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1974B1 - 콘크리트 복공 슬래브 어셈블리와 제조방법 및 이를 적용한 가설교량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복공 슬래브 어셈블리와 제조방법 및 이를 적용한 가설교량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81974B1 KR101381974B1 KR1020120025046A KR20120025046A KR101381974B1 KR 101381974 B1 KR101381974 B1 KR 101381974B1 KR 1020120025046 A KR1020120025046 A KR 1020120025046A KR 20120025046 A KR20120025046 A KR 20120025046A KR 101381974 B1 KR101381974 B1 KR 10138197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crete
- reinforcing member
- concrete structure
- slab assembly
- pai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12—Portable or sectional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8—Concrete reinforced prestres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프리스트레싱을 적용한 콘크리트 복공 슬래브 어셈블리가 개시된다. 상기 어셈블리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보강부재;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어 상기 보강부재와 결합하는 콘크리트 구조체; 상기 보강부재의 하부의 폭 방향 양쪽 가장자리에 각각 결합하는 한 쌍의 주형; 및 상기 한 쌍의 주형 사이에 끼워져 결합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는, 상기 보강부재가 하향 만곡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공간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구성되어 하면은 압축되고 상면은 인장된 상태를 이룬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콘크리트 복공 슬래브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형과 일체화하고 프리스트레싱에 의해 단면 강성을 향상시켜 허용 압축 응력을 증가시킨 콘크리트 복공 슬래브 어셈블리에 관련한다.
일반적으로, 가설교량은 도로 공사시 우회도로의 확보 및, 본 교량의 보수공사시 차량의 우회횡단, 통행이 심한 도로의 횡단 육교, 항만 시설에 따른 작업용 교량 등 다양한 용도로 설치 및 사용되고 있다.
종래 가설교량은 형강 빔을 서로 연결하여 가설벤트를 세우고, 그 위에 다수의 I형 거더를 교량의 종방향으로 거치하여 가설벤트와 일체로 용접으로 연결한 다음, 그 위에 다수의 복공판을 설치하여 차량 또는 사람이 통행할 수 있도록 임시로 설치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가설교량은 I형 거더의 상부에 다수의 복공판을 교량의 횡 방향으로 병렬 설치하는 것으로서, I형 거더의 상부에 설치되는 복공판은 통상 직사각형 철제 구조물로 이루어진다.
복공판의 일 예로, 국내등록특허 제980067호에는, 복공판이 상판과 하판, 양 측판으로 이루어지고, 상판과 하판 및 측판에 의하여 형성되는 내부공간에 종방향으로 연장 설치되는 철제 경사판과 같은 내부보강판을 구비하며, 복공판의 상판과 하판 및 측판에 의하여 형성되는 내부공간에 콘크리트를 충전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복공판을 이와 같이 구성해도, 복공판 자체의 단면 강성이 약하여 상부 하중에 대해 취약하다는 문제점은 여전히 존재한다.
