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3698B1 - 단차보강재를 갖는 데크플레이트. - Google Patents

단차보강재를 갖는 데크플레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3698B1
KR101083698B1 KR1020090098044A KR20090098044A KR101083698B1 KR 101083698 B1 KR101083698 B1 KR 101083698B1 KR 1020090098044 A KR1020090098044 A KR 1020090098044A KR 20090098044 A KR20090098044 A KR 20090098044A KR 101083698 B1 KR101083698 B1 KR 1010836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ement
deck plate
truss girder
lower pane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8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1046A (ko
Inventor
한상원
김경달
Original Assignee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80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3698B1/ko
Publication of KR201100410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10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36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36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04B5/36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 E04B5/38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 E04B5/40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with metal form-slab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02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formed substantially of prefabricated units
    • E04B5/10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formed substantially of prefabricated units with metal beams or girders, e.g. with steel lattice gir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8Spacers of metal or substantially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2001/2484Details of floor panels or sla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차보강재를 갖는 데크플레이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위데크플레이트와 이웃하는 다른 단위데크플레이트를 연결함에 있어서 단차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서로 이웃하는 단위데크플레이트의 트러스거더와 하부패널의 사이에 단차보강재를 설치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단차보강재를 갖는 데크플레이트는, 다수개의 단위 데크플레이트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데크플레이트에 있어서, 상기 단위 데크플레이트는 하나 이상의 트러스거더 하부에 하부패널이 상기 트러스거더와 이격되어지도록 연결구에 의하여 결합되어 구성되고, 상기 단위 데크플레이트의 트러스거더와 하부패널의 사이에 단차보강재가 끼움설치되어지되, 상기 단차보강재는 단차보강재몸체의 양단부에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단차보강재몸체의 하부에 하나 이상의 홈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단차보강재의 일측은 상기 단위 데크플레이트의 트러스거더 하부철근과 상기 하부패널의 사이에 억지끼움되고, 타측은 이웃하는 다른 단위 데크플레이트의 트러스거더 하부철근과 하부패널의 사이에 억지끼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R1020090098044
데크플레이트, 단차보강재, 연결구, 지지구, 트러스거더

Description

단차보강재를 갖는 데크플레이트.{Deck-plate}
본 발명은 단차보강재를 갖는 데크플레이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위데크플레이트와 이웃하는 다른 단위데크플레이트를 연결함에 있어서 단차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서로 이웃하는 단위데크플레이트의 트러스거더와 하부패널의 사이에 단차보강재를 설치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 구조물의 대다수는 철근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시공되어진다. 이같은 철근 콘크리트를 이용한 건축 구조물은 압축재인 콘크리트와 인장재인 철근이 함께 사용되어지는 복합 구조물로서 거푸집을 가설한 후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이 완료되면 거푸집을 해체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얻을 수 있다.
이때 합판, 철판, 각재 등으로 거푸집을 설치하고, 이에 철근 등의 배근작업을 수행하는 축조단계와 콘크리트의 양생 후 거푸집을 해체하는 해체작업으로 인하여 많은 공기가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건축물을 축조하기 위한 구조체인 보 사이에 가설되어, 그 위에 타설되어지는 콘크리트 및 콘크리트가 양생되어지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콘크리트 자체의 무게를 지지할 수 있는 데크플레이트가 제안되었다.
상기 제안된 데크플레이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철근(210), 하부철근(230) 및 래티스재(220)으로 되는 트러스거더(T)의 양단이 지지구(D)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트러스거더(T)의 하부에 하부패널(P)이 연결구(C)에 의하여 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된 단위 데크플레이트를 다수개 연결함으로써 시공되어졌다.
