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0477A - 사각 맨홀 거푸집 - Google Patents

사각 맨홀 거푸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0477A
KR20070030477A KR1020050085170A KR20050085170A KR20070030477A KR 20070030477 A KR20070030477 A KR 20070030477A KR 1020050085170 A KR1020050085170 A KR 1020050085170A KR 20050085170 A KR20050085170 A KR 20050085170A KR 20070030477 A KR20070030477 A KR 200700304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panel
manhole
gap adjusting
adjusting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5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33584B1 (ko
Inventor
조용우
Original Assignee
조용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용우 filed Critical 조용우
Priority to KR10200500851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3584B1/ko
Publication of KR20070030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04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3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35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07Production methods using a mo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각 맨홀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맨홀의 외벽면을 형성하는 적어도 4개의 외부거푸집패널과, 상기 외부거푸집패널들의 양 단부를 연결하는 외부패널연결부재를 갖는 외부거푸집과; 상기 맨홀의 내벽면을 형성하는 적어도 4개의 내부거푸집패널과, 상호 인접하는 상기 내부거푸집패널들의 양 단부 사이에 개재되는 간격조절편을 갖는 내부거푸집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시공작업이 간단하고, 특히, 내부거푸집의 해체작업이 용이하여 신속하게 공사를 완료함으로써, 시공기간과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는 사각 맨홀 거푸집이 제공된다.
사각 맨홀, 거푸집, 사다리, 조립, 분해

Description

사각 맨홀 거푸집{Quadrangle type Manhole mold}
도 1은 종래 사각 맨홀 거푸집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각 맨홀 거푸집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도 2의 표시부 A 영역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사시도,
도 4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사각 맨홀 거푸집을 이용하여 사각 맨홀을 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사각 맨홀 거푸집의 외부거푸집 외측에 발판지지대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각 맨홀 거푸집의 결합상태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외부거푸집 11 : 외부거푸집패널
20 : 내부거푸집 21 : 내부거푸집패널
21a : 접촉부재 21b : 접촉면
23 : 간격조절편 25 : 내부패널정렬부재
25b : 정렬바아 27 : 턴버클유닛
본 발명은, 사각 맨홀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립 및 분해 작업이 간단하게 이루어지고,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는 사각 맨홀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일반적인 사각 맨홀 거푸집(10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맨홀의 내벽면을 형성하는 내부거푸집(120)과, 맨홀의 외벽면을 형성하도록 콘크리트 타설공간을 두고 내부거푸집(120)을 둘러싸는 외부거푸집(110)으로 구성된다.
이들 내부거푸집(120)과 외부거푸집(110)은 각각 다수의 목재 패널(131)을 못 등으로 상호 결합하여 형성될 사각 맨홀의 내벽면 네 면에 대응하는 4개의 내부거푸집패널(121)과, 외벽면 네 면에 대응하는 외부거푸집패널(111)로 제작한 후, 각 거푸집패널을 사각형으로 결합함으로써, 내부거푸집(120)과 외부거푸집(110)을 형성하도록 하였다. 