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2222B1 - 복공판이 필요 없는 임시 가설교량 - Google Patents

복공판이 필요 없는 임시 가설교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2222B1
KR100742222B1 KR1020060093263A KR20060093263A KR100742222B1 KR 100742222 B1 KR100742222 B1 KR 100742222B1 KR 1020060093263 A KR1020060093263 A KR 1020060093263A KR 20060093263 A KR20060093263 A KR 20060093263A KR 100742222 B1 KR100742222 B1 KR 1007422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orary
plate
mold
bridge
transverse b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3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
Original Assignee
(주)리튼브릿지
김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리튼브릿지, 김성 filed Critical (주)리튼브릿지
Priority to KR1020060093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22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2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22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12Portable or sectional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Abstract

종래 복공판을 대체하여 주형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횡방향 빔을 병렬로 접하여 다수를 설치하도록 하고, 상기 횡방향 빔은 주형에 지지되어 고정되도록 가이드 빔을 주형 양 측에 설치한 뒤, 횡방향 빔의 양 단부가 상기 가이드 빔의 내측 복부 사이에 설치되도록 하여, 종래 복공판 설치가 필요 없는 임시가설교량이 본 발명에 의하여 제공된다.
복공판, 가설교량

Description

복공판이 필요 없는 임시 가설교량{TEMPORARY BRIDGE WITHOUT DECK PLATE OF BRIDGE}
도 1은 종래의 복공판을 이용한 가설교량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가설교량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2의 A의 부분상세 발췌도이다.
도 4는 도 2의 B의 부분상세 발췌도이다.
도 5는 도 2의 C의 부분상세 발췌도이다.
도 6은 도 2의 D의 부분상세 발췌도이다.
도 7은 도 2의 전체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주형 200:가이드빔
300:횡방향 빔 400:횡방향 빔 고정수단
500:주형고정수단 600:완충부재
520:종방향 고정연결판
본 발명은 더욱 구체적으로 복공판이 필요 없는 임시 가설교량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종래 복공판, 주형 및 가설벤트로 구성된 임시 가설교량에 있어 특히 복공판을 사용하지 않고, 대신 횡방향 빔과 가이드빔을 이용하여 임시가설교량을 제작하는 임시가설교량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가설벤트를 이용한 가설교량을 도시한 것이다.
즉, H 빔인 기둥부재(11)를 지반에 유압식 바이브레이터를 이용하여 1개씩 관입 시킨 후, 다수의 H 빔인 기둥부재(11)를 L 형강인 경사부재 및 수평부재인 보강부재(12,13)를 이용하여 서로 연결시켜 기둥부재 조립체 형태로 가설벤트의 하부구조(10)를 완성시키고,
상기 하부구조(10) 상부에 길이방향 주형(21)을 설치한 뒤, 주형 상부에 복공판(22)을 설치하여 가설교량의 상부구조(20)를 완성시킴으로써 일반적인 종래 임시가설교량을 시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복공판(22)은 기성 제품을 구입하여 설치하게 되는데, 통상은 직육면체 형태의 박스체로 제작된다.
이러한 복공판(22)은 차량의 타이어와 직접 접하는 부분으로서 동적하중과 충격을 지속적으로 받음에 따라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파손되어 이를 교체해야 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복공판(22)의 일부가 파손될 경우 달리 보수하지 못하고 복공판 전체를 교체하고 있는데, 이러한 교체비용이 상당히 고가라는 문제점이 있어 복공판의 합리적인 제작 및 시공에 대한 연구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된 바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가설교량에 사용되는 복공판을 사용하지 않은 가설교량을 제공함으로서 경제적이고 유지관리가 용이한 임시 가설교량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첫째, 종래 복공판을 대체할 수 있는 임시바닥판으로서 가장 구입이 용이하면서도 설치가 용이한 H 형강인 횡방향 빔(300)을 길이방향으로 다수 병렬 설치하여 상기 종래 복공판을 대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종래 복공판의 기능을 가지는 횡방향 빔(300)을 병렬로 서로 접해서 임시바닥판 역할을 하도록 함으로서 복공판 설치작업을 배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둘째, 상기 횡방향 빔(300)과 주형(100)을 서로 고정시킴과 더불어 길이방향으로의 변형 또는 밀림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주형(100)과 임시바닥판을 구성하는 H 형강인 횡방향 빔(300)을 하부연결지지판(510); 종방향 고정연결판(520); 및 상기 하부연결지지판과 종방향 고정연결판을 관통하여 체결된 볼트 및 너트를 포함하는 고정구(530);를 포함하는 주형고정수단(500)에 의하여 서로 고정되도록 하고,
임시바닥판을 구성하는 H 형강인 횡방향 빔(300)을 서로 상부연결판재(310)를 이용하여 결속시켜주고, 횡방향 빔(300)의 양 단부와 접하는 가이드 빔(200)을 주형(100) 최 외측 상부면 길이방향으로 연장 설치하고 상기 가이드 빔(200)의 내 측 복부에 일종의 스토퍼인 횡방향 빔 고정수단(400)이 설치되도록 하였다.