그러나 건설현장에서 상기와 같은 데크플레이트를 시공하는 경우, 상기 단위 데크플레이트와 이웃하는 다른 단위 데크플레이트의 하부패널(P) 사이에 단차가 발생될 수 있어 그 시공이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데크플레이트가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서로 이웃하는 데크플레이트의 트러스거더와 하부패널의 사이에 단차보강재를 끼움설치함으로써, 이웃하는 하부패널간의 단차발생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단차보강재에 관통공 및 홈부를 형성함으로써, 콘크리트의 양생 후 콘크리트와 단차보강재의 재료분리 현상을 방지하고, 하부패널의 탈형 시 단차보강재의 노출면이 최소화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데크플레이트의 하부패널을 단열패널로 설치함으로써, 데크플레이트를 설치 후 거푸집 하부패널의 해체작업 및 단열재의 후시공작업이 불필요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단차보강재를 갖는 데크플레이트는, 다수개의 단위 데크플레이트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데크플레이트에 있어서, 상기 단위 데크플레이트는 하나 이상의 트러스거더 하부에 하부패널이 상기 트러스거더와 이격되어지도록 연결구에 의하여 결합되어 구성되고, 상기 트러스거더는 상부철근을 중심으로 그 양측에 웨이브형태로 절곡된 래티스재가 용접결합되고, 상기 래티스재 하부 외측에는 두 개의 하부철근이 각각 용접결합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단 위 데크플레이트의 트러스거더와 하부패널의 사이에 단차보강재가 끼움설치되어지되, 상기 단차보강재는 단차보강재몸체의 양단부에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단차보강재몸체의 하부에 하나 이상의 홈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단차보강재의 일측은 상기 단위 데크플레이트의 트러스거더 하부철근과 상기 하부패널의 사이에 억지끼움되고, 타측은 이웃하는 다른 단위 데크플레이트의 트러스거더 하부철근과 하부패널의 사이에 억지끼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차보강재의 단차보강재몸체에는 하나 이상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양단부에 형성된 지지부는 상기 단차보강재몸체와 직각으로 절곡되어지되, 서로 반대방향으로 절곡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구는 연결구몸체 하부에 고정볼트가 나사결합되도록 구성되어지되, 상기 연결구몸체 저부 중앙에는 암나사공이 상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구몸체의 상부 일측에는 상기 트러스거더의 하부철근이 끼워지는 '⊂'형태의 끼움홈이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트러스거더의 길이방향 양단부에는 지지구가 지지되어지되, 상기 지지구는 수평재에 수직재의 하부가 직교하는 방향으로 용접결합되어 상기 수평재의 양단부에 상기 트러스거더의 하부철근이 각각 용접결합되고 상기 수직재의 상부에 상기 트러스거더의 상부철근이 용접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패널은 단열패널이며, 상기 단위 데크플레이트와 이웃하는 다른 데크플레이트의 상부철근은 상부 가로철근에 의해 상호 결속되고, 하부철근은 하부 가로철근에 의해 상호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데크플레이트에 단차보강재가 설치됨으로써, 이웃하는 하부패널 간의 단차발생을 방지하고, 시공이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단차보강재는 철판을 절단 및 절곡하여 형성함으로써, 데크플레이트의 강도를 보강하고, 콘크리트와의 재료분리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등의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데크플레이트의 시공성을 우수하게 하여, 공기가 단축됨은 물론 시공비가 절감되도록 하는 등의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차보강재를 갖는 데크플레이트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단면도로서, 단위 데크플레이트(A), 트러스거더(T), 단차보강재(B), 연결구(C), 지지구(D) 및 하부패널(P)로 구성된다.
먼저 본 발명의 데크플레이트는 다수개의 단위 데크플레이트(A)가 횡방향, 즉 폭방향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데, 상기 단위 데크플레이트(A)는 하나 이상의 트러스거더(T) 하부에 하부패널(P)이 상기 트러스거더(T)와 이격되어지도록 연결 구(C)에 의하여 결합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트러스거더(T)는 상부철근(210)을 중심으로 그 양측에 웨이브형태로 절곡된 래티스재(220)가 용접결합되고, 상기 래티스재(220) 하부 외측에는 두 개의 하부철근(230)이 각각 용접결합되어 삼각형태로 구성되어진다.
