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1000B1 - 아연도 강판을 이용한 온실용 대차레일 받침대 - Google Patents

아연도 강판을 이용한 온실용 대차레일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1000B1
KR101361000B1 KR1020130133249A KR20130133249A KR101361000B1 KR 101361000 B1 KR101361000 B1 KR 101361000B1 KR 1020130133249 A KR1020130133249 A KR 1020130133249A KR 20130133249 A KR20130133249 A KR 20130133249A KR 101361000 B1 KR101361000 B1 KR 1013610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greenhouse
separation
support
steel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3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충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특수철강공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027046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361000(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특수철강공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특수철강공업
Priority to KR10201301332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10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1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10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3Equipment for handling produce in greenhou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 온실에서 재배하는 농작물을 수확하거나 농약을 줄 때 약 3m 정도 위로 리프팅하여 이동하면서 작업이 가능하도록 한 작업대 또는 대차의 레일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면, 지면에 안착되어 설치되는 지지본체와 지지본체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부에 레일을 수용하는 레일수용홈과 레일수용홈에 레일이 끼움 결합되며, 레일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 및 일측면에 비틀림방지홈을 길이방향으로 구비하는 복수개의 레일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탈방지부는 복수개의 보강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연도 강판을 이용한 온실용 대차레일 받침대에 관한 기술분야가 개시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아연도 강판을 이용한 온실용 대차레일 받침대는 이탈방지부 및 비틀림방지홈을 이용하여 레일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와, 보강부를 이용하여 대차 이동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여 받침대의 변형을 최소화하는 효과 및 레일지지부의 지지날개를 이용하여 안정적으로 대차 및 레일을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아연도 강판을 이용한 온실용 대차레일 받침대{Zinc steel plate use Greenhouse car pedestal}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 온실에서 재배하는 농작물을 수확하거나 농약을 줄 때 약 2 ~ 6m 정도 위로 리프팅하여 이동하면서 작업이 가능하도록 한 작업대 또는 대차의 레일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면, 지면에 안착되어 설치되는 지지본체와 지지본체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부에 레일을 수용하는 레일수용홈과 레일수용홈에 레일이 끼움 결합되며, 레일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 및 일측면에 비틀림방지홈을 길이방향으로 구비하는 복수개의 레일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탈방지부는 복수개의 보강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연도 강판을 이용한 온실용 대차레일 받침대에 관한 기술분야이다.
일반적으로 대차는 궤도 또는 레일을 따라 이동하여 운반물 및 사람을 운반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각종 건설현장과 공장 및 철로 등에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큰 규모의 비닐하우스에서도 농작물을 수확하거나 농약을 주기 위해 대차를 이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기술의 예로써,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38828호(비닐하우스용 이송장치)를 살펴보면, 비닐하우스의 고랑에 레일을을 설치하고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될 수 있는 대차인 수레를 구비함으로서, 작업자는 상기 수레에 앉은 상태에서 이동하면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수확한 작물 및 각종 도구를 수레에 적재하여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때, 레일을 지지하는 받침대인 파이프 지지구를 일정간격에 설치하여 레일을 따라 수레가 이동할 수 있게 하였다.
그러나, 종래기술은 비닐하우스의 내부 구조상 지면이 고르지 않아 수레의 이동시 진동이 발생하여 수레 및 레일이 파이프 지지구를 이탈하는 문제와 수레를 지지하는 파이프 지지구의 형태가 변형되어 사고가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수레의 무게와 레일의 무게를 충분히 지지하기 위해 강철판을 이용하거나 강철 파이프를 이용하여 받침대를 제작하여 사용되고 있으나, 너무 무거워 설치가 용이하지 않고, 제작 및 설치 비용이 많아 지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3882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15987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수레 및 레일의 이탈에 따른 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이에 대한 해결점을 가볍고 튼튼한 아연도 강판으로 제작되고, 안정적으로 대차를 이동시킬 수 있는 아연도 강판을 이용한 온실용 대차레일 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지면에 안착되어 설치되는 지지본체(10);와 지지본체(10)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부에 레일(30)을 수용하는 레일수용홈(22)과 