더욱이,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배열되는 복공판 간의 결합이 확고하지 않음으로써 복공판 간의 압축 응력의 흐름이 원활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면 강성을 향상시켜 허용 압축 응력을 증가시킨 콘크리트 복공 슬래브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공판 간의 결합을 확고하게 하여 복공판 간의 압축 응력의 흐름을 원활하도록 한 콘크리트 복공 슬래브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의 콘크리트 복공 슬래브 어셈블리를 적절하게 배치하여 상부 하중에 의한 압축좌굴의 저항성을 향상시켜 장지간 및 저형고를 가능하도록 한 가설교량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보강부재;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어 상기 보강부재와 결합하는 콘크리트 구조체; 상기 보강부재의 하부의 폭 방향 양쪽 가장자리에 각각 결합하는 한 쌍의 주형; 및 상기 한 쌍의 주형 사이에 끼워져 결합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는, 상기 보강부재가 하향 만곡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공간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구성되어 하면은 압축되고 상면은 인장된 상태를 이루는 프리스트레싱을 적용한 콘크리트 복공 슬래브 어셈블리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의 하면에는 가장자리를 따라 내측으로 경사부가 형성되어 두께가 얇은 바닥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의 측면을 따라 감싸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중 상기 폭 방향으로 대향하는 프레임의 하단에서 내측으로 돌출하는 플랜지; 및 상기 플랜지에 형성된 관통구멍에 끼워져 상기 보강부재와 상기 주형을 결합시키는 앵커 볼트를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프레임 중 길이방향으로 대향하는 프레임은 하부로 더 연장되고, 상기 연장부에는 인접하는 보강부재와의 결합을 위한 관통구멍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폭 방향으로 대향하는 프레임에는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폭 방향으로 인접하는 콘크리트 복공 슬래브 어셈블리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를 개재하여 상기 프레임의 관통구멍을 통과하는 구부러진 곡 볼트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폭 방향으로 배치된 한 쌍의 I형강; 상기 I형강의 양단에 결합된 한 쌍의 마감강판; 및 상기 I형강의 하부 플랜지에 형성된 관통구멍에 끼워진 앵커 볼트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폭 방향으로 배치된 한 쌍의 I형강; 및 상기 I형강의 양단에 결합된 한 쌍의 마감강판을 포함하며, 상기 I형강의 하부 플랜지에 보강 플랜지를 덧대고, 상기 보강 플랜지에 관통구멍을 형성하여 앵커 볼트를 끼울 수 있다.
삭제
바람직하게, 상기 마감강판과 상기 I형강 사이에 고무패드가 개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폭 방향으로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의 내부에 쉬스관을 매립하고, 상기 쉬스관에 강연선이 삽입되고 상기 보강부재에 설치된 정착구에 상기 강연선이 긴장된 상태에서 양단이 연결되어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를 추가로 프리스트레싱 한다.
상기의 목적은, 폭 방향으로 배치된 한 쌍의 주형의 상부 플랜지에 보강부재를 결합하는 단계; 상기 보강부재의 하면을 거푸집을 설치하여 상기 보강부재와 거푸집으로 이루어지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한 쌍의 주형을 각각 외측으로 벌려 상기 보강부재와 거푸집이 하향 만곡되도록 하고, 이 상태에서 상기 수용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를 양생하여 콘크리트 구조체를 형성하고, 상기 거푸집을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한 쌍의 주형을 각각 내측으로 잡아당겨 상기 주형 사이에 고정부재를 끼워 상기 고정부재의 양단을 각각 상기 주형에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리스트레싱을 적용한 콘크리트 복공 슬래브 어셈블리의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폭 방향으로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의 내부에 매립된 쉬스관에 강연선을 삽입하고 상기 강연선을 긴장하여 상기 보강부재에 설치된 정착구에 고정하여 정착함으로써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를 추가로 프리스트레싱 한다.
삭제
바람직하게, 폭 방향으로 인접한 한 쌍의 교각 단위로 그 위에 프리스트레싱을 적용한 콘크리트 복공 슬래브 어셈블리를 거치하여 고정하고, 상기 프리스트레싱을 적용한 콘크리트 복공 슬래브 어셈블리 사이에서 상기 주형 위에 프리스트레싱을 적용하지 않은 콘크리트 복공 슬래브를 거치하여 고정할 수 있다.
상기의 구조에 의하면, 콘크리트 복공 슬래브 어셈블리 자체의 프리스트레싱에 의한 단면 강성을 향상시켜 허용 압축 응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콘크리트 구조체를 각각 프리스트레싱에 의해 하면이 압축되고 상면이 인장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상부의 하중에 의한 하면과 상면의 인장과 압축을 각각 상쇄함으로써 콘크리트 구조체의 균열이나 파손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설교량의 지점에서 상부 하중에 의한 압축좌굴에 대한 저항성을 증가시켜 허용 압축 응력을 증가시킬 수 있어 결과적으로 장지간 및 저형고의 효율적인 가설교량을 구현할 수 있다.
더욱이, 복공판 간의 결합을 확고하게 하여 복공판 간의 압축 응력의 흐름을 원활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복공 슬래브 어셈블리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복공 슬래브 어셈블리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2의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복공 슬래브 어셈블리를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4는 도 3에 의해 제조된 콘크리트 복공 슬래브 어셈블리를 적용한 가설교량의 일부를 폭 방향으로 도시한다.
