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6885Y1 - 데크 플레이트 - Google Patents

데크 플레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6885Y1
KR200376885Y1 KR20-2004-0033107U KR20040033107U KR200376885Y1 KR 200376885 Y1 KR200376885 Y1 KR 200376885Y1 KR 20040033107 U KR20040033107 U KR 20040033107U KR 200376885 Y1 KR200376885 Y1 KR 2003768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base plate
deck plate
flange portio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31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병태
Original Assignee
(주)대하강업
전병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하강업, 전병태 filed Critical (주)대하강업
Priority to KR20-2004-00331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688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68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688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04B5/36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 E04B5/38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 E04B5/40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with metal form-slab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38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for plane ceilings of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데크 플레이트에 관한 것으로, 그 구조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양단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며, 그 끝단에는 연결수단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부재와, 상기 베이스판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되 그 수평단면의 형상이 지그재그형인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의 상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상부돌출부가 형성된 복수개의 플랜지수평연장부를 포함하여, 수직하중에 대한 상기 플랜지부의 저항력을 향상시켜,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에 대량의 콘크리트를 포설할 때에, 상기 콘크리트의 하중으로 인해 상기 플랜지부에 좌굴(buckling)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데크 플레이트에 의하면, 상호 결합된 복수개의 데크 플레이트들이 콘크리트의 포설 작업시에도 견고하게 결합을 유지할 수 있으며, 데크 플레이트의 변형이 적으며, 양생된 콘크리트와 데크 플레이트의 표면이 박리되거나 이탈되지 않고 견고히 결합될 수 있으며, 인장 압축 및 굽힘모멘트에 강한 개선된 데크 플레이트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데크 플레이트{Deck plate}
본 고안은 데크 플레이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포설 작업시 콘크리트의 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견고한 강도를 가진 데크 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데크 플레이트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은 먼저 데크 플레이트를 원하는 면적만큼 배열하고, 그 위에 스페이서를 설치하고, 다시 그 위에 슬래브의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와이어 메쉬(wire mesh)를 설치한 후, 그 상방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콘크리트 양생과정을 거쳐 견고한 슬래브를 형성한다.
그런데 종래의 데크 플레이트는 콘크리트 포설작업시, 그 콘크리트의 양이 많은 경우 그 콘크리트의 하중으로 인해 복수개의 데크 플레이트를 상호 연결하는 부분이 분리되거나, 플레이트의 밑바닥이 휘어지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데크 플레이트의 플랜지부에 콘크리트가 포설되는 경우, 포설되는 콘크리트의 집중하중으로 인하여 플랜지부에 좌굴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고, 이로 인해, 완성된 슬래브판의 강도가 고르지 않게 되는 경우도 있었다.
또한, 데크 플레이트에 포설되는 콘크리트와 통상 금속재질인 데크 플레이트는 서로 재질이 다른 바, 콘크리트의 양생과정에서 콘크리트와 거푸집의 역할을 하는 데크 플레이트의 표면의 결합이 견고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완성된 슬래브판에 하중이 작용하여 슬래브판에 인장 압축 또는 굽힘모멘트가 작용되는 경우, 콘크리트와 데크 플레이트가 서로 분리되어 전체적으로 슬래브판의 강도가 약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상호 결합된 복수개의 데크 플레이트들이 콘크리트의 포설 작업시에도 견고하게 결합을 유지할 수 있으며, 데크 플레이트의 변형이 적으며, 양생된 콘크리트와 데크 플레이트의 표면이 박리되거나 이탈되지 않고 견고히 결합될 수 있으며, 인장 압축 및 굽힘모멘트에 강한 개선된 데크 플레이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데크 플레이트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양단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며, 그 끝단에는 연결수단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부재와, 상기 베이스판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되 그 수평단면의 형상이 지그재그형인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의 상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상부돌출부가 형성된 복수개의 플랜지수평연장부를 포함하여, 수직하중에 