여기서 상기 트러스거더(T)의 상부철근(210)을 중심으로 양측에 용접이음으로 결합된 웨이브형태로 절곡된 래티스재(220)는 하부를 향하여 벌어지는 형태를 갖도록 래티스재(220)의 상부절곡부가 1점으로 이루어진 1점용접부에 의하여 결합되어지고, 상기 래티스재(220)의 하부절곡부 외측에는 하부철근(230)이 각각 2점으로 이루어진 2점용접부에 의하여 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패널(P)은 트러스거더(T)의 하부에 다수개의 연결구(C)에 의하여 이격된 상태로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인 바, 상기 하부패널(P)은, 도 2 및 3에서와 같이, 소정 폭과 길이를 갖는 것으로 다수개의 통공이 상기 트러스거더(T)의 하부철근(230)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단위 데크플레이트(A)와 이웃하는 단위 데크플레이트(A')를 연결하여 설치할 경우, 상기 단위 데크플레이트(A)(A')간에 단차, 즉 이웃하는 하부패널(P)(P') 간에 단차가 발생될 수 있는 바,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이웃하는 단위 데크플레이트(A)(A')에 하나 이상의 단차보강재(B)가 설치된다.
즉, 상기 단위 데크플레이트(A)의 트러스거더(T)와 하부패널(P)의 사이에 단 차보강재(B)가 끼움설치되어지는 데, 상기 단차보강재(B)의 일측은 상기 단위 데크플레이트(A)의 트러스거더(T) 하부철근(230)과 상기 하부패널(P)의 사이에 억지끼움되고, 타측은 이웃하는 다른 단위 데크플레이트(A')의 트러스거더(T') 하부철근(230')과 하부패널(P')의 사이에 억지끼움됨으로써, 이웃하는 하부패널(P)(P')간의 단차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단차보강재(B)는 단차보강재몸체(100)의 양단부에 지지부(110)가 형성되고, 상기 단차보강재몸체(100)의 하부에 하나 이상의 홈부(120)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바, 상기 지지부(110)에 의해 상기 단차보강재몸체(100)가 하부패널(P)(P') 상면에 안정적으로 세워진 상태로 하부철근(230)(230')의 하단에 끼워질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단차보강재(B)는 철판으로 이루어지는 게 바람직한 바, 철판의 양단을 절곡하여 지지부(110)를 형성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세워질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상기 절곡하여 형성된 지지부(110)는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단차보강재몸체(100)와 직각으로 절곡되어지되, 그 양단의 지지부(110)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절곡될 수도 있으며, 단차보강재몸체(100)와 예각을 이루도록 절곡되며 양단의 지지부(110)가 동일 방향으로 절곡될 수도 있는 것으로, 그 형태를 제한하지 않는다.
아울러 상기 단차보강재몸체(100)의 하부에는 하나 이상의 홈부(120)가 형성됨으로써, 콘크리트의 타설 후 하부패널(P)을 제거할 시 단차보강재(B)의 노출면이 최소가 되도록 함은 물론, 콘크리트와의 재료분리 현상의 발생이 없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단차보강재몸체(100)에 하나 이상의 관통공(130)이 추가로 형성됨으 로써, 콘크리트와의 재료분리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홈부(120) 및 관통공(130)의 형태는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단차보강재(B)의 상단에도 하나 이상의 홈부를 추가로 마련할 수 있는 바, 상기 홈부에 상기 트러스거더(T)의 하부철근(230)이 안착되도록 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단차보강재(B)의 단차보강재몸체(100)의 형태 역시 제한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연결구(C)는 트러스거더(T)와 하부패널(P)의 결합을 위한 것으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구(C)의 연결구몸체(300)의 하부에 고정볼트(400)가 나사결합되도록 구성되는 바, 이를 위하여 상기 연결구몸체(300)의 저부 중앙에는 암나사공(310)이 상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암나사공(310)에 나사결합되어지는 고정볼트(400)가 결합·분리되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구몸체(300)의 상부 일측에는 상기 트러스거더(T)의 하부철근(230)이 끼워지는 '⊂'형태의 끼움홈(320)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트러스거더(T)는 연결구몸체(300)의 끼움홈(320)에 끼워지고 상기 하부패널(P)은 상기 연결구몸체(300)의 하부와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위치되어 상기 고정볼트(400)가 상기 하부부패널(P)을 관통하여 상기 연결구몸체(300)의 저부 중앙에 형성된 암나사공(310)에 나사결합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연결구(C)의 연결구몸체(300)는 플라스틱으로 사출성형될 수 있고, 이러한 연결구몸체(300)와 결합되는 고정볼트(400)는 금속재로 구비될 수 있 다. 또한 상기 연결구몸체(300) 저부의 암나사공(310)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고정볼트(400)가 결합, 분리되도록 할 수 있고, 단지 결합을 위한 구멍만 형성되고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셀프테핑이 가능한 고정볼트(400)의 체결로 나사산이 형성되면서 체결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암나사산이 형성된 경우에는 플라스틱재로 하여 사출성형되면서 암나사산이 형성될 수도 있고, 나아가 금속재의 암나사산이 형성된 암나사용 인서트가 함께 하여 사출성형되어 마련될 수도 있다.
