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4141B1 - 보 거푸집 및 보 거푸집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보 거푸집 및 보 거푸집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4141B1
KR102034141B1 KR1020190036751A KR20190036751A KR102034141B1 KR 102034141 B1 KR102034141 B1 KR 102034141B1 KR 1020190036751 A KR1020190036751 A KR 1020190036751A KR 20190036751 A KR20190036751 A KR 20190036751A KR 102034141 B1 KR102034141 B1 KR 1020341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root
side plate
fixing
low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6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환빈
Original Assignee
임환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환빈 filed Critical 임환빈
Priority to KR1020190036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41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41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41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3/00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 E04G13/04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lintels, beams, or transoms to be encased separately; Special tying or clamp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8Spacers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and spacing the reinforcements from the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늑근의 고정이 용이한 보 거푸집 및 보 거푸집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하판과 상기 하판에 수직으로 연결 형성되는 다수개의 측판으로 이루어지는 거푸집 본체부; 상기 거푸집 본체부의 내부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늑근 고정부; 및 상기 늑근 고정부에 결합되어, 상기 거푸집 본체부의 내부로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보강하기 위한 다수개의 늑근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보 거푸집 및 보 거푸집 시공방법 {beam form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보 거푸집 및 보 거푸집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늑근의 고정이 용이한 보 거푸집 및 보 거푸집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천장에는 지지력을 높이기 위하여 천장 아래쪽으로 돌출된 보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보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는 거푸집을 설치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54447호(2010.04.15 등록)는 보 구조용 거푸집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시공되는 보 구조물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진 장방형의 형상으로, 제1비드가 형성된 하부판; 상기 하부판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갖고 있으며, 하단부가 상기 하부판의 양측단부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하부판의 양측에 각각 세워지고, 폭방향을 따라 굴곡지게 형성된 제1,2측판들; 상기 하부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평하게 서로 이격되어 배열되며, 양단부가 상기 제1,2측판들의 내측면에 각각 고정되는 복수 개의 수평 보강 플레이트들; 상기 제1측판으로부터 내부 방향으로 인접된 위치에 상기 하부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세워지고, 일 단부가 상기 하부판에 고정되고 타 단부는 상기 제1측판의 상단보다 상부로 노출되도록 연장되는 복수 개의 제1지지부재; 및 상기 제2측판으로부터 내부 방향으로 인접된 위치에 상기 하부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세워지고, 일 단부가 상기 하부판에 고정되고 타 단부는 상기 제2측판의 상단보다 상부로 노출되도록 연장되는 복수 개의 제2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009753호(2011.01.13 등록)는 보 구조용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 시공되는 보 구조물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진 장방형의 형상으로 형성된 하부판; 상기 하부판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지고 있으며, 하단부가 상기 하부판의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하부판의 일측에 세워지고, 내측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제1비드가 폭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되게 배열되는 제1측판; 상기 하부판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지고 있으며, 하단부가 상기 하부판의 타측에 고정되어 상기 하부판의 타측에 세워지고, 내측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마주보는 상기 제1비드의 위치에 대응하여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제2비드가 폭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열되는 제2측판; 및 상기 제1비드 및 제2비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하게 서로 이격되게 배열되며, 양단부가 수평방향으로 대응되는 상기 제1비드 및 상기 제2비드 각각에 결합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측판지지부재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비드 및 상기 제2비드는, 내측 수평 방향에 대하여 연장된 후 단부가 상향 절곡되어 제1안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측판지지부재는, 양단부가 상기 제1안착홈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하향 절곡된 후 수평 방향에 대하여 연장되어 상기 제1안착홈에 삽입되어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보 거푸집은, 콘크리트와의 합성을 향상시키고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늑근을 거푸집 내부에 결합하기 위해 늑근을 기 설정된 위치에 위치시킨 후 작업자가 직접 손으로 잡고 고정시킨 상태에서 용접하거나, 별도의 고정장치를 설치하여 늑근을 고정시킨 후 용접 작업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54447호 한국등록특허 제10-1009753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늑근의 고정 및 용접 결합이 용이한 보 거푸집을 제공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하판과 상기 하판에 수직으로 연결 형성되는 다수개의 측판으로 이루어지는 거푸집 본체부; 상기 거푸집 본체부의 내부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늑근 고정부; 및 상기 늑근 고정부에 결합되어, 상기 거푸집 본체부의 내부로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보강하기 위한 다수개의 늑근부를 포함하는 보 거푸집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늑근 고정부는, 상기 하판과 상기 측판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에 연결 형성되는 보조판; 및 상기 