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7936B1 - 지게차 이송용 거푸집 지그 - Google Patents
지게차 이송용 거푸집 지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07936B1 KR101507936B1 KR20130132627A KR20130132627A KR101507936B1 KR 101507936 B1 KR101507936 B1 KR 101507936B1 KR 20130132627 A KR20130132627 A KR 20130132627A KR 20130132627 A KR20130132627 A KR 20130132627A KR 101507936 B1 KR101507936 B1 KR 10150793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vertical
- vertical frame
- fastening portion
- horizontal fram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8—Load gripping or retaining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지게차 이송용 거푸집 지그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지게차 이송용 거푸집 지그는, 내부에 한 쌍의 지게차 날이 삽입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 수평프레임 및 제2 수평프레임; 이송하고자 하는 거푸집의 제1 수직보강대 및 제2 수직보강대의 배면에 각각 접촉되도록 제1 수평프레임의 전단부 및 제2 수평프레임의 전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제1 수직프레임 및 제2 수직프레임; 제1 수평프레임 및 제1 수직프레임을 경사지게 연결하는 제1 경사프레임; 제2 수평프레임 및 제2 수직프레임을 경사지게 연결하는 제2 경사프레임; 제1 수직프레임과 함께 제1 수직보강대의 상측을 감싸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도록 제1 수직프레임의 상단부 좌우측에 각각 배치되어 체결수단을 통해 제1 수직보강대에 일체로 고정되는 제1 체결부; 제1 수직프레임과 함께 제1 수직보강대의 하측을 감싸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도록 제1 수직프레임의 하단부 좌우측에 각각 배치되어 체결수단을 통해 제1 수직보강대에 일체로 고정되는 제2 체결부; 제2 수직프레임과 함께 제2 수직보강대의 상측을 감싸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도록 제2 수직프레임의 상단부 좌우측에 각각 배치되어 체결수단을 통해 제2 수직보강대에 일체로 고정되는 제3 체결부; 및 제2 수직프레임과 함께 제2 수직보강대의 하측을 감싸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도록 제2 수직프레임의 하단부 좌우측에 각각 배치되어 체결수단을 통해 제2 수직보강대에 일체로 고정되는 제4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설치 및 사용이 간편하며 안전하게 거푸집을 이송할 수 있는 지게차 이송용 거푸집 지그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지게차 이송용 거푸집 지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설치 및 사용이 간편하며 안전하게 거푸집을 이송할 수 있는 지게차 이송용 거푸집 지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둥을 축조하기 위하여 기둥폼을 설치하는 경우 갱폼, 유로폼, 시스템 폼 등과 같은 판넬 4개를 상호 조립하여 밀폐된 공간을 갖는 거푸집(폼)을 만들고 이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시키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와 같이 판넬 4개를 상호 조립하여 밀폐된 공간을 갖는 거푸집을 만들기 위하여서는 각각의 판넬을 기둥이 설치될 위치로 운반하고 판넬을 각각 직립시킨 후 상호 체결하는 단계를 밟아야 하는데 이는 시간이 많이 소모되고 작업의 난이도가 높으며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상존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2개의 판넬 또는 4개의 판넬 전체를 선조립하고 이를 기둥이 설치될 위치로 운반한 후 작업을 진행하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선조립된 2개의 판넬 또는 4개의 판넬은 그 자체로 직립할 수 있으므로 기둥 거푸집을 만드는 시간을 줄일 수 있고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낮출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종래에는 선조립된 판넬을 기둥이 설치될 위치까지 간편하고 안전하게 이송할 수 있는 특별한 방법이 존재하지 않았는바 크레인을 통해 인양하게 되는데 크레인의 사용에 따른 비용증가의 문제, 안전사고의 문제 등이 새롭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일부 종래기술에서는 선조립된 판넬 전체를 들어올린 후 지게차를 통해 이송할 수 있도록 하고는 있으나 유압장치 등을 사용하여 제조 단가가 높고 유지보수에 많은 비용 및 시간이 들게 되어 현실적으로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설치 