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0177B1 - 강선인장을 이용하는 복공판 - Google Patents

강선인장을 이용하는 복공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0177B1
KR101330177B1 KR1020110026035A KR20110026035A KR101330177B1 KR 101330177 B1 KR101330177 B1 KR 101330177B1 KR 1020110026035 A KR1020110026035 A KR 1020110026035A KR 20110026035 A KR20110026035 A KR 20110026035A KR 101330177 B1 KR101330177 B1 KR 1013301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tension
perforated plate
perforated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6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8328A (ko
Inventor
박기태
Original Assignee
박기태
신화철강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기태, 신화철강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기태
Priority to KR1020110026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0177B1/ko
Publication of KR20120108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83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0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01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08Temporary pavings
    • E01C9/083Temporary pavings made of metal, e.g. plates, net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10Steel gratings ; Gratings made of material other than steel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6Elements joined together
    • E01C2201/167Elements joined together by reinforcement or me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강선인장 복공판은 내부에 강선 삽입용 파이프가 설치되어 있어 공사구간에 복공판 배치를 완료한 후 시점에서부터 종점으로 복공판의 내부에 긴장재를 연결한 후 유압잭을 포함하는 인장수단에 의해 기계적 인장을 작용토록 하면, 즉 다수의 복공판들을 연결하고 있는 긴장재에 인장이 작용하여 복공판들 사이에 발생했던 갭(GAP)을 제거할 수 있고, 상기 갭을 제거함으로 인해서 지하시설 등의 임시도로 또는 가설교량을 이용하는 차량들로부터 원인을 제공받는 소음과 진동에 의한 도로파손과 안전사고 발생을 사전 예방할 수 있고, 결국 소음 및 진동을 효율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강선인장을 이용하는 복공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강선인장을 이용하는 복공판{DECK PANEL USING REINFORCED STRAND }
본 발명은 강선인장을 이용하는 복공판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지하시설 또는 가설교량을 설치했을 경우 임시도로의 상판으로 사용되는 복공판 설치시 복공판 사이에 발생하는 갭(GAP)에 있어 통행차량 또는 이동물체가 소음 및 진동을 유발하여 장기간 누적이 되면 중차량 및 대형장비의 통행시 노면의 변형이나 파괴가 발생하여 붕괴가 우려되는 기존의 복공판을 복공판 내부에 긴장재를 설치하고 긴장재에 인장을 작용시킨 후 복공판을 밀착시켜 갭을 제거하는 강선인장을 이용하는 복공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공판은 지하철 공사와 같은 지하시설 공사를 위해 도로를 파헤치는 경우나 가설교량을 설치했을 경우 교통량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노면을 복개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상기 복공판은 형강 제품들을 용접 또는 볼트 결합으로 접합하여 전체적으로 평평한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수십 내지 수백개의 복공판이 평평하게 배열된다. 이렇게 배열된 복수개의 복공판 위로 차량이 이동되며, 노후 교량의 보수시 우회도로를 건설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1a은 일정 공사현장에 종래 기술의 복공판(10)을 설치하여 차량의 운행을 가능토록 하였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복공판(10)은 공사차량이나 화물차량 등 과하중의 차량 통행시 반복되는 과하중을 견디지 못하여 피로에 의해 상기 복공판 연결부에 이음새(11)가 나타나 소음 및 진동이 발생하게 된다.
도 1b는 상기 복공판(10)의 연결부를 확대하여 용접과 볼트를 이용한 복공판(10) 설치 방법을 표현하였다.
상기 복공판(10) 연결은 각 모서리 부분을 관통하는 복수의 체결 볼트(12)를 가지면서 상기 복공판(10)과 별개로 지지대(14)의 상부 플랜지(15)와 용접면(16)을 이용하여 결합된 스토핑 바아(17)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 볼트(12)에 의해 복공판의 하부(18)와 상기 스토핑 바아(17)가 서로 체결된다.
이 스토핑 바아(17)는 그 상면에 설치되는 복수의 체결 볼트(12)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체결 볼트(12)는 복공판 하부(18) 가장자리의 모서리 부분에 대응하여 스토핑 바아(17)의 상면에 용접 접합되게 설치된다.
체결 볼트(12)는 서로 마주하는 양쪽 복공판 하부(18)의 가장자리 부분에 대응하여 복공판 하부(18)의 모서리 부분이 위치하는 부분에 각각 설치된다. 이러한 체결 볼트(12)는 서로 마주하는 양쪽 복공판 하부(18)의 각 모서리 부분을 관통하고, 별도의 너트(13)와 나사 결합된다.
