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1765Y1 - 드럼 운반장치 - Google Patents
드럼 운반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51765Y1 KR200251765Y1 KR2020010021235U KR20010021235U KR200251765Y1 KR 200251765 Y1 KR200251765 Y1 KR 200251765Y1 KR 2020010021235 U KR2020010021235 U KR 2020010021235U KR 20010021235 U KR20010021235 U KR 20010021235U KR 200251765 Y1 KR200251765 Y1 KR 200251765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 sensing
- drum
- link
- inter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게차를 이용한 드럼운반장치를 새로이 제시할 목적으로 안출된 것으로 프레임(10)과,상기 프레임상에 수직으로 힌지 결합되는 감지간지지대(20)와, 상기 감지간 지지대(20)의 상부에서 감지간 지지대와 링크구조(30)로 연결되고 하부에서 프레임(10)을 구성하는 지주(11)에 스프링(44)으로 연결되는 감지간(40)과, 상기 감지간 지지대 및 감지간의 상부에서 링크 구조로 연결되는 상부 죠(50)로 이루어지고, 상기한 감지간의 상부에는 하부죠(60)가 형성되고 감지간의 하부에는 감지봉(43)이 형성되는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드럼운반장치를 제시한다.
본 고안은 지게차의 포크에 삽입되는 형태로 장착되기 때문에 사용이 간편하고, 상하부 죠의 링크운동에 의한 교합에 의해 드럼을 견고하게 물어 고정할 수 있음으로 운반 도중 이탈되거나 전도되지 않도록 안전하게 이동시킬 수 있으며, 드럼을 적재하거나 하역시 외부의 도움없이 정확한 위치로 옮길 수 있으며, 드럼의 고정 및 이동이 기계적으로 이루어 짐으로 신속한 작업을 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지게차에 장착하여 각종 드럼을 이동시키거나 적재 및 하역을 위해 사용하는 드럼운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체상의 원료나 화공약품등은 통상 드럼에 수납하여 보관하거나 이동시키게 되는데 종래 이들 드럼을 운반하기 위해 일반적인 형태의 지게차가 이용되고 있다.
즉, 지게차의 포크를 드럼의 밑둥에 끼워 들어 올린 후 지게차를 이동시켜 드럼을 운반하고, 해당장소에서 이를 하역하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방법은 드럼의 리프팅 또는 운반도중 드럼이 비고정상태로 이동하게 됨으로 낙하나 전복 사고가 발생하기 쉽고, 차량이나 보관소의 적재위치에 정확히 내려 놓기 곤란하여 별도의 작업인부가 적재위치를 선정하여 주고, 적재위치로 유도하는 방법이 사용되며, 그 과정에서 각종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드럼의 운반 및 적재나 하역작업에 많은 시간을 요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지게차의 포크에 삽입되는 형태로 지게차에 장착되는 프레임상에 드럼상단의 롤부분을 물어 고정하는 죠를 설치하고, 상기 죠는 감지간에 작용하는 드럼의 접지압력에 의해 교합이 이루어 지도록 링크구조로 결합한 드럼운반장치를제시함으로서 지게차와 프레임의 장착이 간편하게 이루어 지도록 하고, 프레임을 지게차에 장착한 상태에서 드럼에 대고 밀어 밀어주는 동작에 의해 운반용 드럼의 고정이 정확하고 견고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드럼운반장치를 구성함으로서 적재와 하역 및 운반작업에 관련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할 목적으로 안출된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구성도
도2는 본 고안의 측면 상태도
도3은 본 고안의 내부 결합부 구성도
도4a 및 도4b는 본 고안의 동작 상태도
도5는 본 고안의 사용 상태도
*주요부호의 설명
10.프레임 11.지주 12.바닥판 13.버팀대
14.포크삽입홈 20.감지간 지지대 21.기둥 22.홀더
22a.축공 22b.안내홈 23.힌지 30.링크구조
