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7464B1 - 조립형 보 거푸집 - Google Patents

조립형 보 거푸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7464B1
KR102007464B1 KR1020180150344A KR20180150344A KR102007464B1 KR 102007464 B1 KR102007464 B1 KR 102007464B1 KR 1020180150344 A KR1020180150344 A KR 1020180150344A KR 20180150344 A KR20180150344 A KR 20180150344A KR 102007464 B1 KR102007464 B1 KR 1020074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ide plate
bent
lower plat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0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정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정인에스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정인에스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정인에스앤씨
Priority to KR10201801503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74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7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7464B1/ko
Priority to JP2019214615A priority patent/JP2020084759A/ja
Priority to CN201911192636.XA priority patent/CN111236638B/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3/00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 E04G13/04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lintels, beams, or transoms to be encased separately; Special tying or clamp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9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 E04C3/29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the materials being steel and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형 보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제1판재, 상기 제1판재의 양 측단에서 상부 방향으로 굴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제1하부판굴곡부와 제2하부판굴곡부 및 상기 제1하부판굴곡부와 제2하부판굴곡부의 상단에서 내측 방향으로 굴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제1하부판결합부와 제2하부판결합부를 포함하는 하부판; 상기 제1하부판굴곡부의 상단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는 제2판재, 상기 제2판재의 상단에서 상기 제1판재의 내측 방향으로 굴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제1측판연장부 및 상기 제2판재의 하단에서 상기 제1판재의 내측 방향으로 굴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제1측판결합부를 포함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제1측판부; 및 상기 제2하부판굴곡부의 상단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는 제3판재, 상기 제3판재의 상단에서 상기 제1판재의 내측 방향으로 굴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제2측판연장부 및 상기 제3판재의 하단에서 상기 제1판재의 내측 방향으로 굴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제2측판결합부를 포함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제2측판부가 포함되며, 상기 제1측판부 및 제2측판부는, 상기 제1측판결합부 및 제2측판결합부가 각각 상기 제1하부판결합부 및 제2하부판결합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하부판굴곡부 및 제2하부판굴곡부의 상부에 세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립형 보 거푸집{PREFABRICATED BEAM MOLD DEVICE}
본 발명은 조립형 보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하부판의 제1하부판결합부 및 제2하부판결합부와 제1측판부의 제1측판결합부 및 제2측판의 제2측판결합부를 결합하는 것만으로 서로 간편하게 조립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현장에서의 시공성이 향상되는 조립형 보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거푸집은 콘크리트가 어느 정도 양생될 때까지 짧은 기간 동안 유동성을 가진 콘크리트를 소정의 형태 및 치수로 만들기 위하여 일시적으로 설치하는 구조물로서, 이러한 거푸집은 콘크리트의 양생이 진행된 이후에는 제거해 버리는 것이 일반적이다.
종래 거푸집은 콘크리트에 접하는 막음널과 이를 지지하는 버팀보, 띠장, 긴결재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자재가 과다하게 소요될 뿐만 아니라, 거푸집의 조립 및 해체에 상당한 시간을 할애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거푸집은 자중이 상당하기 때문에 재료를 조립하고 해체하는 작업에 위험성이 수반되며, 철제 거푸집의 경우에는 자중으로 인하여 크레인 등의 이동 장비로 조립 및 해체를 해야 할 뿐만 아니라, 초기 투자비가 비싸다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이 거푸집 시공에 소요되는 자재 및 시공량의 증가는 공사비 및 공사 기간 증가의 주원인으로 작용하며, 거푸집의 설치 작업과 해체 작업은 전체 콘크리트 공사의 공사비와 공사 기간의 큰 부분을 차지하는 번거로운 공정이다.
아울러 거푸집은 일시에 부어넣는 콘크리트의 양이 많기 때문에 거푸집에 매우 큰 압력이 작용한다. 따라서 콘크리트 측압으로 인한 거푸집의 변형 또는 붕괴로 인한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는 영구 거푸집에 대한 요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이와 관련된 기술 중 하나로, 등록특허 제 10-0954447 호에는 보 구조용 거푸집이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보 구조용 거푸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보 구조용 거푸집을 설명하자면, 하부판에 결합되는 제1, 2측판들이 각각 완제품으로 구성되어 시공성이 향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종래의 보 구조용 거푸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시공되는 보 구조물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진 장방형의 형상으로, 제1비드(131)가 형성된 하부판(130); 상기 하부판(130)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고 있으며, 하단부가 상기 하부판(130)의 양측단부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하부판(130)의 양측에 각각 세워지고, 폭방향을 따라 굴곡지게 형성된 제1,2측판들(110, 120); 상기 하부판(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평하게 서로 이격되어 배열되며, 양단부가 상기 제1,2측판들(110, 120)의 내측면에 각각 고정되는 복수 개의 수평 보강 플레이트들(150); 상기 제1측판(110)으로부터 내부 방향으로 인접된 위치에 상기 하부판(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세워지고, 일 단부가 상기 하부판(130)에 고정되고 타 단부는 상기 제1측판(110)의 상단보다 상부로 노출되도록 연장되는 복수 개의 제1지지부재(141); 및 상기 제2측판(120)으로부터 내부 방향으로 인접된 위치에 상기 하부판(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세워지고, 일 단부가 상기 하부판(130)에 고정되고 타 단부는 상기 제2측판(120)의 상단보다 상부로 노출되도록 연장되는 복수 개의 제2지지부재(142)를 포함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공장에서 제1, 2측판들(110, 120)이 완제품으로 제작되어 현장으로 배송되기 때문에 이동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각각의 현장들에 따라 제1, 2측판들(110, 120)의 크기를 새로 설정하여 제작해야하기 때문에 초기 공사 투입까지의 시간이 다소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은, 공장에서 1, 2측판들(110, 120)이 완제품으로 제작되어 현장으로 배송되는 공정이기 때문에 현장에서의 시공 문제에 즉각 대응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 10-0954447 호(2010.04.15.) 