대한 상기 플랜지부의 저항력을 향상시켜,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에 대량의 콘크리트를 포설할 때에, 상기 콘크리트의 하중으로 인해 상기 플랜지부에 좌굴(buckling)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데크 플레이트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상방으로 돌출된 상기 베이스판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되, 그 끝단은 하방을 향하는 제 1 굴곡부가 형성된 제 1 연결부와, 상방으로 돌출된 상기 베이스판의 타단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양쪽으로 연장된 수평연장돌출부가 형성되되, 그 한 쪽 끝단에는 하방을 향하는 제 2 굴곡부가 형성된 제 2 연결부를 포함하여, 하나의 데크 플레이트의 상기 제 1 연결부와 다른 데크 플레이트의 상기 제 2 연결부가 서로 끼워맞추어져 상호 결합됨으로써 복수개의 데크 플레이트를 연속하여 결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데크 플레이트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에는, 상기 제 1 연결부와 상기 제 2 연결부의 측면에 각각 제 1 엠보싱과 제 2 엠보싱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판에는, 상기 플랜지부의 사이에 상기 플랜지부와 평행하게 돌출된 바닥돌출부와, 상기 복수개의 플랜지부의 사이에서 상기 베이스판의 하방에 위치되며, 천장설치물이 결합될 수 있는 굴곡홈이 더 구비되어, 콘크리트가 양생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 1 엠보싱과 상기 제 2 엠보싱과 상기 바닥돌출부와 상기 굴곡홈이 콘크리트의 내부에 위치되어, 콘크리트가 데크 플레이트의 표면으로부터 박리되거나 이탈되지 않고, 견고히 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데크 플레이트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 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 플레이트를 도시한 것으로, 도 1 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 플레이트의 사시도를, 도 2 는 도 1 에 도시된 장치의 정면도를, 도 3 은 도 1 에 도시된 장치의 평면도를, 도 4 는 도 1 에 도시된 장치의 플랜지부의 측면도를, 도 5 는 도 1 에 도시된 장치의 플랜지부의 수평단면도를, 도 6 은 도 1 에 도시된 장치의 연결부재의 측면도를, 도 7 은 도 1 에 도시된 장치의 연결부재의 수직단면도를, 도 8 은 도 1 에 도시된 장치의 연결부재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도면를, 도 9 는 도 1 에 도시된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 플레이트(100)는 베이스판(10)과, 연결부재(20)와, 플랜지부(30)와, 플랜지수평연장부(4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베이스판(10)은 사각형의 넓은 판으로 구성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베이스판(10)에는 바닥돌출부(11)와 굴곡홈(12)과 수평돌출부(13)를 더 구비하고 있다.
상기 바닥돌출부(11)는 상기 연결부재(20)와 상기 플랜지부(30)의 사이에 상기 플랜지부(30)와 평행하게, 상기 베이스판(10)의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수평돌출부(13)는 상기 베이스판(10)의 상방으로 상기 플랜지부(30)와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굴곡홈(12)은 상기 복수개의 플랜지부(30)의 사이에서 상기 베이스판(10)의 하방에 위치되며, 상기 플랜지부(30)와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천장설치물이 결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연결부재(20)는 상기 베이스판(10)의 양단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며, 그 끝단에는 연결수단이 형성되어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수단은 제 1 연결부(21)와, 제 2 연결부(25)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 1 연결부(21)는 상기 베이스판(10)의 일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굴곡부(22)와, 제 1 엠보싱(23)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 1 굴곡부(22)는 상기 제 1 연결부(21)의 상방 끝단으로부터 다시 하방을 향하여 구부러져 있으며, 도 8 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굴곡부(22)는 완만한 곡선을 이루고 있고, 상기 제 1 엠보싱(23)은 상기 제 1 연결부(21)의 측면에서 안쪽을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 2 연결부(25)는 상기 베이스판(10)의 타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연결부(21)와 상호 결합하여, 두개의 데크 플레이트(100)를 상호 연결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수평연장돌출부(26)와, 제 2 굴곡부(27)와 제 2 엠보싱(28)을 포함한다.
상기 수평연장돌출부(26)는 상기 베이스판(10)의 타단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끝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양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 2 굴곡부(27)는 상기 수평연장돌출부(26)의 한 쪽 끝단에서 하방을 향하여 구부러져 있으며, 도 8 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2 굴곡부(28)는 완만한 곡선을 이루고 있고, 상기 제 2 엠보싱(28)은 상기 제 2 연결부(25)의 측면에서 안쪽을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 2 굴곡부(27)에 의해 상기 제 2 연결부(25)의 끝단에 형성되는 공간은 상기 제 1 굴곡부(22)를 수용하여 완만하게 끼워맞추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 2 굴곡부(27)의 상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양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지므로, 상부에 와이어 메쉬(wire mesh)가 설치될 때, 그 하중을 넓은 면적으로 안정되게 지탱한다.
