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0508B1 - 강합성 거더 제조용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강합성 거더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강합성 거더 제조용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강합성 거더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0508B1
KR100960508B1 KR1020100018329A KR20100018329A KR100960508B1 KR 100960508 B1 KR100960508 B1 KR 100960508B1 KR 1020100018329 A KR1020100018329 A KR 1020100018329A KR 20100018329 A KR20100018329 A KR 20100018329A KR 100960508 B1 KR100960508 B1 KR 1009605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support member
girder
composite girder
upper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8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주호
Original Assignee
윤주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주호 filed Critical 윤주호
Priority to KR1020100018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05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0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05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9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 E04C3/29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the materials being steel and concrete
    • E04C3/29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the materials being steel and concrete of concrete combined with a girder-like structure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8Member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in prestressed constru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재와 콘크리트가 합성된 강합성 거더를 제조하기 위한 거푸집의 일단 하측에 배치되며, 강합성 거더를 고정 지지하도록 거푸집의 일단이 고정되는 제1 지지부재 및 거푸집의 타단 하측에 배치되며, 프리스트레싱(prestressing) 작업시 거푸집의 타단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제2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강합성 거더 제조용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강합성 거더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지지부재에 의해 거푸집이 고정되고, 제2 지지부재에 의해 거푸집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므로 콘크리트에 의한 처짐이 발생할 때 또는 강연선에 의한 프리스트레싱 작업시 마찰력을 최소화할 수 있어 압축 프리스트레스에 의한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강합성 거더 제조용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강합성 거더 제조방법 {Apparatus for Supporting steel-concrete composite gird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teel composite girder using thereof}
본 발명은 강합성 거더 제조용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강합성 거더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내측에 배치된 긴장용 강연선을 통해 강합성 거더에 프리스트레싱(prestressing)을 가할 때 사용되는 강합성 거더 제조용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강합성 거더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또는 강합성 거더는 아래와 같은 방법에 의해 제작된다. 도 1a, 도 1b는 종래의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의 제작방법을 나타낸 정면도 및 단면도, 도 2a 내지 도 2c는 종래의 강합성 거더의 제작방법을 나타낸 정면도 및 단면도이다.
먼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PSC; Prestressed Concrete Girder)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지면과 맞닿도록 지면 위에 바로 하부 거푸집(F)을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소정의 강도가 발현된 후 쉬스관(SP) 내에 배치된 PC 강연선을 긴장시킨다. 그러면 도 1b에 도시된 것처럼 거더(PSC)의 중앙부가 상향으로 솟아오르며 인장력에 대응하는 압축력을 도입하게 된다. 이렇게 압축력을 도입하는 과정에서 지면과의 마찰은 필히 발생하게 된다. 즉, PC 강연선의 긴장 작업시 거더(PSC)의 콘크리트 하면, 지면에 접해 있는 하면 거푸집(F), 그리고 지면과의 상호 마찰력이 발생되고, 하면 거푸집(F)의 변형이 생기게 되므로 시공경제성이 매우 좋지 않다.
다음으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합성빔(통상 MSP라고 함)(공개특허 10-2004-0004197 참조)의 경우는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것처럼 제조하게 된다.
즉, 도 2a에 도시된 것처럼 먼저 지면과 접촉된 거푸집(F) 위에 콘크리트(C)를 타설하여 상측에 오목한 홈이 형성되도록 콘크리트 패널을 제작한다. 그러고 나서 도 2b에 도시된 것처럼 그 홈 내부에 I형 강재(S)의 하부 플랜지를 매립하고 무수축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합성빔을 완성한다. 그 후, 도 2c에 도시된 것처럼 양단부에서 쉬스관(SP) 내에 배치된 PC 강연선을 긴장하여 압축력을 도입하여 합성빔에 프리스트레싱을 주게 된다. 이 공법의 경우에도 콘크리트(C) 하면, 지면에 접해 있는 하면 거푸집(F), 그리고 지면과의 상호 마찰력이 발생되고, 하면 거푸집(F)의 변형이 생기게 되므로 시공경제성이 매우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내측에 배치된 긴장용 강연선을 통해 강합성 거더에 프리스트레싱(prestressing)을 가할 때 지면과의 마찰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강합성 거더 제조용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강합성 거더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합성 거더 제조용 지지장치는 강재와 콘크리트가 합성된 강합성 거더를 제조하기 위한 거푸집의 일단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강합성 거더를 고정 지지하도록 상기 거푸집의 일단이 고정되는 제1 지지부재; 및 상기 거푸집의 타단 하측에 배치되며, 프리스트레싱(prestressing) 작업시 상기 거푸집의 타단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제2 지지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지지부재는, 제1 상부 플랜지(flange), 제1 하부 플랜지 및 제1 웹(web)을 구비하는 I-형강의 형상으로서 상기 거푸집과 직교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상부 플랜지에는 상기 거푸집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공이 형성되며, 상기 장공을 통하여 상기 제1 상부 플랜지와 상기 거푸집의 일단을 체결하는 체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지지부재는, 제1 상부 플랜지, 제1 하부 플랜지 및 제1 웹을 구비하는 I-형강의 형상으로서 상기 거푸집과 직교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상부 플랜지의 상측에 힌지 결합에 의해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거푸집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공이 형성되는 제1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장공을 통하여 상기 제1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거푸집의 일단을 체결하는 체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거푸집은, 상기 제1 상부 플랜지의 상측에 대응되는 바닥이 분리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장공은, 복수의 강합성 거더를 동시에 제조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지지부재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가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1 