등록특허공보 제 10-1228634 호(2013.01.25.) 등록특허공보 제 10-1384609 호(2014.04.07.)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하부판의 제1하부판결합부 및 제2하부판결합부와 제1측판부의 제1측판결합부 및 제2측판의 제2측판결합부를 결합하는 것만으로 서로 간편하게 조립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현장에서의 시공성이 향상되는 조립형 보 거푸집을 제공하는 데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립형 보 거푸집은, 제1판재, 상기 제1판재의 양 측단에서 상부 방향으로 굴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제1하부판굴곡부와 제2하부판굴곡부 및 상기 제1하부판굴곡부와 제2하부판굴곡부의 상단에서 내측 방향으로 굴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제1하부판결합부와 제2하부판결합부를 포함하는 하부판; 상기 제1하부판굴곡부의 상단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는 제2판재, 상기 제2판재의 상단에서 상기 제1판재의 내측 방향으로 굴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제1측판연장부 및 상기 제2판재의 하단에서 상기 제1판재의 내측 방향으로 굴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제1측판결합부를 포함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제1측판부; 및 상기 제2하부판굴곡부의 상단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는 제3판재, 상기 제3판재의 상단에서 상기 제1판재의 내측 방향으로 굴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제2측판연장부 및 상기 제3판재의 하단에서 상기 제1판재의 내측 방향으로 굴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제2측판결합부를 포함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제2측판부가 포함되며, 상기 제1측판부 및 제2측판부는, 상기 제1측판결합부 및 제2측판결합부가 각각 상기 제1하부판결합부 및 제2하부판결합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하부판굴곡부 및 제2하부판굴곡부의 상부에 세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판에는 상기 제1하부판굴곡부와 제2하부판굴곡부의 사이에서 상부 방향으로 굴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제3하부판굴곡부가 포함되며, 상기 제1측판부에는 상기 제1측판연장부 및 제1측판결합부의 사이에서 상기 제1판재의 내측 방향으로 굴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제1측판굴곡부가 포함되고, 상기 제2측판부에는 상기 제2측판연장부 및 제2측판결합부의 사이에서 상기 제1판재의 내측 방향으로 굴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제2측판굴곡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3하부판굴곡부, 제1측판굴곡부 및 제2측판굴곡부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는, 상기 제3하부판굴곡부, 제1측판굴곡부 및 제2측판굴곡부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의 길이를 초과하는 길이로 형성되는 제1롤러가 일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3하부판굴곡부, 제1측판굴곡부 및 제2측판굴곡부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의 길이에 미달되도록 형성되는 제2롤러가 타면에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제1롤러 및 제2롤러에 의해 압착되어 상기 제3하부판굴곡부, 제1측판굴곡부 및 제2측판굴곡부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말단이 상기 제3하부판굴곡부, 제1측판굴곡부 및 제2측판굴곡부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말단을 제외한 부분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판재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되 상기 제1판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복수의 제1지지부재; 및 각각 상기 제2판재 및 제3판재로부터 상기 제1판재의 내측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되 상기 제1판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복수의 제2지지부재와 제3지지부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중심을 기준으로 일 측에는 상기 제3하부판굴곡부, 제1측판굴곡부 및 제2측판굴곡부 중 어느 하나에 접하는 나사홈이 형성되고, 중심을 기준으로 타 측에는 상기 제1지지부재, 제2지지부재 및 제3지지부재 중 어느 하나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복수의 체결판; 및 상기 나사홈을 통해 상기 제3하부판굴곡부, 제1측판굴곡부 및 제2측판굴곡부 중 어느 하나를 관통하도록 나사 결합되어 상기 체결판과 상기 제3하부판굴곡부, 제1측판굴곡부 및 제2측판굴곡부 중 어느 하나를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나사홈은 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결합홈 및 제2결합홈이 상기 체결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란히 형성되되 상기 제1결합홈의 지름은 적어도 상기 제2결합홈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홈 및 제2결합홈의 사이는 상기 제1결합홈과 제2결합홈이 서로 외접하도록 개구되고, 상기 연결나사는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커지는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체결판은 상기 연결나사가 상기 나사홈에 점차 체결됨에 따라 상기 제1결합홈에서 제2결합홈 방향으로 점차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판에는 상기 삽입홈에서 상기 체결판의 일 측 방향으로 개구되는 개구부가 형성되되 상기 개구부는 상기 나사홈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하부판굴곡부의 상단과 제1하부판결합부의 사이, 상기 제2하부판굴곡부의 상단과 제2하부판결합부의 사이, 상기 제2판재의 상단과 제1측판연장부의 사이 및 제3판재의 상단과 제2측판연장부의 사이에는 상부 방향 및 하부 방향 중 어느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위치설정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판재의 하단과 제1측판결합부의 사이 및 제3판재의 하단과 제2측판결합부의 사이에는 상부 방향 및 하부 방향 중 어느 방향으로 상기 제1위치설정부에 대응되도록 돌출되는 제2위치설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립형 보 거푸집에 의하면, 하부판의 제1하부판결합부 및 제2하부판결합부와 제1측판부의 제1측판결합부 및 제2측판의 제2측판결합부를 결합하는 것만으로 서로 간편하게 조립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현장에서의 시공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보 구조용 거푸집을 나타내는 도면.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보 거푸집을 나타내는 도면.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보 거푸집의 실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b는 도 3a의 A를 나타내는 확대도.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보 거푸집의 실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보 거푸집의 제3하부판굴곡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보 거푸집의 제1측판굴곡부 및 제2측판굴곡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5e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보 거푸집의 제1측판굴곡부 및 제2측판굴곡부가 제1롤러 및 제2롤러에 의해 압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보 거푸집의 제1지지부재, 제2지지부재 및 제3지지부재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보 거푸집의 에어홀을 나타내는 도면.