및 사용이 간편하며 안전하게 거푸집을 이송할 수 있는 지게차 이송용 거푸집 지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내부에 한 쌍의 지게차 날이 삽입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 수평프레임 및 제2 수평프레임; 이송하고자 하는 거푸집의 제1 수직보강대 및 제2 수직보강대의 배면에 각각 접촉되도록 상기 제1 수평프레임의 전단부 및 상기 제2 수평프레임의 전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제1 수직프레임 및 제2 수직프레임; 상기 제1 수평프레임 및 상기 제1 수직프레임을 경사지게 연결하는 제1 경사프레임; 상기 제2 수평프레임 및 상기 제2 수직프레임을 경사지게 연결하는 제2 경사프레임; 상기 제1 수직프레임과 함께 상기 제1 수직보강대의 상측을 감싸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수직프레임의 상단부 좌우측에 각각 배치되어 체결수단을 통해 상기 제1 수직보강대에 일체로 고정되는 제1 체결부; 상기 제1 수직프레임과 함께 상기 제1 수직보강대의 하측을 감싸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수직프레임의 하단부 좌우측에 각각 배치되어 체결수단을 통해 상기 제1 수직보강대에 일체로 고정되는 제2 체결부; 상기 제2 수직프레임과 함께 상기 제2 수직보강대의 상측을 감싸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수직프레임의 상단부 좌우측에 각각 배치되어 체결수단을 통해 상기 제2 수직보강대에 일체로 고정되는 제3 체결부; 및 상기 제2 수직프레임과 함께 상기 제2 수직보강대의 하측을 감싸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수직프레임의 하단부 좌우측에 각각 배치되어 체결수단을 통해 상기 제2 수직보강대에 일체로 고정되는 제4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 이송용 거푸집 지그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지게차 이송용 거푸집 지그는, 상기 지게차 날의 삽입 정도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거푸집의 인양시 상기 지게차 날이 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수직프레임 및 상기 제2 수직프레임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제1 수평프레임 및 상기 제2 수평프레임의 내측면을 상호 연결하는 전도방지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게차 이송용 거푸집 지그는, 상기 제1 수평프레임의 후단부 및 상기 제2 수평프레임의 후단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제1 연결프레임과, 상기 연결프레임의 하측에 이격 배치되는 제2 연결프레임과, 상기 제1 연결프레임 및 상기 제2 연결프레임의 양측 단부를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제3 연결프레임을 구비하는 지게차 날 유도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한 쌍의 지게차 날이 상기 제1 연결프레임 및 상기 제2 연결프레임의 사이를 따라 삽입 진행되는 경우 상기 전도방지구의 하측을 따라 진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지게차 날 유도부는, 내부에 상기 한 쌍의 지게차 날이 각각 삽입되기 위한 제1 날 삽입공 및 제2 날 삽입공이 분할 구획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연결프레임 및 상기 제2 연결프레임의 중앙 부분에서 상기 제1 연결프레임의 하면 및 상기 제2 연결프레임의 상면을 상호 연결하는 제4 연결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체결부, 상기 제2 체결부, 상기 제3 체결부 및 상기 제4 체결부에는 각각 상기 체결수단이 관통하기 위한 관통홀이 형성되되, 상기 제2 체결부 및 상기 제4 체결부에 형성된 관통홀은, 먼저 체결되는 상기 제1 체결부 및 상기 제3 체결부의 체결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조립 공차를 커버할 수 있도록 상하로 긴 슬롯홀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전도방지구는, 상기 제1 수평프레임 및 상기 제2 수평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다수의 전도 방지구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설치 및 사용이 간편하며 안전하게 거푸집을 이송할 수 있는 지게차 이송용 거푸집 지그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 이송용 거푸집 지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지게차 이송용 거푸집 지그의 측면도이다.
도 3은 후방에서 바라본 도 1의 지게차 이송용 거푸집 지그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3의 B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1의 지게차 이송용 거푸집 지그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지게차 이송용 거푸집 지그의 측면도이다.