지지부재는, 양측에 상기 제1 상부 플랜지, 상기 제1 하부 플랜지 및 상기 제1 웹에 직교하도록 배치되는 적어도 한 쌍 이상의 보강 플레이트(plate); 및 일단이 상기 보강 플레이트에 고정되고, 타단이 지면에 고정되어 상기 제1 지지부재가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는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전도방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지지부재는, 제2 상부 플랜지(flange), 제2 하부 플랜지 및 제2 웹(web)을 구비하는 I-형강의 형상으로서 상기 거푸집과 직교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2 상부 플랜지에 상기 거푸집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이 용이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전롤러를 구비한 회전롤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회전롤러부는, 복수의 강합성 거더를 동시에 제조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지지부재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지지부재는, 제2 상부 플랜지, 제2 하부 플랜지 및 제2 웹을 구비하는 I-형강의 형상으로서 상기 거푸집과 직교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거푸집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및 회전이 용이하도록, 상기 제2 상부 플랜지의 상측에 힌지 결합에 의해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제2 상부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거푸집은, 상기 제2 상부 플랜지의 상측에 대응되는 바닥이 분리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제2 지지부재는, 양측에 상기 제2 상부 플랜지, 상기 제2 하부 플랜지 및 상기 제2 웹에 직교하도록 배치되는 적어도 한 쌍 이상의 보강 플레이트; 및 일단이 상기 보강 플레이트에 고정되고, 타단이 지면에 고정되어 상기 제2 지지부재가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는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전도방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강합성 거더 제조용 지지장치는 강재와 콘크리트가 합성된 강합성 거더에 프리스트레싱을 가하기 위해 강합성 거더의 일단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강합성 거더를 고정 지지하도록 상기 강합성 거더의 일단이 고정되는 제1 지지부재; 및 상기 강합성 거더의 타단 하측에 배치되며, 프리스트레싱(prestressing) 작업시 상기 강합성 거더의 타단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제2 지지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합성 거더 제조방법은 강재와 콘크리트가 합성된 강합성 거더를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서, 양단의 바닥이 분리 가능한 거푸집을 준비하는 단계; 제1 상부 플랜지, 제1 하부 플랜지 및 제1 웹을 구비하는 I-형강의 형상으로서 상기 거푸집과 직교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상부 플랜지에는 상기 거푸집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공이 형성되며, 상기 장공을 통하여 상기 제1 상부 플랜지와 상기 거푸집의 일단을 체결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제1 지지부재; 및 제2 상부 플랜지, 제2 하부 플랜지 및 제2 웹을 구비하는 I-형강의 형상으로서 상기 거푸집과 직교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2 상부 플랜지에 상기 거푸집의 타단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이 용이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전롤러를 구비한 회전롤러부를 포함하는 제2 지지부재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1 지지부재 및 상기 제2 지지부재에 상기 거푸집의 양단을 올려놓고, 상기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제1 상부 플랜지와 상기 거푸집의 일단을 고정하는 단계; 상기 거푸집 내측에 철근 및 쉬스관(sheath pipe)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거푸집의 내부로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상기 콘크리트를 경화시키는 단계; 상기 양단의 바닥을 제외한 거푸집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쉬스관 내부에 강연선을 삽입하고, 긴장시켜 프리스트레싱 (prestressing)을 가하는 단계; 및 상기 체결부재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강합성 거더 제조방법은 강재와 콘크리트가 합성된 강합성 거더를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서, 양단의 바닥이 분리 가능한 거푸집을 준비하는 단계; 제1 상부 플랜지, 제1 하부 플랜지 및 제1 웹을 구비하는 I-형강의 형상으로서 상기 거푸집과 직교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상부 플랜지의 상측에 힌지 결합에 의해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거푸집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공이 형성되는 제1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장공을 통하여 상기 제1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거푸집의 일단을 체결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제1 지지부재; 및 제2 상부 플랜지, 제2 하부 플랜지 및 제2 웹을 구비하는 I-형강의 형상으로서 상기 거푸집과 직교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거푸집의 타단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및 회전이 용이하도록, 상기 제2 상부 플랜지의 상측에 힌지 결합에 의해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제2 상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제2 지지부재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1 지지부재 및 상기 제2 지지부재에 상기 거푸집의 양단을 올려놓고, 상기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제1 상부 플랜지와 상기 거푸집의 일단을 고정하는 단계; 상기 거푸집 내측에 철근 및 쉬스관(sheath pipe)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거푸집의 내부로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상기 콘크리트를 경화시키는 단계; 상기 양단의 바닥을 제외한 거푸집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쉬스관 내부에 강연선을 삽입하고, 긴장시켜 프리스트레싱 (prestressing)을 가하는 단계; 및 상기 체결부재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강합성 거더 제조방법은 내측에 철근 및 쉬스관이 배치되고 강재와 콘크리트가 합성된 강합성 거더에 프리스트레싱을 가하기 위해 강합성 거더의 일단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강합성 거더를 고정 지지하도록 상기 강합성 거더의 일단이 고정되는 제1 지지부재; 및 상기 강합성 거더의 타단 하측에 배치되며, 프리스트레싱(prestressing) 작업시 상기 강합성 거더의 타단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제2 지지부재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1 지지부재 및 상기 제2 지지부재에 상기 강합성 거더의 양단을 올려놓고,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상기 강합성 거더의 일단을 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쉬스관 내부에 강연선을 삽입하고, 긴장시켜 프리스트레싱 (prestressing)을 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합성 거더 제조용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강합성 거더 제조방법에 의하면,
첫째, 제1 지지부재에 의해 거푸집이 고정되고, 제2 지지부재에 의해 거푸집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므로 콘크리트에 의한 처짐이 발생할 때 또는 강연선에 의한 프리스트레싱 작업시 마찰력을 최소화할 수 있어 압축 프리스트레스에 의한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둘째, 제작이 완료된 강합성 거더를 별도의 적치공간으로 이동시킬 필요가 없어 협소한 제작공간에서도 제작이 가능하다.