보조판에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개로 형성되어, 상기 늑근부를 삽입하여 고정하기 위한 고정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측판은, 수직 방향으로 다수개 결합되는 기본측판; 상기 기본측판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측판; 및 상기 기본측판의 상부에 결합되어, 데크의 단부를 걸기 위한 걸림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걸림판은, 단면이 ‘ㄴ’자 또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평으로 형성된 부분이 상기 기본측판의 상부와 결합되고 수직으로 형성된 부분이 상기 늑근부와 결합되는 걸림판 결합부재; 상기 걸림판 결합부재의 일 말단에 수직으로 상향 절곡 형성되는 제1 걸림판 연장부재; 상기 제1 걸림판 연장부재의 상단에 수평으로 절곡 형성되는 제2 걸림판 연장부재; 상기 제2 걸림판 연장부재에 점착 형성되어, 콘크리트액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누수방지테이프부재; 및 상기 제2 걸림판 연장부재에 수직으로 하향 절곡 형성되어, 콘크리트액이 수직으로 낙하하도록 하기 위한 제3 걸림판 연장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한 특징에 따르면, 시공위치에 거푸집 본체부를 설치하는 거푸집 본체부 설치단계; 및 상기 거푸집 본체부의 내부에 형성된 늑근 고정부에 늑근부를 삽입하여 고정시킨 후 상기 늑근 고정부와 상기 늑근부 사이를 결합하는 늑근부 결합단계를 포함하는 보 거푸집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늑근부를 거푸집 본체부의 내부에 형성된 늑근 고정부에 단순히 위치시키는 것만으로 늑근부를 고정시킬 수 있어서 늑근부의 용접 결합이 용이하여 인건비와 작업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으며, 늑근부를 항상 정확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으므로 품질과 강도 및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보 거푸집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보 거푸집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기본측판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하부측판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있는 걸림판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있는 걸림판을 다른 예로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있는 제1 하판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1에 있는 제2 하판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도 1에 있는 제1 하판과 제2 하판을 다른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보 거푸집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보 거푸집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2 및 도 13에 있는 늑근 고정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도 12 및 도 13에 있는 늑근 고정부를 다른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도 12 및 도 13에 있는 늑근 고정부를 또 다른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보 거푸집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보 거푸집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에 있는 지지바를 다른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0은 도 18에 있는 지지바를 또 다른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보 거푸집의 시공방법을 제1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보 거푸집의 시공방법을 제2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보 거푸집의 시공방법을 제3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 거푸집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보 거푸집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보 거푸집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보 거푸집(10)은, 거푸집 본체부(300), 늑근 고정부(400), 늑근부(500)를 포함한다.
거푸집 본체부(300)는, 하판(100)과 하판(100)에 수직으로 연결 형성되는 다수개의 측판(200)으로 이루어져, 내부로 콘크리트를 타설하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거푸집 본체부(300)는, 하판(100)의 양측에 2개의 측판(200)이 마주보도록 형성할 수 있으며, 하판(100)의 테두리 부분 각각에 4개의 측판(200)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하판(100) 또는 측판(200)은, 내측 방향으로 일정 깊이를 가지는 길이홈(A)이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개로 형성되어, 콘크리트의 하중 강도에 의해 형상이 변형되지 않도록 보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하판(100) 또는 측판(200)은, 합판이나 철판 등의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규격 및 다양한 형태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측판(200)은, 기본측판(210), 하부측판(220), 걸림판(23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기본측판(210)은, 수직 방향으로 다수개가 결합 형성되어, 거푸집 본체부(300)의 측판(200)을 형성한다.
하부측판(220)은, 일측이 다수개의 기본측판(210) 중 가장 아래쪽에 위치하는 기본측판(210)의 하부에 결합되며, 다른 일측이 하판(100)과 결합된다.
걸림판(230)은, 다수개의 기본측판(210) 중 가장 위쪽에 위치하는 기본측판(210)의 상부에 결합되어, 데크의 단부를 걸어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하판(100)은, 제1 하판(110), 제2 하판(12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하판(110)은, 일측이 하부측판(220)과 결합되고, 다른 일측이 제2 하판(120)과 결합된다.
제2 하판(120)은, 일측이 제1 하판(110)의 다른 일측에 결합되고, 다른 일측이 다른 하부측판(220)에 결합되어 하판(100)을 형성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하판(120)은, 하나 또는 다수개가 결합되어, 시공규모에 따라 길이를 다양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하판(120)은, 기본측판(210)과 동일한 크기 및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2 하판(120) 대신 기본측판(210)을 사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기본측판(210) 대신 제2 하판(120)을 사용할 수도 있다.
늑근 고정부(400)는, 거푸집 본체부(300)의 내부에 형성되어, 늑근부(500)를 삽입하여 고정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늑근 고정부(400)는, 거푸집 본체부(300)의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예를 들어, 75mm ~ 300mm)을 두고 다수개로 구비되어, 늑근부(500)를 각각 삽입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늑근 고정부(400)는, 늑근부(500)의 일부를 삽입할 수 있도록 늑근부(500)의 일부와 동일한 크기 및 형상(예를 들어, 반원 형상)의 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늑근부(500)의 일부가 늑근 고정부(400)에 삽입되어 고정됨에 따라 용접용 로봇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늑근 고정부(400)와 늑근부(500) 사이를 용접 작업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늑근 고정부(400)는, 기본측판(210), 하부측판(220), 걸림판(230), 제1 하판(110), 제2 하판(120) 각각에 모두 반원 형상의 홈으로 형성되어, 늑근부(500)를 위치시켜 고정할 수 있다.