아울러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연결구몸체(300)의 상면은 상기 끼움홈(320)의 끼움입구를 향하여 경사지도록 경사부(311)가 형성될 수 있는 바, 상기 경사부(311)는 경사부(311)의 상측으로 트러스거더(T)의 하부철근(230)이 위치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트러스거더(T)를 하향으로 누르게 되면, 하부철근(230)(230')이 경사부(311)를 미끄러지면서 하향으로 진행하게 된다. 그리하여 결국 하부철근(230)이 끼움홈(320)의 끼움입구에 위치하게 되어, 하부철근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끼움홈(320) 내부로 끼워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지지구(D)는 하중의 집중으로 인한 하부패널(P)의 변형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재(500)에 수직재(600)가 하부가 직교하는 방향으로 용접결합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용접결합된 수평재(500)의 양단에는 상기 트러스거더(T)의 하부철근(230) 단부가 각각 용접결합되고, 상기 수직재(600)의 상부에는 상기 트러스거 더(T)의 상부철근(210) 단부가 용접결합됨으로써, 상기 지지구(D)가 트러스거더(T)의 양단을 지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지지구(D)의 수평재(500)는 다양한 형태의 것을 활용할 수 있지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철제 평판을 이용하는 것이고, 수직재(600)로는 철제 평판을 이용할 수도 있지만 강도를 고려하여 찬넬형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수직재(600)를 평판의 형태의 것을 이용할 경우는 수평재(500)와 수직재(600)의 교차위치가 무관하지만, 즉 수평재(500)의 일측(트러스 거더(T)의 하부철근(230)(230')이 용접결합되는 측)에 수직재(600)를 용접결합하여도 되고, 타측에 수직재(600)를 결합하여도 되지만, 상기 수직재(600)가 찬넬형태일 경우에는 작업성을 고려하여 상기 수평재(500)의 타측면에 상기 찬넬형태인 수직재(600)의 웹부를 위치시켜 용접결합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지지구(D)는 상기 수직재(600)가 상기 수평재(500)의 하단 아래로 연장될 수 있는 데, 상기 수직재(600)가 녹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수직재(600)의 하단에 녹슴방지캡(미도시)이 씌움설치될 수 있다. 상기 녹슴방지캡은 상기 수직재의 단부가 씌워지는 형태로 되거나 상기 수직재의 단부에 평판형태로 부착될 수 있는 형태로 될 수도 있으며, 그 재질은 합성수지, 고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그 형태나 재질을 한정하지 않는다.