도 5는 가설교량의 일부를 길이방향으로 도시한다.
도 6은 도 1의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복공 슬래브 어셈블리를 적용한 가설교량의 일부를 폭 방향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복공 슬래브 어셈블리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2의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복공 슬래브 어셈블리를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4는 도 3에 의해 제조된 콘크리트 복공 슬래브 어셈블리를 적용한 가설교량의 일부를 폭 방향으로 도시한다.
도 5는 가설교량의 일부를 길이방향으로 도시한다.
도 6은 도 1의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복공 슬래브 어셈블리를 적용한 가설교량의 일부를 폭 방향으로 도시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복공 슬래브 어셈블리(1000)를 나타낸다.
도시한 것처럼, 콘크리트 복공 슬래브 어셈블리(1000)는, 내부에 수용공간(202)이 형성된 보강부재(200), 보강부재(200)의 수용공간(202)에 수용되어 보강부재(200)와 결합하는 콘크리트 구조체(100), 보강부재(200)의 하부 양쪽 가장자리에 각각 결합하는 한 쌍의 주형(300), 및 한 쌍의 주형(300) 사이에 끼워져 결합하는 고정부재(400)를 포함한다.
콘크리트 구조체(100)는, 보강부재(200)가 하향 만곡된 상태에서 수용공간(202)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구성됨으로써 하면은 압축되고 상면은 인장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콘크리트 구조체(100)는 직사각 형상을 이루며, 하면에는 가장자리를 따라 내측으로 경사부(102)가 형성되어 경사부(102)의 단부에는 두께가 얇은 바닥부분(110)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하향 만곡된 상태에서 콘크리트 구조체(100)를 만곡되지 않은 원상태로 복원할 때 바닥부분(110)의 얇은 두께에 의해 쉽게 복원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료의 양을 줄일 수 있다.
콘크리트 구조체(100)는 고강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함으로써 얇은 두께를 갖도록 하여 자중을 줄일 수 있다.
보강부재(200)는 콘크리트 구조체(100)의 측면을 따라 감싸는 사각의 프레임(210, 220)으로 이루어지는데, 콘크리트 구조체(100)가 직사각 형상이므로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길이방향의 프레임(220)과 길이가 짧은 프레임(210)으로 이루어진다.
프레임(220)의 대향하는 측면의 하단에서 내측으로 플랜지(222)가 돌출하고, 플랜지(222)에 형성된 관통구멍에 앵커 볼트(230)가 끼워져 콘크리트 구조체(100)와 보강부재(200)를 결합한다. 물론, 후술하는 것처럼, 앵커 볼트(230)는 최종적으로 보강부재(200)와 주형(300)을 결합시킨다.
다른 프레임(210)의 하단은 하부로 더 연장되어 연장부(212)를 형성하고, 이 연장부(212)에는 다수의 관통구멍(214)이 형성되어 인접하는 보강부재와의 결합을 위해 볼트가 삽입될 수 있다.
연장부(212)에 형성된 관통구멍(214)은 콘크리트 구조체(100)의 하면보다 이격하여 형성되므로 콘크리트 구조체(100)에 영향을 받지 않고 인접하는 보강부재를 결합할 수 있다.