도 8a 내지 도 8e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보 거푸집의 체결판 및 연결나사를 나타내는 도면.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보 거푸집의 제1위치설정부 및 제2위치설정부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은 하부판의 제1하부판결합부 및 제2하부판결합부와 제1측판부의 제1측판결합부 및 제2측판의 제2측판결합부를 결합하는 것만으로 서로 간편하게 조립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현장에서의 시공성이 향상되는 조립형 보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보 거푸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보 거푸집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보 거푸집의 실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b는 도 3a의 A를 나타내는 확대도이고,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보 거푸집의 실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보 거푸집의 제3하부판굴곡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보 거푸집의 제1측판굴곡부 및 제2측판굴곡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e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보 거푸집의 제1측판굴곡부 및 제2측판굴곡부가 제1롤러 및 제2롤러에 의해 압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보 거푸집의 제1지지부재, 제2지지부재 및 제3지지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보 거푸집의 에어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2a 내지 도 7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립형 보 거푸집은, 제1판재(11), 상기 제1판재(11)의 양 측단에서 상부 방향으로 굴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제1하부판굴곡부(12)와 제2하부판굴곡부(13) 및 상기 제1하부판굴곡부(12)와 제2하부판굴곡부(13)의 상단에서 내측 방향으로 굴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제1하부판결합부(12a)와 제2하부판결합부(13a)를 포함하는 하부판(10), 상기 제1하부판굴곡부(12)의 상단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는 제2판재(21), 상기 제2판재(21)의 상단에서 상기 제1판재(11)의 내측 방향으로 굴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제1측판연장부(22) 및 상기 제2판재(21)의 하단에서 상기 제1판재(11)의 내측 방향으로 굴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제1측판결합부(23)를 포함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제1측판부(20) 및 상기 제2하부판굴곡부(13)의 상단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는 제3판재(31), 상기 제3판재(31)의 상단에서 상기 제1판재(11)의 내측 방향으로 굴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제2측판연장부(32) 및 상기 제3판재(31)의 하단에서 상기 제1판재(11)의 내측 방향으로 굴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제2측판결합부(33)를 포함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제2측판부(30)가 포함된다.
이때, 상기 제1측판부(20) 및 제2측판부(30)는 상기 제1측판결합부(23) 및 제2측판결합부(33)가 각각 상기 제1하부판결합부(12a) 및 제2하부판결합부(13a)에 결합되어 상기 제1하부판굴곡부(12) 및 제2하부판굴곡부(13)의 상부에 세워질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조립형 보 거푸집은, 상기 하부판(10)의 제1하부판결합부(12a) 및 제2하부판결합부(13a)에 상기 제1측판부(20)의 제1측판결합부(23) 및 제2측판부(30)의 제2측판결합부(33)가 결합되어 보 거푸집 형상을 이루게 되고, 상기 보 거푸집 형상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일정 기간 동안 형상을 유지시킴으로써 보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하부판(10)은 시공되는 보 구조물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진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하부판(10)은 본 발명의 조립형 보 거푸집의 기초가 되는 구성으로서, 구조물의 강도 유지를 위해 폴리에스테르, 합판 및 강재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판(10)에는 상기 제1하부판굴곡부(12)와 제2하부판굴곡부(13)의 사이에서 상부 방향으로 굴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제3하부판굴곡부(14)가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제1측판부(20)에는 상기 제1측판연장부(22) 및 제1측판결합부(23)의 사이에서 상기 제1판재(11)의 내측 방향으로 굴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제1측판굴곡부(24)가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측판부(30)에는 상기 제2측판연장부(32) 및 제2측판결합부(33)의 사이에서 상기 제1판재(11)의 내측 방향으로 굴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제2측판굴곡부(34)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3하부판굴곡부(14)는 상기 하부판(10)의 강도를 보강하면서 후술되는 제1지지부재(71)와 긴밀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제1측판굴곡부(24)는 상기 제1측판부(20)의 강도를 보강하면서 후술되는 제2지지부재(73)와 긴밀히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며, 상기 제2측판굴곡부(34)는 상기 제2측판부(30)의 강도를 보강하면서 후술되는 제3지지부재(75)와 긴밀히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제3하부판굴곡부(14), 제1측판굴곡부(24) 및 제2측판굴곡부(34)는 별도의 보강부재를 용접이나 볼트 체결 방식으로 연결하는 등 시공 환경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3하부굴곡부(14)의 형상이 상기 제1판재(11)를 상부 방향으로 굴곡되어 상기 제3하부판굴곡부(14)의 일면(14a)을 형성하고, 다시 상기 제1판재(11)를 하부 방향으로 굴곡되어 상기 제3하부판굴곡부(14)의 타면(14b)을 형성함으로써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러한 상기 제3하부굴곡부(14)의 형상은 상기 제1지지부재(71)와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제1판재(11)의 강성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측판굴곡부(24) 및 제2측판굴곡부(34)는 상기 제3하부굴곡부(14)와 마찬가지로 각각 상기 제2판재(21) 및 제3판재(31)가 굴곡되어 상기 제1측판굴곡부(24) 및 제2측판굴곡부(34)의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기 제1측판굴곡부(24) 및 제2측판굴곡부(34)의 형상은 각각 상기 제2지지부재(73) 및 제3지지부재(75)와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제1측판부(20) 및 제2층판부(30)의 강성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3하부판굴곡부(14), 제1측판굴곡부(24) 및 제2측판굴곡부(34)는 각각 상기 제1판재(11), 제2판재(21) 및 제3판재(31)와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시공 환경이나 상기 제1판재(11), 제2판재(21) 및 제3판재(31)의 강성 확보를 위해 중력이 발생하는 하부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3하부판굴곡부(14)의 일면(14a)과 상기 제3하부판굴곡부(14)의 타면(14b)은 서로 평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제3하부판굴곡부(14), 제1측판굴곡부(24) 및 제2측판굴곡부(34)는 좌우 대칭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하부판굴곡부(14), 제1측판굴곡부(24) 및 제2측판굴곡부(34)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는, 상기 제3하부판굴곡부(14), 제1측판굴곡부(24) 및 제2측판굴곡부(34)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의 길이를 초과하는 길이로 형성되는 제1롤러(91)가 일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3하부판굴곡부(14), 제1측판굴곡부(24) 및 제2측판굴곡부(34)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의 