한편 이러한 종래 기술의 복공판(10) 일개 구조를 살펴보면, 먼저 상기 복공판(10)의 하부면에 I형 단면의 빔으로서 제작된 지지대(14)가 설치된다. 또 복공판(10) 저면에는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ㄱ’자형 걸림구(19)가 설치되며, 이러한 걸림구(19)는 복공판(10) 양 단부 저면에 용접에 의하여 고정된다. 이러한 걸림구에 의하여 지지대(14)에 복공판(10)이 고정 설치되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종래 기술의 복공판(10)의 구조를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도 1c은 공사현장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상기 복공판(10)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복공판(10)은 장방향의 상자 형상으로, 크게 1개의 상판(20)과, 상기 상판(20)의 양측 하부에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측판(21), 상기 상판(20)의 하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리브판(22) 및 상기 리브판(22)의 하부에 고정되는 보강판(23)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재질로는 통상 강철이 사용된다.
상기 상판(20)은 다수의 ‘ㄷ’형 채널 부재(24)가 나란히 배열되어 이루어지며,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상판의 표면에는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상판 위로 지나가는 차량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복공판(10)의 하면에 고정되어 있는 걸림구(19)는 상기 복공판(10)의 시공시 복공판(10)이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하고, 충격흡수재(25)는 상기 복공판(10)을 지지대(14) 상부에 거치시키며 발생하는 미끄럼방지 및 충격 흡수를 위한 패드이다.
상기의 복공판(10)을 시공현장에서 이용할 때에는 상기 복공판(10) 설치 및 해체 작업 등을 고려하여 상기 복공판(10) 사이 간격을 대략 10㎜ 이격시켜 주게 되는데, 바로 이러한 간격은 차량이 통행함에 따라 상기 복공판(10)의 진동에 의한 소음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이물질이 채워지는 경우가 있어 유지관리에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에 상기 이격 간격에 T자형 고무판(26)을 삽입시킴으로서 차량통행에 따른 진동에 의한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고, 이물질이 채워지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 복공판(10)의 진동 및 소음감소 방법이 소개된 바 있다.
도 1d는 공사현장에서 상기 복공판(10)을 시공함에 있어 상기 T자형 고무판(26)을 그 연결부에 이용한 예이다. 상기 T자형 고무판은(26)은 합성수지로 압출 성형하고 적당한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사출 성형하는 것으로 노면에 노출되는 상부와 상기 복공판(10) 이음부 사이에 위치하는 하부로 구성하며, 상기 T자형 고무판(26) 상부는 이웃하는 양측 복공판(10)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도록 비교적 넓게 형성하고, 차량의 안전한 이동 등을 고려하여 만곡되게 형성한다.
하지만, 이러한 T자형 고무판(26)을 설치한다 할지라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T자형 고무판(26)이 차량 충격 등에 의하여 손상되고, 상기 복공판(10) 사이의 이격 간격으로부터 탈락되는 등 원하는 소음 및 진동 감소효과가 비효율적이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상기의 비효율적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e와 같이 압착수단(27)에 의해 현장에 설치된 상기 복공판(10)을 좌우로 밀착시키는 공법이 소개된 바 있다.
상기 공법에 의한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다.
상기 복공판(10)이 병렬로 서로 밀착되도록 순차적으로 1개씩 설치하고 상기 복공판(10)의 양 측면 저면에 설치된 받침판에 의하여 지지대(14) 상부면에 거치되도록 내려놓는다.
다음으로는 최종 복공판(10)을 설치하기 이전에 1개의 복공판(10)의 폭에 해당하는 사이의 공간을 확보한 상태에서, 인장기를 포함하는 압착수단(27)을 복공판(10) 사이에 설치하게 된다.
이에 상기 압착수단(27)을 작동시키면 지지대(14) 상부면과 밀착되어 설치된 복공판(10) 사이에 압착력이 도입되어 복공판(10)들에 압착력이 도입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압착은 복공판(10)과 복공판(10)을 서로 완전 밀착되도록 함으로서 복공판(10)에 발생하는 소음 및 진동의 감소효과가 있다.
그러나 상기 압착수단(27)에 의한 복공판(10) 밀착 방법은 시공이 완료된 후 압착수단(27)을 제거하면 공간에 알맞은 복공판(10)을 제작해야 하고, 오차 발생시 수정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압착수단(27)에 의해 복공판(10)을 밀착시켰지만 공사의 완료를 위해 상기 압착수단(27)을 제거하게 되면 압착력이 원상태로 되돌아 가는 제한이 있었다.