상기 플랜지부(30)는 상기 베이스판(10)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되 그 수평단면의 형상이 지그재그의 형상을 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베이스판(10)으로부터 상방으로 두개가 돌출되어 있다.
상기 플랜지수평연장부(40)는 상기 각각의 플랜지부(30)의 상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좌우로 연장되어 돌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 플레이트(100)는, 도 8 내지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먼저, 본 실시예에 따른 데크 플레이트(100)를 이용하여 슬래브판을 형성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우선, 본 실시예에 따른 데크 플레이트(100) 하나를 바닥 또는 슬래브 지지체에 위치시키고, 상기 데크 플레이트(100)의 제 1 연결부(21)의 옆에, 다른 데크 플레이트(100)의 제 2 연결부(25)가 이웃하도록 배열한다.
이어서, 상기 하나의 데크 플레이트(100)의 상기 제 1 연결부(21)를 수용하도록 상기 다른 하나의 데크 플레이트(100)의 제 2 연결부(25)를,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제 1 연결부(21)의 제 1 굴곡부(22)의 상면과 상기 제 2 연결부(25)의 상기 제 2 굴곡부(27)의 하면은 서로 면접촉되며, 상기 각각의 데크 플레이트(100)의 상기 연결부재(20)가 서로 분리되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같은 방법으로 하나의 데크 플레이트(100)의 상기 제 1 연결부(21)의 제 1 굴곡부(22)가 다른 데크 플레이트(100)의 상기 제 2 연결부(25)의 제 2 굴곡부(27)와 서로 끼워맞추어져 상호 결합됨으로써 복수개의 데크 플레이트를 연속하여 견고히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슬래브판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상호 연결되어 배열된 상기 복수개의 데크 플레이트(100)들의 위에,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서(4)와, 격자모양으로 와이어 메쉬(3)를 설치하고, 콘크리트(1)를 포설한다.
다음으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 플레이트(100)에 포설되는 콘크리트의 하중에 대하여 상기 데크 플레이트(100)가 견고한 강도를 가짐을 설명한다.
먼저,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결합된 두개의 데크 플레이트(100)의 상기 제 1 굴곡부(22)와 상기 제 2 굴곡부(27)가 서로 끼워맞추어지면, 상기 제 1 연결부(21)와 상기 제 2 연결부(25)의 결합을 견고히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 1 엠보싱(23)과 상기 제 2 엠보싱(28) 서로 반대방향으로 위치하여, 상기 연결부재(20)의 중심부의 단면적이 넓어지는 효과가 있어, 수직하중에 대한 상기 연결부재(20)의 저항력이 향상된다.
따라서, 많은 양의 콘크리트를 짧은 시간에 포설하더라도, 상기 데크 플레이트(100) 위에 포설되는 콘크리트의 하중으로 인한 발생하는 압축응력, 굽힘모멘트 또는 좌굴 등에 대하여, 강한 저항력을 가지는 구조의 연결부재(20)를 형성할 수 있다.
이어서, 포설되는 콘크리트의 하중이 상기 플랜지수평연장부(40) 및 플랜지부(30)에 집중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30)의 강도를 설명하다.
상기 플랜지수평연장부(40)에 포설되는 콘크리트의 동하중(Dynamic load)이 집중되는 경우, 그 하중이 상기 플랜지부(30)에 경사방향으로 작용하면 상기 플랜지부(30)에는 굽힘모멘트와 압축력이 작용하여, 상기 플랜지부(30)가 휘어지는 경우가 발생한다.
그리고 포설되는 콘크리트의 하중으로 인한 하중은 동하중(Dynamic load)인 바, 그 하중이 상기 플랜지부(30)에 수직방향으로 집중되는 경우에는 상기 플랜지부(30)에는 좌굴(Buckling)이 발생하기도 한다.