셋째, 거푸집의 변형이 적기 때문에 시공성 및 경제성이 매우 좋다.
넷째, 제1 상부 플랜지 또는 제1 상부 플레이트에 장공이 형성된 경우, 체결부재의 체결시 시공 오차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다섯째, 제1 지지부재 및 제2 지지부재는 길이방향으로 확장이 가능하므로 동시에 복수의 강합성 거더를 제조할 수 있다.
여섯째, 제1 지지부재 및 제2 지지부재에 보강 플레이트 및 전도방지부재가 구비된 경우, 작업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일곱째, 완성된 강합성 거더를 제1 지지부재 및 제2 지지부재에 올려 놓고 프리스트레싱만을 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 도 1b는 종래의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의 제작방법을 나타낸 정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종래의 강합성 거더의 제작방법을 나타낸 정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합성 거더 제조용 지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1 지지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제2 지지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강합성 거더 제조용 지지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강합성 거더 제조용 지지장치를 이용한 강합성 거더의 콘크리트 타설 전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강합성 거더 제조용 지지장치를 이용한 강합성 거더의 콘크리트 타설 후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5에 도시된 제2 지지부재의 확장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강합성 거더 제조용 지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강합성 거더 제조용 지지장치의 분해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강합성 거더 제조용 지지장치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3은 도 10에 도시된 강합성 거더 제조용 지지장치를 이용한 강합성 거더의 콘크리트 타설 전의 정면도이다.
도 14는 도 10에 도시된 강합성 거더 제조용 지지장치를 이용한 강합성 거더의 콘크리트 타설 후의 정면도이다.
도 15는 도 10에 도시된 제2 지지부재의 확장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합성 거더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강합성 거더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강합성 거더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합성 거더 제조용 지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1 지지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제2 지지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강합성 거더 제조용 지지장치의 정면도, 도 7은 도 3에 도시된 강합성 거더 제조용 지지장치를 이용한 강합성 거더의 콘크리트 타설 전의 정면도, 도 8은 도 3에 도시된 강합성 거더 제조용 지지장치를 이용한 강합성 거더의 콘크리트 타설 후의 정면도, 도 9는 도 5에 도시된 제2 지지부재의 확장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합성 거더 제조용 지지장치는 제1 지지부재(100) 및 제2 지지부재(200)를 포함한다.
제1 지지부재(100)는 강재(S)와 콘크리트(C)가 합성된 강합성 거더(G)를 제조하기 위한 거푸집(300)의 일단 하측에 배치된다. 강재(S)는 I-형강이 주로 사용된다. 제1 지지부재(100)에는 강합성 거더(G)를 고정 지지하도록 거푸집(300)의 일단이 고정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1 지지부재(100)는 I-형강의 형상으로서 제1 상부 플랜지(flange)(110), 제1 하부 플랜지(120) 및 제1 웹(web)(130)을 구비한다. 제1 지지부재(100)는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이 가능하나 I-형강을 사용하는 것이 비용적인 측면에서 유리하다.
제1 지지부재(100)는 거푸집(300)과 직교하도록 배치되고, 제1 상부 플랜지(110)에는 거푸집(30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공(110a)이 형성된다. 이러한 장공(110a)을 통하여 체결부재(140)는 제1 상부 플랜지(110)와 거푸집(300)의 일단을 체결하게 된다. 제1 상부 플랜지(110)에 장공(110a)이 형성된 경우, 체결부재(140)의 체결시 시공 오차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이때 거푸집(300)의 일단에도 체결을 위한 홀이 형성된다. 체결부재(140)는 볼트만을 구비할 수도 있고,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볼트와 너트를 구비할 수도 있다. 너트가 구비된 경우 체결부재(140)의 제거시 너트는 콘크리트(C)에 매립된다.
뿐만 아니라,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강재(S)의 양단에는 하측에 지지플레이트(P1, P2)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1 지지부재(100) 상측의 지지플레이트(P1)의 경우 홀(H)이 형성되어 체결부재(140)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한편, 거푸집(300)은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제1 상부 플랜지(110)의 상측에 대응되는 바닥(300a)이 분리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렇게 거푸집(300)의 바닥(300a)이 분리가 가능하면 프리스트레싱을 가할 때 거푸집의 회전율을 높일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장공(110a)은 복수의 강합성 거더(G)를 동시에 제조할 수 있도록 제1 지지부재(100)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가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제1 지지부재(100)를 복수로 연결하면 더 많은 강합성 거더(G)의 제작이 가능하다.