소음과 진동 감소 및 강성을 증가하기 위한 상기의 복공판(10) 설치 방법은 비록 현장에 설치된 복공판(10) 사이의 이음새(11)를 줄여주어 차량운행의 이용성을 높여주고 도로관리의 용이성을 제공하여 주고 있으나, 그 효과가 미비하다는 제한사항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지하시설 또는 가설교량의 상판에 이용되는 복공판을 시공하는데 있어 시간경과에 의한 복공판 사이의 갭(GAP)에서 발생하는 소음 및 진동을 상기 복공판이 밀착되게 연결하여 갭(GAP) 발생을 시공단계에서부터 봉쇄하여 소음 및 진동 감소효과를 보다 효율적으로 확보할 수 있으면서도 넓은 복공면에 삽입된 강선 인장력으로 시공구간의 차량 진행방향으로 설치된 복공판을 단일 구조체로 형성하여 강성효과가 탁월한 복공판 제공을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강선인장 복공판 내부에 긴장재가 설치될 수 있도록 파이프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어야 하고, 유압잭에 의한 인장을 작용시켜 상기 강선인장 복공판의 위치조정을 하여 갭을 제거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의 강선인장 복공판을 공사장비 및 과하중 차량 등의 통행이 가능할 수 있도록 내부의 부재를 고강도 사각파이프로 구성하거나 익스펜디드 메탈 및 콘크리트로 혼합된 재료로 하되, 상기 고강도 강재인 사각 파이프를 접합용 수직보강재와 교차하여 연결하고 또 외부 충격에 보호하도록 횡마구리판과 종마구리판으로 마감하여 사각파이프형 복공판의 훼손을 방지하도록 하고, 인장을 작용시키도록 하는 긴장재을 삽입시킬 수 있도록 상기 사각파이프형 복공판 내부의 사각파이프에는 횡방향으로 강선삽입용 파이프를 매입시키도록 파이프 관통공이 있어야 하고, 상기 강선삽입용 파이프는 인장을 작용하게 할 수 있는 긴장재의 직경을 고려하여 내경이 충분해야 한다.
또 상기 강선인장 복공판의 구성이 익스펜디드 메탈 및 콘크리트로 되어 있을 때에는 데크일체형 복공판의 종방향으로 수직보강재를 콘크리트 내부에 매설하되 강선 삽입용 파이프를 횡방향으로 매입할 수 있도록 타원형의 파이프 관통공이 있는 재료를 이용한다. 즉, 강선 삽입용 파이프는 상기 수직보강재의 타원형 파이프 관통공을 통해 고정시킨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임시도로를 통행하는 차량들의 하중을 극복할 수 있도록 익스펜디드 메탈을 콘크리트 타설 전 내부에 매설한다.
상기 강선인장 복공판은 내부에 강선을 삽입할 수 있어 강선을 통해 인장을 작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강선인장 복공판을 시점에서부터 순차적으로 배열시킨 후 타측인 종점에 유압잭을 설치하여 상기 강선인장 복공판 내부에 삽입된 긴장재를 기계적으로 잡아 당김으로서 상기 긴장재에 인장력이 작용하도록 하고, 상기 긴장재에 인장이 작용하는 동안 상기 강선인장 복공판을 밀착함으로써 갭을 제거하여 공사구간에 설치되는 임시도로의 노면에서 발생하는 소음 및 진동 감소를 효율적으로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강선인장 복공판은 결국 내부에 강선을 삽입하고 인장을 이용하여 상기 강선인장 복공판을 최대한 밀착함으로서 복공판 사이의 갭(GAP)을 제거할 수 있고, 상기 강선인장 복공판 사이의 갭(GAP)을 제거함으로서 소음 및 진동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임시도로 또는 가설교량의 상판에 이용되는 복공판 시공방법의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도 1a, 도 1b, 도 1c, 도 1d 및 도 1e는 종래 기술의 복공판을 도시한 것이다.
도 2a, 도 2b, 도 2c 및 도 2d는 본 발명에 의한 사각파이프형 복공판을 조립사시도, 횡단면도, 종단면도, 평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3a, 도 3b, 도 3c 및 도 3d는 본 발명에 의한 데크일체형 복공판을 조립사시도, 횡단면도, 종단면도, 평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4a, 도 4b, 도 4c 및 4d는 본 발명에 의한 복공판 시공 공종을 순서대로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강선인장을 이용하는 사각 파이프로 구성된 복공판:실시예 1>
먼저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에 의한 사각파이프형 복공판(100)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사각파이프형 복공판(100)은 임시도로나 가설교량을 통과하는 중차량들의 과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종으로 길게 뻗은 사각파이프(110)와 상기 사각파이프(110) 사이에 접합용 수직보강재(111), 좌우측 단부에 접합된 종마구리판(112), 상기 종마구리판(112)의 측면 모서리와 연결되어 있는 횡마구리판(113), 상기 사각파이프(110)의 상부에는 차량 하중을 1차로 흡수하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무늬강판(123)으로 덮혀있다.
상기 사각파이프형 복공판(100)의 주요부재인 사각파이프(110)는 이동하는 차량들의 하중을 효율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상판 및 인접 사각파이프(110)와의 접촉면적을 최대로 할 수 있는 사각형의 단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불필요한 부재 사용을 절감하기 위하여 접합용 수직보강재(111)를 상기 사각파이프(110)에 대체하여 이용하고 상기 접합용 수직보강재(111)를 이용함으로서 상기 사각파이프(110)를 서로 연결하게 된다.