이와 같은 휨이나 좌굴은 데크 플레이트의 형상을 변형시키며, 결국에는 슬래브판의 강도를 국부적으로 저하시키는 원인이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플랜지부(30)의 측면을 지그재그의 형상으로 만들어 놓으면, 상기 플랜지수평연장부(40)에 포설되는 콘크리트의 하중으로 인한 큰 수직력이 작용되는 경우에도 상기 플랜지부(30)의 중심부의 저항력이 강해지는 바, 동일한 재료를 들이더라도 좌굴(buckling)에 대한 강도는 더 강해지는 데크 플레이트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데크 플레이트(100)에 포설된 콘크리트가 양생된 후의 슬래브판의 강도에 대해서 설명한다.
데크 플레이트는 그 위에 포설되어 양생된 콘크리트의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도 한다. 그런데 슬래브판의 강도는 상기 데크 플레이트(100)와 상기 콘크리트가 견고히 결합해 있을 수록 그 단면적이 커지는 바, 인장 또는 압축 및 굽힘모멘트에 대한 강도가 커지게된다.
따라서 양생 중인 콘크리트와 데크 플레이트(100)가 긴밀하게 접촉을 유지하지 시키고, 콘크리트가 데크 플레이트(100)의 표면으로부터 박리되거나 이탈되지 않고, 견고히 결합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하여 데크 플레이트(100)의 표면에 돌출부를 형성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베이스판(10)의 표면에 바닥돌출부(11) 및 수평돌출부(13)를 형성하고, 상기 제 1 연결부(21)의 측면에는 제 1 엠보싱(23)을, 그리고 상기 제 2 연결부(25)의 측면에는 제 2 엠보싱(28)을 형성하였으며, 상기 플랜지부(30)의 측면에 지그재그형의 굴곡부를 형성해 두었으며, 상기 플랜지부(30)의 상부에 플랜지수평연장부(40)를 형성하여, 콘크리트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 플레이트(100)의 결합을 견고히 할 수 있게 하였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데크 플레이트(100)가 복수개 결합된 경우, 상기 연결부재(20) 사이의 틈을 통한, 콘크리트 페이스트의 누설이 방지되는 메카니즘을 설명한다.
콘크리트는 통상 시멘트와 물과 골조로 구성되어 있고, 통상 콘크리트는 양생과정이 끝날 때까지 수분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상기 제 1 굴곡부(22)와 상기 제 2 굴곡부(27)의 틈을 타고 스며들어, 두개의 데크 플레이트(100) 사이에서 하부로 누수현상이 생길 수 있다. 이를 콘크리트 페이스트라고 하는데, 콘크리트의 수분이 빠져나감으로써 슬래브의 강도 약화를 초래함과 동시에, 작업환경의 악화시킨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굴곡부(22)와 제 2 굴곡부(27)을 완만한 곡선이 되도록 구부려, 제 1 연결부(21)와 제 2 연결부(25) 사이에 빈틈이 생기는 것을 최소화 하도록 구성하였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데크 플레이트에 의하면, 상호 결합된 복수개의 데크 플레이트들이 콘크리트의 포설 작업시에도 견고하게 결합을 유지할 수 있으며, 데크 플레이트의 변형이 적으며, 양생된 콘크리트와 데크 플레이트의 표면이 박리되거나 이탈되지 않고 견고히 결합될 수 있으며, 인장 압축 및 굽힘모멘트에 강한 개선된 데크 플레이트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검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 플레이트의 사시도
도 2 는 도 1 에 도시된 장치의 정면도
도 3 은 도 1 에 도시된 장치의 평면도
도 4 는 도 1 에 도시된 장치의 플랜지부의 측면도
도 5 는 도 1 에 도시된 장치의 플랜지부의 수평단면도
도 6 은 도 1 에 도시된 장치의 연결부재의 측면도
도 7 은 도 1 에 도시된 장치의 연결부재의 수직단면도
도 8 은 도 1 에 도시된 장치의 연결부재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 는 도 1 에 도시된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베이스판 20 연결부재
30 플랜지부 40 플랜지수평연장부
100 데크 플레이트

Claims (3)

  1.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의 양단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며, 그 끝단에는 연결수단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부재;
    상기 베이스판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되 그 수평단면의 형상이 지그재그형인 플랜지부;
    상기 플랜지부의 상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상부돌출부가 형성된 복수개의 플랜지수평연장부;를 포함하여,
    수직하중에 대한 상기 플랜지부의 저항력을 향상시켜,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에 대량의 콘크리트를 포설할 때에, 상기 콘크리트의 하중으로 인해 상기 플랜지부에 좌굴(buckling)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플레이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에서 상기 연결수단은,