길이에 미달되도록 형성되는 제2롤러(93)가 타면에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제1롤러(91) 및 제2롤러(93)에 의해 압착되어 상기 제3하부판굴곡부(14), 제1측판굴곡부(24) 및 제2측판굴곡부(34)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말단이 상기 제3하부판굴곡부(14), 제1측판굴곡부(24) 및 제2측판굴곡부(34)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말단을 제외한 부분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3하부판굴곡부(14), 제1측판굴곡부(24) 및 제2측판굴곡부(34)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타단에 구비되어 상기 제3하부판굴곡부(14), 제1측판굴곡부(24) 및 제2측판굴곡부(34)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압착시키는 상기 제2롤러(93)가 상기 제3하부판굴곡부(14), 제1측판굴곡부(24) 및 제2측판굴곡부(34)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의 길이에 미달되는 길이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롤러(91)와 중첩되는 부분은 완전 압착이 이루어지고, 상기 제3하부판굴곡부(14), 제1측판굴곡부(24) 및 제2측판굴곡부(34)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길이에 미달되는 제2롤러(93)를 초과하는 부분은 상기 제2롤러(93)가 구비된 타면 방향으로 치우쳐지면서 제1롤러(91)에 의해서만 압착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롤러(91) 및 제2롤러(93)가 상기 제1판재(11)의 양 측단에 세워지는 제1측판부(20)의 제1측판굴곡부(24) 및 제2측판부(30)의 제2측판굴곡부(34)를 압착할 시에는, 상기 제1롤러(91)가 상기 제1측판굴곡부(24) 및 제2측판굴곡부(34)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2롤러(93)가 상기 제1측판굴곡부(24) 및 제2측판굴곡부(34)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측판굴곡부(24) 및 제2측판굴곡부(34)의 말단이 상기 제2롤러(93)가 구비된 하부 방향으로 치우쳐지면서 압착되어 중력에 의해 콘크리트와 더욱 견고히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3하부판굴곡부(14), 제1측판굴곡부(24) 및 제2측판굴곡부(34)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형상은 상기 제3하부판굴곡부(14), 제1측판굴곡부(24) 및 제2측판굴곡부(34)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굴곡 부분 강도 즉 말단 강도를 향상시키면서 누수가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측판부(20) 및 제2측판부(30)는 각각 복수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제2판재(21)의 상단에 형성되는 제1측판연장부(22)에 다른 제2판재(21a)의 하단에 형성되는 제1측판결합부(23a)가 삽입되고, 상기 제3판재(31)의 상단에 형성되는 제2측판연장부(32)에 다른 제3판재(31a)의 하단에 형성되는 제2측판결합부(33a)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1측판부(20)와 다른 제1측판부(20a) 및 상기 제2측판부(30)와 다른 제2측판부(30a)가 긴밀하게 결속될 수 있다.
이때, 현장에서 상기 제1측판부(20) 및 제2측판부(30)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됨에 따라, 시공 환경에 따라 본 발명의 조립형 보 거푸집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립형 보 거푸집에는, 상기 제1판재(11)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되 상기 제1판재(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복수의 제1지지부재(71) 및 각각 상기 제2판재(21) 및 제3판재(31)로부터 상기 제1판재(11)의 내측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되 상기 제1판재(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복수의 제2지지부재(73)와 제3지지부재(75)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1지지부재(71), 제2지지부재(73) 및 제3지지부재(75)는 다웰바(Dowel-Bar)로 이루어질 수 있고, 각각 상기 제1판재(11), 제2판재(21) 및 제3판재(31)로부터 이격되지만 비교적 인접한 위치에 구비되어 본 발명의 조립형 보 거푸집과 콘크리트가 서로 잘 결속되도록 하면서 본 발명의 조립형 보 거푸집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지지부재(73) 및 제3지지부재(75)는 시공 환경에 따라 각각 상기 제2판재(21) 및 제3판재(31)보다 길게 형성되어 본 발명의 조립형 보 거푸집 상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지지부재(71), 제2지지부재(73) 및 제3지지부재(75)는 본 발명에서는 각각의 구성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시공 환경에 따라 하나의 구성이 "U" 형상으로 제작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1지지부재(71), 제2지지부재(73) 및 제3지지부재(75)가 결합되어 시공되는 경우 상기 제1지지부재(71), 제2지지부재(73) 및 제3지지부재(75)와 상기 제1판재(11), 제2판재(21) 및 제3판재(31)를 연결하는 별도의 체결판(40)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체결판(40)이 구비되는 경우 상기 하부판(10)의 제1하부판결합부(12a) 및 제2하부판결합부(13a)와 상기 제1측판부(20)의 제1측판연장부(22) 및 제1측판결합부(23)와 상기 제2측판부(30)의 제2측판연장부(32) 및 제2측판결합부(33)의 형태가 하부로 굴곡되는 형태만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하부판결합부(12a), 제2하부판결합부(13a), 제1측판연장부(22) 및 제2측판연장부(32)는 서로 동일한 크기의 홈 또는 돌기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측판결합부(23) 및 제2측판결합부(33)는 서로 동일한 크기의 홈 또는 돌기 중 상기 제1하부판결합부(12a), 제2하부판결합부(13a), 제1측판연장부(22) 및 제2측판연장부(32)에 대응되는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상기 제1하부판결합부(12a), 제2하부판결합부(13a), 제1측판연장부(22) 및 제2측판연장부(32)가 홈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1측판결합부(23) 및 제2측판결합부(33)는 상기 홈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하부판결합부(12a), 제2하부판결합부(13a), 제1측판연장부(22) 및 제2측판연장부(32)에 삽입 가능한 돌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하부판결합부(12a), 제2하부판결합부(13a), 제1측판연장부(22) 및 제2측판연장부(32)가 돌기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1측판결합부(23) 및 제2측판결합부(33)는 상기 돌기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하부판결합부(12a), 제2하부판결합부(13a), 제1측판연장부(22) 및 제2측판연장부(32)가 삽입 가능한 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1하부판결합부(12a), 제2하부판결합부(13a), 제1측판연장부(22) 및 제2측판연장부(32)와 상기 제1측판결합부(23) 및 제2측판결합부(33)의 결합구조는 시공 환경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조립형 보 거푸집에는 상기 제1하부판결합부(12a), 제2하부판결합부(13a), 제1측판연장부(22) 및 제2측판연장부(32)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와 상기 제1측판결합부(23) 및 제2측판결합부(33)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가 결합되는 경우, 이들을 서로 체결하는 체결나사(61)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체결나사(61)는 예를 들어 상기 제1하부판결합부(12a) 및 제2하부판결합부(13a)에 상기 제1측판결합부(23) 및 제2측판결합부(33)가 각각 결합되는 경우, 한 쌍의 체결나사(61)가 구비되어 각각 상기 제1하부판결합부(12a)와 제1측판결합부(23)를 결합시키고 상기 제2하부판결합부(13a)와 제2측판결합부(33)를 결합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체결나사(61)는, 상기 제1지지부재(71), 제2지지부재(73) 및 제3지지부재(75)와 같이 복수의 구성되어 상기 제1하부판결합부(12a), 제2하부판결합부(13a), 제1측판연장부(22) 및 제2측판연장부(32)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와 상기 제1측판결합부(23) 및 제2측판결합부(33)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결합 부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체결될 수 있다.