제1 지지부재(100)는 양측에 적어도 한 쌍 이상의 보강 플레이트(plate)(160) 및 한 쌍 이상의 전도방지부재(170)를 포함할 수 있다.
보강 플레이트(160)는 양측에 제1 상부 플랜지(110), 제1 하부 플랜지(120) 및 제1 웹(130)에 직교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전도방지부재(170)는 일단이 보강 플레이트(160)에 고정되고, 타단이 지면에 고정되어 제1 지지부재(100)가 전도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1 지지부재(100)에 보강 플레이트(160) 및 전도방지부재(170)가 구비된 경우, 작업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지지부재(200)는 거푸집(300)의 타단 하측에 배치되며, 프리스트레싱(prestressing) 작업시 거푸집(300)의 타단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지지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2 지지부재(200)는 I-형강의 형상으로서 제2 상부 플랜지(flange)(210), 제2 하부 플랜지(220) 및 제2 웹(web)(230)을 구비한다. 제2 지지부재(200)는 거푸집(300)과 직교하도록 배치되는 제2 상부 플랜지(210)에 거푸집(300)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이 용이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전롤러(240a)를 구비한 회전롤러부(240)를 포함한다.
이러한 회전롤러부(240)는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복수의 강합성 거더(G)를 동시에 제조할 수 있도록 제2 지지부재(200)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제2 지지부재(200)를 복수로 연결하면 더 많은 강합성 거더(G)의 제작이 가능하다. 이때의 제2 지지부재(200) 연결은 체결부재의 예로서 볼트(B), 너트(N) 등이 사용가능하다.
도 8을 참고하면, 거푸집(300)은 제2 상부 플랜지(250)의 상측에 대응되는 바닥(300b)이 분리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프리스트레싱을 가할 때 거푸집의 회전율을 높일 수 있다.
제2 지지부재(200)도 제1 지지부재(100)와 마찬가지로 양측에 적어도 한 쌍 이상의 보강 플레이트(260) 및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전도방지부재(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강합성 거더 제조용 지지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강합성 거더 제조용 지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강합성 거더 제조용 지지장치의 분해 정면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강합성 거더 제조용 지지장치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13은 도 10에 도시된 강합성 거더 제조용 지지장치를 이용한 강합성 거더의 콘크리트 타설 전의 정면도, 도 14는 도 10에 도시된 강합성 거더 제조용 지지장치를 이용한 강합성 거더의 콘크리트 타설 후의 정면도, 도 15는 도 10에 도시된 제2 지지부재의 확장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앞서 설명한 것처럼 강합성 거더 제조용 지지장치는 제1 지지부재(100) 및 제2 지지부재(200)를 포함한다.
제1 지지부재(100)는 I-형강의 형상으로서 제1 상부 플랜지(110), 제1 하부 플랜지(120) 및 제1 웹(130)을 구비하는 거푸집(300)과 직교하도록 배치된다.
앞선 실시예와 달리 이러한 제1 지지부재(100)는 제1 상부 플레이트(150) 및 체결부재(140)를 포함한다. 제1 상부 플레이트(150)는 제1 상부 플랜지(110)의 상측에 힌지(H) 결합에 의해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제1 상부 플레이트(150)에는 거푸집(30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공(150a)이 형성된다. 여기서의 제1 지지부재(100)는 힌지(H) 결합에 의해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므로 강합성 거더(G)를 더 유연하게 고정 지지할 수 있다. 체결부재(140)는 장공(150a)을 통하여 제1 상부 플레이트(150)와 거푸집(300)의 일단을 체결한다.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강재(S)의 양단에는 하측에 지지플레이트(P)가 구비될 수 있고, 제1 지지부재(100) 상측의 지지플레이트(P)의 경우 홀(H)이 형성되어 체결부재(140)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장공(150a)은 복수의 강합성 거더(G)를 동시에 제조할 수 있도록 제1 지지부재(100)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상부 플레이트(150)에 장공(150a)이 형성된 경우, 체결부재의 체결시 시공 오차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거푸집(300)은 제1 상부 플랜지(110)의 상측에 대응되는 바닥(300a)이 분리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거푸집(300)은 중앙부(300b), 측면부(300c)등으로 이루어져 볼트(B)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 분리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제1 지지부재(100)는 적어도 한 쌍 이상의 보강 플레이트(plate)(160) 및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전도방지부재(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지지부재(200)는 I-형강의 형상으로서 제2 상부 플랜지(210), 제2 하부 플랜지(220) 및 제2 웹(230)을 구비하며, 거푸집(300)과 직교하도록 배치된다. 제2 지지부재(200) 역시 거푸집(300)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및 회전이 용이하도록 제2 상부 플랜지(210)의 상측에 힌지(H) 결합에 의해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제2 상부 플레이트(250)를 포함한다. 제2 지지부재(200)는 힌지(H) 결합에 의해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므로 강합성 거더(G)를 슬라이딩 뿐만 아니라 회전에 의해서도 지지할 수 있다. 제2 상부 플레이트(250) 역시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길이 방향으로 복수가 배치될 수 있고, 도 15에 도시된 것처럼 복수의 제2 지지부재(200)를 연결하여 더 많은 강합성 거더(G)의 제작이 가능하도록 사용가능하다.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거푸집(300)은 제2 상부 플랜지(250)의 상측에 대응되는 바닥(300b)이 분리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제2 지지부재(200) 역시 적어도 한 쌍 이상의 보강 플레이트(260) 및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전도방지부재(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강합성 거더 제조용 지지장치는 콘크리트(C) 타설 전, 즉 거푸집(300)의 지지에도 사용이 가능하지만, 이미 합성된 강합성 거더(G)의 프리스트레싱을 가할 때도 사용이 가능하다.
