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6129U - 족장판 운반장치 - Google Patents

족장판 운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6129U
KR20140006129U KR2020130004211U KR20130004211U KR20140006129U KR 20140006129 U KR20140006129 U KR 20140006129U KR 2020130004211 U KR2020130004211 U KR 2020130004211U KR 20130004211 U KR20130004211 U KR 20130004211U KR 20140006129 U KR20140006129 U KR 2014000612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member
support
chieftain
board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42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우민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300042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6129U/ko
Publication of KR2014000612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612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6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tools or equipment; characterised by automation, e.g. use of rob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83Wheeled supports connected to the transported obje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1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from prefabricated hull blocks, i.e. complete hull cross-s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3Welding, e.g. laser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7/00Devices for assisting manual moving or tilting heavy loads
    • B65G7/02Devices adapted to be interposed between loads and the ground or floor, e.g. crowbars with means for assisting conveyance of loads
    • B65G7/04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4Conveying or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4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base constructions;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ground-engaging parts, e.g. inclined struts, wheels
    • E04G2001/242Scaffolds movable on wheels or t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Robotics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족장판 운반장치는, 상하 일렬로 복수의 족장판이 배치되어 상기 족장판을 지지하는 받침부; 및 상기 받침부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받침부가 이동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캐스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족장판 운반장치는, 족장판을 상하 일렬로 적재 및 고정시켜 작업자가 족장판의 무게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힘으로 밀거나 당겨서, 족장판을 용이하게 운반시킬 수 있어, 작업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족장판 운반장치{Apparatus of transporting for scaffold}
본 고안은 족장판 운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 선박을 건조하는 경우, 여러 블록형태로 제작된 다수의 철판을 용접으로 결합하여 선박의 기본 형태를 완성한 후 초기 단계에서 제작된 선체에 각종 설비를 설치하여 선박을 제작하게 되며, 이러한 과정에서 작업자가 추락하는 등의 안전사고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각종 형태의 안전레일을 설치하거나 선박 건조물에 용접이나 도색 등의 제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족장판 등을 설치한다.
안전레일 및 족장판 등은 선체블록에 인접하여 설치되는데, 통상의 볼트 체결방식으로 구성되어 선체블록의 수평 또는 수직으로 돌출되는 부위에 클램프와 지주대가 설치된 후, 안전레일이나 족장판을 가설한다. 이때, 안전레일은 횡으로 다수 구비되고, 안전레일을 지지하기 위해서 세로로 지주대가 볼트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연결되며, 안전레일을 따라 작업자가 이동가능하도록 족장판이 형성된다.
한편, 족장판은 가설 또는 고정되는 장치로서, 선박의 건조시 작업자의 이동 등을 위해 필수적으로 구비되며, 복수개가 필요하여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족장판의 운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족장판 운반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족장판 운반장치는, 상하 일렬로 복수의 족장판이 배치되어 상기 족장판을 지지하는 받침부; 및 상기 받침부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받침부가 이동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캐스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받침부는, 복수의 상기 족장판 중 최하부의 하나가 맞닿으며 수평하게 이루어지는 수평부재; 및 상기 족장판의 측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수평판의 양단의 상부로 향하여 절곡되는 수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족장판의 폭에 대응하여 상기 수평부재의 폭이 이루어지고, 상기 족장판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상기 수평부재의 너비는 상기 수평부재의 폭과 같거나 작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받침부는, 상기 수평부재의 중심부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수평부재 상에 배치되는 상기 족장판의 홀을 관통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족장판 운반장치는, 족장판을 상하 일렬로 적재 및 고정시켜 작업자가 족장판의 무게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힘으로 밀거나 당겨서, 족장판을 용이하게 운반시킬 수 있어, 작업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족장판 운반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족장판 운반장치에 복수의 족장판을 설치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족장판 운반장치에 하나의 족장판을 설치하여 고정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족장판 운반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족장판 운반장치에 복수의 족장판을 설치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족장판 운반장치에 하나의 족장판을 설치하여 고정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족장판 운반장치(100)는 받침부(110) 및 캐스터부(120)를 포함한다.
받침부(110)는 상하 일렬로 복수의 족장판(10)이 배치되어 족장판(10)을 지지한다. 여기서, 받침부(110)는 수평부재(111), 고정부재(112) 및 수직부재(113)를 포함할 수 있다.
수평부재(111)는 복수의 족장판(10) 중 최하부의 하나가 맞닿으며 수평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족장판(10)의 폭에 대응하여 수평부재(111)의 폭이 이루어지고, 족장판(1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수평부재(111)의 너비는 수평부재(111)의 폭과 같거나 작게 이루어질 수 있어, 작업자 한사람이 한손으로 운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족장판 운반장치(100)의 외관 대부분을 이루는 수평부재(111)의 크기가 작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족장판 운반장치(100)의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할 수 있다.
고정부재(112)는 수평부재(111)의 중심부에 돌출형성되어, 수평부재(111) 상에 배치되는 족장판(10)의 홀(11)을 관통할 수 있다. 고정부재(112)는 족장판 운반장치(100) 상의 족장판(10)을 운반시 족장판(10)이 수평부재(111)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족장판(10)을 수평부재(111)상에 구속시킨다. 예를 들어, 고정부재(112)는 토글핀(toggle pin)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직부재(113)는 족장판(10)의 측면을 지지하도록, 수평부재(111)의 양단의 상부로 향하여 절곡될 수 있다. 수직부재(113)는 수직한 판의 형태로 이루어져, 복수의 족장판(10)는 하부에 적재된 족장판(10)일부를 받쳐 양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족장판(10)을 밧줄 등으로 묶어 고정시킬 수 있다.
캐스터부(120)는 족장판(10)을 적은 힘으로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이동가능한 구성으로서, 받침부(110)의 하부에 마련되어, 받침부(110)가 이동가능하도록 지지한다. 캐스터부(120)는 일반적인 바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족장판 운반장치(100)를 족장판(10)의 하부에 한 쌍으로 배치하여 족장판(10)을 수평하게 지지하며 운반시킬 수 있다. 이때,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족장판(10)이 수직부재(113)의 내측에 배치되게 수평부재(111)상에 놓여지고, 족장판(10)에 형성된 홀(11)에 수직으로 수용된 고정부재(112)를 끼워 족장판(10)이 수평부재(111)상에 구속되도록 한다.
족장판(10)이 수평부재(111)에 구속되고, 하나의 족장판(10) 상에 상하 일렬로 복수의 족장판(10)을 배치하여 밧줄 등으로 복수의 족장판(10)을 묶어 서로 구속되도록 하면, 족장판 운반장치(100)를 앞으로 밀거나 끌어당기는 단순한 동작으로 복수의 족장판을 적은 힘으로 운반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운반차량과 같은 장비를 이용하지 않고도, 족장판(10)을 사용할 수량으로 묶어 밀거나 끄는 단순한 동작으로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으며, 족장판 운반장치(100)의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여, 족장판의 설치작업을 위한 사전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고안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 족장판 11: 홀
100 : 족장판 운반장치 110: 받침부
120: 캐스터부 111: 수평부재
112: 고정부재 113: 수직부재