아울러, 상기 단위 데크플레이트(A)와 이웃하는 다른 단위 데크플레이트(A')의 상부철근(210)(210')은 상부 가로철근(710)에 의해 상호 결속되고, 하부철 근(230)(230')은 하부 가로철근(720)에 의해 상호 결속됨으로써, 이웃하는 단위 데크플레이트(A)(A')간의 결속을 견고히 하는 것이며, 단차의 발생 역시 방지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상부 가로철근(710)과 하부 가로철근(720) 역시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며, 상기 상부철근(210)(210')과 상부 가로철근(710) 및 상기 하부철근(230)(230')과 하부 가로철근(720)은 서로 용접결합되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하부패널(P)을 단열패널(I)로서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단열패널(I)은 본 발명의 데크플레이트가 건축물의 최상층에 설치될 경우,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열패널(I)은 통상의 거푸집 하부패널(P)과는 달리 탈형과정없이 그대로 건축물에 사용되어, 후공정인 단열재의 시공과정을 생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종래에는 건축물의 최상층에 데크플레이트를 시공할 경우, 데크플레이트의 설치, 콘크리트의 타설 및 양생, 거푸집 하부패널을 탈형(제거), 단열재 시공과 같이 공정상의 번거로움이 있었으나, 하부패널(P)로서 단열패널(I)을 사용할 경우, 데크플레이트의 설치, 콘크리트의 타설 및 양생만으로 공정이 간단해져 공기가 대폭 단축될 수 있으며, 시공비 또한 낮출 수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단열패널(I)은 소정 폭과 길이를 갖는 스티로폼으로 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압축 스티로폼을 이용한다. 아울러, 상기 단열패널(I)로서 상기 압축 스티로폼보다 높은 단면강성이 요구될 경우, 샌드위치패널이 이용 될 수 있는 데, 상기 샌드위치패널로서 상, 하부에 0.25t의 아연도강판이 구비되고, 그 사이에 스티로폼 또는 우레탄폼과 같은 단열재가 구비된 것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를 반드시 제한하는 것은 아닌 것으로 다른 종류의 단열패널(I)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상기 단열패널(I)에도 다수개의 통공이 상기 트러스거더(T)에 대응되도록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구(C)의 고정볼트(400)가 끼워지게 되는 것은 당연하며, 앞서 설명한 단차보강재(B) 및 지지구(D)가 설치됨은 당연하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단차보강재를 갖는 데크플레이트의 사용상태의 일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트러스거더(T)가 놓여질 위치에 대응되도록 하부패널(P)에 통공을 형성한 후 통공의 하부에 상부를 향하여 상기 연결구(C)의 고정볼트(400)가 노출되어지도록 끼우고, 상기 통공의 상부로 노출된 고정볼트(400)에 연결구(C)의 연결구몸체(300) 하부에 형성된 암나사공(310)을 나사결합시킨다. 이와 같은 작업을 반복하여 다수개의 연결구(C)를 설치한다.
다음 연결구(C)의 끼움홈(320)에 상기 트러스거더(T)의 하부에 위치된 하부철근(230)를 끼워 결합시킨다. 상기 연결구(C)의 결합에 의하여 하부패널(P)의 상부로부터 일정한 간격 즉, 끼움홈(320)으로부터 연결구몸체(300)의 저면까지의 간격을 갖도록 트러스거더(T)의 하부철근(230)이 결합되어지게 됨으로써, 단위 데크플레이트(A)가 설치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단위 데크플레이트(A)와 측면이 서로 맞닿아 틈이 벌어지지 않도록 다른 단위 데크플레이트(A')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단위 데크플레이트(A)와 이웃하는 다른 단위 데크플레이트(A')의 하부철근(230)(230')과 하부패널(P)(P')의 사이에 단차보강재(B)를 억지끼움하여 설치한다. 이때 상기 단차보강재(B)의 일측은 상기 단위 데크플레이트(A)의 하부철근(230)과 하부패널(P)에 끼워지고, 타측은 이웃하는 다른 단위 데크플레이트(A')의 하부철근(230')과 하부패널(P')에 끼워져 설치되는 것이다.