늑근부(500)는, 거푸집 본체부(300)에 내부에 형성된 늑근 고정부(400)에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용접으로 결합되며, 거푸집 본체(300)의 내부로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보강한다.
일 실시 예에서, 늑근부(500)는, “*?*”자 형태로 형성되고 양쪽 상단이 각각 내측을 향하여 일정 각도(예를 들어, 90°~ 150°)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보 거푸집(10)은, 늑근부(500)를 거푸집 본체부(300)의 내부에 형성된 늑근 고정부(400)에 단순히 위치시키는 것만으로 늑근부(500)를 고정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고정 작업 또는 작업자가 손으로 잡고 고정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늑근부(500)의 용접 결합이 용이하여 인건비와 작업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으며, 늑근부(500)를 항상 정확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으므로 품질과 강도 및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있는 기본측판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기본측판(210)은, 기본판부재(211), 제1 기본판 결합부재(212), 제2 기본판 결합부재(213)를 포함한다.
기본판부재(211)는, 단면이 ‘1’자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단과 하단에 제1 기본판 결합부재(212), 제2 기본판 결합부재(213)가 각각 구비된다.
제1 기본판 결합부재(212)는, 기본판부재(211)의 상단에 연장 형성되어, 걸림판(230)과 용접으로 결합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기본판 결합부재(212)는, 기본판부재(211)의 상단에 단면이 ‘ㅡ’자 형상으로 연장되어지며, 다수개의 늑근 고정부(400)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기본판 결합부재(213)는, 기본판부재(211)의 하단에 단면이 ‘ㄴ’자 형상으로 연장되어져 하부가 하부측판(220)과 용접으로 결합되며, 수직으로 절곡 형성된 부분에 다수개의 늑근 고정부(40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있는 하부측판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하부측판(220)은, 하부판부재(221), 제1 하부판 결합부재(222), 제2 하부판 결합부재(223)를 포함한다.
하부판부재(221)는, 단면이 ‘ㄴ’자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단과 하단에 제1 하부판 결합부재(222), 제2 하부판 결합부재(223)가 각각 구비되어, 측판(200)과 하판(100)을 연결한다.
제1 하부판 결합부재(222)는, 하부판부재(221)의 상단에 연장 형성되어, 기본측판(210)의 제2 기본판 결합부재(213)의 하부와 결합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하부판 결합부재(222)는, 하부판부재(221)의 상단에 단면이 ‘ㅡ’자 형상으로 연장되어지며, 다수개의 늑근 고정부(400)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하부판 결합부재(223)는, 하부판부재(221)의 하단에 단면이 ‘ㄱ’자 형상으로 연장되어져 상단에 다수개의 늑근 고정부(40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수직으로 이루어진 부분이 제1 하판(110)과 결합된다.
도 5는 도 1에 있는 걸림판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걸림판(230)은, 걸림판 결합부재(231), 제1 걸림판 연장부재(232), 제2 걸림판 연장부재(233), 누수방지테이프부재(미도시), 제3 걸림판 연장부재(235)를 포함한다.
걸림판 결합부재(231)는, 단면이 ‘ㄴ’자 또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수평으로 형성된 부분이 기본측판(210)의 제1 기본판 결합부재(212)와 결합되고 수직으로 형성된 부분에 다수개의 늑근 고정부(400)가 구비되어 늑근부(500)와 결합되도록 한다.
제1 걸림판 연장부재(232)는, 걸림판 결합부재(231)의 일 말단에 수직으로 상향 절곡 형성되어, 데크의 단부를 걸어준다.
제2 걸림판 연장부재(233)는, 제1 걸림판 연장부재(232)의 상단에 수평으로 절곡 형성된다.
누수방지테이프부재는, 제2 걸림판 연장부재(233)에 점착 형성되어, 콘크리트액 누수를 방지한다.
제3 걸림판 연장부재(235)는, 제2 걸림판 연장부재(233)에 수직으로 하향 절곡 형성되어, 콘크리트액이 수직으로 낙하하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3 걸림판 연장부재(235)는, 거푸집 본체부(300)의 내부로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 액이 넘쳐흘렀을 경우 콘크리트 액이 측판(200)의 외측면을 타고 흘러내리지 않고 바로 낙하하게 하여 시공 후 청소 및 표면 후작업에 용이하다.
도 6은 도 1에 있는 걸림판을 다른 예로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걸림판(230)은, 외측 부분의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기본측판(210)과 용접시 단면이 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강성이 보강되며, 이로 인해 데크 설치시 데크를 받쳐주어 보 거푸집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도 1에 있는 제1 하판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하판(110)은, 제1 하판부재(111), 제1 하판 결합부재(112, 113)를 포함한다.
