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5946A - 데크플레이트 연결부 - Google Patents

데크플레이트 연결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5946A
KR20040055946A KR1020020082428A KR20020082428A KR20040055946A KR 20040055946 A KR20040055946 A KR 20040055946A KR 1020020082428 A KR1020020082428 A KR 1020020082428A KR 20020082428 A KR20020082428 A KR 20020082428A KR 20040055946 A KR20040055946 A KR 200400559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deck plate
locking
connection end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2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15915B1 (ko
Inventor
김무수
Original Assignee
명화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명화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명화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82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5915B1/ko
Publication of KR20040055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59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5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59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04B5/36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 E04B5/38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 E04B5/40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with metal form-sla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크플레이트의 각 연결단에 수직으로 형성된 돌기를 구비하여, 연결부에서 각 연결단이 면접촉 함으로써, 연결부의 연결상태가 양호해 질 수 있는 데크플레이트 연결부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 데크플레이트의 끝단에서 상측을 향해 수직으로 돌출된 제1연결단; 상기 제1연결단과 면접촉하도록 타측 데크플레이트의 끝단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제2연결단; 및 상기 제1연결단이 제2연결단과 접촉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제2연결단으로부터 하측을 향해 소정 각으로 절곡되도록 연장되는 걸림단을 포함하는 데크플레이트 연결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데크플레이트 연결부 {Joint portion for connecting deck plates}
본 발명의 두 데크 플레이트(deck plate)를 연결하는 연결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연결부가 수직으로 돌출되어, 힘의 구배가 일정하게 걸리게 함으로써, 연결강도를 높일 수 있으며,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경우에도 데크플레이트 연결부에서 새어나가지 않도록 하는 데크플레이트 연결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건축물을 축조하기 위한 구조재로서의 데크플레이트는 들보사이에 가설되고 그 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 슬래브를 형성하기 위한 건축물 바닥구조재로 주로 이용된다. 따라서, 콘크리트 경화후에도 데크플레이트 자중과 바닥전체에 가해지는 전체하중을 데크플레이트가 지지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건물의 면적은 일정한 것이 아니므로 다수의 데크플레이트가 연결되어 층전체에 설치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크플레이트는 콘크리트 슬래브의 골조를 이루는 철근과 트러스 부재를 포함하는 철골부(10); 상기 철골부의 바닥면을 이루는 베이스부재(20); 및 상기 베이스 부재의 끝단에 형성되는 연결부(30)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30)는 일측 베이스 부재에 형성되며 하부가 열린 후크형상으로 이루어진 제1연결단(31); 및 타측 베이스 부재에 형성되며, 상기 제1연결단에 끼워질수 있도록 상부가 열린 후크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2연결단(3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각 연결단(31, 32)은 예각을 가지며, 서로 반대방향으로 휘어진 후크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각 연결단의 끝단은 조립시 쉽게 끼워 질수 있도록, 일측 연결단이 더 큰 예각을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데크플레이트의 일단은 제1연결단(31)의 형태로, 타단은 제2연결단(32)의 형태로 형성하여, 데크플레이트들이 겹쳐 질때 제1연결단과 제2연결단이 서로 맞물리도록 하여 한 층의 철골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연결단에서, 콘크리트 페이스트가 타설 되면, 그 자중이 한 점에의해 지지되므로 연결단이 취약해지기 쉽고 변형이 일어남에 의해 콘크리트 페이스트 타설시 누출이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각 연결단의 끝부분이 다른 경사를 갖기 때문에, 콘크리트 페이스트 타설시 자중에 의한 힘의 구배에 의해 변형이 일어날 확률이 더 큰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연결부가 각기 다른 각을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시공시 그 연결작업이까다로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각 연결단에 수직으로 형성된 돌기를 구비하여, 연결부에서 각 연결단이 면접촉 함으로써, 연결부의 연결상태가 양호해 지고 지지강도를 높일 수 있는 데크플레이 연결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연결부의 연결상태가 양호해 짐으로써, 콘크리트 페이스트 타설시 하측으로 페이스트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데크플레이트 연결부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연결단이 수직으로 형성되게 하여 데크플레이트 시공시 그 연결작업이 용이한 데크플레이트 연결부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도1은 종래기술에 의한 데크플레이트와 인접한 데크플레이트 사이의 연결부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데크플레이트 연결부의 제1실시예 구성을 도시한 정단면도.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데크플레이트 연결부의 제2실시예 구성의 연결과정을 도시한 정단면도.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데크플레이트 연결부의 제3실시예 구성의 연결과정을 도시한 정단면도.