31.교합중심축 32.상부링크축 33.하부링크축
34.사이드링크 34a,34b.축공 34c.안내홈
40.감지간 41.홀더 41a.축공
42.레버 43.감지봉 44.스프링
50.상부죠 51.이 52.54.안내홈 53.축공
60.하부 죠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한 실시레에 의해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2는 조립된 상태에서 측면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3은 본 고안의 내부 결합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은 프레임(10)과,상기 프레임상에 수직으로 힌지 결합되는 감지간지지대(20)와, 상기 감지간 지지대(20)의 상부에서 감지간 지지대와 링크구조(30)로 연결되고 하부에서 프레임(10)을 구성하는 지주(11)와 스프링(44)으로 연결되는 감지간(40)과, 상기 감지간 지지대와 감지간의 상부에서 링크 구조로 연결되는 상부 죠(50)로 이루어지고, 상기한 감지간의 상부에는 하부죠(60)가 형성되고 감지간의 하부에는 감지봉(43)이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프레임은 전체 구성요소를 지지하고, 지게차의 포크에 결합하는 수단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장방형 바닥판(12) 전방에 지주(11) 및 상기 지주를 바닥판상에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버팀대(13)가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프레임은 지게차에 탈착시킬 수 있는 부착장치가 포함되며, 본 고안은 부착장치의 실시례로서 바닥판의 후방 양측으로 지게차(100)의 포크(101)를 삽입할 수 있는 포크삽입홈(14)을 형성한 구조를 보인 것으로 이러한 구성에 의해 지게차의 포크를 상기 삽입홈에 밀어 넣음으로서 프레임을 지게차에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는 이점을 갖게 된다.
지주(11)는 디긋형 형강을 사용하여 형강 내부의 홈상에 후술하는 감지간이 삽입되도록 한다.
감지간지지대(20)는 감지간으로 부터의 운동력에 의해 상하부죠(50)(60)의 교합운동을 유도하기 위한 것으로 수직기둥(21)과 그 상부에 형성된 홀더(22)로 이루어지고, 프레임(10)을 구성하는 지주 후방에서 수직기둥(21) 하부가 힌지(23)로 결합된다.
수직기둥 상부에 형성된 홀더(22)는 판을 부채꼴 형태로 가공하여 양측방향으로 나란히 용착시킨 구조로서 부채꼴 판의 꼭지 부분에 축공(22a)이 형성되고,상기 축공의 하향 연장선상에 상부죠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홈(22b)이 형성된다.
상기한 축공(22a)은 후술하는 상부죠의 교합중심축(31)이 삽입되고, 하부의 상부죠 안내홈(22b)은 슬릿형 홈으로서 후술하는 하부링크축(33)의 유동공간을 제공하는 작용을 한다.
감지간(40)은 드럼과 접촉하여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링크동작을 유도하여 상하부 죠의 교합운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부에 'U'형 홀더(41)가 형성되고 그 하부에 일자형 레버(42)가 부착된 구조이며, 상기 홀더상에 축공(41a)이 형성되어 링크구조(30)를 이루는 상부죠(50) 및 사이드링크(34)와 상부링크축(32)으로 연결됨으로서 감지간지지대(20)와 연결되고, 레버(42) 하부는 프레임(10)을 구성하는 지주(11)와 스프링(44)에 의해 연결되는 구성을 갖는다.
또한, 감지간 하부에는 감지봉(43)이 형성되며 홀더에는 그 전방으로 하부죠(60)가 형성된다.
상부죠(50)는 판체를 걸고리 형태로 형성한 구조로서 전방에 드럼의 롤을 물 수 있도록 걸고리 형상의 이(51)가 형성되고, 본체상에는 장공형 상부링크축 안내홈(52)과 교합중심축 삽입을 위한 축공(53) 및 슬릿형태의 하부링크축 안내홈(54)이 동일선상에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한 상부 죠의 구조는 감지간지지대(20)의 홀더(22) 및 감지간 홀더(41)에 삽입되고, 사이드 링크와 함께 상부링크축, 교합중심축 및 하부링크축에 의해 결합된다.