여기서, 관통구멍(214)은 보강부재(200)의 길이방향으로의 결합을 위한 것이며, 보강부재(200)의 폭 방향으로의 결합을 위해서 프레임(220)에 관통구멍(224)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앵커 볼트(230) 사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복공 슬래브 어셈블리(2000)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도 1의 일 실시 예와 다른 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보강부재(500)는 도 1과 같이 일체로 형성된 프레임 구조가 아니라, 한 쌍의 I형강(510)과 한 쌍의 마감강판(520)이 측면을 이루도록 용접 등에 의해 조립되고, I형강(510)의 하부 플랜지에 관통구멍을 형성하여 앵커 볼트(530)가 끼워져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I형강(510)의 하부 플랜지에 내측으로 플랜지(512)를 용접 등으로 덧댈 수 있으며, 이 플랜지(512)에 형성된 관통구멍에 앵커 볼트(530)를 끼워 보강부재(500)를 구성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마감강판(520)과 I형강(510) 사이에 고무패드(540)를 추가하여 보강부재(500) 간의 접촉에 의한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한편, 이 실시 예에서는 폭 방향의 측면이 I형강(510)으로 구성되므로 보강부재(50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므로 다른 구조물이 위치할 수 있다. 가령, 콘크리트 구조체(100)의 내부에 폭 방향으로 쉬스관(114)을 매립하고, 도 5(f)에 나타낸 것처럼, 쉬스관(114)에 강연선(140)을 삽입한 후 I형강(510)의 복부에 정착구(142)를 설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복공 슬래브 어셈블리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복공 슬래브 어셈블리를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3a를 참조하면, 한 쌍의 주형(300) 각각의 상부 플랜지(310)에 보강부재(500)를 결합한다. 즉, 조립이 완료된 보강부재(500)의 I형강(520)의 플랜지(512)를 주형(300)의 상부 플랜지(310) 한쪽에 앵커 볼트(530)를 이용하여 고정한다.
마찬가지로, 도 1의 실시 예의 경우, 보강부재(200)의 플랜지(222)를 앵커 볼트(230)를 이용하여 주형(300)의 상부 플랜지(310) 한쪽에 고정하면 된다.
도면부호 120은 후에 콘크리트 구조체(100)에 매립되는 이형 철근을 나타내며, 콘크리트 구조체(100)의 강도를 보강할 목적으로 매립된다.
다음, 도 3b와 같이, 보강부재(200)의 하면을 막는 거푸집(130)을 이용하여 막는다. 거푸집(130)은 가령 강재로 이루어지며, 도 1과 2의 콘크리트 구조체(100)의 하면의 단면 프로파일과 동일한 단면 프로파일을 갖는다.
이에 따라, I형강(510)과 마감강판(520) 및 거푸집(130)에 의해 형성되는 수용공간(502)이 형성된다.
도 3c를 참조하면, 한 쌍의 주형(300)을 화살표로 표시한 것처럼 가령 유압 잭을 이용하여 각각 외측으로 벌린다. 이에 따라, 보강부재(500)와 거푸집(130)은 하향 만곡되어 하방으로 구부러진 형태를 갖게 된다.
하향 만곡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도 3d와 같이 수용공간(502)에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이어, 도 3e와 같이, 타설된 콘크리트를 양생하여 콘크리트 구조체(100)를 형성하고, 거푸집(130)을 제거한다.
이때, 하향 만곡된 태로 양생된 콘크리트 구조체(100)에 의해 한 쌍의 주형(300)을 벌리고 있는 유압 잭으로 가하던 힘을 제거하여도 한 쌍의 주형(300)은 벌린 상태를 유지한다.
이어, 유압 잭을 이용하여 한 쌍의 주형(300)을 강제로 내측으로 잡아당겨 각 주형(300)이 수직을 유지하도록 한 상태에서, 주형(300) 사이에 고정부재(400)를 끼워 그 양단을 볼트 등을 이용하여 각각 주형(300)의 하부 플랜지(320)에 고정한다. 고정부재(400)로는 가령 L형강을 이용할 수 있으며, 그 양단을 하부 플랜지(320)에 한정하여 고정할 필요는 없고, 주형(300)의 복부에 보강판을 개재하여 고정할 수 있다.
그 결과, 콘크리트 구조체(100)의 하면은 압축되고 반대로 상면은 인장된 프리스트레싱 상태로 콘크리트 복공 슬래브 어셈블리를 구성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콘크리트 구조체(100) 상부로부터 하중이 가해져 양 주형(300) 사이에서 콘크리트 구조체(100)의 하면이 인장되고 상면이 압축되더라도 하면과 상면이 각각 프리스트레싱에 의해 압축되고 인장된 상태이기 때문에 상부의 하중에 의한 인장과 압축을 각각 상쇄하게 된다. 그 결과, 콘크리트 구조체(100)의 균열이나 파손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프리스트레싱을 더 확보하기 위해서, 콘크리트 구조체(100)의 내부에 형성된 쉬스관(114)에 강연선(140)이 삽입하여 정착하고 보강부재(500)의 I형강(510)에 형성된 쉬스관(114)에 정착구(142)를 설치하여 강연선(140)의 양단을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콘크리트 구조체(100) 자체에 인가된 프리스트레싱에 더하여 강연선(140)에 의한 프리스트레싱으로 단면 강성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크레인을 실은 차량이 통과하는 경우와 같이 더 큰 차량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적용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의해 제조된 콘크리트 복공 슬래브 어셈블리를 적용한 가설교량의 일부를 폭 방향으로 도시하고, 도 5는 가설교량의 일부를 길이방향으로 도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폭 방향(횡 방향)으로 배열된 교각(10) 위에는 도 3에 의해 제조된 콘크리트 복공 슬래브 어셈블리가 설치된다.