이때 단차보강재(B)의 설치 전 또는 후 필요에 따라 상부 가로철근(710)과 하부 가로철근(720)을 상기 트러스거더(T)에 각각 설치(즉, 상기 상부 가로철근(710)은 트러스거더(T)의 상부철근(210)과 이웃하는 상부철근(210') 간을 서로 결속하도록 용접하고, 상기 하부 가로철근(720)은 트러스거더(T)의 하부철근(230)과 이웃하는 하부철근(230') 간을 서로 결속하도록 용접)한 후, 트러스거더(T)의 양측단부에 지지구(D)를 설치하되, 상기 지지구(A)의 수평재(500)와 수직재(600)를 용접결합하고, 상기 수평재(500) 양단 일측면에 상기 트러스거더(T)의 하부철근(230)의 단부를 각각 위치시켜 결합시킨 후, 상기 수직재(600)의 상부 일측면에 상부철근(210)의 단부를 용접결합시킴으로써, 상기 트러스거더(T)의 양측단부가 지지구(D)에 의해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연결구(C)에 의하여 하부철근(230)이 하부패널(P)에 결합된 상태에서 지지구(D)가 결합되어지도록 설명하였으나, 하부철근(230)이 연결구(C)에 고정되기 이전에 지지구(D)가 결합되어지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설치된 데크플레이트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함으로로써 그 설치가 완료되는 것이며, 콘크리트의 양생 후 상기 연결구(C)의 고정볼트(400)를 풀어 고정볼트(400)와 하부패널(P)을 제거함으로써 그 시공이 완료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지지구(D)가 위치되는 지지체는 일반적으로 목재거푸집의 수평각목 또는 건축구조물의 형태에 따라 철골보의 플랜지가 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데크플레이트를 나탄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데크플레이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도 2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데크플레이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T: 트러스거더 A: 단위 데크플레이트 B: 단차보강재
C: 연결구 D: 지지구 P: 하부패널
100: 단차보강재몸체 110: 지지부 120: 홈부
130: 관통공
210: 상부철근 220: 래티스재 230: 하부철근
300: 연결구몸체 310: 암나사공 320: 끼움홈
400: 고정볼트 500: 수평재 600: 수직재
710: 상부 가로철근 720: 하부 가로철근

Claims (5)

  1. 다수개의 단위 데크플레이트(A)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데크플레이트에 있어서,
    상기 단위 데크플레이트(A)는 하나 이상의 트러스거더(T) 하부에 하부패널(P)이 상기 트러스거더(T)와 이격되어지도록 연결구(C)에 의하여 결합되어 구성되고,
    상기 트러스거더(T)는 상부철근(210)을 중심으로 그 양측에 웨이브형태로 절곡된 래티스재(220)가 용접결합되고, 상기 래티스재(220) 하부 외측에는 두 개의 하부철근(230)이 각각 용접결합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단위 데크플레이트(A)의 트러스거더(T)와 하부패널(P)의 사이에 단차보강재(B)가 끼움설치되어지되,
    상기 단차보강재(B)는 단차보강재몸체(100)의 양단부에 지지부(110)가 형성되고, 상기 단차보강재몸체(100)의 하부에 하나 이상의 홈부(120)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단차보강재(B)의 일측은 상기 단위 데크플레이트(A)의 트러스거더(T) 하부철근(230)과 상기 하부패널(P)의 사이에 억지끼움되고, 타측은 이웃하는 다른 단위 데크플레이트(A')의 트러스거더(T') 하부철근(230')과 하부패널(P')의 사이에 억지끼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차보강재를 갖는 데크플레이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보강재(B)의 단차보강재몸체(100)에는 하나 이상의 관통공(130)이 형성되고, 양단부에 형성된 지지부(110)는 상기 단차보강재몸체(100)와 직각으로 절곡되어지되, 서로 반대방향으로 절곡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차보강재를 갖는 데크플레이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C)는 연결구몸체(300) 하부에 고정볼트(400)가 나사결합되도록 구성되어지되, 상기 연결구몸체(300) 저부 중앙에는 암나사공(310)이 상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구몸체(300)의 상부 일측에는 상기 트러스거더(T)의 하부철근이 끼워지는 '⊂'형태의 끼움홈(320)이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차보강재를 갖는 데크플레이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트러스거더(T)의 길이방향 양단부에는 지지구(D)가 지지되어지되,
    상기 지지구(D)는 수평재(500)에 수직재(600)의 하부가 직교하는 방향으로 용접결합되어 상기 수평재(500)의 양단부에 상기 트러스거더(T)의 하부철근이 각각 용접결합되고 상기 수직재(600)의 상부에 상기 트러스거더(T)의 상부철근이 용접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차보강재를 갖는 데크플레이트.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패널은 단열패널(I)이며,
    상기 단위 데크플레이트(A)와 이웃하는 다른 단위 데크플레이트(A')의 상부철근(210)(210')은 상부 가로철근(710)에 의해 상호 결속되고, 하부철근(230)(230')은 하부 가로철근(720)에 의해 상호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차보강재를 갖는 데크플레이트.
