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5278B1 - 지게차용 드럼 핸들러 - Google Patents

지게차용 드럼 핸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5278B1
KR101555278B1 KR1020150057648A KR20150057648A KR101555278B1 KR 101555278 B1 KR101555278 B1 KR 101555278B1 KR 1020150057648 A KR1020150057648 A KR 1020150057648A KR 20150057648 A KR20150057648 A KR 20150057648A KR 101555278 B1 KR101555278 B1 KR 1015552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clamping
main link
forklift
upr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7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영
Original Assignee
김선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영 filed Critical 김선영
Priority to KR10201500576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52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5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52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8Load gripping or retaining means
    • B66F9/187Drum lif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Abstract

본 발명은 지게차를 이용하여 각종 드럼을 이동시키거나 정리하기 위한 지게차용 드럼 핸들러에 관한 것이다. 그의 구성은; 본 발명은 지게차의 포크가 인입하여 결합하게 되는 관형태의 포크결합관이 부착된 있는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일측에 지면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도록 직립하여 설치되는 직립프레임; 상기 직립프레임에 설치된 상태에서 드럼을 클램핑하는 드럼 클램핑부; 상기 직립프레임 상에 필요에 따라 1개 또는 2개의 상기 드럼 클램핑부를 설치하기 위한 클램핑 설치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게차용 드럼 핸들러{Drum Handler For Forklift}
본 발명은 드럼 핸들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게차를 이용하여 각종 드럼을 이동시키거나 정리하기 위한 지게차용 드럼 핸들러에 관한 것이다.
드럼은 음식물, 유류, 원료와 같은 각종 내용물을 저장 또는 보관하기 위한 보편적인 대용량의 용기이다. 드럼은 금속으로 된 것도 있으며 합성수지로 된 것도 있다. 통상적인 드럼은 용량이 200리터에 달하므로 내용물이 담긴 상태에서 사람의 힘으로 핸들링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장비의 도움으로 드럼을 이동, 정렬시켜야 하하며, 이를 위하여 드럼 핸들러(drum handler)가 사용되는 것이다.
종래의 드럼 핸들러는 지게차의 포크가 끼워지는 포크결합부가 마련되어 있는 프레임과, 이 프레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드럼의 림을 파지하는 클램핑부로 구성된다. 클램핑부가 드럼을 파지한 상태에서 포크를 들어올리면 드럼이 함께 들려지게 되고 지게차를 조정함으로써 드럼을 원하는 장소로 운반하거나 원하는 높이에 적재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한대의 지게차로써 한통의 드럼만을 운반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다. 지게차가 콘트롤할 수 있는 무게의 범위는 드럼의 무게보다 큰 것이 보통이기 때문이다. 즉 큰 힘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가벼운 물건만을 운반하는 것은 생산성 저하를 원인이 된다.
국내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13-0006182호 국내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1-0021235호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지게차를 이용하여 중량물인 드럼을 운반 또는 적재하기 위한 드럼 핸들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좀 더 상세하게는 필요에 따라 1개 또는 2개의 드럼을 파지하고 운반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춘 지게차용 드럼 핸들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은, 지게차의 포크가 인입하여 결합하게 되는 관형태의 포크결합관이 부착된 있는 베이스프레임; 베이스프레임의 일측에 지면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도록 직립하여 설치되는 직립프레임; 직립프레임에 설치된 상태에서 드럼을 클램핑하는 드럼 클램핑부; 직립프레임 상에 필요에 따라 1개 또는 2개의 상기 드럼 클램핑부를 설치하기 위한 