도 3은 후방에서 바라본 도 1의 지게차 이송용 거푸집 지그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3의 B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1의 지게차 이송용 거푸집 지그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 이송용 거푸집 지그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지게차 이송용 거푸집 지그의 측면도이고, 도 3은 후방에서 바라본 도 1의 지게차 이송용 거푸집 지그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A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5는 도 3의 B 부분의 확대도이며, 도 6 및 도 7은 도 1의 지게차 이송용 거푸집 지그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에서 거푸집은 2개 이상의 판넬이 결합된 조립체를 의미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1개의 판넬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미치게 됨은 자명하다. 즉 이하에 있어서 거푸집은 1개의 판넬이 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지게차 이송용 거푸집 지그(100, 이하 '거푸집 지그(100)'이라 함)는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 수평프레임(110) 및 제2 수평프레임(120)과, 제1 수평프레임(110)의 전단부 및 제2 수평프레임(120)의 전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제1 수직프레임(130) 및 제2 수직프레임(140)과, 제1 수평프레임(110) 및 제1 수직프레임(130)을 상호 연결하는 제1 경사프레임(150)과, 제2 수평프레임(120) 및 제2 수직프레임(140)을 상호 연결하는 제2 경사프레임(160)과, 제1 수직프레임(130)의 상단부에 마련되는 제1 체결부(CP1)와, 제1 수직프레임(130)의 하단부에 마련되는 제2 체결부(CP2)와, 제2 수직프레임(140)의 상단부에 마련되는 제3 체결부(CP3)와, 제2 수직프레임(140)의 하단부에 마련되는 제4 체결부(CP4)와, 제1 수평프레임(110) 및 제2 수평프레임(120)의 내측면을 상호 연결하는 전도방지구(170)와, 제1 수평프레임(110) 및 제2 수평프레임(120)의 후단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지게차 날 유도부(180)를 포함한다.
제1 수평프레임(110) 및 제2 수평프레임(120)은 내부에 한 쌍의 지게차 날이 삽입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구성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수평프레임(110) 및 제2 수평프레임(120)은 무게를 가볍게 할 수 있도록 중공 사각 강관을 사용하여 마련된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이송하고자하는 거푸집의 전체 무게가 큰 경우에는 부재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중공이 아닌 강관을 사용하여 마련될 수 있으며 형상도 사각이 아니라 기타 다른 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이하에서 이러한 사항은 동일하다.
제1 수직프레임(130) 및 제2 수직프레임(140)은 각각 제1 수평프레임(110) 및 제2 수평프레임(120)의 전단부에서 제1 수평프레임(110) 및 제2 수평프레임(120)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구성이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수직프레임(130) 및 제2 수직프레임(140)은 각각 거푸집의 이송시 거푸집에 마련된 제1 수직보강대 및 제2 수직보강대의 배면에 각각 접촉된다. 제1 수직프레임(130) 및 제2 수직프레임(140)은 제1 수평프레임(110) 및 제2 수평프레임(120)에 용접 또는 볼팅 등의 방식에 의해 결합되며, 기타 재질이나 형상에 관한 사항은 전술한 제1 수평프레임(110) 및 제2 수평프레임(120)에 관한 사항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제1 경사프레임(150)은 제1 수평프레임(110) 및 제1 수직프레임(130)을 경사지게 연결하는 구성이다. 제1 경사프레임(150)은 제1 수평프레임(110) 및 제1 수직프레임(130)의 연결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하는데, 제1 수평프레임(110) 및 제1 수직프레임(130)의 연결 강도가 충분한 경우, 예컨대 제1 수평프레임(110)의 길이가 짧은 경우 등에 있어서는 생략될 수도 있다.
제2 경사프레임(160)은 제2 수평프레임(120) 및 제2 수직프레임(140)을 경사지게 연결하는 구성이며, 기타 사항은 전술한 제1 경사프레임(150)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 체결부(CP1)는 제1 수직프레임(130)의 상단부 좌우측에 각각 배치되는 판재 형상의 구성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거푸집 지그(100)를 거푸집에 고정시키면 거푸집의 제1 수직보강대의 배면에는 제1 수직프레임(130)의 전면이 접촉되고 제1 체결부(CP1)는 제1 수직보강대의 측면에 접촉되는 형태가 된다. 즉, 제1 수직프레임(130) 및 제1 체결부(CP1)가 제1 수직보강대의 상측을 감싸는 형태로 결합되는 것이다. 제1 체결부(CP1)는 볼팅 등의 방식에 의해 거푸집의 제1 수직보강대에 고정되는데 보다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제2 체결부(CP2)는 제1 수직프레임(130)의 하단부 좌우측에 각각 배치되는 판재 형상의 구성이다. 전술한 제1 체결부(CP1)와 마찬가지로 제2 체결부(CP2)는 제1 수직프레임(130)과 함께 거푸집의 제1 수직보강대의 하측을 감싸는 형태로 결합된다.