제1 하판부재(111)는, 단면이 ‘ㅡ’자 형태로 이루어지며, 양단에 제1 하판 결합부재(112, 113)가 각각 구비된다.
제1 하판 결합부재(112, 113)는, 제1 하판부재(111)의 좌단과 우단에 각각 내측으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어, 하나의 제1 하판 결합부재(112)는 제2 하판(120)과 용접으로 결합되고 다른 하나의 제1 하판 결합부재(113)는 하부측판(220)과 용접으로 결합된다.
일 실시 예에서, 다른 하나의 제1 하판 결합부재(113)는, 하부측판(220)의 제2 하부판 결합부재(223)와 밀착된 상태에서 용접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하판 결합부재(112, 113)는, 상단에 다수개의 늑근 고정부(400)가 형성되어, 늑근부(500)의 하부 일부가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8은 도 1에 있는 제2 하판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2 하판(120)은, 제2 하판부재(121), 제2 하판 결합부재(122), 제2 하판 연장부재(123)를 포함한다.
제2 하판부재(121)는, 단면이 ‘ㅡ’자 형태로 이루어지며, 양단에 제2 하판 결합부재(122)와 제2 하판 연장부재(123)가 각각 구비된다.
제2 하판 결합부재(122)는, 제2 하판부재(121)의 좌단에 내측으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어, 다른 하부측판(220)과 용접으로 결합된다.
제2 하판 연장부재(123)는, 제2 하판부재(121)의 우단에 단면이 ‘ㄱ’자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어, 제1 하판(110)의 제1 하판 결합부재(112)와 용접으로 결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보 거푸집(10)의 하판(100)과 측판(200)은 이 외에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은 도 1에 있는 제1 하판과 제2 하판을 다른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제1 하판(110)과 제2 하판(120)의 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제1 하판(110)의 제1 하판 결합부재(112, 113)와 제2 하판(120)의 제2 하판 결합부재(122), 제2 하판 연장부재(123)가 모두 단면이 ‘ㄱ’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ㄱ’자로 꺾인 부분이 서로 겹쳐진 상태에서 용접으로 결합되도록 하여, 겹쳐지는 면적이 증대되기 때문에 용접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하판(100)의 보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하판(110)의 후단이 내측 방향으로 일정 깊이만큼 절곡 형성되어, 제1 하판(110)의 후단이 다른 제1 하판의 전단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 하판(110)의 전단과 후단에는 ‘ㄱ’자 형상의 제1 하판 결합부재(112, 113)를 생략하여, 제1 하판(110)의 후단과 다른 제1 하판의 전단이 용이하게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2 하판(120)도 제1 하판(110)과 마찬가지로 다른 제2 하판과 끼움 결합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보 거푸집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보 거푸집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며, 도 14는 도 12 및 도 13에 있는 늑근 고정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보 거푸집(10)은, 거푸집 본체부(300), 늑근 고정부(400), 늑근부(500)를 포함하되, 늑근 고정부(400)는, 보조판(410), 고정홈(42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거푸집 본체부(300), 늑근부(5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유사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아래에서 설명한다.
보조판(410)은, 하판(100)과 측판(200)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에 연결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보조판(410)은, 기본측판(210), 하부측판(220), 걸림판(230), 제1 하판(110), 제2 하판(120)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에 연결 형성될 수 있으며, 이들을 용접으로 결합하기 위해 합판이나 철판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보조판(410)은, 하판(100) 또는 측판(200)이 내측으로 절곡 형성된 부분 보다 돌출되게 연결 형성될 수 있다.
고정홈(420)은, 보조판(410)에 일정 간격(예를 들어, 75mm ~ 300mm)을 두고 다수개로 형성되어, 늑근부(500)의 일부를 삽입하여 고정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홈(420)은, 늑근부(500)의 일부를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늑근부(500)의 일부와 동일한 크기 및 형상(예를 들어, 반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보 거푸집(1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늑근 고정부(400)가 형성되지 않은 기존의 다른 보 거푸집에도 보조판(410)을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시공 규격에 따라 알맞은 늑근 고정부(400)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그 효율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5는 도 12 및 도 13에 있는 늑근 고정부를 다른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늑근 고정부(400)는, 보조 고정체(430)을 더 포함한다.
보조 고정체(430)는, 다수개의 고정홈(420)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에 형성되어, 늑근부(500)를 보조적으로 고정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보조 고정체(430)는, 다수개의 고정홈(420)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되어, 늑근부(500)를 삽입하여 보조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보조 고정체(430)는, ‘U’자 형태로 형성되어, 개방된 부분으로 늑근부(500)를 삽입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보조 고정체(430)는, 늑근부(500)의 일부에 대응하는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되어, 늑근부(500)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즉, 늑근부(500)는 늑근 고정부(400)의 고정홈(420)에 위치되어 일차적으로 고정되며, 보조 고정체(430)에 삽입되어 이차적으로 고정되는 것이다.