상기 사각파이프(110)와 상기 접합용 수직보강재(111)는 상기 사각파이프형 복공판(100) 내부에서 횡방향으로 교차되며 연결하게 되고, 연결의 접합은 상기 사각파이프(110)의 측면과 상기 접합용 수직보강재(111)의 각 모서리를 용접으로서 결합시키고, 상기 접합용 수직보강재(111)의 배치는 상기 사각파이프형 복공판(100)의 종방향 길이를 고려하여 등간격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합용 수직보강재(111)를 결합하는 위치는 후술하는 강선삽입용 파이프(102)가 설치되는 위치를 고려하여 상기 사각파이프형 복공판(100)의 종방향으로 충분한 거리를 이격하여 배치 및 설치하고, 상기 사각파이프형 복공판(100)의 설치기간 또는 교통량 등을 예상하여 상기 접합용 수직보강재(111)의 설치를 추가하거나 감소할 수 있다.
상기 사각파이프형 복공판(100) 내부에 설치되는 강선삽입용 파이프(102)는 횡방향으로 상기 종마구리판(112), 상기 사각파이프(110)를 관통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강선삽입용 파이프(102)의 위치는 상기 사각파이프형 복공판(100)에서 종방향으로 충분한 간격을 두어 설치하고, 통과차량의 하중과 상기 강선삽입용 파이프(102)을 이용한 상기 사각파이프형 복공판(100)사이의 원활한 결합을 위해서 중간높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강선삽입용 파이프(102)는 상기 사각파이프형 복공판(100) 내부에서 종방향의 좌우로 관통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작비의 절감과 강선의 원활한 삽입 등 용이한 시공을 위해 원형단면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강선삽입용 파이프(102)를 상기 사각파이프형 복공판(100) 내부로 원활하게 관입하기 위해서 상기 종마구리판(112)과 상기 사각파이프(110)는 균일한 직경의 원형 파이프 관통공(101)이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어 횡방향으로 일직선이 되도록 한다.
상기 사각파이프형 복공판(100)에서 최외측 2개의 상기 사각파이프(110)의 좌측과 우측면에는 ‘ㄷ’자형 종마구리판(112)이 결합되어 운반이나 시공시 발생할 수 있는 측면으로 부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측면으로 가해지는 외부 압력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종마구리판(112)에는 원형의 파이프 관통공(101)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강선 삽입용 파이프(102)의 설치 공간이 확보되어 있다.
상기 사각파이프형 복공판(100)의 종방향 단부에는 양측에 평편한 횡마구리판(113)이 결합되어 상기 종마구리판(112)의 역할과 같은 상기 사각파이프형 복공판(100)에 가해질 수 있는 외부 압력을 보호하고 파손 등의 손상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횡마구리판(113)은 상기 사각파이프형 복공판(100)을 이루고 있는 상기 사각파이프(110)와 양측에 있는 상기 종마구리판(112)과 용접 등으로 결합되어 상기 사각파이프형 복공판(100) 상부의 하중을 각 부재들로 전달한다.
상기 사각파이프형 복공판(100)의 상면에는 이동 차량들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무늬강판(123)으로 마감되고, 상기 무늬강판(123)의 각 꼭지점에는 상기 사각파이프형 복공판(100)의 운반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손잡이를 걸 수 있는 홀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사각파이프형 복공판(100)의 하면에는 종방향으로 양측에 스톱퍼(121)가 설치되어 상기 사각파이프형 복공판(100)을 받쳐주는 거더(163)와의 결합을 고정시켜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스톱퍼(121)의 양측으로는 작은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 하면으로 바닥패드(122)를 부착할 수 있다. 상기 바닥패드(122)는 상기 사각파이프형 복공판(100)의 거치를 위해 상기 거더(163)에 내려놓을 때 발생하는 충격을 완충하여 상기 사각파이프형 복공판(100) 부재들에 가해지는 영향을 줄일 수 있다.
<강선인장을 이용하는 사각 파이프로 구성된 복공판:실시예 2>
먼저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에 의한 데크일체형 복공판(130)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이용하는 강선삽입용 파이프(102)는 상기 데크일체형 복공판(130)의 중간접합판(145) 상측에서 수직보강재(143)와 콘크리트(141)를 횡으로 관통하게 된다.
상기 데크일체형 복공판(130)은 주로 지하철 공사와 같은 지하시설 공사를 위해 도로를 파헤치는 경우나 가설교량을 설치했을 경우 교통량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노면을 복개하는데 사용되어 공사장비의 이동 및 중차량의 과하중을 버틸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예컨대 상기 데크일체형 복공판(130)에 이용되는 상부프레임(140)에는 콘크리트(141)와 익스펜디드 메탈(142)이 함께 양생된다.