레일수용홈(22)에 레일(30)이 끼움 결합되며, 레일(3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24) 및 일측면에 비틀림방지홈(26)을 길이방향으로 구비하는 복수개의 레일지지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탈방지부(24)는 복수개의 보강부(2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레일지지부(20)는 레일(30) 길이방향의 양측면 상부 말단에 내측방향으로 일체로 형성된 지지날개(28)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연도 강판을 이용한 온실용 대차레일 받침대을 제시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아연도 강판을 이용한 온실용 대차레일 받침대는 이탈방지부 및 비틀림방지홈을 이용하여 레일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와, 보강부를 이용하여 대차 이동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여 받침대의 변형을 최소화하는 효과 및 레일지지부의 지지날개를 이용하여 안정적으로 대차 및 레일을 지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받침대에 레일이 설치되어 있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받침대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받침대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탈방지부와 레일수용홈의 θ각을 표시한 레일지지부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탈방지부와 레일수용홈의 θ각이 다를때의 이탈방지부의 길이를 표시한 레일지지부의 정면도.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 온실에서 재배하는 농작물을 수확하거나 농약을 줄 때 약 2 ~ 6m 정도 위로 리프팅하여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작업이 가능하도록 한 대차의 레일 받침대(100)에 관한 것으로서, 레일(30)이 형성되는 공간에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된다. 또한 받침대(100)의 재질은 가볍고 강한 강성을 갖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 본 발명의 받침대(100)는 가볍고 성형이 용이하여 제작비용이 저렴한 아연도 강판의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아연도 강판을 이용한 온실용 대차레일 받침대는 지면에 안착되어 설치되는 지지본체(10);와 지지본체(10)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부에 레일(30)을 수용하는 레일수용홈(22)과 레일수용홈(22)에 레일(30)이 끼움 결합되며, 레일(3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24) 및 일측면에 비틀림방지홈(26)을 길이방향으로 구비하는 복수개의 레일지지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탈방지부(24)는 복수개의 보강부(2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지지본체(10)는 중앙에 지지본체(10)의 길이방향으로 보강부(1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양측에 지지본체(10)의 길이방향으로 주름부(14)와 본체날개(16)를 구비하고, 주름부(14)와 본체날개(16)의 모서리에 복수개의 보강부(18)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아울러, 레일지지부(20)는 레일(30) 길이방향의 양측면 상부 말단에 내측방향으로 일체로 형성된 지지날개(28)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탈방지부(24)는 상부 말단부터 레일수용홈(22)의 중앙 하부 말단까지의 각이 θ일 때, θ의 범위는 46°~60°이고, θ 값이 증가함에 따라 이탈방지부(24)의 길이가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1 내지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지지본체(10)는
지면에 안착되어 설치되고, 중앙에 지지본체(1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보강부(12)와 양측에 지지본체(10)의 길이 방향으로 주름부(14)와 본체날개(1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주름부(14)와 본체날개(16)의 모서리에 복수개의 보강부(18)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서, 일정의 길이를 갖고 대차와 레일(30) 및 레일지지부(20)를 지면에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지지본체(10)의 주름부(14)와 본체날개(16)는 대차의 이동시 전달되는 진동을 안정적으로 지면에 분산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지지본체(10)에 압력이 가해지면 지지본체(10)가 본체날개(16) 보다 하부로 휘어지고, 대차가 지나가면 주름부(14)에 의해 형성된 탄성력으로 다시 원상복귀되는 것이다. 즉, 온실의 특성상 바닥이 흙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주름부(14)가 없으면 지지본체(10)가 지면에 점차 묻히게 되어 레일(30)의 수평을 유지하기 힘들게 된다.
아울러, 지지본체(10)의 중앙에 형성된 일정의 길이를 갖는 보강부(12)는 지지본체(10)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좌우로 비틀어지는 것을 주름부(14)와 같은 원리로 최소화 시키고, 주름부(14)와 본체날개(16)의 모서리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보강부(18)는 주름부(14)가 지지본체(10)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평탄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실현한다.
덧붙여, 도면에 표시되지 않았지만 이하에서 설명될 레일지지부(20)와의 결합을 위하여 지지본체(10)에 레일지지부(20)의 결합돌기(미표시)와 대응되는 결합홈(미표시)를 구비하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의 레일지지부(20)는
지지본체(10)의 상부에 끼움 결합되고, 상부에 레일(30)을 수용할 수 있는 레일수용홈(22)과 레일수용홈(22)에 레일(30)이 끼움 결합되며, 레일(3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24) 및 일측면에 비틀림방지홈(26)을 길이방향으로 구비하는 것으로서, 레일(30)을 지지하고 레일(30)의 이탈 및 진동을 최소화하여 안정적으로 대차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레일지지부(2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부에 지지본체(10)의 결합홈에 대응되는 결합돌기를 구비하여 지지본체(10)의 상부에 고정 결합되고, 레일(30)이 안정적으로 레일수용홈(22)에 안착되도록 레일(30)의 지름과 대응되는 레일수용홈(22)이 형성된다.