일 실시 예에서, 보조 고정체(430)는, 늑근부(500)를 위치시키기 위한 공간이 고정홈(420)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으며, 늑근부(500)가 삽입되는 입구가 좁게 형성되어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보조 고정체(430)는, 늑근부(500)를 삽입하여 고정시키기 위해 내구성과 탄력성이 좋은 재질(예를 들어, 플라스틱, 알루미늄 등)로 형성할 수 있다.
도 16은 도 12 및 도 13에 있는 늑근 고정부를 또 다른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늑근 고정부(400)는, 걸림턱(440)을 더 포함한다.
걸림턱(440)은, 고정홈(420)과 일정 간격(예를 들어, 75mm ~ 300mm)을 두고 보조판(410)에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형성되어, 기본측판(210), 하부측판(220), 걸림판(230), 제1 하판(110), 제2 하판(120)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설치위치에 걸리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걸림턱(440)은, 늑근부(500)를 고정홈(420)에 삽입할 수 있도록 보조판(410)을 고정하기 위해 고정홈(420)과 동일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시공시 걸림턱(440)에 의해 보조판(410)이 정확한 설치위치에 걸리면서 수평으로 고정되어, 보조판(410)이 삐뚤어지게 결합되는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작업자가 손으로 직접 잡고 고정할 필요가 없어져 용접 결합이 용이하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보 거푸집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보 거푸집(10)은, 거푸집 본체부(300), 늑근 고정부(400), 늑근부(500), 보강바(600)를 포함한다. 여기서, 거푸집 본체부(300), 늑근 고정부(400), 늑근부(5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유사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아래에서 설명한다.
보강바(600)는, 걸림판(230)과 마주보는 다른 걸림판의 사이에 형성되어 보강함으로써, 측판(200)이 좌우로 벌어지거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걸림판(230)은, 보강바(600)가 설치되는 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에 보강바(600)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홈이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보강바(600)는, 바람직하게는 걸림판(230)의 양단에 각각 구비될 수 있으며, 시공 규격에 따라 걸림판(230)의 중앙에 다수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보강바(600)는, 길이 약 300mm ~ 1000mm를 가지는 평철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보 거푸집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보 거푸집(10)은, 거푸집 본체부(300), 늑근 고정부(400), 늑근부(500), 보강바(600), 지지바(700)를 포함한다. 여기서, 거푸집 본체부(300), 늑근 고정부(400), 늑근부(500), 보강바(600)는 도 1 및 도 17의 구성요소와 유사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아래에서 설명한다.
지지바(700)는, 수직 방향으로 다수개가 결합된 기본측판(210)들 사이에 각각 형성되어, 보강바(600)와 함께 측판(200)의 전체적인 강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타설 시 하중에 의해 측판(200) 좌우로 벌어지거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측판(200)의 폭을 고정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지지바(700)는, 길이 약 300mm ~ 1000mm를 가지는 평철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지지바(700)는, 측판(200)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부분은 상부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되 양단은 평평하게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9의 형상이 두 개 합쳐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외에도 지지바(700)는 지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보 거푸집의 시공방법을 제1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우선, 하판(100)에 다수개의 측판(200)을 수직으로 연결하여 거푸집 본체부(300)의 형태를 형성하며, 형성된 거푸집 본체부(300)를 시공위치에 설치한다(S100).
상술한 단계 S100에 있어서, 거푸집 본체부(300)는, 하판(100)의 양측에 2개의 측판(200)이 마주보도록 형성할 수 있으며, 하판(100)의 테두리 부분 각각에 4개의 측판(200)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술한 단계 S100에 있어서, 하판(100) 또는 측판(200)은, 내측 방향으로 일정 깊이를 가지는 길이홈(A)이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개로 형성되어, 콘크리트의 하중 강도에 의해 형상이 변형되지 않도록 보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100에 있어서, 하판(100) 또는 측판(200)은, 합판이나 철판 등의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규격 및 다양한 형태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100에 있어서, 측판(200)은, 기본측판(210), 하부측판(220), 걸림판(23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100에서 설치된 거푸집 본체부(300)의 내부에 형성된 늑근 고정부(400)에 늑근부(500)를 삽입하여 고정시킨 후 늑근 고정부(400)와 늑근부(500) 사이를 용접으로 결합한다(S200).
상술한 단계 S200에 있어서, 늑근 고정부(400)는, 거푸집 본체부(300)의 내부에 형성되어, 늑근부(500)를 삽입하여 고정시킨다.