상기 데크일체형 복공판(130)의 내부에서 중간접합판(145)은 상부프레임(140)과 하부프레임(150)을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상부프레임(140)에는 상기 데크일체형 복공판(130)의 종방향으로 수직보강재(143)가 콘크리트(141) 내부에서 길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수직보강재(143)는 상기 데크일체형 복공판(130)의 횡방향 길이에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직보강재(143)는 상기 데크일체형 복공판(130) 상단에 가해지는 수직 압축력을 극복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프레임(140)의 강성을 보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직보강재(143)의 단면에는 타원형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서 강선삽입용 파이프(102)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여야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현장 상황에 맞는 시공을 위해서 수개의 타원형 구멍이 형성되는 것이 효율적이다.
한편 익스펜디드 메탈(142)은 상기 수직보강재(143)의 상부 모서리면에 지지되고, 상부프레임(140)에 타설되는 콘크리트(141)의 인장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상부프레임(140)을 구성하는 수직보강재(143)와 익스펜디드 메탈(142)의 배치가 완료된 후에는 중간접합판(145)을 연하여 종방향의 양측으로 횡마구리판(113)을 결합하고, 횡방향의 양측에는 종마구리판(112)을 결합하여 콘크리트(141) 타설시 거푸집의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강선삽입용 파이프(102)의 설치는 콘크리트(141) 타설에 선행되어야 하며, 상기 데크일체형 복공판(130)의 종방향 균형을 위해서 바람직하게는 수직보강재(143)의 양측 마지막 타원 내부로 관입한다.
한편, 상기 익스펜디드 메탈(142) 및 수직보강재(143)와 함께 형성된 데크일체형 복공판(130)은 그 상부에 콘크리트(141)를 타설함으로서 차량 주행시 발생되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복공판 자체의 소음과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고, 또한 상기 데크일체형 복공판(130) 상부에서 노면에 노출되는 콘크리트(141) 층은 노면 마찰계수를 크게 함으로서 구배가 적용된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의 미끄러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익스펜디드 메탈(142)을 설치하고, 상기 콘크리트(141)를 타설함으로서 양생시에 발생될 수 있는 건조수축 균열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중간접합판(145) 하면에는 하부보강판(151)이 상기 데크일체형 복공판(130) 종방향 길이에 등간격으로 배치하되 횡방향 길이, 즉 좌우로 길게 설치한다.
또한 상기 데크일체형 복공판(130)의 하면은 바닥마구리판(153)으로 마감되어 있으며, 상기 바닥마구리판(153)의 상면에는 티플레이트(152)가 설치되어 상기 하부보강판(151)을 직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마구리판(153) 하면에는 스톱퍼(121)가 결합하고 있어서 상기 데크일체형 복공판(130)을 아래에서 지지해주는 거더(163)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스톱퍼(121)에는 바닥패드(122)가 부착되어 상기 데크일체형 복공판(130)을 지정위치에 내려놓을 때 바닥면의 충격을 완화시킬수 있다. 또 바람직하게는 충격완화를 보다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고무재질의 탄성패드 이용이 좋으며,
상기 스톱퍼(121)와 상기 바닥패드(122)의 부착은 상기 스톱퍼(121)의 부착공과 상기 바닥패드(122)에 돌출된 홈을 결합함으로 실시하게 되며, 상기 스톱퍼(121)의 부착공을 2개로 하고 탄성패드의 홈 역시 2개로 하여 각 부재의 결합시 회전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상부프레임(140)은 익스펜디드 메탈(142) 및 수직보강재(143)와 강선삽입용 파이프(102)의 강합성 콘크리트(141)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프레임(150)은 하부보강판(151)과 티플레이트(152)로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상기 데크일체형 복공판(130) 상부를 주행하는 차량들에 의해 발생하는 압축력은 콘크리트(141)가 1차로 받게 되고, 상기 데크일체형 복공판(130) 하부에서는 하부보강판(151)과 티플레이트(152)가 지지하여 콘크리트(141)와 강재의 사용량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강선인장을 이용하는 사각 파이프로 구성된 복공판 시공방법>
먼저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사각파이프형 복공판(100) 또는 데크일체형 복공판(130)을 포함하는 강선인장 복공판(160)의 시공 순서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강선인장 복공판(160)은 상기 사각파이프형 복공판(100) 또는 상기 데크일체형 복공판(130)의 형태로 제작되어 상기 강선인장 복공판(160)의 시공방법은 시공구간에 상기 강선인장 복공판(160)을 배치후 내부에 인장을 발휘할 수 있는 긴장재(161)를 삽입하고 상기 강선인장 복공판(160)을 연결하고 있는 상기 긴장재(161)에 유압잭(164)을 조작하여 인장을 작용케 하는 시공방법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우선 시공구간의 시점(165)과 종점(166)구간을 구분하되, 상기 강선인장 복공판(160)의 설치방향은 차량 주행과 일치되도록 한다. 즉, 상기 강선인장 복공판(160)의 횡방향을 전체 공사구간에서는 종방향으로 설정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시공방법은 공사구간의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복공판의 1열에 대해 일 실시 예로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강선인장 복공판(160)의 설치는 먼저 시점(165)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상기 강선인장 복공판(160)을 받쳐줄 수 있는 거더(163) 위에 거치시킨다. 이때 상기 강선인장 복공판(160)은 각각의 종마구리판(112)이 맞붙을 수 있게 배치하게 되며, 상기 강선인장 복공판(160)이 맞붙으며 발생할 수 있는 충격을 감소하기 위해 상기 종마구리판(112)의 외부면에 고무 등의 탄성력을 가진 재료를 부착시키는 것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강선인장 복공판(160)의 순차적인 배치는 차후 긴장재(161) 삽입을 위해서 상기 강선인장 복공판(160) 내부의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강선 삽입용 파이프(102)가 일치되는지 확인을 통해 다음 강선인장 복공판(160)을 배치해야 한다.