상기 하부판(10)에는 상기 제1판재(11)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되어 콘크리트의 타설 시에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에어홀(1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홀(15)은 복수로 구성되어 상기 하부판(10)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양한 크기로 형성됨으로써, 공기구멍(Air Vent) 역할을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에어홀(15)은 상기 제1판재(11)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을 따라 1.5m ~ 2.5m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7Ø ~ 9Ø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립형 보 거푸집에는 일단은 상기 제2판재(21)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3판재(31)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콘크리트 타설 시 상기 제2판재(21)와 제3판재(31)의 폭을 고정시켜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제2판재(21)와 제3판재(31)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제4지지부재(77)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4지지부재(77)는, 상기 제2판재(21) 및 제3판재(31)의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1판재(11)의 길이를 따라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지지부재(77)는 플렛 바(Flat Bar)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대략 90mm ~ 110mm의 폭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조립형 보 거푸집에는 상기 제2판재(21) 및 제3판재(31)를 연결하는 복수의 제4지지부재(77) 중 가장 상부에 위치되는 복수의 제4지지부재(77) 끼리 연결하는 보강부재(79)가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보강부재(79)는 상기 복수의 제4지지부재(77)간의 강성을 보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e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보 거푸집의 체결판 및 연결나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8a 내지 도 8e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립형 보 거푸집에는, 중심을 기준으로 일 측에는 상기 제3하부판굴곡부(14), 제1측판굴곡부(24) 및 제2측판굴곡부(34) 중 어느 하나에 접하는 나사홈(41)이 형성되고, 중심을 기준으로 타 측에는 상기 제1지지부재(71), 제2지지부재(73) 및 제3지지부재(75) 중 어느 하나가 삽입되는 삽입홈(42)이 형성되는 복수의 체결판(40) 및 상기 나사홈(41)을 통해 상기 제3하부판굴곡부(14), 제1측판굴곡부(24) 및 제2측판굴곡부(34) 중 어느 하나를 관통하도록 나사 결합되어 상기 체결판(40)과 상기 제3하부판굴곡부(14), 제1측판굴곡부(24) 및 제2측판굴곡부(34) 중 어느 하나를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나사(60)가 포함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복수의 체결판(40) 및 복수의 연결나사(60)는 각각 상기 제1지지부재(71)와 제3하부판굴곡부(14)를 체결하고, 상기 제2지지부재(73)와 제1측판굴곡부(24)를 체결하며, 상기 제3지지부재(75)와 제2측판굴곡부(34)를 체결하며, 상기 복수의 체결판(40) 및 복수의 연결나사(60)는 상기 하부판(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상기 제1지지부재(71), 제2지지부재(73) 및 제3지지부재(75)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의 체결판(40) 및 복수의 연결나사(60)는, 각각 상기 하부판(10)의 제1판재(11)에서 연장되는 제3하부판굴곡부(14)와 제1지지부재(71)을 연결하고, 상기 제1측판부(20)의 제2판재(21)에서 연장되는 제1측판굴곡부(24)와 제2지지부재(73)을 연결하며, 상기 제2측판부(30)의 제3판재(31)에서 연장되는 제2측판굴곡부(34)와 제3지지부재(75)를 연결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본 발명의 조립형 보 거푸집의 강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상기 나사홈(41)은 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결합홈(41a) 및 제2결합홈(41b)이 상기 체결판(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란히 형성되되 상기 제1결합홈(41a)의 지름은 적어도 상기 제2결합홈(41b)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홈(41a) 및 제2결합홈(41b)의 사이는 상기 제1결합홈(41a)과 제2결합홈(41b)이 서로 외접하도록 개구될 수 있고, 상기 연결나사(60)는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커지는 원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나사(60)는 최초 상기 나사홈(41)의 제2결합홈(41b)에 위치될 수 있고 완전히 결합되는 경우 상기 나사홈(41)의 제1결합홈(41a)에 위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상기 연결나사(60)가 상기 나사홈(41)에 삽입되어 점차 체결됨에 따라, 상기 연결나사(60)의 지름이 커지게 되어 상기 체결판(40)이 상기 제1결합홈(41a)에서 제2결합홈(41b)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연결나사(60)의 최상부 지름은 상기 체결판(40)의 제1결합홈(41a)의 