이때, 내부거푸집패널(121)의 네 모서리영역과 외부거푸집패널(111)의 네 모서리영역은 각목 형상의 모서리마감부재(125)에 의해 상호 결합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사각 맨홀 거푸집에 있어서는, 각 거푸집패널들이 다수의 목재 패널을 상호 결합하여 형성되기 때문에, 거푸집의 설치 및 분해 등의 거푸집 시공 작업이 매우 불편하고 과도한 작업시간이 소요에 의한 인건비 상승을 초래하여 전체적인 시공비 상승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내부거푸집의 경우에는 콘크리트 타설 후,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 과정에서 발생하는 콘크리트 압력에 의해서 내부거푸집패널들의 네 모서리 영역을 포함하여 내부거푸집패널을 형성하는 목재 패널들간의 밀착력이 증대되기 때문에, 내부거푸집을 해체할 때, 어느 하나의 목재패널 또는 어느 하나의 내부거푸집패널을 분해하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각맨홀의 높이가 높을 경우에는 거푸집 내측 및 외측에 비계를 설치해야 하는 등 맨홀 시공을 위한 부대적인 추가 공정이 많아 시공기간 증가 및 시공비 상승을 더욱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시공작업이 간단하고, 특히, 내부거푸집의 해체작업이 용이하여 신속하게 공사를 완료함으로써, 시공기간과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는 사각 맨홀 거푸집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사각 맨홀 거푸집에 있어서, 상기 맨홀의 외벽면을 형성하는 적어도 4개의 외부거푸집패널과, 상기 외부거푸집패널들의 양 단부를 연결하는 외부패널연결부재를 갖는 외부거푸집과; 상기 맨홀의 내벽면을 형성하는 적어도 4개의 내부거푸집패널과, 상호 인접하는 상기 내부거푸집패널들의 양 단부 사이에 개재되는 간격조절편을 갖는 내부거푸집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각 맨홀 거푸집에 의해서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외부거푸집패널과 상기 내부거푸집패널들은 평판 패널로 마련 되며, 상기 외부패널연결부재와 상기 간격조절편은 각각 상기 외부거푸집과 상기 내부거푸집의 모서리영역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내부거푸집패널의 폭 방향 양단부에는 인접하는 내부거푸집패널과 직각을 이루도록 45도의 접촉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간격조절편은 상기 인접하는 양 내부거푸집패널의 상호 대향하는 상기 양 접촉면 사이에 개재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간격조절편의 내측 단부영역 판면에는 상하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정렬바아삽입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정렬바아삽입공에 대응하는 상기 인접한 양 내부거푸집패널 내측에 상하 방향을 따라 정렬바아지지부와, 상기 정렬바아지지부를 통해 상기 간격조절편의 정렬바아삽입공에 삽입되어 상기 인접하는 양 내부거푸집패널의 모서리 단부를 일치시키는 정렬바아를 갖는 내부패널정렬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간격조절편 상단부에는 타격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한편, 상기 내부거푸집의 내측에서 상기 인접하는 내부거푸집패널의 양 단부 상호 접근 또는 이격시키는 턴버클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외부거푸집패널의 외측면에는 작업발판을 지지하는 발판지지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각 맨홀 거푸집의 결합상태 사시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도 2의 표시부 A 영역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각 맨홀 거푸집(1)은 사각 맨홀(5)의 외벽면을 형성하는 외부거푸집(10)과, 사각 맨홀(5)의 내벽면을 형성하는 내부거푸집(20)과, 외부거푸집(10)과 내부거푸집(20)을 상호 결속하는 내외거푸집결속부재(30)를 포함한다.
외부거푸집(10)은 형성될 사각 맨홀(5)의 외벽면에 대응하는 4장의 외부거푸집패널(11)들을 사각형상으로 상호 결합하여 형성된다. 각 외부거푸집패널(11)들은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 과정에서 발생하는 압력에 견딜 수 있는 정도의 강도를 갖는 금속판재 또는 합판이나 합성수지 판재 등이나 이들을 합성한 부재 등에 의해 제작되며, 각 외부거푸집패널(11)의 둘레 단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플랜지(11a)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외부거푸집패널(11)들은 사각형상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네 모서리부위(각 외부거푸집패널(11)의 폭 방향 양단부)에 앵글 등의 "ㄴ"자 형상을 갖는 외부패널연결부재(13)를 개재하고 외부패널연결부재(13)와 인접하는 양측의 외부거푸집패널(11)의 결합플랜지(11a)를 볼트 너트 등으로 결합함으로써, 사각형상의 외부거푸집(10)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외부거푸집(10)을 해체할 때는 외부패널연결부재(13)를 분리함으로써, 외부거푸집패널(11)들을 해체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거푸집패널(11)의 외측면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지 지대(50)가 결합될 수 있다. 이 발판지지대(50)는 높이가 높은 맨홀을 시공할 때 비계를 설치하지 않고도 작업할 수 있는 작업발판(60)을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거푸집패널(11)의 외측면에 결합공(51a)을 가지고 고정된 지지대결합부재(51)와, 지지대결합부재(51)의 결합공(51a)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부(53a)를 가지고 작업발판(60)을 지지하는 지지대본체(53)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내부거푸집(20)은 형성될 사각 맨홀(5)의 내벽면에 대응하는 4장의 내부거푸집패널(21)과, 내부거푸집패널(21)들의 분리영역에 개재되는 간격조절편(23)과, 내부거푸집패널(21)들의 사각형성면을 일치시키는 내부패널정렬부재(25)와, 인접하는 양 내부거푸집패널(21)을 상호 접근 및 이격시키는 턴버클유닛(27)을 포함한다.