즉, 강합성 거더 제조용 지지장치는 제1 지지부재(100) 및 제2 지지부재(200)를 포함하되, 제1 지지부재(100)는 강재(S)와 콘크리트(C)가 합성된 강합성 거더(G)에 프리스트레싱을 가하기 위해 강합성 거더(G)의 일단 하측에 배치되며, 강합성 거더(G)를 고정 지지하도록 강합성 거더(G)의 일단이 고정된다. 또한, 제2 지지부재(200)는 강합성 거더(G)의 타단 하측에 배치되며, 프리스트레싱(prestressing) 작업시 강합성 거더(G)의 타단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지지하게 된다. 이렇게, 강합성 거더 제조용 지지장치는 완성된 강합성 거더를 제1 지지부재(100) 및 제2 지지부재(200)에 올려 놓고 프리스트레싱만을 가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합성 거더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합성 거더 제조방법은 단계 S11 내지 단계 S18을 포함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합성 거더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여기에서는 도 3 내지 도 9에서 설명한 강합성 거더 제조용 지지장치가 사용된다.
도 3 내지 도 9, 도 16을 참조하면, 단계 S11에서는 강재(S)와 콘크리트(C)가 합성된 강합성 거더(G)를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서, 양단의 바닥(300a, 300b)이 분리 가능한 거푸집(300)을 준비한다.
단계 S12에서는 제1 지지부재(100) 및 제2 지지부재(200)를 준비한다.
제1 지지부재(100)는 제1 상부 플랜지(110)에 거푸집(30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공(110a)이 형성되며, 장공(110a)을 통하여 제1 상부 플랜지(110)와 거푸집(300)의 일단을 체결하는 체결부재(140)를 포함한다.
제2 지지부재(200)는 제2 상부 플랜지(210), 제2 하부 플랜지(220) 및 제2 웹(230)을 구비하는 I-형강의 형상으로서 거푸집(300)과 직교하도록 배치되며, 제2 상부 플랜지(220)에 거푸집(300)의 타단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이 용이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전롤러(240a)를 구비한 회전롤러부(240)를 포함한다.
단계 S13에서는 제1 지지부재(100) 및 제2 지지부재(200)에 거푸집(300)의 양단을 올려놓고, 체결부재(140)에 의해 제1 상부 플랜지(110)와 거푸집(300)의 일단을 고정한다.
단계 S14에서는 거푸집(300) 내측에 철근(B) 및 쉬스관(sheath pipe)(SP)을 배치한다.
또한, 단계 S15에서는 거푸집(300)의 내부로 콘크리트(C)를 타설하고, 콘크리트(C)를 경화시킨다. 이때 콘크리트(C)의 자중에 의한 처짐이 발생된다.
단계 S16에서는 양단의 바닥(300a, 300b)을 제외한 거푸집(300)을 제거한다.
단계 S17에서는 쉬스관(SP) 내부에 강연선(L)을 삽입하고, 긴장시켜 프리스트레싱(prestressing)을 가한다. 이때, 제1 지지부재(100)에 의해 바닥(300a)이 고정되고, 제2 지지부재의 회전롤러부(240)에 의해 바닥(300b)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므로 콘크리트에 의한 처짐이 발생할 때 또는 강연선에 의한 프리스트레싱 작업시 마찰력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단계 S18에서는 체결부재(140)를 제거하여 강합성 거더(G)를 완성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강합성 거더 제조방법은 단계 S21 내지 단계 S28을 포함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강합성 거더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여기에서는 도 10 내지 도 15에서 설명한 강합성 거더 제조용 지지장치가 사용된다.
도 10 내지 도 15, 도 17을 참조하면, 단계 S21에서는 강재(S)와 콘크리트(C)가 합성된 강합성 거더(G)를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서, 양단의 바닥(300a, 300b)이 분리 가능한 거푸집(300)을 준비한다.
단계 S22에서는 제1 지지부재(100) 및 제2 지지부재(200)를 준비한다.
제1 지지부재(100)는 제1 상부 플랜지(110), 제1 하부 플랜지(120) 및 제1 웹(130)을 구비하는 I-형강의 형상으로서 거푸집(300)과 직교하도록 배치되고, 제1 상부 플랜지(110)의 상측에 힌지(H) 결합에 의해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도록 배치되며, 거푸집(30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공(150a)이 형성되는 제1 상부 플레이트(150) 및 장공(150a)을 통하여 제1 상부 플레이트(150)와 거푸집(300)의 일단을 체결하는 체결부재(140)를 포함한다.
제2 지지부재(200)는 제2 상부 플랜지(210), 제2 하부 플랜지(220) 및 제2 웹(230)을 구비하는 I-형강의 형상으로서 거푸집(300)과 직교하도록 배치되고, 거푸집(300)의 타단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및 회전이 용이하도록, 제2 상부 플랜지(210)의 상측에 힌지(H) 결합에 의해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제2 상부 플레이트(250)를 포함한다.