지름과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판(40)에는 상기 삽입홈(42)에서 상기 체결판(40)의 일 측 방향으로 개구되는 개구부(42a)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개구부(42a)는 상기 나사홈(41)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삽입홈(42)에 삽입된 상기 제1지지부재(71), 제2지지부재(73) 및 제3지지부재(75) 중 어느 하나는 밀접한 위치에 구비되는 상기 제1판재(11)의 제3하부판굴곡부(14), 제2판재(21)의 제1측판굴곡부(24), 제3판재(31)의 제2측판굴곡부(34)와 팽팽하게 체결되어 상기 제1지지부재(71), 제2지지부재(73) 및 제3지지부재(75)가 이탈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1판재(11), 제2판재(21) 및 제3판재(31) 중 어느 하나의 강성이 향상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보 거푸집의 제1위치설정부 및 제2위치설정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9a 내지 도 9c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1하부판굴곡부(12)의 상단과 제1하부판결합부(12a)의 사이, 상기 제2하부판굴곡부(13)의 상단과 제2하부판결합부(13a)의 사이, 상기 제2판재(21)의 상단과 제1측판연장부(22)의 사이 및 제3판재(31)의 상단과 제2측판연장부(32)의 사이에는 상부 방향 및 하부 방향 중 어느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위치설정부(81)가 형성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제2판재(21)의 하단과 제1측판결합부(23)의 사이 및 제3판재(31)의 하단과 제2측판결합부(33)의 사이에는 상부 방향 및 하부 방향 중 어느 방향으로 상기 제1위치설정부(81)에 대응되도록 돌출되는 제2위치설정부(83)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위치설정부(81) 및 제2위치설정부(83)는 상기 제1판재(11)와 제2판재(21), 제1판재(11)와 제3판재(31), 제2판재(21)와 상기 제2판재(21)의 상부에 배치되는 다른 제2판재(21), 제3판재(31)와 상기 제3판재(31)의 상부에 배치되는 다른 제3판재(31)가 결합될 때 서로의 위치가 정확하게 설정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상기 제1위치설정부(81) 및 제2위치설정부(83)는 상기 제1판재(11)와 제2판재(21), 제1판재(11)와 제3판재(31), 제2판재(21)와 상기 제2판재(21)의 상부에 배치되는 다른 제2판재(21), 제3판재(31)와 상기 제3판재(31)의 상부에 배치되는 다른 제3판재(31)의 위치를 정확하게 설정하기 위해 다각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 상기 제1위치설정부(81) 및 제2위치설정부(83)는 제1하부판굴곡부(12)의 상단과 제1하부판결합부(12a)의 사이, 상기 제2하부판굴곡부(13)의 상단과 제2하부판결합부(13a)의 사이, 상기 제2판재(21)의 상단과 제1측판연장부(22)의 사이 및 제3판재(31)의 상단과 제2측판연장부(32)의 사이에서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제1위치설정부(81) 및 제2위치설정부(83)가 형성되어 상기 제1판재(11)와 제2판재(21), 제1판재(11)와 제3판재(31), 제2판재(21)와 상기 제2판재(21)의 상부에 배치되는 다른 제2판재, 제3판재(31)와 상기 제3판재(31)의 상부에 배치되는 다른 제3판재의 위치를 설정하게 되는 경우, 상기 하부판(10)의 제1하부판결합부(12a) 및 제2하부판결합부(13a)와 상기 제1측판부(20)의 제1측판연장부(22) 및 제1측판결합부(23)와 상기 제2측판부(30)의 제2측판연장부(32) 및 제2측판결합부(33)의 형태가 하부로 굴곡되는 형태만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하면, 하부판의 제1하부판결합부 및 제2하부판결합부와 제1측판부의 제1측판결합부 및 제2측판의 제2측판결합부를 결합하는 것만으로 서로 간편하게 조립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현장에서의 시공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10 : 하부판 11 : 제1판재
12 : 제1하부판굴곡부 12a : 제1하부판결합부
13 : 제2하부판굴곡부 13a : 제2하부판결합부
14 : 제3하부판굴곡부 15 : 에어홀
20 : 제1측판부 21 : 제2판재
22 : 제1측판연장부 23 : 제1측판결합부
24 : 제1측판굴곡부
30 : 제2측판부 31 : 제3판재
32 : 제2측판연장부 33 : 제2측판결합부
34 : 제2측판굴곡부
40 : 체결판 41 : 나사홈
42 : 삽입홈 42a : 개구부
60 : 연결나사 61 : 체결나사
71 : 제1지지부재 73 : 제2지지부재
75 : 제3지지부재 77 : 제4지지부재
79 : 보강부재
81 : 제1위치설정부 83 : 제2위치설정부
91 : 제1롤러 93 : 제2롤러

Claims (8)

  1. 제1판재(11), 상기 제1판재(11)의 양 측단에서 상부 방향으로 굴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제1하부판굴곡부(12)와 제2하부판굴곡부(13) 및 상기 제1하부판굴곡부(12)와 제2하부판굴곡부(13)의 상단에서 내측 방향으로 굴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제1하부판결합부(12a)와 제2하부판결합부(13a)를 포함하는 하부판(10);
    상기 제1하부판굴곡부(12)의 상단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는 제2판재(21), 상기 제2판재(21)의 상단에서 상기 제1판재(11)의 내측 방향으로 굴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제1측판연장부(22) 및 상기 제2판재(21)의 하단에서 상기 제1판재(11)의 내측 방향으로 굴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제1측판결합부(23)를 포함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제1측판부(20); 및