하나의 콘크리트 복공 슬래브 어셈블리는 한 쌍의 주형(300)을 구비하기 때문에, 2개의 교각(10)에 걸쳐 프리스트레싱된 콘크리트 복공 슬래브 어셈블리(2000)가 설치되고, 이들 사이에는 주형(300)이 일체화되지 않고 프리스트레싱 되지 않은 콘크리트 복공 슬래브(500)가 주형(300) 위에 거치되어 고정된다.
이와 같은 설치에 의해, 콘크리트 복공 슬래브 어셈블리(2000)와 콘크리트 복공 슬래브(500) 사이에는 I형강(510)이 서로 인접하여 공간이 마련되는데, 콘크리트 복공 슬래브 어셈블리(2000)와 콘크리트 복공 슬래브(500)의 콘크리트 구조체(100)에 매립되어 단부가 이 공간으로 돌출된 이형철근(120)이 서로 용접 등에 의해 결합되며, 이 공간은 가령 무수축모르타르(150)에 의해 그라우팅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인접하는 콘크리트 복공 슬래브 어셈블리(2000)와 콘크리트 복공 슬래브(500)가 무수축모르타르(150)에 의해 그라우팅됨으로써 서로 강하게 결합하여 콘크리트 복공 슬래브 어셈블리(2000)와 콘크리트 복공 슬래브(500)를 통한 압축 응력의 흐름이 원활해진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도 1과 같은 콘크리트 복공 슬래브 어셈블리(1000)의 경우, 폭 방향으로 인접하는 콘크리트 복공 슬래브 어셈블리(1000)는 콘크리트 구조체(100)에 매립된 구부러진 곡 볼트(160)를 이용하여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즉, 곡 볼트(160)의 양단이 콘크리트 구조체(100)의 경사부(102)에 위치하도록 너트를 체결하여 조일 수 있다.
곡 볼트(160)를 적용하기 위해서, 도 1과 같이, 프레임(220)에 관통구멍(224)을 미리 형성하고, 곡 볼트(160)가 삽입되는 관(tube)을 콘크리트 타설 전에 미리 설치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가령, 도 1의 보강부재 또는 도 2의 보강부재 중 어느 것을 적용하느냐에 따라 최적의 효과를 얻기 위해 그에 따른 관련 구조를 적절하게 변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어 해석될 수 없으며, 이하에 기재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한다.