한편, 제1 체결부(CP1) 및 제2 체결부(CP2)에는 각각 볼트 등의 체결수단이 관통하기 위한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데 제1 체결부(CP1)의 구멍의 형상에는 제한이 없으나, 제2 체결부(CP2)의 구멍은 상하로 긴 슬롯홀로 마련된다(도 5 참조).
이와 같이 슬롯홀을 형성시키는 이유는 거푸집 지그(100)의 설치 순서에 따른 것으로, 거푸집의 제1 수직보강대 상측에 먼저 제1 체결부(CP1)를 체결하고 다음으로 제1 수직보강대 하측에 제2 체결부(CP2)를 체결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조립 공차에 대응하기 위함이다.
즉, 제1 체결부(CP1), 제2 체결부(CP2) 및 제1 수직보강대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형성된 관통공을 따라 볼트 등의 체결수단을 삽입하는 경우 먼저 체결되는 제1 체결부(CP1)는 특별한 문제 없이 간편하게 체결될 수 있으나, 나중에 체결되는 제2 체결부(CP2)의 구멍은 제1 수직보강대 하측에 형성된 관통공과 위치가 맞지 않는 일이 발생할 수 있어 이러한 문제가 간편하게 해결될 수 있도록 제2 체결부(CP2)의 구멍을 슬롯홀로 마련하는 것이다.
전술한 슬롯홀의 형상에 따라 거푸집의 수직보강대 상하측의 구멍 형성위치가 원래 설계된 바와 달라지는 경우가 있더라도 거푸집 지그(100)의 조립시 조립공차가 커버될 수 있게 된다.
제3 체결부(CP3)는 제2 수직프레임(140)의 상단부 좌우측에 각각 배치되는 판재 형상의 구성이며, 제4 체결부(CP4)는 제2 수직프레임(140)의 하단부 좌우측에 각각 배치되는 판재 형상의 구성이다. 제3 체결부(CP3) 및 제4 체결부(CP4)에 관한 내용은 전술한 제1 체결부(CP1) 및 제2 체결부(CP2)에 관한 사항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전도방지구(170)는 제1 수직프레임(130) 및 제2 수직프레임(140)에 인접한 위치에서 제1 수평프레임(110)의 내측면 및 제2 수평프레임(120)의 내측면을 상호 연결하는 사각 강관 형상의 구성이다.
전도방지구(170)는 지게차 날의 삽입시 날의 삽입 정도를 육안으로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거푸집의 인양시 지게차 날이 들리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지게차의 날은 후술하는 지게차 날 유도부(180)를 거쳐 제1 수평프레임(110) 및 제2 수평프레임(120)의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전진하면서 삽입되게 되는데 지게차의 운전자는 지게차 날이 전도방지구(170)를 지나가는 지점까지 충분히 삽입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얼만큼 지게차 날을 삽입해야 하는지를 간편하게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거푸집의 인양시 지게차 날이 들리는 문제가 생길 수 있는데 전도방지구(170)는 지게차 날이 들리려고 할 때 이를 방지하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전도방지구(170)는 제1 수평프레임(110) 및 제2 수평프레임(120)의 내측면을 따라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 개로 배치됨으로써 지게차의 운전자가 날의 삽입 정도를 순차적으로 볼 수 있도록 마련되나 필요에 따라서는 제1 수직프레임(130) 및 제2 수직프레임(140)에 가장 인접한 위치에서 하나로만 마련될 수도 있다.
지게차 날 유도부(180)는 제1 수평프레임(110)의 후단부 및 제2 수평프레임(120)의 후단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구성이다. 지게차 날 유도부(180)는 지게차의 날이 전술한 전도방지구(170)의 하측을 따라 자연스럽게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담당하며, 제1 연결프레임(181)과, 제2 연결프레임(182)과, 한 쌍의 제3 연결프레임(183)과, 제4 연결프레임(184)을 포함한다.
제1 연결프레임(181)은 제1 수평프레임(110)의 후단부 및 제2 수평프레임(120)의 후단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중공 사각 형태의 강관으로 마련된다. 또한 제1 연결프레임(181)은 제1 수평프레임(110) 및 제2 수평프레임(120)과 동일한 두께로 마련되어 결합시 제1 수평프레임(110) 및 제2 수평프레임(120)과 함께 'ㅠ"자 형상을 이루게 된다.