시점(165)에서부터 시작한 상기 강선인장 복공판(160)의 배치가 종점(166)까지 이어져 완료된 후에는 다시 긴장재(161) 삽입을 위해 상기 강선삽입용 파이프(102)의 위치가 일직선이 되는지 확인하고, 필요시에는 위치조정을 한 후,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강선인장 복공판(160)을 연결할 수 있는 긴장재(161)는 예컨대 텐던 등을 포함하는 강선으로 시점(165)의 강선인장 복공판(160)을 시작하여 종점(166)의 강선인장 복공판(160)까지 상기 강선삽입용 파이프(102)를 통해 연결시키고,
종점(166)에서 상기 강선인장 복공판(160)의 종마구리판(112)을 출구로 하여 노출된 잔여 긴장재(161)를 인장력이 작용시킬 수 있도록 유압잭(164)에 연결한다.
한편 시점(165)의 긴장재(161)는 배치를 처음으로 시작했던 강선인장 복공판(160)의 외측 종마구리판(112)에 예컨대 용접의 방법으로서 고정시켜 인장에 의해 상기 긴장재(161)가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한편 종점(166)에서는 상기 유압잭(164)을 조작하여 연결되어 있는 상기 긴장재(161)를 천천히 잡아당기며 인장이 발생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긴장재(161)를 당기며 발생하는 인장으로 인해 상기 긴장재(161)로 연결되어 있는 상기 강선인장 복공판(160)은 공사구간의 종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 강선인장 복공판(160)을 배열하며 상기 강선인장 복공판(160) 사이에는 이음새 즉, 갭(162)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갭(162)으로 인해 차량 주행에 의한 소음 및 진동이 발생하게 되고 장기간 누적되면 안전사고를 유발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강선인장 복공판(160) 내부에 긴장재(161)를 삽입하고 인장력을 작용하여 상기 갭(162)을 제거함으로써 소음 및 진동을 감소하는 시공방법이다.
상기 긴장재(161)에 대한 세부적인 내용은 상기 유압잭(164)에 연결되지 않은 긴장재(161) 끝부분이 시점(165)의 외측면에 고정되어 있고, 유압잭(164)에 의한 긴장재(161) 인장으로 상기 강선인장 복공판(160) 사이의 갭(162)은 시점(165) 방향으로 상기 강선인장 복공판(160)을 밀착시켜 상기 갭(162)을 제거한다. 다음으로는 순차적으로 이어지는 상기 강선인장 복공판(160)을 시점(165)방향으로 밀착시키며 계속되는 갭(162)을 제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갭(162)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강선인장 복공판(160)을 상기 시점(165)으로 밀착시키게 되면 종점(166)에서는 상기 갭(162)의 누적량 만큼의 공간을 해결하기 위해 상기 강선인장 복공판(160)을 추가 설치한다. 또 추가되는 상기 강선인장 복공판(160)의 수량 및 상기 유압잭(164)에 연결된 긴장재(161)의 잔여 길이에 의해 상기 긴장재(161)에 인장을 작용하기전 갭(162)의 정도에 대해 알 수 있다.
상기 긴장재(161)에 인장을 작용하여 상기 강선인장 복공판(160)의 밀착을 완료하면 상기 갭(162)을 제거할 수 있고, 다음으로 종점(166)에 설치한 유압잭(164)은 상기 긴장재(161)로부터 철수한다. 이때 유압잭(164)에 연결했던 긴장재(161)의 끝부분은 마지막 설치한 상기 강선인장 복공판(160)의 외측 종마구리판(112)에 고정하여 상기 긴장재(161)와 일체가 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강선인장 복공판(160) 시공방법은 임시도로 및 가설교량을 주행하는 차량들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과 진동을 효율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으며, 소음과 진동을 발생시키는 원인인 갭(162)을 시공단계에서부터 제거하여 상기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으며,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데 큰 효과가 있다.