    상기 제2하부판굴곡부(13)의 상단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는 제3판재(31), 상기 제3판재(31)의 상단에서 상기 제1판재(11)의 내측 방향으로 굴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제2측판연장부(32) 및 상기 제3판재(31)의 하단에서 상기 제1판재(11)의 내측 방향으로 굴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제2측판결합부(33)를 포함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제2측판부(30);
    가 포함되며,
    상기 제1측판부(20) 및 제2측판부(30)는,
    상기 제1측판결합부(23) 및 제2측판결합부(33)가 각각 상기 제1하부판결합부(12a) 및 제2하부판결합부(13a)에 결합되어 상기 제1하부판굴곡부(12) 및 제2하부판굴곡부(13)의 상부에 세워지고,
    상기 하부판(10)은 합판 및 강재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하부판(10)에는 상기 제1하부판굴곡부(12)와 제2하부판굴곡부(13)의 사이에서 상부 방향으로 굴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제3하부판굴곡부(14)가 포함되고,
    상기 제1측판부(20)에는 상기 제1측판연장부(22) 및 제1측판결합부(23)의 사이에서 상기 제1판재(11)의 내측 방향으로 굴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제1측판굴곡부(24)가 포함되며,
    상기 제2측판부(30)에는 상기 제2측판연장부(32) 및 제2측판결합부(33)의 사이에서 상기 제1판재(11)의 내측 방향으로 굴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제2측판굴곡부(34)가 포함되고,
    상기 제1판재(11)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되 상기 제1판재(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복수의 제1지지부재(71); 및 각각 상기 제2판재(21) 및 제3판재(31)로부터 상기 제1판재(11)의 내측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되 상기 제1판재(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복수의 제2지지부재(73)와 제3지지부재(75)가 더 포함되며,
    중심을 기준으로 일 측에는 상기 제3하부판굴곡부(14), 제1측판굴곡부(24) 및 제2측판굴곡부(34) 중 어느 하나에 접하는 나사홈(41)이 형성되고, 중심을 기준으로 타 측에는 상기 제1지지부재(71), 제2지지부재(73) 및 제3지지부재(75) 중 어느 하나가 삽입되는 삽입홈(42)이 형성되는 복수의 체결판(40); 및 상기 나사홈(41)을 통해 상기 제3하부판굴곡부(14), 제1측판굴곡부(24) 및 제2측판굴곡부(34) 중 어느 하나를 관통하도록 나사 결합되어 상기 체결판(40)과 상기 제3하부판굴곡부(14), 제1측판굴곡부(24) 및 제2측판굴곡부(34) 중 어느 하나를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나사(60)가 더 포함되고,
    상기 나사홈(41)은 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결합홈(41a) 및 제2결합홈(41b)이 상기 체결판(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란히 형성되되 상기 제1결합홈(41a)의 지름이 적어도 상기 제2결합홈(41b)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제1결합홈(41a) 및 제2결합홈(41b)의 사이는 상기 제1결합홈(41a)과 제2결합홈(41b)이 서로 외접하도록 개구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연결나사(60)의 직경은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커지는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하부판굴곡부(12)의 상단과 제1하부판결합부(12a)의 사이, 상기 제2하부판굴곡부(13)의 상단과 제2하부판결합부(13a)의 사이, 상기 제2판재(21)의 상단과 제1측판연장부(22)의 사이 및 제3판재(31)의 상단과 제2측판연장부(32)의 사이에는 상부 방향 및 하부 방향 중 어느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위치설정부(81)가 형성되며,
    상기 제2판재(21)의 하단과 제1측판결합부(23)의 사이 및 제3판재(31)의 하단과 제2측판결합부(33)의 사이에는 상부 방향 및 하부 방향 중 어느 방향으로 상기 제1위치설정부(81)에 대응되도록 돌출되는 제2위치설정부(8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보 거푸집.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하부판굴곡부(14), 제1측판굴곡부(24) 및 제2측판굴곡부(34)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는,
    상기 제3하부판굴곡부(14), 제1측판굴곡부(24) 및 제2측판굴곡부(34)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의 길이를 초과하는 길이로 형성되는 제1롤러(91)가 일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3하부판굴곡부(14), 제1측판굴곡부(24) 및 제2측판굴곡부(34)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의 길이에 미달되도록 형성되는 제2롤러(93)가 타면에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제1롤러(91) 및 제2롤러(93)에 의해 압착되어 상기 제3하부판굴곡부(14), 제1측판굴곡부(24) 및 제2측판굴곡부(34)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말단이 상기 제3하부판굴곡부(14), 제1측판굴곡부(24) 및 제2측판굴곡부(34)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말단을 제외한 부분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보 거푸집.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판(40)에는,
    상기 삽입홈(42)에서 상기 체결판(40)의 일 측으로 개구되는 개구부(42a)가 형성되되, 상기 개구부(42a)는 상기 나사홈(41)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보 거푸집.