각 내부거푸집패널(21)들은 외부거푸집패널(11)과 마찬가지로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 과정에서 발생하는 압력에 견딜 수 있는 정도의 강도를 갖는 금속판재 또는 합판이나 합성수지 판재 등이나 이들을 합성한 부재 등에 의해 제작된다.
그리고, 각 내부거푸집패널(21)은 사각형 배치 상태에서 네 모서리영역이 턴버클유닛(27)의 조작에 의해 상호 접근 및 이격되도록 분리된 영역으로 형성된다. 이때, 각 내부거푸집패널(21)의 폭 방향 양단부는 상하 길이방향으로 결합된 앵글 등의 접촉부재(21a)에 의해 45도의 접촉면(21b)이 형성된다. 인접하는 양 내부거푸집패널(21)의 상호 대향하는 양 접촉면(21b) 사이에 간격조절편(23)이 개재된다.
여기서, 내부거푸집패널(21)의 폭 방향 양측 길이는 형성될 맨홀 내벽면의 폭 방향 길이에서 간격조절편(23)의 두께를 뺀 길이를 갖는다. 이는 내부거푸집패널(21)의 네 모서리영역에 간격조절편(23)이 개재된 상태가 맨홀 내벽면 대응하는 길이가 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간격조절편(23)은 도 3a 및 도 3b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거푸집패널(21)의 접촉면(21b) 폭과 같은 폭과 상하 길이를 가지고 있으며, 사각으로 배치된 내부거푸집패널(21)의 네 모서리영역에서 인접하는 내부거푸집패널(21)의 상호 대향하는 접촉면(21b) 사이에 개재된다. 그리고, 내부거푸집패널(21)의 내측을 향하는 간격조절편(23)의 내측 단부영역 판면에는 상하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후술할 내부패널정렬부재(25)의 정렬바아(25b)가 통과하는 정렬바아삽입공(23a)이 형성된 절곡된 형상의 복수의 인출편(23c)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간격조절편(23)의 상단부에는 내부거푸집(20)을 해체할 때 간격조절편(23)을 내향 타격하기 위한 타격홈(23b)이 형성되어 있다.
내부패널정렬부재(25)는 간격조절편(23)의 인출편(23c)에 대응하도록 인접하는 내부거푸집패널(21)의 양 접촉부재(21a) 내측면에 상하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인출편(23c)의 정렬바아삽입공(23a)에 대응하는 정렬공(25c)를 갖는 정렬바아지지부(25a)와, 양 정렬바아지지부(25a)의 정렬공(25c)를 통해 간격조절편(23)의 정렬바아삽입공(23a)에 삽입되어 인접하는 양 내부거푸집패널(21)의 모서리 단부를 일치시키는 정렬바아(25b)로 구성되어 있다.
턴버클유닛(27)은 내부거푸집(20)의 내측에서 양 측의 연결바아(27a)가 상호 인접하는 내부거푸집패널(21)의 폭 방향 단부에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이 턴버클유닛(27)은 중앙의 회동부재(27b)를 회전 조작함으로써, 인접하는 내부거푸집패널(21)의 폭 방향 양 단부를 상호 접근 및 이격시킨다.
여기서, 내부거푸집(20)을 형성하는 4개의 내부거푸집패널(21)들의 상호 접하는 모서리 영역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맨홀의 내측면 모서리 영역이 면으로 형성되는 헌치 구조(55)를 갖도록 절곡된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내부거푸집(20)을 형성하는 4개의 내부거푸집패널(21)들은 상호 결합에 의해 사각형상의 내부거푸집(20)을 형성할 수 있는 구조 범위에서 도 11과 같이, ㄱ자 형상을 갖도록 제작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내부거푸집패널(21)의 분리영역이 사각형의 모서리영역이 아닌 각 변에 형성되며, 간격조절편(23)과 내부패널정렬부재(25) 역시 각 변에 형성되는 분리영역에 인접하는 양 내부거푸집패널(21) 사이영역에 설치된다. 그리고, 턴버클유닛(27)은 상호 대향하는 내부거푸집패널(21)의 내측면을 상호 연결하도록 설치된다.