클램핑 설치수단; 을 포함하되, 상기 클램핑 설치수단은; 상기 직립프레임의 상단 및 하단에 횡방향으로 마련되는 것으로서 각파이프 형태의 상부바 및 하부바; 상기 상부바 및 하부바의 연장방향을 따라 양측 가장자리 및 중간에 마련되는 볼트결합공; 상기 드럼 클램핑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상부바의 2면 이상을 감싸도록 절곡되어 있으며 볼트결합공이 마련되는 상부브래킷; 상기 클램핑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하부바의 2면 이상을 감싸도록 절곡되어 있으며 볼트결합공이 마련되는 하부브래킷;을 포함하는 지게차용 드럼 핸들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드럼 클램핑부는; 전방에 드럼의 측벽을 감쌀 수 있는 곡률로 만곡된 범퍼설치대가 설치되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의 상면에 직립 설치되며 상부에는 횡방향의 장공이 마련되는 포스트; 하단은 포스트의 하부에 힌지 연결되며, 상부는 상기 장공에 끼워지는 볼트가 결합됨으로써 상기 포스트에 대하여 상기 장공의 길이에 해당되는 유격으로 상대적 유동 가능하게끔 연결되는 메인링크; 상기 메인링크의 상단이 일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도록 상기 메인링크와 포스트 사이에 개입되는 탄성수단; 하단이 상기 메인링크의 상단에 힌지 연결되며 상부에는 드럼의 림 상면에 걸리게 되는 상부조; 상단이 상기 상부조의 상부에 힌지 연결되며, 하부는 상기 메인링크의 하부까지 연장되는 작동링크; 상기 작동링크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서 드럼의 림 저면에 지지되는 하부조; 일단은 상기 작동링크의 하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메인링크의 상부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상부조와 하부조가 서로 벌어지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힘을 가하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는 필요한 경우 드럼 클램핑부를 직립프레임의 좌우 양측에 장착하여 2개의 드럼을 동시에 핸들링할 수 있으며, 드럼 클램핑부를 직립프레임의 중간에만 장착하여 1개의 드럼만을 핸들링할 수 있게 된다. 작업자는 드럼의 중량, 업무 특성, 지게차의 적정 용량 등을 고려하여 드럼클램핑의 설치방법을 선택하면 된다. 이처럼 필요에 의하여 구조를 변경함으로써 하나의 장치로써 여러 종류의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지게차용 드럼 핸들러가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지게차용 드럼 핸들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지게차용 드럼 핸들러의 측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지게차용 드럼 핸들러의 사용상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지게차용 드럼 핸들러의 사용상태 측면도이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 1 내지 도 2를 기본적으로 참조하되 필요한 곳에서 나머지 도면을 인용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지게차용 드럼 핸들러는 베이스프레임(10), 직립프레임(20), 드럼 클램핑부(40) 및 클램핑 설치수단을 포함한다.
베이스프레임(10)에는 지게차의 포크(L)가 인입하여 결합하게 되는 관형태의 포크결합관(11)이 부착되어 있다. 포크결합관(11)은 도시된 것처럼 일체형으로 된 관체일 수도 있고 2개 또는 3개의 단관이 일렬로 고정된 형식일 수도 있다. 베이스프레임(10)에는 포크결합관(11)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횡대(12, 도 3 참조) 등을 포함한다. 아무튼 포크결합관(11)은 베이스프레임(10)을 지게차의 포크(L)와 결합시키기 위한 것이다.
직립프레임(20)은 베이스프레임(10)의 일측에 지면에 대하여 직립하여 설치된다. 직립프레임(20)은 사각의 틀체로서 상부바(22), 하부바(13) 및 이들을 연결하는 측바(21)를 포함한다. 드럼 클램핑부(40)는 직립프레임(20)에 설치된 상태에서 드럼(D), 특히 드럼의 상단에 있는 림(R)을 클램핑한다. 클램핑 설치수단은 직립프레임(20)에 필요에 따라 1개 또는 2개의 드럼 클램핑부(40)를 설치하기 위한 것이다(도 3, 4 참조). 직립프레임(20)과 베이스프레임(10) 사이에는 버팀대(14)가 용접 등으로 고정 설치되어 이들 사이의 강성을 유지시키고 있다.
또한 직립프레임의 하단에는 전방을 향해 돌출되게끔 위치조정부(30)가 설치된다. 위치조정부(30)는 드럼을 밀어붙임으로써 드럼이 직립프레임의 정중앙에 위치되도록 하며, 또한 드럼을 전방을 향해 강제로 밀어 위치를 이동시키기도 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위치조정부(30)는 받침대(31), 범퍼설치대(32) 및 범퍼(33)로 구성된다.
이하 드럼을 클램핑하기 위한 기구적 장치로서의 드럼 클램핑부를 설명한다.
받침대(10)의 전방에는 드럼(D)의 측벽을 감쌀 수 있는 곡률로 만곡된 범퍼설치대(32)가 설치된다. 범퍼설치대(32)의 전면에는 범퍼(33)가 고정 부착된다. 범퍼(33)는 완충작용을 위하여 고무 또는 우레탄으로 될 수 있다. 받침대(31)은 박스 형태일 수도 있고 단지 판재 형태일 수도 있다.