단계 S23 내지 단계 S28은 앞서 설명한 단계 S13 내지 단계 S18과 유사하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에는 단계 27에서 쉬스관(SP) 내부에 강연선(L)을 삽입하고, 긴장시켜 프리스트레싱(prestressing)을 가하는 모습이 잘 나타나 있다. 여기서는 제2 지지부재(200)가 힌지(H) 결합에 의해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므로 프리스트레싱 작업시 강합성 거더(G)를 슬라이딩 뿐만 아니라 회전에 의해서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강합성 거더 제조방법은 단계 S31 내지 단계 S33을 포함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강합성 거더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여기서는 내측에 철근(B) 및 쉬스관(SP)이 배치되고 강재(S)와 콘크리트(C)가 미리 합성된 강합성 거더(G)에 프리스트레싱을 가하기 위한 것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단계 S31에서는 제1 지지부재(100) 및 제2 지지부재(200)를 준비한다.
제1 지지부재(100)는 내측에 철근(B) 및 쉬스관(SP)이 배치되고 강재(S)와 콘크리트(C)가 합성된 강합성 거더(G)에 프리스트레싱을 가하기 위해 강합성 거더(G)의 일단 하측에 배치되며, 강합성 거더(G)를 고정 지지하도록 강합성 거더(G)의 일단이 고정된다.
제2 지지부재(200)는 강합성 거더(G)의 타단 하측에 배치되며, 프리스트레싱(prestressing) 작업시 강합성 거더(G)의 타단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지지한다.
단계 S32에서는 제1 지지부재(100) 및 제2 지지부재(200)에 강합성 거더(G)의 양단을 올려놓고, 제1 지지부재(100)와 강합성 거더(G)의 일단을 고정한다.
단계 S33에서는 쉬스관(SP) 내부에 강연선(L)을 삽입하고, 긴장시켜 프리스트레싱 (prestressing)을 가한다.
이렇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지지부재(100)에 의해 거푸집(300)이 고정되고, 제2 지지부재(200)에 의해 거푸집(300)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므로 콘크리트(C)에 의한 처짐이 발생할 때 또는 강연선(L)에 의한 프리스트레싱 작업시 마찰력을 최소화할 수 있어 압축 프리스트레스에 의한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제작이 완료된 강합성 거더(G)를 별도의 적치공간으로 이동시킬 필요가 없어 협소한 제작공간에서도 제작이 가능하고, 거푸집(300)의 변형이 적기 때문에 시공성 및 경제성이 매우 좋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200...제1 지지부재, 제2 지지부재
110, 210...제1 상부 플랜지, 제2 상부 플랜지
120, 220...제1 하부 플랜지, 제2 하부 플랜지
130, 230...제1 웹, 제2 웹
140...체결부재 240...회전롤러부
150, 250...제1 상부 플레이트, 제2 상부 플레이트
160, 260...보강 플레이트
170, 270...전도방지부재
300...거푸집

Claims (15)

  1. 강재와 콘크리트가 합성된 강합성 거더를 제조하기 위한 거푸집의 일단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강합성 거더를 고정 지지하도록 상기 거푸집의 일단이 고정되는 제1 지지부재; 및
    상기 거푸집의 타단 하측에 배치되며, 프리스트레싱(prestressing) 작업시 상기 거푸집의 타단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제2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강합성 거더 제조용 지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재는,
    제1 상부 플랜지(flange), 제1 하부 플랜지 및 제1 웹(web)을 구비하는 I-형강의 형상으로서 상기 거푸집과 직교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상부 플랜지에는 상기 거푸집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공이 형성되며,
    상기 장공을 통하여 상기 제1 상부 플랜지와 상기 거푸집의 일단을 체결하는 체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합성 거더 제조용 지지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재는,
    제1 상부 플랜지, 제1 하부 플랜지 및 제1 웹을 구비하는 I-형강의 형상으로서 상기 거푸집과 직교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상부 플랜지의 상측에 힌지 결합에 의해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거푸집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공이 형성되는 제1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장공을 통하여 상기 제1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거푸집의 일단을 체결하는 체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합성 거더 제조용 지지장치.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은,
    상기 제1 상부 플랜지의 상측에 대응되는 바닥이 분리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합성 거더 제조용 지지장치.
  5.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장공은,
    복수의 강합성 거더를 동시에 제조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지지부재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합성 거더 제조용 지지장치.
  6.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재는,
    양측에 상기 제1 상부 플랜지, 상기 제1 하부 플랜지 및 상기 제1 웹에 직교하도록 배치되는 적어도 한 쌍 이상의 보강 플레이트(plate); 및
    일단이 상기 보강 플레이트에 고정되고, 타단이 지면에 고정되어 상기 제1 지지부재가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는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전도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합성 거더 제조용 지지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부재는,
    제2 상부 플랜지(flange), 제2 하부 플랜지 및 제2 웹(web)을 구비하는 I-형강의 형상으로서 상기 거푸집과 직교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2 상부 플랜지에 상기 거푸집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이 용이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전롤러를 구비한 회전롤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합성 거더 제조용 지지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회전롤러부는,
    복수의 강합성 거더를 동시에 제조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지지부재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합성 거더 제조용 지지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부재는,
    제2 상부 플랜지, 제2 하부 플랜지 및 제2 웹을 구비하는 I-형강의 형상으로서 상기 거푸집과 직교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거푸집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및 회전이 용이하도록, 상기 제2 상부 플랜지의 상측에 힌지 결합에 의해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제2 상부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합성 거더 제조용 지지장치.