내외거푸집결속부재(30)는 콘크리트 타설공간을 통해 내부거푸집(20)과 외부거푸집(10)을 결속시킴으로써, 콘크리트 타설과 양생과정에서 발생하는 콘크리트 압력에 대해 내부거푸집(20)과 외부거푸집(10)의 판면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 내외거푸집결속부재(30)는 일반적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널리 이용되는 것으로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본 발명에 따른 사각 맨홀 거푸집(1)을 이용하여 사각 맨홀(5)을 시공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먼저, 내부거푸집(20)을 설치할 때는 사각형으로 배치된 각 내부거푸집패널(21)들이 상호 이격되도록 턴버클유닛(27)을 조작한다. 그러면, 내부거푸집패널(21)들의 모서리 영역이 이격되면서 인접하는 내부거푸집패널(21)의 상호 대향하는 접촉면(21b) 사이에 간격조절편(23)을 개재할 수 있는 간격이 형성된다.
이 상태에서 내부거푸집패널(21)의 네 모서리 영역에 형성된 간격에 간격조절편(23)들을 개재하고 내부패널정렬부재(25)의 정렬바아(25b)를 정렬바아지지부(25a)와 간격조절편(23)의 정렬바아삽입공(23a)에 결합한다.
그리고, 다시 턴버클유닛(27)을 반대방향으로 조작하면 내부거푸집패널(21)들의 네 모서리영역의 접촉면(21b)들이 간격조절편(23)이 개재된 상태로 상호 접하도록 접근하여 사각형상의 내부거푸집(20)이 형성되고, 형성된 내부거푸집(20)을 시공위치에 설치함으로써, 내부거푸집(20)의 설치시공이 완료된다.
이때, 내부거푸집패널(21)들의 네 모서리 영역은 내부패널정렬부재(25)에 의해 인접하는 내부거푸집패널(21)의 폭 방향 단부들이 상호 일치하면서 사각형의 모서리를 형성한다.
내부거푸집(20)의 설치시공이 완료된 다음에는 내부거푸집(20) 둘레영역에 콘크리트 타설공간을 두고 외부거푸집패널(11)들을 사각으로 설치한다. 각 외부거푸집패널(11)들의 모서리영역은 전술한 바와 같이, 앵글 등의 외부패널연결부재(13)에 의해 인접하는 외부거푸집패널(11)의 폭 방향 단부들이 결합된다. 이에 의 해, 내부거푸집(20)을 둘러싸는 사각의 외부거푸집(10)의 설치시공이 도 4와 같이, 완료된다. 헌치구조(55)를 갖는 내부거푸집(20)의 경우에는 도 5와 같이 완료된다.
내부거푸집(20)과 외부거푸집(10)의 시공이 완료된 다음에는 내외거푸집결속부재(30)를 이용하여 내부거푸집(20)과 외부거푸집(10)을 결속시킴으로써, 사각 맨홀 거푸집(1)의 설치시공이 완료된다.
이렇게 사각 맨홀 거푸집(1) 설치 시공이 완료된 다음에는, 내부거푸집(20)과 외부거푸집(10) 사이의 콘크리트 타설공간에 도 4 및 도 5와 같이,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소정 기간 양생시키면, 사각 맨홀(5) 구조체가 형성된다.
한편,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 기간을 거쳐 사각 맨홀(5) 제작이 완료되어 사각 맨홀 거푸집(1)을 해체할 때는 도 6과 같이, 내외거푸집결속부재(30)의 결속을 해체한 후, 외부거푸집(10)의 모서리영역에서 외부패널연결부재(13)를 분리한다. 그러면, 각 외부거푸집패널(11)들이 간단하게 해체된다. 이때, 외부거푸집패널(11)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상태에서 상호 대향하는 양측 모서리영역의 외부패널연결부재(13)만을 분리하여도 간단하게 해체된다.