도5a는 본 발명에 의한 데크플레이트 연결부의 제4실시예 구성의 연결과정을 도시한 정단면도.
도5b는 도5a의 제4실시예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6은 본 발명에 의한 데크플레이트 연결부의 제5실시예 구성의 연결과정을 도시한 정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관한 설명
10 : 철골부 20 : 베이스부재
30, 100 : 연결부 31, 110 : 제1연결단
111 : 연결단 보강층 112 : 제1고정단
113 : 제1고정돌기 32, 120 : 제2연결단
130 : 걸림단 131 : 걸림단 보강층
132 : 제2고정단 133 : 제2고정돌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측 데크플레이트의 끝단에서 상측을 향해 수직으로 돌출된 제1연결단; 상기 제1연결단과 면접촉하도록 타측 데크플레이트의 끝단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제2연결단; 및 상기 제1연결단이 제2연결단과 접촉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제2연결단으로부터 하측을 향해 소정 각으로 절곡되도록 연장되는 걸림단을 포함하는 데크플레이트 연결부를 제공한다.
상기 제1연결단은 끝부분이 휘어져 두겹으로 형성된 연결단 보강층을 구비할수 있으며, 상기 걸림단은 끝부분이 휘어져 두겹으로 형성된 걸림단 보강층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걸림단 보강층은 상기 제2연결단을 덮을 수 있도록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단은 그 끝단에서 소정 각으로 휘어져 연장되는 제1고정단을 구비하고; 상기 걸림단은, 상기 제1고정단에 맞물리도록, 그 끝단에서 소정 각으로 휘어져 연장되는 제2고정단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단은 상기 걸림단과 같은 경사를 갖는 고정단을 포함하할 수 있고, 상기 고정단은 걸림단측으로 돌출되는 제1고정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걸림단은 상기 고정단측으로 돌출된 제2고정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이하 도2 내지 도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데크플레이트 연결부의 여러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데크플레이트 연결부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기본적인 데크플레이트 연결부(100)의 형태로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데크플레이트의 끝단에서 상측을 향해 수직으로 돌출된 제1연결단(110); 상기 제1연결단(110)과 면접촉하도록 타측 데크플레이트의 끝단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제2연결단(120); 및 상기 제1연결단(110)이 제2연결단(120)과 접촉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제2연결단(120)으로부터 하측을 향해 예각으로 절곡되도록 연장되어 후크 형상을 이루는 걸림단(130)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제2연결단(120)과 상기 걸림단(130)에 의해 형성되는 홈에 상기 제1연결단(110)이 삽입되어 두 데크플레이트의 끝단이 연결되며, 상기 제1연결단(110)과 제2연결단(120)이 수직으로 형성됨으로써 면접촉되어 고정되도록 한 것이다.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데크플레이트 연결부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의 변형으로서, 상기 제1연결단(110)의 끝부분이 하나의 층으로 형성되면, 그 끝점에 하중이 걸리기 때문에 끝부분이 취약하여 휘어져 변형될 수 있는 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상기 제1연결단(110)에 연결단 보강층(111)이 형성되도록 끝부분을 휘어 두겹으로 형성시킨 것이며, 마찬가지로, 상기 걸림단(130)의 끝단에도 걸림단 보강층(131)이 형성되도록 끝부분을 휘어 두겹으로 형성한것이다. 즉, 변형에 취약한 끝단 부분을 보강하는 형태이다.
도4은 본 발명에 의한 데크플레이트 연결부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제2실시예의 변형으로서, 상기 걸림단 보강층(131)을 상기 제2연결단(120)을 덮을 수 있도록 연장시킴으로써, 변형에 취약한 끝단을 보강하는 것 뿐만 아니라, 하중이 걸리는 전치 부분을 보강할 수 있는 형태이다.