사이드 링크(34)는 장방형 판체 구조로서 전 후방부에 각기 상부링크축을 결합하는 축공(34a)과 하부링크 축을 결합하는 축공(34b)이 형성되고 몸통부분에 장방형 교합중심축 안내홈(34c)이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 진다.
상기 구조에 의해 감지간의 하단 감지봉(43)에 압력이 걸릴때 스프링(44)이 늘어나면서 감지간의 아래부분이 후방으로(지주내부로) 후퇴함과 동시에 하향으로 내려오며, 감지간(40),사이드링크(34),감지간지지대(20) 및 상부 죠(50)로 이루어지는 링크동작에 의해 상부 죠가 포물선 형태를 그리며 하부죠(60)와 맞물리게 된다.
즉, 도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게차(100) 포크(101)에 프레임을 삽입하여 장착한 상태에서 드럼(102)쪽으로 밀어 주면 감지봉(42)이 드럼의 중간 부분에 먼저 닿고 미는 힘에 의해 감지간에 압력이 가해져 후퇴하게 된다.
감지간은 상부의 홀더에 결합된 상부링크축에 메달린 형태이고 하부에서 스프링에 의해 탄발력을 받도록 결합되기 때문에 도3b와 같이 감지봉에 작용하는 압력에 의해 후퇴할 때 동시에 하방향으로 내려 오게 되며, 상기 하향력이 상부링크축(32) 및 사이드링크(34)에 전달되어 교합중심축(31)을 기준으로 상부링크 축은 하향으로 하부링크 축은 상향으로 회전하며, 동시에 감지간지지대는 하부의 힌지(23)에 의해 후방으로 젖혀지는 동작이 이루어져 하부링크축으로 부터 회전력을 받은 상부죠는 포물선 형태로 교합중심축(31)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포물선 형태의 회전은 드럼(102)의 롤(103) 안쪽에 상부 죠의 이가 걸린 상태에서 교합력이 계속 작용할 때 이가 후퇴하면서 더욱 견고하게 롤을 물어 주는 동작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
상부죠와 사이드 링크 및 감지간 지지대 상에 형성된 장형 안내홈 또는 슬릿형 안내홈은 상기한 포물선운동시 상하부 링크축 및 교합중심축의 포물선 운동에 따른 유격을 조정하기 위한 기능을 위한 것으로 상부죠의 교합운동시 각각의 축은 안내홈을 타고 미끄러 지면서 포물선 운동에 따른 적정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상부 죠가 드럼의 롤 상부를 물고, 하부 죠가 그 하부를 받쳐 견고히 드럼을 물어준 상태에서 도5와 같이 감지간은 더 이상 후퇴하지 않고 감지봉이 드럼의 몸통부분에 밀착됨으로서 드럼이 견고하게 고정된다.
그 상태에서 지게차의 포크를 승강시키거나 지게차를 이동하더라도 드럼의 이탈이나 전도가 이루어 지지 않고 안정된 상태로 이동이 이루어지며, 적재 장소에 정확히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적재장소로 드럼을 이동시킨 후에는 드럼의 바닥면이 지면에 닿도록 포크를 내려 줌으로서 감지봉에 걸리는 압력이 해제되고 지게차를 약간 후퇴시켜 주면 드럼으로 부터 감지봉이 분리되면서 감지간에 연결된 스프링력이 작용하여 상기에서 설명한 드럼 고정상태와 반대 방향으로 링크운동이 이루어져 상하부죠가 벌어지면서 드럼의 고정이 풀리게 된다.
상기한 구성은 프레임을 이루는 지주와, 감지간 지지대, 감지간 및 상하부 죠를 포함하는 드럼고정장치를 프레임상에 하나만 설치할 수 있고 2개를 설치하여 동시에 2개의 드럼을 고정하거나 운반 이동시킬 수 있다.