상술한 단계 S200에 있어서, 늑근 고정부(400)는, 거푸집 본체부(300)의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예를 들어, 75mm ~ 300mm)을 두고 다수개로 구비되어, 늑근부(500)를 삽입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200에 있어서, 늑근 고정부(400)는, 늑근부(500)의 일부를 삽입할 수 있도록 늑근부(500)의 일부와 동일한 크기 및 형상(예를 들어, 반원 형상)의 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늑근부(500)의 일부가 늑근 고정부(400)에 삽입되어 고정됨에 따라 용접용 로봇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늑근 고정부(400)와 늑근부(500) 사이를 용접 작업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200에 있어서, 늑근 고정부(400)는, 보조판(410), 고정홈(420), 걸림턱(44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조판(410)은, 하판(100)과 측판(200)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에 연결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보조판(410)은, 기본측판(210), 하부측판(220), 걸림판(230), 제1 하판(110), 제2 하판(120)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에 연결 형성될 수 있으며, 이들을 용접으로 결합하기 위해 합판이나 철판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보조판(410)은, 하판(100) 또는 측판(200)이 내측으로 절곡 형성된 부분 보다 돌출되게 연결 형성될 수 있다.
고정홈(420)은, 보조판(410)에 일정 간격(예를 들어, 75mm ~ 300mm)을 두고 다수개로 형성되어, 늑근부(500)의 일부를 삽입하여 고정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홈(420)은, 늑근부(500)의 일부를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늑근부(500)의 일부와 동일한 크기 및 형상(예를 들어, 반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걸림턱(440)은, 고정홈(420)과 일정 간격(예를 들어, 75mm ~ 300mm)을 두고 보조판(410)에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형성되어, 기본측판(210), 하부측판(220), 걸림판(230), 제1 하판(110), 제2 하판(120)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설치위치에 걸리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걸림턱(440)은, 늑근부(500)를 고정홈(420)에 삽입할 수 있도록 보조판(410)을 고정하기 위해 고정홈(420)과 동일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200에 있어서, 늑근부(500)는, 거푸집 본체부(300)에 내부에 형성된 늑근 고정부(400)에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용접으로 결합되며, 거푸집 본체(300)의 내부로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보강한다.
상술한 단계 S200에 있어서, 늑근부(500)는, “*?*”자 형태로 형성되고 양쪽 상단이 각각 내측을 향하여 일정 각도(예를 들어, 90°~ 150°)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보 거푸집의 시공방법을 제2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상술한 단계 S100 이전에, 기본측판(210), 하부측판(220), 걸림판(230)을 결합하여 측판(200)을 형성한다(S300).
상술한 단계 S300에 있어서, 기본측판(210)은, 수직 방향으로 다수개 결합 형성되어, 거푸집 본체부(300)의 측판(200)을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300에 있어서, 하부측판(220)은, 일측이 다수개의 기본측판(210) 중 가장 아래쪽에 위치하는 기본측판(210)의 하부에 결합되며, 다른 일측이 하판(100)과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300에 있어서, 걸림판(230)은, 다수개의 기본측판(210) 중 가장 위쪽에 위치하는 기본측판(210)의 상부에 결합되어, 데크의 단부를 걸어 고정시킬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300에 있어서, 수직 방향으로 다수개가 결합된 기본측판(210)들 사이에 각각 지지바(700)를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바(700)는, 측판(200)의 강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타설 시 하중에 의해 측판(200)이 좌우로 벌어지거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측판(200)의 폭을 고정시킨다.
상술한 단계 S100 이전에, 제1 하판(110), 제2 하판(120)을 결합하여 하판(100)을 형성한다(S400).
상술한 단계 S400에 있어서, 제1 하판(110)은, 하부측판(220)의 일측에 결합되고, 다른 일측에 제2 하판(120)이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400에 있어서, 제2 하판(120)은, 일측이 제1 하판(110)의 다른 일측에 결합되고, 다른 일측이 다른 하부측판(220)의 일측에 결합되어 하판(100)을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단계를 가지는 보 거푸집의 시공방법은, 도면에서 측판 결합단계(S300)가 하판 결합단계(S400) 보다 먼저 진행되는 것처럼 도시되었으나 이들의 순서는 바뀔 수도 있고 동시에 진행될 수도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보 거푸집의 시공방법을 제3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상술한 단계 S200 이후에 걸림판(230)과 마주보는 다른 걸림판의 사이에 보강바(600)를 설치한다(S500).