포스트(24)가 받침대(31)의 상면에 직립 설치된다. 포스트(24)는 서로 평행하게 이격되어 있는 한쌍의 단위판으로 구성된다. 포스트(24)의 상부에는 횡방향의 장공(24a)이 마련되어 있다.
메인링크(43)가 포스트(24) 사이의 공간에 끼워진 상태에서 포스트(24)의 하부에 힌지 연결된다. 메인링크(43)의 하단이 포스트(24)에 힌지 연결됨으로써 그의 상단은 힌지핀(431)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게끔 되어 있다. 메인링크(43)는 단면이 디귿(ㄷ)자 형태로 절곡된 형강 구조를 가진다. 볼트(433)가 포스트(24)의 장공(24a)에 끼워진 상태에서 메인링크(43)의 측벽에 고정된다. 볼트(433)와 장공(24a) 사이에는 유격이 있으며, 이에 의해 메인링크(43)는 장공(24a)의 길이에 해당하는 만큼 전후로(도 2,5에 의하면 좌우로) 기동하게 된다. 판스프링(432)과 같은 탄성수단이 포스트(24)와 메인링크(43) 사이에 설치됨으로써 메인링크(43)로 하여금 도 2에서 우측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되도록 한다. 이 판스프링(432)은 메인링크(43)의 완충작용을 위한 것이다.
상부조(41, upper jaw)가 메인링크(43)에 힌지 연결된다. 상부조(41)의 하단이 메인링크(43)의 상단에 힌지 연결된다. 상부조(41)와 후술되는 하부조(42, lower jaw)는 한 쌍으로서 클램핑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상부조(41)의 선단에는 드럼의 상부 림(R)에 걸리게 되는 이빨(411)이 마련된다.
작동링크(423)는 상단이 상부조(41)의 상부에 힌지 연결되어 하방으로 연장된다. 작동링크(423)에는 연장대(422)가 일체로 연결되며, 이 연장대(422)는 메인링크(43)의 하부까지 연장된다. 작동링크(43)에는 전술한 하부조(42)가 설치된다. 하부조(42)는 작동링크(43)의 상부 전방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드럼의 림(R)의 저면에 지지된다. 하부조(42)에도 상부조와 마찬가지로 경도가 높은 소재로 된 이빨(421)이 부착된다.
코일스프링(44)은 일단이 연장대(422)의 하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메인링크(43)의 상부에 연결된다. 코일스프링(44)은 작동링크(423)가 위로 들려지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작동링크(423)에 힘을 가한다. 코일스프링(44)은 상부조(41)의 이빨(421)과 하부조(42)의 이빨(421)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힘을 가하게 된다. 이는 드럼(D)을 내려놓을 때 상부조(41)와 하부조(42)가 원상복귀되도로 하는 원동력이 된다.
이하 드럼 클램핑부(40)를 직립프레임(20)에 설치하기 위한 클램핑 설치수단을 설명한다.
클램핑 설치수단은; 직립프레임(20)의 상단 및 하단에 횡방향으로 마련되는 것으로서 각파이프 형태의 상부바(22) 및 하부바(13)를 포함한다. 이들 상부바(22) 및 하부바(13)의 연장방향을 따라 양측 가장자리 및 중간에는 볼트결합공(23, 25)이 마련된다(도 3,4 참조. 도면부호 23은 도 1 참조). 상부바(22)에는 볼트결합공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며, 하부바(13)에는 횡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는 볼트(미도시됨)를 끼우거나 빼내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부바(22)의 2면 이상을 감싸도록 절곡되어 있는 상부브래킷(26)이 드럼 클램핑부(40)에 설치된다(도 2 참조). 상부브래킷(26)은 포스트(24)의 상단에 용접으로 고정 설치되며, 상부바(22)의 볼트결합공(25)과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된 볼트공(26a, 도 2 참조)을 가진다.