    상방으로 돌출된 상기 베이스판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되, 그 끝단은 하방을 향하는 제 1 굴곡부가 형성된 제 1 연결부와,
    상방으로 돌출된 상기 베이스판의 타단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양쪽으로 연장된 수평연장돌출부가 형성되되, 그 한 쪽 끝단에는 하방을 향하는 제 2 굴곡부가 형성된 제 2 연결부를 포함하여,
    하나의 데크 플레이트의 상기 제 1 연결부와 다른 데크 플레이트의 상기 제 2 연결부가 서로 끼워맞추어져 상호 결합됨으로써 복수개의 데크 플레이트를 연속하여 결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플레이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에는,
    상기 제 1 연결부와 상기 제 2 연결부의 측면에 각각 제 1 엠보싱과 제 2 엠보싱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판에는,
    상기 플랜지부의 사이에 상기 플랜지부와 평행하게 돌출된 바닥돌출부와, 상기 복수개의 플랜지부의 사이에서 상기 베이스판의 하방에 위치되며, 천장설치물이 결합될 수 있는 굴곡홈이 더 구비되어,
    콘크리트가 양생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 1 엠보싱과 상기 제 2 엠보싱과 상기 바닥돌출부와 상기 굴곡홈이 콘크리트의 내부에 위치되어, 콘크리트가 데크 플레이트의 표면으로부터 박리되거나 이탈되지 않고, 견고히 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플레이트.
KR20-2004-0033107U 2004-11-23 2004-11-23 데크 플레이트 KR2003768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3107U KR200376885Y1 (ko) 2004-11-23 2004-11-23 데크 플레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3107U KR200376885Y1 (ko) 2004-11-23 2004-11-23 데크 플레이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6204A Division KR20040108619A (ko) 2004-11-23 2004-11-23 데크 플레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6885Y1 true KR200376885Y1 (ko) 2005-03-11

Family

ID=43678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3107U KR200376885Y1 (ko) 2004-11-23 2004-11-23 데크 플레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688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78367B2 (ja) 斜張ケーブルの定着構造
TWI634255B (zh) 施作彼此銜接之複數梁的方法
KR101204329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성 증대 및 시공 편의성을 보장하기 위한 브라켓 구조
JP4499006B2 (ja) 免震装置の取付構造、その施工方法、および免震装置取付用ベースプレート
KR100733609B1 (ko) 강재의 솟음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하력 증강공법
KR100699440B1 (ko) 교량용 합성 보 및 그 제작방법
KR100720067B1 (ko) 아치형 플레이트를 이용한 합성 보의 시공방법
KR200376885Y1 (ko) 데크 플레이트
KR200449678Y1 (ko) 수직판재와 긴장재를 이용하여 제작된 강재빔
KR102059055B1 (ko) 들뜸 현상을 방지하는 층간 소음 방지 패널
KR20110106204A (ko) 복공판
KR100889857B1 (ko) 강성이 증진된 강재빔 제작방법
KR20040108619A (ko) 데크 플레이트
KR20050102995A (ko) 연결지지구를 이용한 마루판 조립체
KR102310264B1 (ko) 강콘크리트 합성보용 강판 조립보
KR100515915B1 (ko) 데크플레이트 연결부
KR100791991B1 (ko) 슬래브일체형 합성거더를 이용한 가교설치방법
KR101168916B1 (ko) 교량 수평지지빔의 보강장치
KR101986819B1 (ko) 보강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170008628A (ko) 건축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
KR20120008667A (ko) 데크플레이트용 단부보강체를 이용한 보 시공방법
KR101904286B1 (ko) 강합성 라멘교 및 그 시공방법
KR101685290B1 (ko) 건축용 벽체 데크패널
KR20050059663A (ko) 트러스형 데크 플레이트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782584B1 (ko) 단위 비대칭 데크 플레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