  10. 청구항 7 또는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은,
    상기 제2 상부 플랜지의 상측에 대응되는 바닥이 분리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합성 거더 제조용 지지장치.
  11. 청구항 7 또는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부재는,
    양측에 상기 제2 상부 플랜지, 상기 제2 하부 플랜지 및 상기 제2 웹에 직교하도록 배치되는 적어도 한 쌍 이상의 보강 플레이트; 및
    일단이 상기 보강 플레이트에 고정되고, 타단이 지면에 고정되어 상기 제2 지지부재가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는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전도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합성 거더 제조용 지지장치.
  12. 강재와 콘크리트가 합성된 강합성 거더에 프리스트레싱을 가하기 위해 강합성 거더의 일단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강합성 거더를 고정 지지하도록 상기 강합성 거더의 일단이 고정되는 제1 지지부재; 및
    상기 강합성 거더의 타단 하측에 배치되며, 프리스트레싱(prestressing) 작업시 상기 강합성 거더의 타단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제2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강합성 거더 제조용 지지장치.
  13. 강재와 콘크리트가 합성된 강합성 거더를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서, 양단의 바닥이 분리 가능한 거푸집을 준비하는 단계;
    제1 상부 플랜지, 제1 하부 플랜지 및 제1 웹을 구비하는 I-형강의 형상으로서 상기 거푸집과 직교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상부 플랜지에는 상기 거푸집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공이 형성되며, 상기 장공을 통하여 상기 제1 상부 플랜지와 상기 거푸집의 일단을 체결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제1 지지부재; 및 제2 상부 플랜지, 제2 하부 플랜지 및 제2 웹을 구비하는 I-형강의 형상으로서 상기 거푸집과 직교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2 상부 플랜지에 상기 거푸집의 타단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이 용이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전롤러를 구비한 회전롤러부를 포함하는 제2 지지부재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1 지지부재 및 상기 제2 지지부재에 상기 거푸집의 양단을 올려놓고, 상기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제1 상부 플랜지와 상기 거푸집의 일단을 고정하는 단계;
    상기 거푸집 내측에 철근 및 쉬스관(sheath pipe)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거푸집의 내부로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상기 콘크리트를 경화시키는 단계;
    상기 양단의 바닥을 제외한 거푸집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쉬스관 내부에 강연선을 삽입하고, 긴장시켜 프리스트레싱 (prestressing)을 가하는 단계; 및
    상기 체결부재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강합성 거더 제조방법.
  14. 강재와 콘크리트가 합성된 강합성 거더를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서, 양단의 바닥이 분리 가능한 거푸집을 준비하는 단계;
    제1 상부 플랜지, 제1 하부 플랜지 및 제1 웹을 구비하는 I-형강의 형상으로서 상기 거푸집과 직교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상부 플랜지의 상측에 힌지 결합에 의해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거푸집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공이 형성되는 제1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장공을 통하여 상기 제1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거푸집의 일단을 체결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제1 지지부재; 및 제2 상부 플랜지, 제2 하부 플랜지 및 제2 웹을 구비하는 I-형강의 형상으로서 상기 거푸집과 직교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거푸집의 타단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및 회전이 용이하도록, 상기 제2 상부 플랜지의 상측에 힌지 결합에 의해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제2 상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제2 지지부재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1 지지부재 및 상기 제2 지지부재에 상기 거푸집의 양단을 올려놓고, 상기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제1 상부 플랜지와 상기 거푸집의 일단을 고정하는 단계;
    상기 거푸집 내측에 철근 및 쉬스관(sheath pipe)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거푸집의 내부로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상기 콘크리트를 경화시키는 단계;
    상기 양단의 바닥을 제외한 거푸집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쉬스관 내부에 강연선을 삽입하고, 긴장시켜 프리스트레싱 (prestressing)을 가하는 단계; 및
    상기 체결부재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강합성 거더 제조방법.
  15. 내측에 철근 및 쉬스관이 배치되고 강재와 콘크리트가 합성된 강합성 거더에 프리스트레싱을 가하기 위해 강합성 거더의 일단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강합성 거더를 고정 지지하도록 상기 강합성 거더의 일단이 고정되는 제1 지지부재; 및 상기 강합성 거더의 타단 하측에 배치되며, 프리스트레싱(prestressing) 작업시 상기 강합성 거더의 타단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제2 지지부재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1 지지부재 및 상기 제2 지지부재에 상기 강합성 거더의 양단을 올려놓고,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상기 강합성 거더의 일단을 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쉬스관 내부에 강연선을 삽입하고, 긴장시켜 프리스트레싱 (prestressing)을 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강합성 거더 제조방법.