또한 하부바(13)의 2면 이상을 감싸도록 절곡되어 있는 하부브래킷(27)이 드럼 클램핑부(40)에 설치된다. 하부브래킷(27)은 포스트(24)의 하단에 용접으로 고정 설치되며, 볼트결합공(23)과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볼트공(27a, 도 2 참조)을 가진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부바(22) 및 하부바(13)는 레일의 역할을 하고 드럼 클램핑부(40)는 이 레일의 연장방향을 따라 도 3에서 화살표(K)로 표시된 방향을 따라 기동될 수 있게 되어 있다. 드럼 클램핑부(40)가 상부바(22) 및 하부바(13)에 설치된 상태에서 유격에 의해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볼트체결방식을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간단하게 체결 또는 해제할 수 있는 클램핑 방식이 가능하다. 또한 드럼 클램핑부(40)와 직립프레임(20. 특히, 상부바(22)와 하부바(13))의 경계부위에는 마찰방지 및 원활한 유동을 위한 윤활수단 내지 베어링수단이 개입될 수도 있다. 이는 내마모성을 증대시키고 사용상 편의를 위함이다.
이하, 본 발명의 드럼 핸들러의 작용을 도 2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포크결합관(11)에 지게차의 포크(L)를 끼워 결합시킨다. 지게차를 조정하면서 위치조정부(30)를 이용하여 드럼(D)을 드럼 클램핑부(40)의 정중앙에 위치될 수 있도록 위치시킨다. 그리고 도 2에서와 같이 드럼의 상부에 있는 림(R)의 저면에 하부조(42)의 이빨(421)이 밀착될 수 있도록 지게차의 포크(L)를 조정한다. 하부조의 이빨(421)이 림(R)의 저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지게차의 포크(L)를 들어올리면 작동링크(423)는 림(R)에 걸려 상승하지 못하지만 메인링크(43)는 상승하게 된다. 메인링크(43)가 상승하게 되면 상부조(41)는 링크의 원리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메인링크(43)가 더 상승하게 되면 상부조의 이빨(411)이 림(R)의 상면에 걸리면서 하부조(42)의 이빨(421)과 함께 림(R)을 클램핑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포크(L)가 상승할수록 상부조(41)와 하부조(42)는 더 강력하게 드럼의 림(R)을 클램핑하게 되는데, 이로써 중량물인 드럼(D)을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지면으로부터 이격되게끔 들어올릴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드럼(D)을 내려놓을 때에는 위의 작동설명에 대하여 역순으로 진행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것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거한 예시에 불과하다. 당업자는 청구범위를 통해 표현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넘지 않는 선에서 예시된 바를 활용하여 다양한 변형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위에 설명된 모든 실시예들은 당업자에 의해 자유롭게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어떠한 조합이든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고 해석되어야 한다.
10 : 베이스프레임 11 : 포크결합관
13 : 하부바 20 : 직립프레임
22 : 상부바 24 : 포스트
24a : 장공 26, 27 : 상부, 하부브래킷
30 : 위치조정부 31 : 받침대
32 : 범퍼설치대 33 : 범퍼
40 : 드럼 클램핑부 41 : 상부조
42 : 하부조 43 : 메인링크
44 : 스프링 411, 421 : 이빨
D : 드럼 R : 림(rim)

Claims (4)

  1. 지게차의 포크가 인입하여 결합하게 되는 관형태의 포크결합관이 부착된 있는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일측에 지면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도록 직립하여 설치되는 직립프레임;
    상기 직립프레임에 설치된 상태에서 드럼을 클램핑하는 드럼 클램핑부;
    상기 직립프레임 상에 필요에 따라 1개 또는 2개의 상기 드럼 클램핑부를 설치하기 위한 클램핑 설치수단;
    을 포함하되,
    상기 클램핑 설치수단은;
    상기 직립프레임의 상단 및 하단에 횡방향으로 마련되는 것으로서 각파이프 형태의 상부바 및 하부바; 상기 상부바 및 하부바의 연장방향을 따라 양측 가장자리 및 중간에 마련되는 볼트결합공; 상기 드럼 클램핑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상부바의 2면 이상을 감싸도록 절곡되어 있으며 볼트결합공이 마련되는 상부브래킷; 상기 클램핑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하부바의 2면 이상을 감싸도록 절곡되어 있으며 볼트결합공이 마련되는 하부브래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용 드럼 핸들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 클램핑부는;
    전방에 드럼의 측벽을 감쌀 수 있는 곡률로 만곡된 범퍼설치대가 설치되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의 상면에 직립 설치되며 상부에는 횡방향의 장공이 마련되는 포스트; 하단은 포스트의 하부에 힌지 연결되며, 상부는 상기 장공에 끼워지는 볼트가 결합됨으로써 상기 포스트에 대하여 상기 장공의 길이에 해당되는 유격으로 상대적 유동 가능하게끔 연결되는 메인링크; 상기 메인링크의 상단이 일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도록 상기 메인링크와 포스트 사이에 개입되는 탄성수단; 하단이 상기 메인링크의 상단에 힌지 연결되며 상부에는 드럼의 림의 상면에 걸리게 되는 상부조; 상단이 상기 상부조의 상부에 힌지 연결되며, 하부는 상기 메인링크의 하부까지 연장되는 작동링크; 상기 작동링크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서 드럼의 림의 저면에 지지되는 하부조; 일단은 상기 작동링크의 하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메인링크의 상부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상부조와 하부조가 서로 벌어지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힘을 가하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용 드럼 핸들러.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의 전방에는 드럼의 측벽을 감쌀 수 있는 곡률로 만곡된 범퍼설치대가 설치되며; 상기 범퍼설치대의 전면에는 완충작용을 위해 고무 또는 우레탄으로 된 범퍼가 고정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용 드럼 핸들러.