상술한 단계 S500에 있어서, 보강바(600)가 구비됨으로써 측판(200)이 좌우로 벌어지거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걸림판(230)은, 보강바(600)가 설치되는 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에 보강바(600)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홈이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500에 있어서, 보강바(600)는, 바람직하게는 걸림판(230)의 양단에 각각 구비될 수 있으며, 시공 규격에 따라 걸림판(230)의 중앙에 다수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술한 단계 S500에 있어서, 보강바(600)는, 길이 약 300mm ~ 1000mm를 가지는 평철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 보 거푸집
100 : 하판
110 : 제1 하판
120 : 제2 하판
200 : 측판
210 : 기본측판
220 : 하부측판
230 : 걸림판
231 : 걸림판 결합부재
232 : 제1 걸림판 연장부재
233 : 제2 걸림판 연장부재
235 : 제3 걸림판 연장부재
300 : 거푸집 본체부
400 : 늑근 고정부
410 : 보조판
420 : 고정홈
430 : 보조 고정체
440 : 걸림턱
500 : 늑근부
600 : 보강바
700 : 지지바

Claims (5)

  1. 하판과 상기 하판에 수직으로 연결 형성되는 다수개의 측판으로 이루어지는 거푸집 본체부;
    상기 거푸집 본체부의 내부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늑근 고정부; 및
    상기 늑근 고정부에 결합되어, 상기 거푸집 본체부의 내부로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보강하기 위한 다수개의 늑근부를 포함하되,
    상기 늑근 고정부는,
    상기 하판과 상기 측판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에 연결 형성되는 보조판;
    상기 보조판에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개로 형성되어, 상기 늑근부를 삽입하여 고정하기 위한 고정홈; 및
    상기 고정홈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에 형성되어, 상기 늑근부를 보조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보조 고정체를 포함하며,
    상기 측판은,
    수직 방향으로 다수개 결합되는 기본측판;
    상기 기본측판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측판; 및
    상기 기본측판의 상부에 결합되어, 데크의 단부를 걸기 위한 걸림판을 포함하며,
    상기 걸림판과 마주보는 다른 걸림판 사이에 형성되어 보강하기 위한 보강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 거푸집.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판은,
    단면이 ‘ㄴ’자 또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평으로 형성된 부분이 상기 기본측판의 상부와 결합되고 수직으로 형성된 부분이 상기 늑근부와 결합되는 걸림판 결합부재;
    상기 걸림판 결합부재의 일 말단에 수직으로 상향 절곡 형성되는 제1 걸림판 연장부재;
    상기 제1 걸림판 연장부재의 상단에 수평으로 절곡 형성되는 제2 걸림판 연장부재;
    상기 제2 걸림판 연장부재에 점착 형성되어, 콘크리트액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누수방지테이프부재; 및
    상기 제2 걸림판 연장부재에 수직으로 하향 절곡 형성되어, 콘크리트액이 수직으로 낙하하도록 하기 위한 제3 걸림판 연장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 거푸집.
  5. 시공위치에 하판에 다수개의 측판을 수직으로 연결하여 거푸집 본체부를 설치하는 거푸집 본체부 설치단계; 및
    상기 거푸집 본체부의 내부에 형성된 늑근 고정부에 늑근부를 삽입하여 고정시킨 후 상기 늑근 고정부와 상기 늑근부 사이를 결합하는 늑근부 결합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늑근 고정부는,
    상기 하판과 상기 측판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에 연결 형성되는 보조판;
    상기 보조판에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개로 형성되어, 상기 늑근부를 삽입하여 고정하기 위한 고정홈; 및
    상기 고정홈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에 형성되어, 상기 늑근부를 보조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보조 고정체를 포함하며,
    상기 측판은,
    수직 방향으로 다수개 결합되는 기본측판;
    상기 기본측판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측판; 및
    상기 기본측판의 상부에 결합되어, 데크의 단부를 걸기 위한 걸림판을 포함하며,
    상기 늑근부 결합단계 이후에,
    상기 걸림판과 마주보는 다른 걸림판 사이에 보강바를 설치하는 보강바 설치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 거푸집 시공방법.
KR1020190036751A 2019-03-29 2019-03-29 보 거푸집 및 보 거푸집 시공방법 KR1020341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6751A KR102034141B1 (ko) 2019-03-29 2019-03-29 보 거푸집 및 보 거푸집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6751A KR102034141B1 (ko) 2019-03-29 2019-03-29 보 거푸집 및 보 거푸집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4141B1 true KR102034141B1 (ko) 2019-10-18

Family