KR1020100018329A 2010-03-02 2010-03-02 강합성 거더 제조용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강합성 거더 제조방법 KR1009605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8329A KR100960508B1 (ko) 2010-03-02 2010-03-02 강합성 거더 제조용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강합성 거더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8329A KR100960508B1 (ko) 2010-03-02 2010-03-02 강합성 거더 제조용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강합성 거더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0508B1 true KR100960508B1 (ko) 2010-06-01

Family

ID=42369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8329A KR100960508B1 (ko) 2010-03-02 2010-03-02 강합성 거더 제조용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강합성 거더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0508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2084B1 (ko) 2012-03-30 2012-09-11 박숭호 가받침에 의해 도입된 압축응력 증대 구조계를 갖는 라멘구조의 프리스트레스트 프리캐스트 거더의 제작방법과 압축응력 증대 구조계의 가받침이 우각부의 힌지구조 및 강결구조가 되게 시공하는 라멘교 시공방법
KR101325230B1 (ko) 2011-08-19 2013-11-04 삼표건설 주식회사 턴오버 합성거더의 제조방법
KR101381974B1 (ko) * 2012-03-12 2014-04-07 주식회사 에스코 이엠씨 콘크리트 복공 슬래브 어셈블리와 제조방법 및 이를 적용한 가설교량
KR20160020087A (ko) 2014-08-13 2016-02-23 박수우 제작 및 이동이 용이한 합성거더의 제작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합성거더의 제작방법
KR102156661B1 (ko) * 2020-05-12 2020-09-16 이호찬 단부균열이 제어된 강합성보 및 그 시공방법
KR102224199B1 (ko) * 2020-06-24 2021-03-09 (주)아이오컨스텍 강합성거더 제작용 균형받침틀 및 이를 이용한 강합성거더의 제작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5230B1 (ko) 2011-08-19 2013-11-04 삼표건설 주식회사 턴오버 합성거더의 제조방법
KR101381974B1 (ko) * 2012-03-12 2014-04-07 주식회사 에스코 이엠씨 콘크리트 복공 슬래브 어셈블리와 제조방법 및 이를 적용한 가설교량
KR101182084B1 (ko) 2012-03-30 2012-09-11 박숭호 가받침에 의해 도입된 압축응력 증대 구조계를 갖는 라멘구조의 프리스트레스트 프리캐스트 거더의 제작방법과 압축응력 증대 구조계의 가받침이 우각부의 힌지구조 및 강결구조가 되게 시공하는 라멘교 시공방법
KR20160020087A (ko) 2014-08-13 2016-02-23 박수우 제작 및 이동이 용이한 합성거더의 제작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합성거더의 제작방법
KR102156661B1 (ko) * 2020-05-12 2020-09-16 이호찬 단부균열이 제어된 강합성보 및 그 시공방법
KR102224199B1 (ko) * 2020-06-24 2021-03-09 (주)아이오컨스텍 강합성거더 제작용 균형받침틀 및 이를 이용한 강합성거더의 제작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0508B1 (ko) 강합성 거더 제조용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강합성 거더 제조방법
KR100541965B1 (ko) 강재가 콘크리트의 자중을 부담하는 강합성 거더의 제작장치 및 그 제작 방법
KR101184773B1 (ko) 세그먼트의 임시 연결에 의한 지지케이블 설치순서의 변경을 통하여 공기를 단축시키는 사장교 시공방법
KR20090126957A (ko) 교량 상부 구조물 유닛의 프리 로딩 장치 및 이를 이용한상부 구조물 유닛의 휨 변형 부가 방법
KR101388135B1 (ko) 교량의 pc 피어캡 구조 및 프리텐션 pc 피어캡의 생산방법
KR100682794B1 (ko) 프리스트레스트 강합성보의 제작 방법
KR101222620B1 (ko) 프리텐셔닝 강판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와 이의 제작 및 교량 시공방법
KR101585594B1 (ko) 듀얼-프리스트레싱 강합성빔 및 그 시공방법
KR101163744B1 (ko) 균일한 프리플렉션 도입이 가능한 분절형 프리플렉스 거더 제작방법
KR101203815B1 (ko) 프리스트레싱 강판을 이용한 거더 보강방법
KR20150144384A (ko) 폼 트레블러 및 이를 이용한 다단 긴장 방식으로 fcm 교량을 시공하는 방법
KR101674471B1 (ko) 긴장재 중심축조정용 정착장치를 이용한 거더교 시공방법
KR101084700B1 (ko) 강연선 커플러와 커플러포켓을 이용한 프리텐션 거더 및 그의 제작공법
CN208899861U (zh) 一种模板结构及用于弧形柱模紧固的环形紧固装置
KR20100025160A (ko) 정착판 연결장치와 이를 이용한 피에스씨 거더교의 연속화 시공방법
JP3709161B2 (ja) コンクリート製捨て型枠を用いるコンクリート製構造体の製造方法
KR101664165B1 (ko) 임시보강강판에 의해 추가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프리스트레스트 강합성 거더교의 시공방법
KR100816003B1 (ko) 강합성 거더의 연속화 방법
KR101538757B1 (ko) Psc 빔을 이용한 라멘교 시공방법
KR101807234B1 (ko) 교량의 상부슬래브 압축력 도입장치 및 그것이 구비된 교량 시공방법
KR20170043687A (ko) 교량의 상부슬래브 압축력 도입장치 및 그것이 구비된 교량 시공방법
KR101471648B1 (ko) 하이브리드 텐던 구조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체 및 이의 제작 방법
KR100761732B1 (ko) 강합성 거더의 연속화 방법
KR20040102391A (ko) 하부플랜지 매립 구조를 가지는 콘크리트 일체 타설방식의 콘크리트 패널 합성빔 및 그 시공방법
KR102004316B1 (ko) 슬래브 보강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