100: 콘크리트 구조체
102: 경사부
110: 바닥부분
114: 쉬스관
200, 500: 보강부재
202, 502: 수용공간
210, 220: 프레임
212: 연장부
214: 관통구멍
222, 512: 플랜지
230, 530: 앵커 볼트
300: 주형
310: 상부 플랜지
320: 하부 플랜지
400: 고정부재
520: 마감부재
540: 고무패드
102: 경사부
110: 바닥부분
114: 쉬스관
200, 500: 보강부재
202, 502: 수용공간
210, 220: 프레임
212: 연장부
214: 관통구멍
222, 512: 플랜지
230, 530: 앵커 볼트
300: 주형
310: 상부 플랜지
320: 하부 플랜지
400: 고정부재
520: 마감부재
540: 고무패드
Claims (13)
-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보강부재;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어 상기 보강부재와 결합하는 콘크리트 구조체;
상기 보강부재의 하부의 폭 방향 양쪽 가장자리에 각각 결합하는 한 쌍의 주형; 및
상기 한 쌍의 주형 사이에 끼워져 결합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는, 상기 보강부재가 하향 만곡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공간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구성된 후 원상으로 복귀되어 하면은 압축되고 상면은 인장된 상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싱을 적용한 콘크리트 복공 슬래브 어셈블리.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의 하면에는 가장자리를 따라 내측으로 경사부가 형성되어 두께가 얇은 바닥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싱을 적용한 콘크리트 복공 슬래브 어셈블리.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의 측면을 따라 감싸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중 상기 폭 방향으로 대향하는 프레임의 하단에서 내측으로 돌출하는 플랜지; 및
상기 플랜지에 형성된 관통구멍에 끼워져 상기 보강부재와 상기 주형을 결합시키는 앵커 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싱을 적용한 콘크리트 복공 슬래브 어셈블리.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중 길이방향으로 대향하는 프레임은 하부로 더 연장되고, 상기 연장부에는 인접하는 보강부재와의 결합을 위한 관통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싱을 적용한 콘크리트 복공 슬래브 어셈블리.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폭 방향으로 대향하는 프레임에는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폭 방향으로 인접하는 콘크리트 복공 슬래브 어셈블리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를 개재하여 상기 프레임의 관통구멍을 통과하는 구부러진 곡 볼트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싱을 적용한 콘크리트 복공 슬래브 어셈블리.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폭 방향으로 배치된 한 쌍의 I형강;
상기 I형강의 양단에 결합된 한 쌍의 마감강판; 및
상기 I형강의 하부 플랜지에 형성된 관통구멍에 끼워진 앵커 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싱을 적용한 콘크리트 복공 슬래브 어셈블리.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폭 방향으로 배치된 한 쌍의 I형강; 및
상기 I형강의 양단에 결합된 한 쌍의 마감강판을 포함하며,
상기 I형강의 하부 플랜지에 보강 플랜지를 덧대고, 상기 보강 플랜지에 관통구멍을 형성하여 앵커 볼트를 끼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싱을 적용한 콘크리트 복공 슬래브 어셈블리. - 청구항 6 또는 7에 있어서,
상기 마감강판과 상기 I형강 사이에 고무패드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싱을 적용한 콘크리트 복공 슬래브 어셈블리.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폭 방향으로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의 내부에 쉬스관을 매립하고, 상기 쉬스관에 강연선이 삽입되고 상기 보강부재에 설치된 정착구에 상기 강연선이 긴장된 상태에서 양단이 연결되어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를 추가로 프리스트레싱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싱을 적용한 콘크리트 복공 슬래브 어셈블리. - 폭 방향으로 배치된 한 쌍의 주형의 상부 플랜지에 보강부재를 결합하는 단계;
상기 보강부재의 하면을 거푸집을 설치하여 상기 보강부재와 거푸집으로 이루어지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한 쌍의 주형을 각각 외측으로 벌려 상기 보강부재와 거푸집이 하향 만곡되도록 하고, 이 상태에서 상기 수용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를 양생하여 콘크리트 구조체를 형성하고, 상기 거푸집을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한 쌍의 주형을 각각 내측으로 잡아당겨 상기 주형 사이에 고정부재를 끼워 상기 고정부재의 양단을 각각 상기 주형에 고정하여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가 원상으로 복귀되어 하면은 압축되고 상면은 인장된 상태를 이루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싱을 적용한 콘크리트 복공 슬래브 어셈블리의 제조방법.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폭 방향으로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의 내부에 매립된 쉬스관에 강연선을 삽입하고 상기 강연선을 긴장하여 상기 보강부재에 설치된 정착구에 고정하여 정착함으로써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를 추가로 프리스트레싱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싱을 적용한 콘크리트 복공 슬래브 어셈블리의 제조방법.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25046A KR101381974B1 (ko) | 2012-03-12 | 2012-03-12 | 콘크리트 복공 슬래브 어셈블리와 제조방법 및 이를 적용한 가설교량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25046A KR101381974B1 (ko) | 2012-03-12 | 2012-03-12 | 콘크리트 복공 슬래브 어셈블리와 제조방법 및 이를 적용한 가설교량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03970A KR20130103970A (ko) | 2013-09-25 |