본 발명을 보다 명확하고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이하 본 발명의 최선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임시가설교량을 도시한 것이며, 도 3, 도 4, 도 5 및 도 6은 도 2의 표시된 A,B,C,D 부위에 대한 발췌사시도 및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임시가설교량의 전체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도 2를 기준으로 살펴보면, 본 발명의 임시가설교량은 기본적으로 먼저 도 1과 같이 H 빔인 기둥부재를 지반에 유압식 바이브레이터 등을 이용하여 1개씩 관입 시킨 후, 다수의 기둥부재를 L 형강인 경사부재 및 수평부재인 보강부재를 이용하여 서로 연결시켜 기둥부재 조립체 형태로 가설벤트의 하부구조(10)를 완성시키게 되며, 상기 하부구조 상부에 길이방향 주형(100)을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주형(100)도 H 빔을 이용하여 설치하는 것이 통상적이며, 도 2의 경우에는 주형(100) 6개가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주형(100) 중, 최 외측 가장자리에 위치하고 있는 주형(100a) 상부면에는 가이드 빔(200)이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고정된다. 이는 연결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추후 설치와 해체가 용이하도록 함이 바람직 할 것이다.
상기 가이드 빔(200)은 임시가설교량에 설치되는 미 도시된 난간을 설치할 수 있는 지지대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주형(100)의 높이보다 작은 높이를 가진 H 형강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 빔(200) 복부 사이에는 횡방향 빔(300)이 주형(100)을 가로질러 설치되고, 주형(100)에 의하여 양 단부를 제외한 부분이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횡방향 빔(300)도 역시 H 형강을 이용하여 설치하는데, 양 단부가 가이드 빔(200)의 복부 사이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제작된 것을 이용하면 된다.
이러한 횡방향 빔(300)은 종래 복공판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길이방향으로 서로 접하여 다수가 병렬로 설치된다.
이때, 횡방향 빔(300)을 1개씩 설치할 수도 있으나, 다수를 결속한 것을 이용하는 경우, 그 설치 및 시공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위와 같이 1개 또는 다수개로 결속된 횡방향 빔(300)은 주행차량 등에 의하여 길이방향 등으로 하중을 지속적으로 받게 되므로 횡방향 빔(300)의 위치를 고정시켜 줄 필요가 있으며, 충격하중을 완충할 수 있는 수단이 추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본 발명은 먼저, 횡방향 빔(300)의 상부면에 상부연결판재(310)를 설치하게 된다.
도 2 및 도 2의 A 부분발췌사시도인 도 3을 기준으로 살펴보면, 사각판재 형태의 상부연결판재(310)를 길이방향으로 다수를 이격시켜 횡방향 빔(300)의 상부면에 볼트 및 너트와 같은 고정구(320)를 이용하여 장착시키게 된다.
이에 상부연결판재(310)에 의하여 횡방향 빔(300)은 길이방향으로 결속될 수 있게 되며, 그 해체도 용이하게 된다.
이러한 상부연결판재(310)는 횡방향 빔(300)의 양 단부측 상면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 시 다른 부위에도 추가로 설치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 2 및 도 2의 D 부분발췌사시도인 도 4를 기준으로 살펴보면, 횡방향 빔(300)의 복부측면에는 일종의 스토퍼(STOPPER)가 위치하도록 하여 횡방향 빔(300)에 길이방향으로 하중이 가해질 때 발생할 수 있는 횡방향 빔(300)의 밀림현상 또는 위치변형을 구속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에 상기 스토퍼 역할을 위한 구성을 본 발명에서는 횡방향 빔 고정수단(400)이 담당하게 된다.