Claims (4)

  1. 상하 일렬로 복수의 족장판이 배치되어 상기 족장판을 지지하는 받침부; 및
    상기 받침부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받침부가 이동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캐스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장판 운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복수의 상기 족장판 중 최하부의 하나가 맞닿으며 수평하게 이루어지는 수평부재; 및
    상기 족장판의 측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수평판의 양단의 상부로 향하여 절곡되는 수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장판 운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족장판의 폭에 대응하여 상기 수평부재의 폭이 이루어지고, 상기 족장판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상기 수평부재의 너비는 상기 수평부재의 폭과 같거나 작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장판 운반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상기 수평부재의 중심부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수평부재 상에 배치되는 상기 족장판의 홀을 관통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장판 운반장치.
KR2020130004211U 2013-05-27 2013-05-27 족장판 운반장치 KR2014000612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4211U KR20140006129U (ko) 2013-05-27 2013-05-27 족장판 운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4211U KR20140006129U (ko) 2013-05-27 2013-05-27 족장판 운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6129U true KR20140006129U (ko) 2014-12-08

Family

ID=52458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4211U KR20140006129U (ko) 2013-05-27 2013-05-27 족장판 운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6129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13505A1 (ko) * 2017-07-11 2019-01-17 정귀남 이동수단을 구비한 브라켓
US11767048B1 (en) * 2022-04-19 2023-09-26 Roger Crowley Support stru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13505A1 (ko) * 2017-07-11 2019-01-17 정귀남 이동수단을 구비한 브라켓
CN110914507A (zh) * 2017-07-11 2020-03-24 郑贵男 具有移动单元的托架
US11767048B1 (en) * 2022-04-19 2023-09-26 Roger Crowley Support stru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76289B2 (ja) パイプ用複合一貫物流システム
KR101190771B1 (ko) 정밀설비 하부고정식 안전운반트롤리
KR20170107508A (ko) 콘테이너
KR20140006129U (ko) 족장판 운반장치
JP2013023334A (ja) 板ガラスの積載方法及び積載装置
KR20130136136A (ko) 강판 운반용 크레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강판의 운반방법
JP2013007640A (ja) 組み立て式放射線遮へい体及びこれを用いた放射線遮へい方法
JP2009249968A (ja) 屋根上搬送装置
JP6999365B2 (ja) 足場吊上装置
KR101922325B1 (ko) 자동차 부속품 이송 파렛트
KR20140023496A (ko) 형강 설치를 위한 비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형강 설치방법
KR20140003205U (ko) 안전레일 운반장치
JP5612432B2 (ja) 荷崩れ防止用台車
KR20130007189U (ko) 파이프 탑재용 지그
CN110997077B (zh) 安全系统
JP5758281B2 (ja) 配電盤用転倒防止具
JP2017172113A (ja) 足場施工方法、および、該方法で用いる足場仮設トレイ
JP2007106334A (ja) キャスタユニット、大型設置物キャスタ組付体、及び、大型設置物の運搬方法
CN114435778B (zh) 车厢侧板存储、运输用立式货架
KR20140003936U (ko) H빔 운반용 지그
KR200463667Y1 (ko) 이탈방지용 안전수단이 구비된 운반트롤리
CN215204963U (zh) 建筑施工薄板运输装置
JP5908694B2 (ja) 荷台の取り付け構造および荷台の取り付け方法
KR20160097752A (ko) 철판 절단물 적재 및 이송장치
CN110198906B (zh) 电梯用长条物运输辅具、电梯的导轨拆除方法及电梯的导轨设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