KR101381974B1 true KR101381974B1 (ko) | 2014-04-07 |
Family
ID=49452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25046A KR101381974B1 (ko) | 2012-03-12 | 2012-03-12 | 콘크리트 복공 슬래브 어셈블리와 제조방법 및 이를 적용한 가설교량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81974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24092B1 (ko) * | 2017-12-20 | 2019-02-22 | 이상훈 | 가설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KR102345263B1 (ko) | 2020-11-25 | 2021-12-31 | 주식회사 스틸코리아 | 합성 거더 및 그 시공방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081727A (ja) * | 1999-09-10 | 2001-03-27 | Japan Highway Public Corp | 格子状床版を備えた構造物とその施工方法 |
KR100960508B1 (ko) * | 2010-03-02 | 2010-06-01 | 윤주호 | 강합성 거더 제조용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강합성 거더 제조방법 |
-
2012
- 2012-03-12 KR KR1020120025046A patent/KR10138197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081727A (ja) * | 1999-09-10 | 2001-03-27 | Japan Highway Public Corp | 格子状床版を備えた構造物とその施工方法 |
KR100960508B1 (ko) * | 2010-03-02 | 2010-06-01 | 윤주호 | 강합성 거더 제조용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강합성 거더 제조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03970A (ko) | 2013-09-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91869B1 (ko) | 단경간 및 다경간 피에스씨 거더교 및 그 시공방법 | |
KR101107826B1 (ko)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공 슬래브(slab)형 횡방향 연결 박스 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 |
CN110130220B (zh) | 一种应用于梁桥上的新型混凝土桥面连续构造 | |
CN105297641A (zh) | 公路t梁横隔板预应力加固结构及用其进行加固的工法 | |
KR100704055B1 (ko)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갖는 강주형 연속합성형교량및 그 시공방법 | |
KR101293838B1 (ko) | 응력전달길이 구간을 제거하는 프리텐션 제조장치 및 그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구조체 제작방법 | |
KR101640921B1 (ko) | 지하차도로서 유용한 프리캐스트화된 지하박스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
KR100650411B1 (ko) | 하부 공동형 콘크리트 복공판 | |
KR101381974B1 (ko) | 콘크리트 복공 슬래브 어셈블리와 제조방법 및 이를 적용한 가설교량 | |
KR20080111686A (ko) | Phc거더를 이용한 교량 및 슬래브 일체형phc합성거더 | |
KR100690395B1 (ko) |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빔의 연속화 방법 | |
KR101330177B1 (ko) | 강선인장을 이용하는 복공판 | |
JP2016017358A (ja) | 既設桁橋のヒンジ部補強方法および補強構造 | |
CN110747735A (zh) | 钢-混凝土组合梁预制混凝土桥面板的锚固连接装置 | |
CN110541369A (zh) | 利用空心板铰缝空间增设预应力钢绞线加固装置及方法 | |
KR102077385B1 (ko) | 프리스트레스트 강합성 거더 | |
KR100989153B1 (ko) | 바닥판 주철근 대체가 용이하도록 횡방향 강성연결재를 구비한 십자형 피에스씨 거더 연결구조 및 십자형 피에스씨 거더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 |
KR101397131B1 (ko) |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교량 및 그 시공방법 | |
KR20060017949A (ko) | 편심거리 증가로 인한 내하력이 증강된 현장조립식프리스트레싱 강합성 거더 및 이를 이용한 연속교 시공방법 | |
KR101043710B1 (ko) | 가각부가 형성된 하로교 및 하로교에 가각부를 형성시키는 방법 | |
KR101008555B1 (ko) | 지하차도용 복합거더 및 그를 이용한 지하차도 | |
KR101752285B1 (ko) | 광폭 psc 하부플랜지와 단면확대용 상부플랜지를 갖는 하이브리드 보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 |
KR20130090455A (ko) | 구속 콘크리트를 이용한 연속교의 시공방법 | |
KR101402620B1 (ko) | 슬래브교용 하프피씨슬래브를 이용한 합성 슬래브형 라멘교의 시공방법 | |
JP2009007790A (ja) | Mma樹脂モルタルを敷設した橋梁複合鋼床版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