그리고, 내부거푸집(20)을 해체할 때는, 내부패널정렬부재(25)의 정렬바아(25b)들을 분리한 상태에서 소정의 타격공구를 간격조절편(23)의 상단에 형성된 타격홈(23b)에 삽입한 상태에서 해머 등으로 타격공구를 사각 맨홀(5) 내측으로 타격 및/또는 인출편(23c)을 해당 작업공구를 이용하여 내향 가압하면 간격조절편(23)이 내부거푸집패널(21)의 양 접촉면(21b) 사이에서 내향 이탈된다.
간격조절편(23)을 제거하고 난 후에는, 턴버클유닛(27)을 조작하여 도 8과 같이, 인접하는 내부거푸집패널(21)들의 모서리 단부를 접근시키면, 내부거푸집패널(21)들이 사각 맨홀(5)의 내벽면으로부터 내향 이격됨으로써, 내부거푸집패널(21)들을 사각 맨홀(5) 내부로부터 간단하게 인출하여 도 9와 같이, 사각 맨홀 거푸집(1)의 해체를 간단하게 완료할 수 있다. 이때, 내부거푸집패널(21)들은 통째로 인출될 수 있다. 또한, 간격조절편(23)을 와이어(미도시)등으로 내부거푸집패널(21) 일 영역에 연결해 놓으면 내부거푸집패널(21)과 함께 사각 맨홀(5) 내부로부터 인출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각 맨홀 거푸집은 외부거푸집과 내부거푸집이 간단한 구조를 가지고 있고, 특히 내부거푸집이 턴버클유닛과 정렬부재 및 결속부재에 의해 간단하게 조립 및 분해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설치 및 분해 작업이 매우 편리하고 작업시간과 작업인원을 현격하게 절감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시공작업이 간단하고, 특히, 내부거푸집의 해체작업이 용이하며,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는 사각 맨홀 거푸집이 제공된다.
또한, 사각맨홀의 높이가 높을 경우에는 외부거푸집 외측에 마련되는 발판지지대에 작업발판을 간단하게 설치함으로써, 비계 등의 복잡한 추가 공정이 필요없게 된다. 이에 의해, 시공기간 증가 및 시공비 상승을 더욱 절감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시공작업이 간단하고, 특히, 내부거푸집의 해체작업이 용이하여 신속하게 공사를 완료함으로써, 시공기간과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는 사각 맨홀 거푸집을 제공된다.

Claims (7)

  1. 사각 맨홀 거푸집에 있어서,
    상기 맨홀의 외벽면을 형성하는 적어도 4개의 외부거푸집패널과, 상기 외부거푸집패널들의 양 단부를 연결하는 외부패널연결부재를 갖는 외부거푸집과;
    상기 맨홀의 내벽면을 형성하는 적어도 4개의 내부거푸집패널과, 상호 인접하는 상기 내부거푸집패널들의 양 단부 사이에 개재되는 간격조절편을 갖는 내부거푸집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각 맨홀 거푸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거푸집패널과 상기 내부거푸집패널들은 평판 패널로 마련되며, 상기 외부패널연결부재와 상기 간격조절편은 각각 상기 외부거푸집과 상기 내부거푸집의 모서리영역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각 맨홀 거푸집.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거푸집패널의 폭 방향 양단부에는 인접하는 내부거푸집패널과 직각을 이루도록 45도의 접촉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간격조절편은 상기 인접하는 양 내부거푸집패널의 상호 대향하는 상기 양 접촉면 사이에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각 맨홀 거푸집.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편의 내측 단부영역 판면에는 상하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정렬바아삽입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정렬바아삽입공에 대응하는 상기 인접한 양 내부거푸집패널 내측에 상하 방향을 따라 정렬바아지지부와, 상기 정렬바아지지부를 통해 상기 간격조절편의 정렬바아삽입공에 삽입되어 상기 인접하는 양 내부거푸집패널의 모서리 단부를 일치시키는 정렬바아를 갖는 내부패널정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각 맨홀 거푸집.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편 상단부에는 타격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각 맨홀 거푸집.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거푸집의 내측에서 상기 인접하는 내부거푸집패널의 양 단부 상호 접근 또는 이격시키는 턴버클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각 맨홀 거푸집.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거푸집패널의 외측면에는 작업발판을 지지하는 발판지지대가 마련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각 맨홀 거푸집.