상기 횡방향 빔 고정수단(400)은 고정블록(410) 및 고정너트(420)로 구성되는데,
상기 고정블록(410)은 가이드 빔(200)의 내측 복부에 볼트공(411)이 형성된 강재블록으로 제작하여 가이드 빔(200)에 장착시키게 된다.
이때 가이드 빔(200)에는 상기 볼트공(411)에 대응한 볼트공(210)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가이드 빔(200)의 볼트공(210)과 고정블록(410)의 볼트공(411)에 체결되는 연결볼트(430)가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고정블록(410)의 볼트공(411)에 대응한 고정너트(420)가 고정블록(410)에 체결될 수 있도록 하여, 연결볼트(430)에 의한 횡방향 빔 고정수단의 고정이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특히 상기 횡방향 빔 고정수단(400)의 장착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가이드 빔(200)을 제작할 때, 미리 고정블록(410)과 고정너트(420)를 용접 등의 방법으로 미리 세팅하여 둠으로서 현장에서는 연결볼트(430) 체결작업만으로 횡방향 빔 고정수단(400)이 횡방향 빔(300)의 길이방향 밀림 등을 구속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횡방향 빔 고정수단(400)의 설치 개수 및 위치는 임시가설교량의 길이, 폭 등을 고려하여 다수를 설치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 2 및 도 2의 C의 부분발췌사시도인 도 5를 기준으로 살펴보면, 횡방향 빔(300)의 양 단부를 제외한 부위와 주형(100)과의 고정을 위하여 양 주형(100b) 상부플랜지 저면 사이에 설치된 하부연결지지판(510); 상기 하부 연결지지판(510)과 횡방향 빔(300)의 하부플랜지 사이에 설치된 종방향 고정연결판(520); 상기 하부연결지지판(510)과 종방향 고정연결판(520)를 관통하여 체결된 볼트(531) 및 너트(532)를 포함하는 고정구(530);를 이용하게 된다. 이때 너트(532)는 횡방향 빔(300)의 하부플랜지에 미리 고정시키 둠이 바람직하다.
즉, 먼저 양 주형(100b) 상부플랜지 저면 사이에는 하부연결지지판(510)을 길이방향으로 배치시키고, 하부 연결지지판(510)과 횡방향 빔(300)의 하부플랜지 사이에는 종방향 고정연결판(520)을 배치시킨 후, 상기 하부연결지지판(510)과 종방향 고정연결판(520)을 관통하면서, 횡방향 빔(300)의 하부플랜지에서 체결되도록 볼트 및 너트를 포함하는 고정구(530)를 포함하는 주형고정수단(500)을 설치함으로서 횡방향 빔(300)이 주형과 보다 확실하게 고정,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2 및 도 2의 D의 다른 발췌단면도인 도 6을 기준을 살펴보면,
가이드 빔(200)의 복부에 횡 방향빔(300) 양 단부가 주형에 의하여 지지되어 설치될 때, 횡방향 빔(300)에 주행 차량 등으로 인한 충격이 가해질 경우, 횡방향 빔(300)과 가이드 빔(200)의 연결부위에는 상당한 충격이 가해져 자칫 진동 및 소음이 크게 발생할 여지가 있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진동 및 소음을 감쇄시켜 주기 위한 완충수단으로서, 가이드빔의 상, 하부플랜지와 횡방향 빔 상부, 하부플랜지과의 접면에 고무패드를 포함하는 완충부재(600)를 더 설치하게 된다.