이때, 지지본체(10)와의 결합은 결합돌기와 결합홈에 의해 결합되지 않고 일체로 형성되거나 용접을 통하여 결합하여도 무방하나, 일체로 형성되거나 용접을 통하여 결합되면 대차 이동시 전달되는 진동에 의해 점차적으로 형태가 변형되거나 결합부분에 균열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결합홈과 결합돌기를 이용하거나 볼트 너트 등을 이용하여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레일수용홈(22)은
원형의 레일(30)의 반구에 해당하는 홈을 형성하지 않고, 레일(30)이 끼움 결합되었을 때 레일(30)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레일(30)이 안착되는 면과 레일(30)을 안정적으로 고정시켜주는 이탈방지부(24)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덧붙여, 레일(30)이 안착되는 면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30)의 길이방향에 있는 레일지지부(20)의 양측면의 상부가 되고, 이를 보강하기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일지지부(20)의 양측면의 상부에 지지날개(28)를 더 포함하여 안정적으로 레일(30)을 지지 및 고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지지날개(28)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지지부(20)의 외측방향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나, 외측방향으로 형성되었을 시 지지날개(28)가 파손되면 레일지지부(20)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기 때문에 내측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연관하여, 레일지지부(20)의 비틀림방지홈(26)은
지지본체(10) 중심방향의 일측에 레일지지부(2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대차 이동시 발생되는 진동에 의한 좌우 흔들림에 의해 레일지지부(20)가 비틀리는 형태변화를 유동적으로 흡수하는 역할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레일(30)의 수리시에 레일지지부(20)의 파손을 최소화하며 레일(30)을 쉽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실현한다.
본 발명의 이탈방지부(24)는
레일수용홈(22)의 상부 말단에 연장 형성되어 레일(30)의 이탈을 방지하고, 복수개의 보강부(2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서, 레일(30)을 쉽게 끼워 고정시키고, 대차 이동시에 발생하는 진동에도 레일(30)이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이탈방지부(24) 상부 말단의 길이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수용홈(22)의 중앙 하부 말단부터 이탈방지부(24)의 상부 말단까지의 각을 θ라 할 때, θ의 범위는 54°~ 60°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는 θ가 54°미만으로 형성되면 레일(30)이 레일수용부(22)에 인입되는 것이 용이하나 대차 이동시에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이탈방지부(24)가 충분히 레일(30)을 고정시킬 수 없게 되고, θ가 60°를 초과하여 형성되면 레일(30)을 레일수용부(22)에 인입될 때 강한 힘을 주어야 하고 이에 따른 이탈방지부(24)의 파손을 초래할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θ 값이 54°미만으로 이탈방지부(24)가 형성되면 이탈방지부(24)가 레일(30)을 감싸지 못하게 되어 레일(30)의 이탈이 쉽게 일어나고, 60°를 초과하여 이탈방지부(24)가 형성되면 이탈방지부(24)에 레일(30)이 인입되기 어려운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이탈방지부(24)의 길이는 θ 값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이탈방지부(24)의 길이가 증가하면 θ 값이 증가되는 것과 같은 의미인것은 자명할 것이다.
아울러, 레일(30)의 지름에 따른 θ각의 바람직한 최대각은 이탈방지부(24)의 두께와 강판의 탄성을 고려한다면 충분히 통상의 기술자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 가능함은 자명할 것이다.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 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 : 지지본체 12, 18, 25 : 보강부
14 : 주름부 16 : 본체날개
20 : 레일지지부 22 : 레일수용홈
24 : 이탈방지부 26 : 비틀림방지홈
30 : 레일 100 : 받침대

Claims (4)

  1. 지면에 안착되어 설치되는 지지본체(10);와
    지지본체(10)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부에 레일(30)을 수용하는 레일수용홈(22)과 레일수용홈(22)에 레일(30)이 끼움 결합되며, 레일(3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24) 및 일측면에 비틀림방지홈(26)을 길이방향으로 구비하는 복수개의 레일지지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탈방지부(24)는 복수개의 보강부(2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연도 강판을 이용한 온실용 대차레일 받침대.
  2. 제1항에 있어서,
    지지본체(10)는
    중앙에 지지본체(10)의 길이방향으로 보강부(1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양측에 지지본체(10)의 길이방향으로 주름부(14)와 본체날개(16)를 구비하고, 주름부(14)와 본체날개(16)의 모서리에 복수개의 보강부(18)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연도 강판을 이용한 온실용 대차레일 받침대.
  3. 제1항에 있어서,
    이탈방지부(24)는
    상부 말단부터 레일수용홈(22)의 중앙 하부 말단까지의 각이 θ일 때,
    θ의 범위는 54°~ 60°이고, θ 값이 증가함에 따라 이탈방지부(24)의 길이가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연도 강판을 이용한 온실용 대차레일 받침대.
  4. 제1항에 있어서,
    레일지지부(20)는
    레일(30) 길이방향의 양측면 상부 말단에 내측방향으로 일체로 형성된 지지날개(28)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연도 강판을 이용한 온실용 대차레일 받침대.