드럼고정장치를 프레임상에 하나만 설치할 경우 프레임의 전방 중앙부에 설치하며, 2개를 설치할 경우에는 프레임의 전방 양측상에 설치할 수 있으며 그 경우 동시에 2개의 드럼을 운반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은 지게차의 포크에 삽탈 형태로 결합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상에 설치되어 드럼체를 미는 힘에 의해 상하부 죠의 교합운동을 유도 하여 드럼의 상부에서 상하부 죠에 의한 고정과 하부에서 감지봉에 의한 지지가 견고하게 이루어 지도록 하는데 특징을 갖는 것으로 구성요소의 세부적인 형상이나 조합에 있어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실시 할 수 있으며, 그러한 실시형태를 배제하지 아니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은 지게차의 포크에 삽입되는 형태로 장착되기 때문에 사용이 간편하고, 상하부 죠의 링크운동에 의한 교합에 의해 드럼을 견고하게 물어 고정할 수 있음으로 운반 도중 이탈되거나 전도되지 않도록 안전하게 이동시킬 수 있으며, 드럼을 적재하거나 하역시 외부의 도움없이 정확한 위치로 옮길 수 있으며, 드럼의 고정 및 이동이 기계적으로 이루어 짐으로 신속한 작업을 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 지게차에 장착되는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 전방에 수직으로 힌지 결합되는 감지간지지대(20)와, 상기 감지간 지지대(20)의 상부에서 감지간 지지대와 링크구조(30)로 연결되고 하부에서 프레임(10)을 구성하는 지주(11)에 스프링(44)으로 연결되는 감지간(40)과, 상기 감지간 지지대 및 감지간의 상부에서 링크 구조로 연결되는 상부 죠(50)로 이루어지고, 상기한 감지간의 상부에는 하부죠(60)가 형성되고 감지간의 하부에는 감지봉(43)이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지게차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감지봉을 드럼에 대고 밀면 감지간이 링크동작을 유도하여 상하부 죠가 드럼의 롤을 물어 고정하고 감지봉은 하부를 받쳐주는 동작으로 드럼체를 고정 운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운반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장방형 바닥판(12) 전방에 지주(11) 및 상기 지주를 바닥판상에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버팀대(13)가 형성되고, 바닥판의 후방 양측으로 지게차(100)의 포크(101)를 삽입할 수 있는 포크삽입홈(1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운반장치.
- 제1항에 있어서,감지간지지대(20)는 수직기둥(21)과 그 상부에 형성된 홀더(22)로 이루어져 프레임(10)을 구성하는 지주 후방에서 수직기둥(21) 하부가 힌지(23)로 결합되며, 수직기둥 상부에 형성된 홀더(22)는 부채꼴 판의 꼭지 부분에 축공(22a)이 형성되고, 상기 축공의 하향 연장선상에 상부죠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홈(22b)이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감지간(40)은 상부에 'U'형 홀더(41)가 형성되고 그 하부에 일자형 레버(42)가 부착된 구조로서 상기 홀더상에 축공(41a)이 형성되어 링크구조(30)를 이루는 상부죠(50) 및 사이드링크(34)와 상부링크축(32)으로 연결됨으로서 감지간지지대(20)와 연결되고, 레버(42) 하부는 프레임(10)을 구성하는 지주(11)와 스프링(44)에 의해 연결되는 구성을 갖고, 감지간 하부에 감지봉(42)이 형성되고, 홀더 전방으로 하부죠(60)가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지며; 상부죠(50)는 전방에 드럼의 롤을 물 수 있도록 걸고리 형상의 이(51)가 형성되고, 본체상에는 장공형 상부링크축 안내홈(52)과 교합중심축 삽입을 위한 축공(53) 및 슬릿형태의 하부링크축 안내홈(54)이 동일선상에 형성되는 구조로서 감지간지지대(20)의 홀더(22) 및 감지간 홀더(41)에 삽입되고, 사이드 링크와 함께 상부링크축, 교합중심축 및 하부링크축에 의해 결합되며, 사이드 링크(34)는 전 후방부에 각기 상부링크축을 결합하는 축공(34a)과 하부링크 축을 결합하는 축공(34b)이 형성되고 몸통부분에 장방형 교합중심축 안내홈(34c)이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운반장치.