제2 연결프레임(182)은 제1 연결프레임(181)의 하측으로 일정간격 이격 배치되는 구성으로 제1 연결프레임(181)과 마찬가지로 중공 사각 강관으로 마련된다. 이처럼 제2 연결프레임(182)이 제1 연결프레임(181)의 하측에 배치되도록 하는 것은 지게차의 날이 제1 연결프레임(181) 및 제2 연결프레임(182)의 사이로 삽입된 후 전방으로 진행될 때 전도방지구(170)의 하측으로 자연스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지게차의 운전자가 특별한 주의를 기울이지 않더라도 지게차 날을 제1 연결프레임(181) 및 제2 연결프레임(182)의 사이로 삽입하고 전진시키면 날이 자연스럽게 전도방지구(170)의 하측을 따라 이동하게 됨으로써 전도방지구(170)의 기능이 발휘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3 연결프레임(183)은 제1 연결프레임(181) 및 제2 연결프레임(182)의 양측 단부에 각각 배치되어 양자를 연결하는 구성이며, 제4 연결프레임(184)은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지게차의 날이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제1 연결프레임(181), 제2 연결프레임(182) 및 제3 연결프레임(183)을 통해 형성되는 날 삽입공이 제1 날 삽입공(B1) 및 제2 날 삽입공(B2)으로 분할 구획하는 구성이다.
이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거푸집 지그(100)의 사용방법을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반하고자 하는 하나의 판넬 또는 다수의 판넬로 이루어진 거푸집을 조립한 후에는 거푸집의 배면에 거푸집 지그(100)를 결합하게 된다.
먼저, 거푸집의 제1 수직보강대와 이에 인접하게 있는 제2 수직보강대에 각각 제1 수직프레임(130) 및 제2 수직프레임(140)을 밀착시키고 제1 체결부(CP1), 제3 체결부(CP3) 및 수직보강대 상측의 구멍을 따라 볼트 등의 체결수단을 결합시킨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거푸집 지그(100)의 상단부가 고정되면 다음으로 제2 체결부(CP2), 제4 체결부(CP4) 및 수직보강대 하측의 구멍을 따라 볼트 등의 체결수단을 결합시킨다.
이때 제2 체결부(CP2) 및 제4 체결부(CP4)의 구멍은 상하로 긴 슬롯홀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수직보강대의 구멍과 위치가 일치하지 않더라도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2 체결부(CP2) 및 제4 체결부(CP4)까지 체결하면 거푸집 지그(100) 전체가 거푸집에 고정된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지게차의 운전자는 한 쌍의 지게차 날이 각각 지게차 날 유도부(180)의 제1 날 삽입공(B1) 및 제2 날 삽입공(B2)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조정하며 날이 삽입된 후에는 이를 전진시킨다.
지게차의 날은 전술한 바와 같은 제1 연결프레임(181) 및 제2 연결프레임(182)의 배치관계에 따라 자연스럽게 전도방지구(170)의 하측을 따라 이동하게 되며 작업자는 날의 삽입 정도를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날을 충분히 끝까지 삽입할 수 있게 된다.