이에 횡방향 빔(300)이 거동할 때 발생하는 충격에너지를 상기 완충부재(600)가 흡수함으로서 보다 효율적인 횡방향 빔(300)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임시가설교량이 설치된 상태를 단면도 형태로 도시한 것인데, 주형(100)이 6개 설치되고, 상부면에는 H 형강인 횡방향 빔(300)이 설치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양 측에는 가이드 빔(200)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 빔(300) 내측 복부 사이에는 횡방향 빔(300)이 주형을 가로질러 횡방향으로 설치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상기 횡방향 빔(300)은 양 단부가 완충부재(600)에 의하여 가이드 빔(200)에 장착되어 있고, 주형과는 주형고정수단(500)에 의하여 지지, 고정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상기 횡방향 빔(300)의 상면에는 상부연결판재(310)가 측방으로 설치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미도시 하였지만, 횡방향 빔(300)의 상부면에는 일반적인 아프팔트 콘크리트 포장층을 더 형성시킴으로서 주행차량의 주행성능 및 승차감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여 종래 파손되기 쉬한 복공판의 역할을 횡방향 빔이 대체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횡방향 빔은 구입이 용이하고, 설치가 간단한 H 형강을 이용함으로서, 하자 발생시 필요한 부분만 횡방향 빔을 교체하여 설치할 수 있으므로 유지관리 효율적이며, 현장에 상주하고 있는 백호우와 같은 장비를 이용하면 그 설치비를 크게 줄일 수 있으며, 그 설치도 대부분 볼트 및 너트를 이용하므로 설치, 해체가 용이하여 시공성이 매우 뛰어나게 된다.
또한, 횡방향 빔을 고정시키기 위한 가이드 빔, 상부연결판재 및 주형고정수단을 모두 또는 선택적으로 설치하도록 함에 따라 임시가설교량의 안전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되며,
강재로만 설치되는 임시가설교량은 차량주행성이 매우 떨어질 여지가 크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차량에 의한 충격에네지를 흡수할 수 있는 완충부재를 채택함에 따라 차량 주행성, 소음 및 진동을 감쇄할 수 있어 사용성이 매우 뛰어나게 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의 술적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Claims (5)

  1. 가설벤트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H 형강을 포함하는 주형이 설치되며, 상기 주형 상부면에 임시바닥판이 설치되는 임시 가설교량에 있어서, 상기 임시바닥판은
    외측 주형 상부면에 고정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 설치된 H 형강을 포함하는 한 쌍의 가이드 빔; 및
    상기 한 쌍의 가이드빔 사이에 횡방향으로 고정되어 설치되되, 주형 상부면을 가로질러 길이방향으로 다수가 병렬 설치된 횡방향 빔;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이 필요 없는 임시 가설교량.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빔과 횡방향 빔 양 단부의 접합부에 있어, 가이드 빔의 상, 하부플랜지와 횡방향 빔 상부, 하부플랜지과의 접면에 고무패드를 포함하는 완충부재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이 필요 없는 임시 가설교량.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빔의 내측 복부에는 볼트공이 형성된 고정블록; 및 상기 볼트공의 위치에 대응한 고정너트;를 포함하는 횡방향 빔 고정수단이 더 설치되고, 상기 횡방향 빔 고정수단이 횡방향 빔의 복부 측면에 위치함으로서 횡방향 빔의 길이방향 이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이 필요 없는 임시 가설교량.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빔 상부면에는 상부연결판재가 다수가 설치되도록 하여 횡방향 빔을 추가로 더 결속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이 필요 없는 임시 가설교량.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빔 하부플랜지와 주형 상부플랜지와의 고정은, 양 주형 상부플랜지 저면 사이에 설치된 하부연결지지판; 상기 하부 연결지지판과 횡방향 빔의 하부플랜지 사이에 설치된 종방향 고정연결판; 상기 하부연결지지판과 종방향 고정연결판을 관통하여 체결된 볼트 및 너트를 포함하는 고정구;를 포함하는 주형고정수단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이 필요 없는 임시 가설교량.