도5a 및 도5b는 본 발명에 의한 데크플레이트 연결부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는 제1실시예로부터 변형된 형태로서, 연결부의 연결구조에 중점을 둔 실시예이다.
즉, 제1실시예와 같은 구조에서 상기 제1연결단(110)은 그 끝단에서 예각으로 휘어져 연장되는 제1고정단(112)을 구비하고, 상기 걸림단(130)은, 상기 제1고정단(112)에 맞물리도록, 상기 걸림단(130) 끝단에서 예각으로 휘어져 연장되는제2고정단(132)을 구비한다.
따라서,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고정단(112) 및 제2고정단(132)이 맞물려 두 데크플레이트의 연결이 확실히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6은 본 발명에 의한 데크플레이트 연결부의 제5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는 상기 각 실시예들의 변형으로서, 연결부의 연결구조를 양호하게 할 수 있는 실시예이다.
즉, 데크플레이트가 실질적으로 연결되는 제1연결단(110)은 상기 걸림단과 같은 경사를 갖는 고정단(112)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고정단은 상기 걸림단(130)측으로 돌출되는 제1고정돌기(113)을 구비하며, 상기 걸림단(130)은 상기 고정단(112)측으로 돌출된 제2고정돌기(133)을 구비하여, 상기 제1 및 제2고정돌기(113, 133)이 서로 접촉하여 상기 걸림단 및 고정단의 변형이 있는 경우 그 변형이 극소화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데크플레이트 연결부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나의 데크플레이트는 일단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제1연결단(110)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제2연결단(120) 및 걸림단(130)이 형성된다. 따라서, 여러개의 데크플레이트를 연결하는 경우, 각 데크플레이트의 끝단에서 서로 연결되는 연결부(100)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100)에서 일측의 데크플레이트에 형성된 제1연결단(110)이 타측의 데크플레이트에 구비된 제2연결단(120) 및 걸림단(130)에 의해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두 데크플레이트가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제1연결단(110) 및 제2연결단(120)은 베이스 부재로부터 수직으로 절곡되어 만나므로 서로 면접촉 함으로써, 연결부가 깔끔하게 접촉되고, 연결부에 의한 치수 오차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변형 또는 하중에 취약한 부분에 보강을 하여 양호한 연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연결단(110)과 제2연결단(120)이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므로, 시공시 상기 제1연결단(110)을 제2연결단(120)하부에서 끼워넣기가 용이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연결되는 인접한 데크플레이트에 형성된 연결단이 수직으로 이루어져 면접촉을 함으로써, 연결부에서 받는 하중에 의한 힘의 구배가 생기지 않게 하여 연결이 양호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결부가 면접촉함으로써, 연결부의 연결이 양호하게 이루어짐으로써,연결부에 불필요한 공간이 생기지 않아서, 시공상 치수오차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 페이스트가 하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다른 효과가 있다.
또한, 변형에 취약한 끝단등에 보강구조를 부가 할 수 있어서,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강도를 높일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또한, 각 연결단이 베이스부재와 수직을 이루므로 연결부를 연결하는 경우 일측의 제1연결단을 타측의 제2연결단 하부에서 끼워넣음으로써 시공이 간편해지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일측 데크플레이트의 끝단에서 상측을 향해 수직으로 돌출된 제1연결단;
    상기 제1연결단과 면접촉하도록 타측 데크플레이트의 끝단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제2연결단; 및
    상기 제1연결단이 제2연결단과 접촉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제2연결단으로부터 하측을 향해 소정 각으로 절곡되도록 연장되는 걸림단
    을 포함하는 데크플레이트 연결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단은 끝부분이 휘어져 두겹으로 형성된 연결단 보강층을 구비하는
    데크플레이트 연결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단은 끝부분이 휘어져 두겹으로 형성된 걸림단 보강층을 구비하는
    데크플레이트 연결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단 보강층은 상기 제2연결단을 덮을 수 있도록 연장된
    데크플레이트 연결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단은 그 끝단에서 소정 각으로 휘어져 연장되는 제1고정단을 구비하고;
    상기 걸림단은, 상기 제1고정단에 맞물리도록, 그 끝단에서 소정 각으로 휘어져 연장되는 제2고정단을 구비하는
    데크플레이트 연결부.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단은 상기 걸림단과 같은 경사를 갖는 고정단을 포함하는
    데크플레이트 연결부.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단은 걸림단측으로 돌출되는 제1고정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걸림단은 상기 고정단측으로 돌출된 제2고정돌기를 구비하는
    데크플레이트 연결부.