지게차 날의 삽입이 완료되면 운전자는 날을 리프팅시킴으로써 조립된 거푸집을 들어올리고 이를 거푸집이 배치될 위치까지 간편하게 이동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거푸집 지그(100)는 거푸집에 간편하게 체결될 수 있는 프레임(110, 120, 130, 140) 및 체결부(CP1, CP2, CP3, CP4)의 구성에 따라 설치 및 사용이 간편하며 안전하게 거푸집을 이송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거푸집 지그 110 : 제1 수평프레임
120 : 제2 수평프레임 130 : 제1 수직프레임
140 : 제2 수직프레임 170 : 전도방지구
180 : 지게차 날 유도부
120 : 제2 수평프레임 130 : 제1 수직프레임
140 : 제2 수직프레임 170 : 전도방지구
180 : 지게차 날 유도부
Claims (6)
- 내부에 한 쌍의 지게차 날이 삽입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 수평프레임 및 제2 수평프레임;
이송하고자 하는 거푸집의 제1 수직보강대 및 제2 수직보강대의 배면에 각각 접촉되도록 상기 제1 수평프레임의 전단부 및 상기 제2 수평프레임의 전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제1 수직프레임 및 제2 수직프레임;
상기 제1 수평프레임 및 상기 제1 수직프레임을 경사지게 연결하는 제1 경사프레임;
상기 제2 수평프레임 및 상기 제2 수직프레임을 경사지게 연결하는 제2 경사프레임;
상기 제1 수직프레임과 함께 상기 제1 수직보강대의 상측을 감싸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수직프레임의 상단부 좌우측에 각각 배치되어 체결수단을 통해 상기 제1 수직보강대에 일체로 고정되는 제1 체결부;
상기 제1 수직프레임과 함께 상기 제1 수직보강대의 하측을 감싸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수직프레임의 하단부 좌우측에 각각 배치되어 체결수단을 통해 상기 제1 수직보강대에 일체로 고정되는 제2 체결부;
상기 제2 수직프레임과 함께 상기 제2 수직보강대의 상측을 감싸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수직프레임의 상단부 좌우측에 각각 배치되어 체결수단을 통해 상기 제2 수직보강대에 일체로 고정되는 제3 체결부; 및
상기 제2 수직프레임과 함께 상기 제2 수직보강대의 하측을 감싸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수직프레임의 하단부 좌우측에 각각 배치되어 체결수단을 통해 상기 제2 수직보강대에 일체로 고정되는 제4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체결부, 상기 제2 체결부, 상기 제3 체결부 및 상기 제4 체결부에는 각각 상기 체결수단이 관통하기 위한 관통홀이 형성되되, 상기 제2 체결부 및 상기 제4 체결부에 형성된 관통홀은, 먼저 체결되는 상기 제1 체결부 및 상기 제3 체결부의 체결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조립 공차를 커버할 수 있도록 상하로 긴 슬롯홀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 이송용 거푸집 지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게차 날의 삽입 정도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거푸집의 인양시 상기 지게차 날이 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수직프레임 및 상기 제2 수직프레임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제1 수평프레임 및 상기 제2 수평프레임의 내측면을 상호 연결하는 전도방지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 이송용 거푸집 지그.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평프레임의 후단부 및 상기 제2 수평프레임의 후단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제1 연결프레임과, 상기 연결프레임의 하측에 이격 배치되는 제2 연결프레임과, 상기 제1 연결프레임 및 상기 제2 연결프레임의 양측 단부를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제3 연결프레임을 구비하는 지게차 날 유도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한 쌍의 지게차 날이 상기 제1 연결프레임 및 상기 제2 연결프레임의 사이를 따라 삽입 진행되는 경우 상기 전도방지구의 하측을 따라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 이송용 거푸집 지그.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게차 날 유도부는,
내부에 상기 한 쌍의 지게차 날이 각각 삽입되기 위한 제1 날 삽입공 및 제2 날 삽입공이 분할 구획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연결프레임 및 상기 제2 연결프레임의 중앙 부분에서 상기 제1 연결프레임의 하면 및 상기 제2 연결프레임의 상면을 상호 연결하는 제4 연결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 이송용 거푸집 지그. - 삭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방지구는, 상기 제1 수평프레임 및 상기 제2 수평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다수의 전도 방지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 이송용 거푸집 지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132627A KR101507936B1 (ko) | 2013-11-03 | 2013-11-03 | 지게차 이송용 거푸집 지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132627A KR101507936B1 (ko) | 2013-11-03 | 2013-11-03 | 지게차 이송용 거푸집 지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07936B1 true KR101507936B1 (ko) | 2015-04-08 |