ID=68462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6751A KR102034141B1 (ko) 2019-03-29 2019-03-29 보 거푸집 및 보 거푸집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414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1478B1 (ko) * 2020-02-20 2021-02-05 주식회사 비콘 무해체 보 거푸집
KR20210054960A (ko) * 2019-11-06 2021-05-14 구연진 보 시공용 거푸집
KR20210054958A (ko) * 2019-11-06 2021-05-14 신희경 무해체 거푸집 및 이의 조립공정
KR20210093114A (ko) * 2020-01-17 2021-07-27 주식회사 제일테크노스 절곡강판을 이용한 비탈형 보 거푸집
KR102303283B1 (ko) * 2021-01-14 2021-09-17 (주)제이아이테크 안전 발판을 갖기 위한 철골보와 트러스 데크의 접합부 설치 구조
KR20220036491A (ko) * 2020-09-16 2022-03-23 (주)더나은구조엔지니어링 폭변동부를 갖는 강판거푸집보 및 폭변동부를 갖는 강판거푸집보와 춤이 깊은 데크플레이트를 적용한 건식화 공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1001U (ja) * 1991-02-18 1993-03-19 株式会社大林組 折曲げ式プレキヤストコンクリート型枠
KR100954447B1 (ko) 2010-01-12 2010-04-27 (주)동하이엔지 보 구조용 거푸집
KR101009753B1 (ko) 2010-07-21 2011-01-19 (주)동하이엔지 보 구조용 거푸집
KR101302520B1 (ko) * 2012-04-05 2013-09-06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캬라반지에스 콘크리트 벽체 시공구조
KR101586396B1 (ko) * 2015-09-07 2016-01-19 에스와이스틸텍 주식회사 누수방지 데크플레이트
KR20170030108A (ko) * 2015-09-08 2017-03-17 주식회사 상원스틸텍 조립식 거푸집 및 제작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1001U (ja) * 1991-02-18 1993-03-19 株式会社大林組 折曲げ式プレキヤストコンクリート型枠
KR100954447B1 (ko) 2010-01-12 2010-04-27 (주)동하이엔지 보 구조용 거푸집
KR101009753B1 (ko) 2010-07-21 2011-01-19 (주)동하이엔지 보 구조용 거푸집
KR101302520B1 (ko) * 2012-04-05 2013-09-06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캬라반지에스 콘크리트 벽체 시공구조
KR101586396B1 (ko) * 2015-09-07 2016-01-19 에스와이스틸텍 주식회사 누수방지 데크플레이트
KR20170030108A (ko) * 2015-09-08 2017-03-17 주식회사 상원스틸텍 조립식 거푸집 및 제작 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4960A (ko) * 2019-11-06 2021-05-14 구연진 보 시공용 거푸집
KR20210054958A (ko) * 2019-11-06 2021-05-14 신희경 무해체 거푸집 및 이의 조립공정
KR102260114B1 (ko) * 2019-11-06 2021-06-03 신희경 무해체 거푸집 및 이의 조립공정
KR102357209B1 (ko) * 2019-11-06 2022-01-28 구연진 보 시공용 거푸집
KR20210093114A (ko) * 2020-01-17 2021-07-27 주식회사 제일테크노스 절곡강판을 이용한 비탈형 보 거푸집
KR102401463B1 (ko) * 2020-01-17 2022-05-24 (주)제일테크노스 절곡강판을 이용한 비탈형 보 거푸집
KR102211478B1 (ko) * 2020-02-20 2021-02-05 주식회사 비콘 무해체 보 거푸집
KR20220036491A (ko) * 2020-09-16 2022-03-23 (주)더나은구조엔지니어링 폭변동부를 갖는 강판거푸집보 및 폭변동부를 갖는 강판거푸집보와 춤이 깊은 데크플레이트를 적용한 건식화 공법
KR102429962B1 (ko) * 2020-09-16 2022-08-08 (주)더나은구조엔지니어링 폭변동부를 갖는 강판거푸집보 및 폭변동부를 갖는 강판거푸집보와 춤이 깊은 데크플레이트를 적용한 건식화 공법
KR102303283B1 (ko) * 2021-01-14 2021-09-17 (주)제이아이테크 안전 발판을 갖기 위한 철골보와 트러스 데크의 접합부 설치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4141B1 (ko) 보 거푸집 및 보 거푸집 시공방법
KR102008724B1 (ko) 비탈형 보 거푸집 및 비탈형 보 거푸집 시공방법
KR101959041B1 (ko) 탈형 보 데크용 스페이서
JP2005524010A (ja) スロット排水管
KR101391945B1 (ko) 보강된 연속 단부와 하중 분배 구조를 갖는 데크 플레이트 시스템
US6322047B1 (en) Waler clamp assembly for a concrete wall form
KR102034138B1 (ko) 보 거푸집 및 보 거푸집 시공방법
KR101618798B1 (ko) 데크거푸집 고정 구조
KR102195990B1 (ko) 이중 구조로 형성된 무해체 거푸집 및 그 이중 구조로 형성된 무해체 거푸집의 내부에 단열재가 구비된 무해체 거푸집 어셈블리
KR20090006127U (ko) 슬래브의 개구부용 거푸집
KR101642110B1 (ko) 탈형 데크 플레이트
KR101525175B1 (ko) 목심 결합장치
EP3173547B1 (en) Formwork for the execution of horizontal castings for providing floor slabs
KR102236827B1 (ko) 경량 영구거푸집이 구비된 강합성 콘크리트 기둥용 선조립 철골 조립체
KR102459395B1 (ko) 조립식 트러스용 슬라이드 방식 너트 홀더
KR101990733B1 (ko) 유로폼을 이용한 슬래브 시공방법
KR101080440B1 (ko) 트러스와, 이 트러스가 설치되는 데크플레이트 구조체 및, 데크플레이트 구조체의 시공 방법
GB2037928A (en) Cross-member for Scaffolding
JP3138112U (ja) 屋根ユニット構造及びこれに使用する連結用金物
KR102270884B1 (ko) 3회 이상 중첩된 구조를 갖는 무해체 거푸집
KR101666981B1 (ko) 선조립형 철근 구조물의 결합구조
JP2005194805A (ja) 床板材連結金具、床板材連結方法及びその床構造体
KR20190126549A (ko) 철근 고정구
CN113585534B (zh) 一种装配式剪力墙
KR102277223B1 (ko) 강판-콘크리트 복합보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