KR10-2002-0082428A 2002-12-23 2002-12-23 데크플레이트 연결부 KR1005159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2428A KR100515915B1 (ko) 2002-12-23 2002-12-23 데크플레이트 연결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2428A KR100515915B1 (ko) 2002-12-23 2002-12-23 데크플레이트 연결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5946A true KR20040055946A (ko) 2004-06-30
KR100515915B1 KR100515915B1 (ko) 2005-09-26

Family

ID=37348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2428A KR100515915B1 (ko) 2002-12-23 2002-12-23 데크플레이트 연결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591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9044B1 (ko) * 2018-10-05 2019-03-18 (주)디앤에프 슬래브용 일체형 데크
KR102211478B1 (ko) * 2020-02-20 2021-02-05 주식회사 비콘 무해체 보 거푸집
KR102234493B1 (ko) * 2020-10-16 2021-04-01 주식회사 상아뉴매틱 일체형 데크플레이트
KR20220106320A (ko) * 2021-01-22 2022-07-29 구연진 천장거푸집 시공용 데크플레이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9102B1 (ko) * 2010-03-09 2011-04-13 주식회사 덕신하우징 데크플레이트 연결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9044B1 (ko) * 2018-10-05 2019-03-18 (주)디앤에프 슬래브용 일체형 데크
KR102211478B1 (ko) * 2020-02-20 2021-02-05 주식회사 비콘 무해체 보 거푸집
KR102234493B1 (ko) * 2020-10-16 2021-04-01 주식회사 상아뉴매틱 일체형 데크플레이트
KR20220106320A (ko) * 2021-01-22 2022-07-29 구연진 천장거푸집 시공용 데크플레이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15915B1 (ko) 2005-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78367B2 (ja) 斜張ケーブルの定着構造
WO2020253811A1 (zh) 一种局部叠合板连接节点及其施工方法
KR20190115655A (ko) 단열블록을 거푸집 대신 사용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제작틀 및 이의 설치방법
KR101068682B1 (ko) 역 t형 거더, 이를 이용한 라멘 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100515915B1 (ko) 데크플레이트 연결부
KR101375126B1 (ko) 기능성 데크플레이트
KR20080073930A (ko) 조립식 거푸집의 슬래브패널구조
CN210887720U (zh) 一种混凝土预制板
KR20200010841A (ko) 하프피씨 바닥판 및, 바닥판구조체
KR200268380Y1 (ko) 철근트러스 데크플레이트
KR20220035752A (ko) 철근콘크리트와 강판콘크리트의 이음 구조 및 이음 방법
JP2016196788A (ja) 柱と梁との接合構造
KR100453335B1 (ko)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빔 단부 연결용 브래킷과, 이를이용하여 연속화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빔 교량 및그 단부의 연속화 공법
RU2818390C1 (ru) Крепежный элемент и стеновая конструкция
KR102620792B1 (ko) 시공성이 향상된 합성기둥 구조물
KR100414585B1 (ko) 철근받침대
KR102470545B1 (ko) 누출 방지용 무해체 보 거푸집
KR200223801Y1 (ko) 철근받침대
JP2018080564A (ja) ベースプレ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柱脚構造
KR200376885Y1 (ko) 데크 플레이트
KR200354068Y1 (ko) 스틸판넬 연결부재 보강구조
KR0115648Y1 (ko) 철근 받침용 스페이서
JP6966192B2 (ja) 耐震用スリット材の施工不良判別方法
KR20010093458A (ko) 건축용 데크플레이트
JP3792008B2 (ja) 基礎金物を用いた固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8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