100: 사각파이프형 복공판 101: 파이프 관통공
102: 강선삽입용 파이프 110: 사각파이프
111: 접합용 수직보강재 112: 종마구리판
113: 횡마구리판 121: 스톱퍼
122: 바닥패드 123: 무늬강판
130: 데크일체형 복공판 140: 상부프레임
141: 콘크리트 142: 익스펜디드 메탈
143: 수직보강재 145: 중간접합판
150: 하부프레임 151: 하부보강판
152: 티플레이트 153: 바닥마구리판
160: 강선인장 복공판 161: 긴장재
162: 갭 163: 거더
164: 인장수단 165: 시점
166: 종점

Claims (9)

  1. 통행 차량들의 하중을 지지하는 사각파이프(110); 및 상기 사각파이프(110)를 연결할 수 있는 접합용 수직보강재(143);를 포함하며 상기 사각파이프(110)와 접합용 수직보강재(143)는 복공판의 종방향의 등간격으로 사각파이프(110)의 측면에서 용접하여 고정되고, 이때 강선삽입용 파이프(102)를 설치하기 위해 상기 사각파이프(110)들의 종방향 양측으로 파이프 관통공(10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사각파이프(110)의 양측 마감을 위해 모서리를 따라 용접되어 있는‘ㄷ’자형 종마구리판(112); 및 상기 사각파이프(110)의 종방향 마감을 위해 상기 종마구리판(112)과 상판에 용접으로 고정되어 있는 종방향 양측의 횡마구리판(113);을 포함하는 강선인장을 이용하는 복공판을
    시공구간의 시점(165)에서 종점(166)방향으로 차례대로 배치한 후, 강선삽입용 파이프(102)가 일직선이 되는지 확인하되, 필요시 복공판의 위치 조정을 하여 시공구간 시점(165)의 복공판을 시작으로 인장력을 작용시킬 수 있는 텐던(tendon) 또는 그 역할을 할 수 있는 긴장재(161)를 삽입하여 종점(166)의 복공판까지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인장을 이용하는 복공판.
  2. 삭제
  3. 삭제
  4. 중간접합판(145)의 상부에는 복공판의 강도를 위해 익스펜디드 메탈(142) 및 수직보강재(143)를 포함하여 콘크리트(141)가 혼합 양생되어 있고, 상기 콘크리트(141) 내부에는 강선 삽입을 위해 상기 복공판의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파이프 관통공(101)으로 구성된 상부프레임(140); 및 상기 중간접합판(145) 하부에는 하부보강판(151)이 하면에서 연결되어 있는 강재인 티플레이트(152) 및 상기 복공판 하면의 마감을 위해 결합되어 있는 바닥마구리판(153)으로 형성되어 있는 하부프레임(150);을 포함하며,
    상기 중간접합판(145)의 종방향의 양측면에는 모서리를 따라서 횡마구리판(113)이 연결되어 있으며, 횡방향의 양측면에는 종마구리판(112)이 연결되어 상기 복공판의 상부 및 하부 프레임의 파손을 방지하고, 상기 콘크리트(141)를 타설하는 동안 중간접합판(145) 및 횡마구리판(113)과 종마구리판(112)은 거푸집으로서의 역할을 하게 되며, 상기 콘크리트(141) 및 수직보강재(143)를 포함하는 상부프레임(140)의 하중을 유지하기 위하여 하부프레임(150)에는 티플레이트(152)가 중간접합판(145)을 지지하며,
    상기 상부프레임(140)에는 횡방향 등간격으로 수직보강재(143)가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수직보강재(143)는 상기 복공판의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고, 강선삽입용 파이프(102)는 타원형으로 파이프 관통공(101)이 뚫려있는 수직보강재(143)에 관통되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수직보강재(143)는 중간접합판(145) 보다는 상측에 위치하고, 익스펜디드 메탈(142)보다는 하측에 위치하는 강선인장을 이용하는 복공판을
    시공구간의 시점(165)에서 종점(166)방향으로 차례대로 배치한 후,
    강선삽입용 파이프(102)가 일직선이 되는지 확인하되, 필요시 복공판의 위치 조정을 하여 시공구간 시점(165)의 복공판을 시작으로 인장력을 작용시킬 수 있는 텐던(tendon) 또는 그 역할을 할 수 있는 긴장재(161)를 삽입하여 종점(166)의 복공판까지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인장을 이용하는 복공판.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긴장재(161)의 연결을 완료한 뒤 긴장재(161)의 끝선처리를 위해 시점에 노출된 긴장재(161)를 이탈되지 않도록 최초 배치했던 복공판의 측면에 고정시키고,
    종점으로 나온 긴장재(161)에 물리적으로 인장력이 작용되도록 유압잭을 포함하는 인장수단(164)에 상기 긴장재(161)를 연결한 후,
    상기 인장수단(164)을 천천히 조작하여 각 복공판을 연결하고 있는 긴장재(161)에 인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인장을 이용하는 복공판.