Family
ID=53033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30132627A KR101507936B1 (ko) | 2013-11-03 | 2013-11-03 | 지게차 이송용 거푸집 지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07936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127966A (ko) | 2015-04-28 | 2016-11-07 | 서보산업 주식회사 | 지게차를 이용한 거푸집 운반 지그 |
KR101763800B1 (ko) | 2017-02-22 | 2017-08-14 | (주)해성기공 | H빔의 상부 플랜지 연결용 스플라이스판의 가조립 지그 및 이를 이용한 가조립 방법 |
WO2019054566A1 (ko) * | 2017-09-18 | 2019-03-21 | 문철규 | 드럼 운반장치 |
KR20210000036U (ko) * | 2019-06-28 | 2021-01-06 | 주식회사 피엔티 | 수직벽 지지 장치용 보강 파이프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113029A (ja) * | 1991-03-13 | 1993-05-07 | Okabe Co Ltd | 梁型枠支保工ユニツト |
KR970003532Y1 (ko) * | 1994-04-06 | 1997-04-17 |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 합성고무보관 및 운반회수용 철제팔레트 |
US6024529A (en) | 1995-10-11 | 2000-02-15 | Hegna Lift As | Vacuum based lifter device for displacement of an article |
KR200251765Y1 (ko) * | 2001-07-13 | 2001-11-17 | 전정택 | 드럼 운반장치 |
-
2013
- 2013-11-03 KR KR20130132627A patent/KR10150793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113029A (ja) * | 1991-03-13 | 1993-05-07 | Okabe Co Ltd | 梁型枠支保工ユニツト |
KR970003532Y1 (ko) * | 1994-04-06 | 1997-04-17 |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 합성고무보관 및 운반회수용 철제팔레트 |
US6024529A (en) | 1995-10-11 | 2000-02-15 | Hegna Lift As | Vacuum based lifter device for displacement of an article |
KR200251765Y1 (ko) * | 2001-07-13 | 2001-11-17 | 전정택 | 드럼 운반장치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127966A (ko) | 2015-04-28 | 2016-11-07 | 서보산업 주식회사 | 지게차를 이용한 거푸집 운반 지그 |
KR101712189B1 (ko) * | 2015-04-28 | 2017-03-09 | 서보산업 주식회사 | 지게차를 이용한 거푸집 운반 지그 |
KR101763800B1 (ko) | 2017-02-22 | 2017-08-14 | (주)해성기공 | H빔의 상부 플랜지 연결용 스플라이스판의 가조립 지그 및 이를 이용한 가조립 방법 |
WO2019054566A1 (ko) * | 2017-09-18 | 2019-03-21 | 문철규 | 드럼 운반장치 |
KR20210000036U (ko) * | 2019-06-28 | 2021-01-06 | 주식회사 피엔티 | 수직벽 지지 장치용 보강 파이프 |
KR200493804Y1 (ko) * | 2019-06-28 | 2021-06-08 | 주식회사 피엔티 | 수직벽 지지 장치용 보강 파이프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07936B1 (ko) | 지게차 이송용 거푸집 지그 | |
KR960004042B1 (ko) | 형틀 판넬 | |
KR101817962B1 (ko) | 안전작업대 모듈 | |
CA3016972A1 (en) | Formwork for performing castings for providing floor slabs | |
KR20170002270U (ko) | 유로폼 클램핑 장치 | |
KR20180047905A (ko) | 건축용 거푸집 고정구 및 그 고정구의 제작방법 | |
CN105358414A (zh) | 具有保险元件的架空式输送装置 | |
KR20110023040A (ko) | 시공성이 향상된 보 거푸집용 지지어셈블리 | |
KR101415290B1 (ko) | 다중박스거더교의 프리캐스트방식 상부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
KR20120081456A (ko) | 거푸집 조립체 | |
KR101850067B1 (ko) | 조립식 트레이용 측판 | |
JP5236567B2 (ja) | 仮設足場の幅木材 | |
KR200485887Y1 (ko) | 조립식 트레이용 가로대 | |
EP4093926B1 (en) | Load transferring connecting element | |
KR200438983Y1 (ko) | 조립식 작업대 | |
KR20180133969A (ko) | 보시공용 보브라켓 | |
CN203579469U (zh) | 升降机齿条安装定位工装及其组合 | |
KR101182457B1 (ko) | 케이블 트레이 | |
JP6936489B2 (ja) | 仮設足場用足場板 | |
CN109385951B (zh) | 熨平板框架和摊铺机 | |
JP4058104B1 (ja) | 重量物の揚重方法 | |
KR101744790B1 (ko) | 동바리가 일체로 형성되는 단위 테이블폼과 이의 제작방법 | |
KR200395239Y1 (ko) |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인양장치 | |
KR20140006129U (ko) | 족장판 운반장치 | |
CN211173171U (zh) | 一种可拆卸的卸料平台型钢主梁端部固定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28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