KR1020090098044A 2009-10-15 2009-10-15 단차보강재를 갖는 데크플레이트. KR1010836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8044A KR101083698B1 (ko) 2009-10-15 2009-10-15 단차보강재를 갖는 데크플레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8044A KR101083698B1 (ko) 2009-10-15 2009-10-15 단차보강재를 갖는 데크플레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1046A KR20110041046A (ko) 2011-04-21
KR101083698B1 true KR101083698B1 (ko) 2011-11-15

Family

ID=44047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8044A KR101083698B1 (ko) 2009-10-15 2009-10-15 단차보강재를 갖는 데크플레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369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6273B1 (ko) * 2016-04-21 2016-09-09 구연진 트러스거더형 데크패널 배열 설치시 인접부 간의 밀착결합유지용 결속구 및 이를 이용한 데크패널 간의 결합구조
KR101660851B1 (ko) * 2015-05-19 2016-09-28 (주)윈하이텍 천장시공용 거푸패널 간을 묶는 결속구를 이용한 거푸패널 시공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20200107535A (ko) 2019-03-08 2020-09-16 삼광선재 주식회사 건축용 데크 플레이트의 단차 방지판 및 그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9929B1 (ko) * 2013-07-03 2014-05-30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트러스거더 절단부위 보강 구조체
KR102083196B1 (ko) * 2017-11-08 2020-03-02 (주)엔테이지 축강도 보강바가 구성된 트러스근 일체형 데크
CN114411948A (zh) * 2022-01-20 2022-04-29 唐山德旺建材有限公司 一种方便桁架与板材之间快速连接的连接件
KR20230139651A (ko) 2022-03-28 2023-10-05 주식회사 포스코 데크플레이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4939B1 (ko) * 2007-07-30 2008-01-21 김경달 테이블 데크
KR100903211B1 (ko) * 2009-02-04 2009-06-18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지지구가 보강된 데크플레이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4939B1 (ko) * 2007-07-30 2008-01-21 김경달 테이블 데크
KR100903211B1 (ko) * 2009-02-04 2009-06-18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지지구가 보강된 데크플레이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0851B1 (ko) * 2015-05-19 2016-09-28 (주)윈하이텍 천장시공용 거푸패널 간을 묶는 결속구를 이용한 거푸패널 시공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656273B1 (ko) * 2016-04-21 2016-09-09 구연진 트러스거더형 데크패널 배열 설치시 인접부 간의 밀착결합유지용 결속구 및 이를 이용한 데크패널 간의 결합구조
KR20200107535A (ko) 2019-03-08 2020-09-16 삼광선재 주식회사 건축용 데크 플레이트의 단차 방지판 및 그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1046A (ko) 2011-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3698B1 (ko) 단차보강재를 갖는 데크플레이트.
KR100882464B1 (ko) 지지구가 보강된 데크플레이트
US20100031605A1 (en) Composite concrete column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0903212B1 (ko) 트러스거더 연결구
KR100903211B1 (ko) 지지구가 보강된 데크플레이트
KR101511504B1 (ko) 연결부 휨 강화 기능을 갖는 탈형 데크 플레이트
KR100722403B1 (ko) 거푸집용 조립식 작업대
KR101237333B1 (ko) 탈형 데크용 스페이서
KR101718050B1 (ko) 부상방지장치가 필요 없는 중공 슬래브형 데크플레이트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391945B1 (ko) 보강된 연속 단부와 하중 분배 구조를 갖는 데크 플레이트 시스템
KR20150002463U (ko) 거푸집 겸용 외장벽판
KR100343960B1 (ko) 강콘크리트 구조시스템
CN209620330U (zh) 一种免拆模板混凝土剪力墙结构建筑
KR20080084130A (ko) 슬라브 시공용 데크의 결합구조
US20170328061A1 (en) Deck panel for construction
KR100894808B1 (ko) 트러스거더 연결구
CN111910811A (zh) 一种肋板骨架混凝土现浇板
KR101795510B1 (ko) 건축용 데크패널
CN209194694U (zh) 一种钢框架-混凝土剪力墙结构建筑
JP2009084908A (ja) ボイド型枠付床板ユニット及び合成中空床板
JP4903110B2 (ja) 開口補強ユニットおよび布基礎
KR20070027431A (ko) 철근조립체와 거푸집과 천정 판넬을 스폿용접으로고정시키는 결속구
KR100788742B1 (ko) 협소한 공간을 마무리하기 위한 데크의 결합구조
JP5050221B2 (ja) 床スラブ
KR100694824B1 (ko)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데크 플레이트 및 그에 따른구조물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