  9. 삭제
KR1020110026035A 2011-03-23 2011-03-23 강선인장을 이용하는 복공판 KR1013301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6035A KR101330177B1 (ko) 2011-03-23 2011-03-23 강선인장을 이용하는 복공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6035A KR101330177B1 (ko) 2011-03-23 2011-03-23 강선인장을 이용하는 복공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8328A KR20120108328A (ko) 2012-10-05
KR101330177B1 true KR101330177B1 (ko) 2013-11-18

Family

ID=47279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6035A KR101330177B1 (ko) 2011-03-23 2011-03-23 강선인장을 이용하는 복공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017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0103A (ko) 2019-10-02 2019-10-23 (주)바로건설기술 유니트바닥판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190127518A (ko) 2018-05-04 2019-11-13 (주)바로건설기술 수직하중 및 수평하중을 분산 지지하는 복공판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210040213A (ko) 2019-10-02 2021-04-13 (주)바로건설기술 수직하중 및 수평하중을 분산 지지하는 지하구조물의 복공판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210040214A (ko) 2019-10-02 2021-04-13 (주)바로건설기술 유니트바닥판의 연결구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9324Y1 (ko) * 2005-11-25 2006-02-24 최영덕 복공판
KR100976847B1 (ko) * 2008-02-18 2010-08-20 (주)써포텍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 및 가교 구조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9324Y1 (ko) * 2005-11-25 2006-02-24 최영덕 복공판
KR100976847B1 (ko) * 2008-02-18 2010-08-20 (주)써포텍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 및 가교 구조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7518A (ko) 2018-05-04 2019-11-13 (주)바로건설기술 수직하중 및 수평하중을 분산 지지하는 복공판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190120103A (ko) 2019-10-02 2019-10-23 (주)바로건설기술 유니트바닥판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210040213A (ko) 2019-10-02 2021-04-13 (주)바로건설기술 수직하중 및 수평하중을 분산 지지하는 지하구조물의 복공판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210040214A (ko) 2019-10-02 2021-04-13 (주)바로건설기술 유니트바닥판의 연결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8328A (ko) 2012-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85567B2 (en) Joint edge assembly and method for forming joint in offset position
JP6180376B2 (ja) 合成桁の床版取替工法における主桁仮受け方法と、合成桁の床版取替工法と、合成桁の床版取替工法における主桁仮受け構造
KR101633431B1 (ko) 기존 교량 콘크리트와 구조적 일체화를 확보한 교량 확장형 인도 및 이의 시공방법
CN109594663B (zh) 用于后浇带位置的钢筋混凝土诱导带结构及其施工方法
KR101330177B1 (ko) 강선인장을 이용하는 복공판
JP2018112009A (ja) 鉛直部材設置構造、鉛直部材設置方法、及びプレキャスト製鉛直部材
KR100977061B1 (ko) 교량의 교좌장치 교체보수용 인상장치가 부설된 피시빔 주형 복원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인상 및 인장보수보강공법
KR100603901B1 (ko) 기존 거더의 일부를 활용한 판형교 유도상 구조 및 시공방법
KR100650411B1 (ko) 하부 공동형 콘크리트 복공판
RU2293810C1 (ru) Железобетонная шпала
JP2528432B2 (ja) 中空pc鋼棒を使用したコンクリ―ト構造物の補強方法
KR102050553B1 (ko) 합성구조로 제작된 하로형 철도교 및 그 시공방법
KR101034280B1 (ko) 강합성 콘크리트 복공판
KR200398231Y1 (ko) 보 및 슬래브 구축을 위한 일방향 지지 브라켓
KR101010109B1 (ko) 조립형 콘크리트 충전 강합성 복공판
JP4136959B2 (ja) 「地下構造物の構築方法および架設桁」
KR100622008B1 (ko) 일체식 교대 교량의 합성구조
KR101282243B1 (ko) 영구보거푸집 설치용 기둥캡을 이용한 지하구조물의 시공방법
KR20120036614A (ko) 긴장재와 연결플레이트를 이용한 이중 강박스거더의 종방향 연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강박스거더교 시공방법
JP7363374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補修工法
KR100933058B1 (ko) 합성 복공판
KR101381974B1 (ko) 콘크리트 복공 슬래브 어셈블리와 제조방법 및 이를 적용한 가설교량
KR100775936B1 (ko) 콘크리트와 시트파일을 합성한 복공판 유니트 및 그 제조방법
KR100794444B1 (ko) 복합 트러스 거더를 이용한 합성슬래브교의 시공법
KR200432583Y1 (ko) 복공판이 필요 없는 임시 가설교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