부재(100)와 상부재(110)의 측면은 선용접으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하부재를 구성하는 스토퍼부재(130)는 바닥부재(116) 및 복부재(100)와 나사로 체결될 수 있으며, 스토퍼부재(130)와 바닥부재(116) 및 복부재(100)는 나사 체결 부위에 각각 구멍(131, 117, 101)이 형성될 수 있다.
복공판 상면을 구성하기 위해 형강 제품을 사용하는 경우, 형강들의 접합에는 용접 결합방법을 사용한다. 이러한 경우 형강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용접부분의 품질 저하로 차량주행에 따른 용접 탈락 등의 내구성 문제가 발생되어 차량 주행성 저감 및 소음이 발생되고 있다.
그리고 기성제품인 형강 제품을 조합한 복공판은 단면이 최적화되어 있지 않아 복공판의 강재 중량이 증가되어 생산원가 상승 및 운반비 증가, 시공성 저하 등의 문제가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공판의 구성을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배면을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공판은 상부재(110)를 일체의 강판으로 구비하여 복부재(100)들과 결합하는 구조이며, 복부 재(100)와는 별도로 구비되는 상부재(110)를 통해 복공판의 내구성 향상과 복공판 단면 최적화 및 단순화로 강재 중량 감소, 제작비 절감을 통한 경제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복공판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결합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도 6의 배면을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복공판은 제1 실시예의 복공판과 대부분 유사한 구조로 형성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상부재(610)는 제1 부재(612)와 제2 부재(614)를 기본 구성으로 한다. 상부재(610)를 제1 부재(612)와 제2 부재(614)로 형성함에 따라 상부재(610)의 형성시 제1 부재(612)로부터 제2 부재(614)를 절곡하는 공정으로 상부재(610)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상부재(110) 형성시 제1 부재(112)로부터 제2 부재(114)를 절곡 형성하고, 제2 부재(114)로부터 제3 부재(116)를 절곡 형성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보다 상부재(610)의 성형공정시 절곡 공정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상부재(610)에서 제3 부재를 별도로 형성하지 않는데, 상부재(610)에서 배제된 제3 부재는 복부재(600)의 수평면(602)을 한 개 더 추가하여 대체한다. 즉, 복부재(600)에서 추가되는 수평면(602)은 제1 실시예에서의 제3 부재 기능을 한다. 복부재(600)의 추가된 수평면(602)은 스토퍼부재(630)와 용접으로 결합된다.
한편, 복부재(600)의 추가된 수평면(602)은 스토퍼부재(630)와 나사로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스토퍼부재(630)와 복부재(600)의 추가된 수평면(602)에는 나사 체결 부위에 각각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스토퍼부재(630)와 측부재(616)는 일체로 형성한다. 스토퍼부재(630)와 측부재(616)는 일체로 형성하는 경우, 스토퍼부재(630)와 측부재(616)는 동일한 두께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스토퍼부재(630)와 측부재(616)를 일체로 구성함으로써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복공판은 스토퍼부재(630)의 내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공판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배면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공판의 구성을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배면을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복공판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배면을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복부재 110 ; 상부재
112 ; 제1 부재 114 ; 제2 부재
116 ; 바닥부재 118 ; 측부재
130 ; 스토퍼부재 132 ; 고무패드
140 ; 보강부재

Claims (24)