KR1020130133249A 2013-11-05 2013-11-05 아연도 강판을 이용한 온실용 대차레일 받침대 KR1013610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3249A KR101361000B1 (ko) 2013-11-05 2013-11-05 아연도 강판을 이용한 온실용 대차레일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3249A KR101361000B1 (ko) 2013-11-05 2013-11-05 아연도 강판을 이용한 온실용 대차레일 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1000B1 true KR101361000B1 (ko) 2014-02-12

Family

ID=50270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3249A KR101361000B1 (ko) 2013-11-05 2013-11-05 아연도 강판을 이용한 온실용 대차레일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100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0487A (ko) * 2014-12-10 2016-06-20 주식회사 현대특수철강공업 온수 순환용 파이프 레일 고정구 및 이를 이용한 온수 순환용 파이프 레일 고정방법
KR20190061190A (ko) * 2017-11-27 2019-06-05 주식회사은성기업 농업용 대차 레일의 높이조절장치
KR20190061185A (ko) * 2017-11-27 2019-06-05 주식회사은성기업 농업용 대차 레일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지지장치
KR102033007B1 (ko) * 2019-02-19 2019-10-18 김학선 온실용 대차 레일 및 이를 포함한 온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2562B1 (ko) * 1991-12-18 1995-03-23 위계성 방향전환기능을 갖는 궤도레일 및 궤도차량장치
KR200207449Y1 (ko) 2000-06-14 2000-12-15 김용우 농가 하우스용 운반기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2562B1 (ko) * 1991-12-18 1995-03-23 위계성 방향전환기능을 갖는 궤도레일 및 궤도차량장치
KR200207449Y1 (ko) 2000-06-14 2000-12-15 김용우 농가 하우스용 운반기구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0487A (ko) * 2014-12-10 2016-06-20 주식회사 현대특수철강공업 온수 순환용 파이프 레일 고정구 및 이를 이용한 온수 순환용 파이프 레일 고정방법
KR101700149B1 (ko) * 2014-12-10 2017-01-26 주식회사 현대특수철강공업 온수 순환용 파이프 레일 고정구 및 이를 이용한 온수 순환용 파이프 레일 고정방법
KR20190061190A (ko) * 2017-11-27 2019-06-05 주식회사은성기업 농업용 대차 레일의 높이조절장치
KR20190061185A (ko) * 2017-11-27 2019-06-05 주식회사은성기업 농업용 대차 레일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지지장치
KR102055251B1 (ko) * 2017-11-27 2019-12-12 주식회사은성기업 농업용 대차 레일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지지장치
KR102093716B1 (ko) * 2017-11-27 2020-03-26 주식회사은성기업 농업용 대차 레일의 높이조절장치
KR102033007B1 (ko) * 2019-02-19 2019-10-18 김학선 온실용 대차 레일 및 이를 포함한 온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1000B1 (ko) 아연도 강판을 이용한 온실용 대차레일 받침대
CN104340535B (zh) 一种多用型显示屏支撑装置
CN102946075A (zh) 电缆附件制作支架
JP2011130756A (ja) ビニールハウス内運搬器具。
KR20200000005U (ko) 온실용 대차레일 받침대
CN202992383U (zh) 油管支架、油管的安装结构及车辆
KR102019417B1 (ko) 호이스트 크레인 바퀴 지지브래킷 장착용 지그 어셈블리
KR20180000126U (ko) 비닐하우스 작물 관리 및 운반장치
CN203201222U (zh) 一体化通信基站
KR20130047408A (ko) 버스의 스텐션 구조물
CN205772979U (zh) 用于管廊钢结构框架次梁吊装的工装
KR101555278B1 (ko) 지게차용 드럼 핸들러
KR20110008103U (ko) 분기 조립형 케이블 트레이
CN207256092U (zh) 一种尼龙带线束胶管扣合治具
CN208603150U (zh) 一种路牙石搬运装置
CN202586179U (zh) 牵引式电缆线盘放线用支架
KR101315987B1 (ko) 온실용 대차 보강 구조물
JP3163113U (ja) レールパイプ吊具
KR102445403B1 (ko) 하우스파이프 활용이 용이한 온실용 대차레일 받침대
CN205348769U (zh) 一种木模梁侧加固三脚架
CN205203056U (zh) 钢管结构瓜果拉运车
CN202325198U (zh) 一种自动柔性门防坠落装置
CN204212387U (zh) 一种上油箱支撑装置
KR101505561B1 (ko) 슬링로프용 리프팅지그
CN207826940U (zh) 一种钢材支撑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40711

Effective date: 20150323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122 Written withdrawal of action (patent cou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