- 제1항,제2항,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주와, 감지간 지지대, 감지간 및 상하부 죠를 포함하는 드럼고정장치를 프레임의 전방 양측에 각각 설치하여 동시에 2개의 드럼을 고정하거나 운반 이동시킬 수 있도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운반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21235U KR200251765Y1 (ko) | 2001-07-13 | 2001-07-13 | 드럼 운반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21235U KR200251765Y1 (ko) | 2001-07-13 | 2001-07-13 | 드럼 운반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51765Y1 true KR200251765Y1 (ko) | 2001-11-17 |
Family
ID=73105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10021235U KR200251765Y1 (ko) | 2001-07-13 | 2001-07-13 | 드럼 운반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51765Y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07936B1 (ko) * | 2013-11-03 | 2015-04-08 | 주식회사 블루폼 | 지게차 이송용 거푸집 지그 |
KR101510774B1 (ko) * | 2013-11-19 | 2015-04-09 | (주)태진이엔지 | 드럼 픽커 |
KR101555278B1 (ko) * | 2015-04-24 | 2015-09-24 | 김선영 | 지게차용 드럼 핸들러 |
WO2019054566A1 (ko) * | 2017-09-18 | 2019-03-21 | 문철규 | 드럼 운반장치 |
-
2001
- 2001-07-13 KR KR2020010021235U patent/KR200251765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07936B1 (ko) * | 2013-11-03 | 2015-04-08 | 주식회사 블루폼 | 지게차 이송용 거푸집 지그 |
KR101510774B1 (ko) * | 2013-11-19 | 2015-04-09 | (주)태진이엔지 | 드럼 픽커 |
KR101555278B1 (ko) * | 2015-04-24 | 2015-09-24 | 김선영 | 지게차용 드럼 핸들러 |
WO2019054566A1 (ko) * | 2017-09-18 | 2019-03-21 | 문철규 | 드럼 운반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653728A (en) | Apparatus for operating and transferring manhole cover | |
JP2017519687A (ja) | 防水シート構造 | |
US4536123A (en) | Hand truck apparatus for elevating and transporting an object | |
JPS602212B2 (ja) | 積載物積下し用車両 | |
JP2019011671A (ja) | 建材用リフト装置 | |
KR200251765Y1 (ko) | 드럼 운반장치 | |
JP4473433B2 (ja) | 仮設構造物の荷上げ装置 | |
JP3781963B2 (ja) | 荷受台昇降装置 | |
JP4416181B2 (ja) | 架空送電線のねじれ防止ダンパーの取外し機 | |
JP4411584B2 (ja) | 荷搬送台車 | |
KR101564995B1 (ko) | 시스템 동바리 이동용 리프트 기구 | |
JP2005029082A (ja) | ハンド・フォーク・リフト | |
US20230219795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moving objects | |
KR20090097078A (ko) | 컨테이너에 의한 자동차 수송용 지지대 | |
JPH0335487Y2 (ko) | ||
EP1190940B1 (en) | A support device for a spare wheel of a vehicle, provided with a lever for the lateral positioning of said wheel | |
JP3871845B2 (ja) | 貨物自動車におけるボディ位置修正装置 | |
JPS6223836A (ja) | 貨物自動車における荷役装置 | |
JPH0247148Y2 (ko) | ||
JP2597337Y2 (ja) | 昇降体の落下防止装置 | |
JP4450186B2 (ja) | 搬送用台車の牽引装置 | |
JPH0761781A (ja) | フォークリフト | |
JP4392959B2 (ja) | フォークリフトトラックのフォークの間隔調整装置 | |
JPH0812095A (ja) | 荷作業用デッキボード | |
JP2623982B2 (ja) | 昇降荷受け部を有する荷取り扱い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20930 Year of fee payment: 3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