KR1020150057648A 2015-04-24 2015-04-24 지게차용 드럼 핸들러 KR1015552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7648A KR101555278B1 (ko) 2015-04-24 2015-04-24 지게차용 드럼 핸들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7648A KR101555278B1 (ko) 2015-04-24 2015-04-24 지게차용 드럼 핸들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5278B1 true KR101555278B1 (ko) 2015-09-24

Family

ID=54248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7648A KR101555278B1 (ko) 2015-04-24 2015-04-24 지게차용 드럼 핸들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527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7108B1 (ko) 2018-10-02 2019-12-18 김인수 지게차용 쓰레기통 덤핑 어태치먼트
CN110775897A (zh) * 2019-11-28 2020-02-11 泉州铂克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改进型升降叉车及其使用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1765Y1 (ko) * 2001-07-13 2001-11-17 전정택 드럼 운반장치
KR101510774B1 (ko) * 2013-11-19 2015-04-09 (주)태진이엔지 드럼 픽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1765Y1 (ko) * 2001-07-13 2001-11-17 전정택 드럼 운반장치
KR101510774B1 (ko) * 2013-11-19 2015-04-09 (주)태진이엔지 드럼 픽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7108B1 (ko) 2018-10-02 2019-12-18 김인수 지게차용 쓰레기통 덤핑 어태치먼트
CN110775897A (zh) * 2019-11-28 2020-02-11 泉州铂克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改进型升降叉车及其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41011B2 (en) Pallet jack having width-adjustable fork prongs
US8841582B2 (en) Engine driven welding machine
JP5827289B2 (ja) 貨物用ラック
AU2007203004B2 (en) Configuration for accommodating and transferring and/or transporting at least one functional part of a technical device
US20100001241A1 (en) Stern Drive Jack Stand
US9216883B2 (en) Clamp-on fork lift attachment with stabilizer bar
US20090255966A1 (en) Device for adjustably holding a rack on a pickup truck
US8657310B2 (en) Wafer box conveyor
KR101555278B1 (ko) 지게차용 드럼 핸들러
CN109178714B (zh) 一种双桶垃圾自动倾倒设备
CN102424230A (zh) 一种气瓶搬运车的气瓶紧握件
KR101361000B1 (ko) 아연도 강판을 이용한 온실용 대차레일 받침대
JP5980743B2 (ja) レール吊上装置
CN108483287A (zh) 一种家电的搬运装置
KR20120016633A (ko) 캐리어에 장착되는 고정 장치 및 그 용도
CN103084762A (zh) 自卸车箱板机器人焊接机
CN216424809U (zh) 合金粉末包装设备
KR20120114106A (ko) 대차 레일 이동용 지그
EP3081453A1 (en) Roll container and method of transporting a plurality of roll containers
JP6651253B2 (ja) 杭打機のオーガ着脱方法及びオーガ着脱用のサポート治具
CN213562530U (zh) 一种汽车门板放置料架
CN110745341B (zh) 组合式料架
CN209792921U (zh) 一种用于罐体焊接机器人的罐体搬运组件
KR20140003958U (ko) 파이프 취부용 지지장치
KR20090016317A (ko) 강관의 티그(tig) 자동용접 시공용 장비 탑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