KR1020060093263A 2006-09-26 2006-09-26 복공판이 필요 없는 임시 가설교량 KR1007422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3263A KR100742222B1 (ko) 2006-09-26 2006-09-26 복공판이 필요 없는 임시 가설교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3263A KR100742222B1 (ko) 2006-09-26 2006-09-26 복공판이 필요 없는 임시 가설교량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5853U Division KR200432583Y1 (ko) 2006-09-26 2006-09-26 복공판이 필요 없는 임시 가설교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2222B1 true KR100742222B1 (ko) 2007-07-25

Family

ID=38499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3263A KR100742222B1 (ko) 2006-09-26 2006-09-26 복공판이 필요 없는 임시 가설교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22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2687B1 (ko) * 2012-10-24 2014-07-28 조현득 인도교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2176A (ja) * 1995-07-25 1997-02-04 Gantan Beauty Kogyo Kk 形鋼及び形鋼を使用した建築物の床構造
JP2000045227A (ja) 1998-07-24 2000-02-15 Nkk Corp 現場打ちコンクリート床版と鋼桁との接合方法及び接合構造
KR20000033271A (ko) * 1998-11-21 2000-06-15 장병주 초고층건물의 합성바닥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040044810A (ko) * 2002-11-22 2004-05-3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프리캐스트 교량 바닥판과 거더의 연결구조 및 이를이용한 교량시공방법
KR20050044095A (ko) * 2003-11-07 2005-05-1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바닥판 골조와 콘크리트가 합성된 복합형 바닥판의하부골조 연결구조
KR20050096001A (ko) * 2004-03-29 2005-10-0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바닥판 골조와 콘크리트의 복합형 바닥판과 강재 주형의연결구조
KR200400051Y1 (ko) 2005-08-17 2005-11-01 지산공업 (주) 조립식 가설교량
JP2006200337A (ja) 2005-01-18 2006-08-03 Noboru Watanabe 足場の要らないプレハブ式鋼床版鋼桁橋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2176A (ja) * 1995-07-25 1997-02-04 Gantan Beauty Kogyo Kk 形鋼及び形鋼を使用した建築物の床構造
JP2000045227A (ja) 1998-07-24 2000-02-15 Nkk Corp 現場打ちコンクリート床版と鋼桁との接合方法及び接合構造
KR20000033271A (ko) * 1998-11-21 2000-06-15 장병주 초고층건물의 합성바닥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040044810A (ko) * 2002-11-22 2004-05-3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프리캐스트 교량 바닥판과 거더의 연결구조 및 이를이용한 교량시공방법
KR20050044095A (ko) * 2003-11-07 2005-05-1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바닥판 골조와 콘크리트가 합성된 복합형 바닥판의하부골조 연결구조
KR20050096001A (ko) * 2004-03-29 2005-10-0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바닥판 골조와 콘크리트의 복합형 바닥판과 강재 주형의연결구조
JP2006200337A (ja) 2005-01-18 2006-08-03 Noboru Watanabe 足場の要らないプレハブ式鋼床版鋼桁橋
KR200400051Y1 (ko) 2005-08-17 2005-11-01 지산공업 (주) 조립식 가설교량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2687B1 (ko) * 2012-10-24 2014-07-28 조현득 인도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3485B1 (ko) ㄷ자형 플레이트를 이용한 조립식 신축이음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신설/보수 시공공법
KR101234092B1 (ko) 피씨 슬래브와 강거더를 포함하는 피씨 합성판형교 및 그 시공방법
KR101390169B1 (ko) 아치형 인도 거더교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980067B1 (ko) 가로빔에 얹어져 종방향으로 서로 접하도록 설치되는 복공판을 이용한 가설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100845088B1 (ko) 스틸 교량의 외장재 설치구조
KR100758994B1 (ko) 형강인 수직보강부재로 보강된 빔과 그 설치구조 및 이를이용한 교량시공방법
KR101126083B1 (ko) 소음 및 진동 저감용 복공판 지지빔이 설치된 트러스 가설교량
KR200432583Y1 (ko) 복공판이 필요 없는 임시 가설교량
KR101330177B1 (ko) 강선인장을 이용하는 복공판
KR100742222B1 (ko) 복공판이 필요 없는 임시 가설교량
KR101300687B1 (ko) 복공판 설치 구조
KR101274990B1 (ko) 중간가로보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레이트 거더교
KR101034280B1 (ko) 강합성 콘크리트 복공판
KR100648046B1 (ko) 외적 포스트텐션 방법을 이용한 보 및 거더 보강장치 및 그를 이용한 보 및 거더의 보강방법
KR100608992B1 (ko) 복공판
WO2015108103A1 (ja) 道路橋の金属製床版
KR200385503Y1 (ko) 복공판
KR102050553B1 (ko) 합성구조로 제작된 하로형 철도교 및 그 시공방법
KR20120097636A (ko) 탄성수지 고정방식의 저진동 철도교
CN211200056U (zh) 一种适用于桥梁伸缩缝处主梁纵向连接构造
KR100622008B1 (ko) 일체식 교대 교량의 합성구조
KR20080057555A (ko) 일체형 복공판
CN110130210B (zh) 一种防落梁耗能装置的安装方法
KR100559441B1 (ko) 강판형교의 상부구조물 인상방법 및 그 구조
CN111663395A (zh) 一种桥梁伸缩缝施工期的跨缝通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