  8. 삭제
KR1020180150344A 2018-11-29 2018-11-29 조립형 보 거푸집 KR1020074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0344A KR102007464B1 (ko) 2018-11-29 2018-11-29 조립형 보 거푸집
JP2019214615A JP2020084759A (ja) 2018-11-29 2019-11-27 組立式梁型枠
CN201911192636.XA CN111236638B (zh) 2018-11-29 2019-11-28 组装型梁模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0344A KR102007464B1 (ko) 2018-11-29 2018-11-29 조립형 보 거푸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7464B1 true KR102007464B1 (ko) 2019-08-06

Family

ID=67612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0344A KR102007464B1 (ko) 2018-11-29 2018-11-29 조립형 보 거푸집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20084759A (ko)
KR (1) KR102007464B1 (ko)
CN (1) CN111236638B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95075B1 (en) * 2019-07-16 2021-01-19 Metal-Era, Inc. Lightweight concrete nailer form
KR102211478B1 (ko) * 2020-02-20 2021-02-05 주식회사 비콘 무해체 보 거푸집
KR20210054958A (ko) * 2019-11-06 2021-05-14 신희경 무해체 거푸집 및 이의 조립공정
KR102270884B1 (ko) * 2020-09-28 2021-06-29 고미순 3회 이상 중첩된 구조를 갖는 무해체 거푸집
KR102341842B1 (ko) * 2021-01-22 2021-12-22 신희경 무해체 보거푸집
KR102341843B1 (ko) * 2021-01-22 2021-12-22 신희경 무해체 보거푸집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0764A (ja) * 2000-07-18 2002-01-31 Zen Giken Kk 高負荷用鉄筋クリップ
KR100926148B1 (ko) * 2009-02-16 2009-11-10 (주)금산씨앤아이 벽체 거푸집과 슬라브 거푸집 연결구
KR100954447B1 (ko) 2010-01-12 2010-04-27 (주)동하이엔지 보 구조용 거푸집
KR101009753B1 (ko) * 2010-07-21 2011-01-19 (주)동하이엔지 보 구조용 거푸집
KR101228634B1 (ko) 2010-12-06 2013-01-31 이창남 공장용접 철근보에 부착하는 박강판거푸집
KR101384609B1 (ko) 2013-04-18 2014-04-11 이병희 측판 강성이 보강된 조립식 보 거푸집
KR101584008B1 (ko) * 2014-11-10 2016-01-20 (주)더나은구조엔지니어링 성형강판을 이용한 기둥 영구거푸집
KR101777979B1 (ko) * 2016-12-16 2017-09-12 티앤에스슈퍼데크(주) 비탈형 보 거푸집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27545A3 (fr) * 1983-05-27 1985-07-10 Etablissements Roulot S.A. Eléments modulaires assemblables en juxtaposition notamment pour la réalisation de parois continues
AU2008324734B2 (en) * 2007-11-09 2015-05-07 Cfs Concrete Forming Systems Inc. Pivotally activated connector components for form-work systems and methods for use of same
CN208137434U (zh) * 2018-04-03 2018-11-23 陈飞 一种用于铝模与木模连接的铝木连接件
CN208105881U (zh) * 2018-04-28 2018-11-16 浙江全能建模板技术有限公司 一种型材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0764A (ja) * 2000-07-18 2002-01-31 Zen Giken Kk 高負荷用鉄筋クリップ
KR100926148B1 (ko) * 2009-02-16 2009-11-10 (주)금산씨앤아이 벽체 거푸집과 슬라브 거푸집 연결구
KR100954447B1 (ko) 2010-01-12 2010-04-27 (주)동하이엔지 보 구조용 거푸집
KR101009753B1 (ko) * 2010-07-21 2011-01-19 (주)동하이엔지 보 구조용 거푸집
KR101228634B1 (ko) 2010-12-06 2013-01-31 이창남 공장용접 철근보에 부착하는 박강판거푸집
KR101384609B1 (ko) 2013-04-18 2014-04-11 이병희 측판 강성이 보강된 조립식 보 거푸집
KR101584008B1 (ko) * 2014-11-10 2016-01-20 (주)더나은구조엔지니어링 성형강판을 이용한 기둥 영구거푸집
KR101777979B1 (ko) * 2016-12-16 2017-09-12 티앤에스슈퍼데크(주) 비탈형 보 거푸집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95075B1 (en) * 2019-07-16 2021-01-19 Metal-Era, Inc. Lightweight concrete nailer form
KR20210054958A (ko) * 2019-11-06 2021-05-14 신희경 무해체 거푸집 및 이의 조립공정
KR102260114B1 (ko) * 2019-11-06 2021-06-03 신희경 무해체 거푸집 및 이의 조립공정
KR102211478B1 (ko) * 2020-02-20 2021-02-05 주식회사 비콘 무해체 보 거푸집
KR102270884B1 (ko) * 2020-09-28 2021-06-29 고미순 3회 이상 중첩된 구조를 갖는 무해체 거푸집
KR102341842B1 (ko) * 2021-01-22 2021-12-22 신희경 무해체 보거푸집
KR102341843B1 (ko) * 2021-01-22 2021-12-22 신희경 무해체 보거푸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236638B (zh) 2021-07-23
JP2020084759A (ja) 2020-06-04
CN111236638A (zh) 2020-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7464B1 (ko) 조립형 보 거푸집
US6665992B2 (en) Concrete construction block and method for forming the same
AU2013227435B2 (en) Anti-spalling edging
KR101942842B1 (ko) 장스팬용 데크플레이트
KR101533576B1 (ko) 반채움 pc 트러스보강재 합성보
KR20210093114A (ko) 절곡강판을 이용한 비탈형 보 거푸집
KR102174773B1 (ko) 횡좌굴 방지 클립부재를 구비한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파형 플레이트의 합성데크 및 그 제작방법
KR101834006B1 (ko) 성형강판을 이용한 강재 조립보와 이를 이용한 철골골조
KR100903211B1 (ko) 지지구가 보강된 데크플레이트
KR101083698B1 (ko) 단차보강재를 갖는 데크플레이트.
US10202765B2 (en) Deck panel for construction
KR200403876Y1 (ko) 사각 맨홀 거푸집
JP7082009B2 (ja) 鉄筋構造体及びその鉄筋構造体を備えた合成スラブ構造
KR101596259B1 (ko) 철근콘크리트 슬래브의 보강 시스템과 이를 갖는 철근콘크리트 슬래브와 철근콘크리트 슬래브의 전단보강 유닛 및 플랫 플레이트 시공방법
KR101435004B1 (ko) 데크 플레이트용 스페이서
KR20170050143A (ko) 포밍관을 이용한 조립식 거푸집
KR20200141855A (ko) 건축물의 벽 시공 구조
KR101505719B1 (ko) 철근트러스 일체형 합성 데크플레이트의 제조방법
KR101738244B1 (ko) 트러스보강 조립보
KR20220055831A (ko) 무해체 거푸집과 호리빔 결합구조
KR20070030477A (ko) 사각 맨홀 거푸집
KR20190001642A (ko) 종이관 거푸집용 핸들링 장치
KR101763266B1 (ko) 트윈월의 제작방법
KR20110035576A (ko) 단열재 고정구
WO2014073506A1 (ja) コンクリート部材の構築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