  1. 수직면들 사이에 수평면이 상하로 번갈아 연결되는 형상으로 절곡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복부재;
    상기 복부재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복수의 복부재들을 상호 연결하는 하부재, 및
    상기 복부재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복수의 복부재들을 상호 연결하는 강판으로, 상기 복수의 복부재가 내측에 포함되도록 상기 복수의 복부재의 상면과 측면을 덮는 일체의 판형상으로 형성하는 상부재
    를 포함하는 복공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재는
    상기 복부재의 상면을 덮는 제1 부재;
    상기 제1 부재의 길이방향 양측으로부터 각각 절곡 형성되어 상기 복부재의 길이방향 측면을 덮는 제2 부재
    를 포함하는 복공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의 높이는 상기 복부재의 높이 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복공판.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재는
    상기 제2 부재로부터 절곡 형성되어 상기 복부재의 하면을 덮는 방향으로 신장되는 바닥부재를 더 포함하는 복공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재는 상기 상부재와 일체로 형성되는 복공판.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재는 상기 복수의 복부재들 가운데 상기 복부재의 폭방향 양측에 배치되는 복부재들과 각각 접하는 복공판.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재는 상기 제1 부재의 폭방향 길이보다 더 짧게 형성되는 복공판.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재는 상기 제1 부재의 폭방향 양측에서 상기 복부재의 폭방향 측면을 덮는 측부재를 더 포함하는 복공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재는 상기 상부재에 용접 결합되는 복공판.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부재와 상기 하부재는 용접 결합되는 복공판.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부재와 상기 상부재는 용접 결합되는 복공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부재와 상기 상부재의 상측은 점용접으로 결합되고, 상기 복부재와 상기 상부재의 측면은 선용접으로 결합되는 복공판.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재는
    상기 복부재의 길이방향 양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복부재의 폭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복부재를 지지하는 스토퍼부재;
    상기 스토퍼부재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복부재의 폭방향으로 배치되는 보강부재
    를 포함하는 복공판.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재는 'ㄱ'형상으로 형성되며, 수평한 부분에 고무패드가 장착되는 복공판.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재는 상기 제2 부재로부터 절곡 형성되어 상기 복부재의 하면을 덮는 방향으로 신장되는 바닥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부재는 상기 바닥부재 및 상기 복부재와 나사로 체결되는 복공판.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재와 상기 바닥부재 및 상기 복부재는 나사 체결 부위에 각각 구멍이 형성되는 복공판.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패드에는 상기 스토퍼부재와의 결합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개의 돌기를 갖는 복공판.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재에는 상기 돌기가 삽입되는 구멍이 형성되는 복공판.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재의 상면에서 모서리측에는 인양홀이 형성되는 복공판.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재는 무늬강판으로 형성하는 복공판.
  21. 삭제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부재는 3개의 수직면과 2개의 수평면을 갖는 복공판.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부재는 3개의 수직면과 3개의 수평면을 갖는 복공판.
  2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재는 상기 제1 부재의 폭방향 양측에서 상기 복부재의 폭방향 측면을 덮는 측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부재와 상기 측부재는 일체로 형성하는 복공판.
KR1020070131901A 2007-12-17 2007-12-17 복공판 KR1009542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1901A KR100954200B1 (ko) 2007-12-17 2007-12-17 복공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1901A KR100954200B1 (ko) 2007-12-17 2007-12-17 복공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4632A KR20090064632A (ko) 2009-06-22
KR100954200B1 true KR100954200B1 (ko) 2010-04-21

Family

ID=40993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1901A KR100954200B1 (ko) 2007-12-17 2007-12-17 복공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420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553Y1 (ko) 2011-08-09 2013-04-24 대경인더스트리 주식회사 복공판용 고무패드
KR101414820B1 (ko) * 2013-09-26 2014-07-04 대현테크(주) 복공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3767Y1 (ko) * 2016-08-24 2017-06-22 더강이엔씨 주식회사 길이방향 절곡상판을 이용한 복공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5930U (ko) * 1997-10-22 1999-05-15 김헌출 미끄럼방지용 복공판
KR200378276Y1 (ko) * 2004-12-15 2005-03-14 고준현 구조보강용 복공판
KR200383505Y1 (ko) 2005-02-23 2005-05-03 오수철 복공판
KR200418570Y1 (ko) * 2006-02-24 2006-06-12 주식회사 홍익기술단 복공판 고정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5930U (ko) * 1997-10-22 1999-05-15 김헌출 미끄럼방지용 복공판
KR200378276Y1 (ko) * 2004-12-15 2005-03-14 고준현 구조보강용 복공판
KR200383505Y1 (ko) 2005-02-23 2005-05-03 오수철 복공판
KR200418570Y1 (ko) * 2006-02-24 2006-06-12 주식회사 홍익기술단 복공판 고정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553Y1 (ko) 2011-08-09 2013-04-24 대경인더스트리 주식회사 복공판용 고무패드
KR101414820B1 (ko) * 2013-09-26 2014-07-04 대현테크(주) 복공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4632A (ko) 2009-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31917B (zh) 覆盖格栅
KR100929180B1 (ko) 복공판
KR200409324Y1 (ko) 복공판
KR100954200B1 (ko) 복공판
KR100911451B1 (ko) 메인거더와 대형복공판이 일체화된 합성가설교량용 구조체 및 그를 이용한 합성가설교량 시공방법
KR100647223B1 (ko) 복공판
KR200438042Y1 (ko) 복공판
KR101105404B1 (ko) 캡 플레이트를 활용한 단부 연속화 데크 플레이트 시스템
KR101034280B1 (ko) 강합성 콘크리트 복공판
KR200416824Y1 (ko) 구조보강용 복공판
KR100608992B1 (ko) 복공판
KR200385503Y1 (ko) 복공판
KR101630931B1 (ko) 콘크리트의 전단 균열 방지근 및 제작 편의성을 갖는 복공판
KR20080057555A (ko) 일체형 복공판
KR101300687B1 (ko) 복공판 설치 구조
KR101010109B1 (ko) 조립형 콘크리트 충전 강합성 복공판
KR101595012B1 (ko) 박스형 강합성 복공판
KR101085213B1 (ko) 복공판
KR100673415B1 (ko) 조립식 경량 복공판
KR101300684B1 (ko) 복공판 설치 구조
KR20070008093A (ko) 곡선형 보강 리브를 가지는 에이치 형강
KR101623360B1 (ko) 표면돌기형 복공판
JP4323494B2 (ja) 道路用継手
KR200432583Y1 (ko) 복공판이 필요 없는 임시 가설교량
KR100478603B1 (ko) 아톰 복공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