KR1020050085170A 2005-09-13 2005-09-13 사각 맨홀 거푸집 KR1007335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5170A KR100733584B1 (ko) 2005-09-13 2005-09-13 사각 맨홀 거푸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5170A KR100733584B1 (ko) 2005-09-13 2005-09-13 사각 맨홀 거푸집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6358U Division KR200403876Y1 (ko) 2005-09-13 2005-09-13 사각 맨홀 거푸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0477A true KR20070030477A (ko) 2007-03-16
KR100733584B1 KR100733584B1 (ko) 2007-07-03

Family

ID=41632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5170A KR100733584B1 (ko) 2005-09-13 2005-09-13 사각 맨홀 거푸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358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8078B1 (ko) * 2007-09-05 2008-05-07 오영재 높이가 조절되는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맨홀 제작용거푸집
KR20200134511A (ko) * 2019-05-22 2020-12-02 (주)다정하이테크 거푸집 겸용 건축물 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002Y1 (ko) * 2011-07-26 2013-07-22 충청레미콘(주) 콘크리트 맨홀 성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5965B1 (ko) * 2002-02-27 2004-01-24 세종종합건설 주식회사 오염방지를 위한 조립식 거푸집과 이를 이용한 맨홀 및 옹벽구체, 그리고 그 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8078B1 (ko) * 2007-09-05 2008-05-07 오영재 높이가 조절되는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맨홀 제작용거푸집
KR20200134511A (ko) * 2019-05-22 2020-12-02 (주)다정하이테크 거푸집 겸용 건축물 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3584B1 (ko) 2007-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3641B1 (ko) 거푸집 선조립형 기둥 구조물
KR200403876Y1 (ko) 사각 맨홀 거푸집
KR102007947B1 (ko) 가변식 탈형 보 데크 및 시공방법
KR101758493B1 (ko) 프리캐스트 영구거푸집 및 그 시공방법
KR101608944B1 (ko) 건축용 스틸 거푸집 폼 및 이를 사용한 건축 구조물 형성 공법
KR20100009969U (ko) 거푸집패널 조립식 프레임
KR102259453B1 (ko) 건축용 벽체 일체형 거푸집 조립체
KR100733584B1 (ko) 사각 맨홀 거푸집
KR100568666B1 (ko) 건축용 조립식 거푸집 연결 고정구
KR200448085Y1 (ko) 거푸집패널 조립식 프레임
KR20080001874U (ko) 기둥 거푸집
KR102115986B1 (ko) 거푸집 패널 및 이를 구비하는 선조립 기둥 구조물
KR102252141B1 (ko) 거푸집 겸용 건축물 벽체
KR20200141855A (ko) 건축물의 벽 시공 구조
KR20180001212A (ko) 강성구조를 갖는 조립식 영구거푸집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칼럼용 영구거푸집의 시공 방법
KR100889338B1 (ko) 거푸집용 조립식 패널
KR101463106B1 (ko) 건축용 pc 기둥과 보의 연결구조물
KR200357642Y1 (ko) 인코너판넬 보강구조
KR102181071B1 (ko) 곡면형 벽체 형성용 거푸집 체결장치
KR101683713B1 (ko) 조립식 거푸집
KR102000522B1 (ko) 탈형 거푸집 및 탈형 거푸집 일체형 선조립 기둥
KR101870436B1 (ko) 보관 및 운반 효율성을 향상시킨 알폼용 거푸집의 조립식 패널 및 그 조립식 패널을 이용한 알폼용 거푸집 조립방법
KR200405361Y1 (ko) 슬라이딩 엔드 패널
KR200321085Y1 (ko) 유로 폼 패널의 결합구조
KR101203190B1 (ko) 콘크리트용 거푸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