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0005U - 온실용 대차레일 받침대 - Google Patents

온실용 대차레일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0005U
KR20200000005U KR2020180002878U KR20180002878U KR20200000005U KR 20200000005 U KR20200000005 U KR 20200000005U KR 2020180002878 U KR2020180002878 U KR 2020180002878U KR 20180002878 U KR20180002878 U KR 20180002878U KR 20200000005 U KR20200000005 U KR 2020000000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support
ground
height
greenho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28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충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특수철강공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특수철강공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특수철강공업
Priority to KR20201800028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0005U/ko
Publication of KR2020000000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00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6/00Tracks or track components not covered by any one of the preceding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5/00Harvesting of standing crops
    • A01D45/001Harvesting of standing crops with arrangements for transport of personne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3Equipment for handling produce in greenhou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온실용 대차레일 받침대는: 지면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지면에 안착되어 설치되는 설치본체; 상기 설치본체의 상부에 수직으로 세워져 결합되되, 상부가 개방되게 구비된 고정 지지대; 및, 상기 고정 지지대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내측으로 결합되되, 상기 고정 지지대에 대해 상하로 높이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부에는 지면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레일이 끼움 결합되어 수용되는 레일수용홈이 내측에 형성되어 레일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갖는 레일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설치 현장에서 지면의 높낮이 차이에 대응하여 받침대에 의해 지지 되는 대차레일의 높이가 수평 해지도록 높이가 조절되도록 할 수 있게 됨으로써, 온실용 대차레일 받침대의 설치 작업이 간편해지고 작업에 따른 시간도 단축되며 설치비용이 절감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온실용 대차레일 받침대 {greenhouse car pedestal}
본 고안은 비닐하우스 온실에서 재배하는 농작물을 수확하거나 농약을 줄 때 약 2 ~ 6m 정도 위로 리프팅하여 이동하면서 작업이 가능하도록 한 작업대 또는 대차의 레일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면에 안착되어 설치되는 설치본체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부에 레일을 수용하는 레일수용홈에 레일이 끼움 결합되는 온실용 대차레일 받침대에 관한 기술분야이다.
일반적으로 대차는 궤도 또는 레일을 따라 이동하여 운반물 및 사람을 운반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각종 건설현장과 공장 및 철로 등에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큰 규모의 비닐하우스에서도 농작물을 수확하거나 농약을 주기 위해 대차를 이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기술의 예로써,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38828호(비닐하우스용 이송장치)를 살펴보면, 비닐하우스의 고랑에 레일을을 설치하고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될 수 있는 대차인 수레를 구비함으로서, 작업자는 상기 수레에 앉은 상태에서 이동하면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확한 작물 및 각종 도구를 수레에 적재하여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때, 레일을 지지하는 받침대인 파이프 지지구를 일정간격에 설치하여 레일을 따라 수레가 이동할 수 있게 하였다.
그러나, 종래기술은 비닐하우스의 내부 구조상 지면이 고르지 않아 수레의 이동시 진동이 발생하여 수레 및 레일이 파이프 지지구를 이탈하는 문제와 수레를 지지하는 파이프 지지구의 형태가 변형되어 사고가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수레의 무게와 레일의 무게를 충분히 지지하기 위해 강철판을 이용하거나 강철 파이프를 이용하여 받침대를 제작하여 사용되고 있으나, 너무 무거워 설치가 용이하지 않고, 제작 및 설치 비용이 많아 지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종래기술은 대차레일 받침대를 설치하려 하더라도 설치 현장에서 지면의 높낮이 차이로 인해 수레 및 레일이 안정되게 지지 되지 못하기 때문에 수레 및 레일이 수평상태로 안정되게 지지 되도록 하려면 설치 현장에서 일일이 받침대의 높낮이를 달리 가공하여 설치해야 하는 등 설치 작업이 용이하지 못하고 작업에 따른 시간도 비교적 많이 소요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3882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15987호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이에 대한 해결을 위해 설치 현장에서 지면의 높낮이 차이에 대응하여 받침대에 의해 지지 되는 대차레일의 높이가 수평 해지도록 높이가 조절되도록 할 수 있는 온실용 대차레일 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온실용 대차레일 받침대는: 지면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지면에 안착되어 설치되는 설치본체; 상기 설치본체의 상부에 수직으로 세워져 결합되되, 상부가 개방되게 구비된 고정 지지대; 및, 상기 고정 지지대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내측으로 결합되되, 상기 고정 지지대에 대해 상하로 높이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부에는 지면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레일이 끼움 결합되어 수용되는 레일수용홈이 내측에 형성되어 레일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갖는 레일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 지지대 및 상기 레일 지지대의 측면에는 상기 레일 지지대가 상기 고정 지지대에 대해 높이조절된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체결부재가 끼워지는 복수의 높이조절공들이 상하 수직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 지지대 및 상기 레일 지지대는 사각기둥의 형태로 구비되되 일 측면에는 상호 동일하게 수직방향을 따라 비틀림방지홈이 길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의하면, 설치 현장에서 지면의 높낮이 차이에 대응하여 받침대에 의해 지지 되는 대차레일의 높이가 수평 해지도록 높이가 조절되도록 할 수 있게 됨으로써, 설치 작업이 간편해지고 작업에 따른 시간도 단축되며 설치비용이 절감되도록 할 수 있는 효과와, 이탈방지부 및 비틀림방지홈에 의해 레일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와, 보강부를 이용하여 대차 이동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여 받침대의 변형을 최소화하는 효과 및 레일지지부의 지지날개를 이용하여 안정적으로 대차 및 레일을 지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온실용 대차레일 받침대에 레일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온실용 대차레일 받침대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실용 대차레일 받침대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레일 지지대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레일 지지대의 이탈방지부와 레일수용홈의 θ각을 표시한 도면,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레일 지지대가 고정 지지대에 대해 높이조절되는 여러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은 비닐하우스 온실에서 재배하는 농작물을 수확하거나 농약을 줄 때 약 2 ~ 6m 정도 위로 리프팅하여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작업이 가능하도록 한 대차의 레일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레일(10)이 형성되는 공간에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된다. 또한 받침대의 재질은 가볍고 강한 강성을 갖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 본 고안의 받침대는 가볍고 성형이 용이하여 제작비용이 저렴한 아연도 강판의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온실용 대차레일 받침대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지면에 안착되어 설치되는 설치본체(100)와, 설치본체(100)의 상부에 수직으로 세워져 결합되되 상부가 개방되게 구비된 고정 지지대(200)와, 고정 지지대(200)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내측으로 결합되되 고정 지지대(200)에 대해 상하로 높이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부에는 지면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레일(10)이 끼움 결합되어 수용되는 레일수용홈(311)이 내측에 형성되어 레일(1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310)를 갖는 레일 지지대(300)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설치 현장에서 지면의 높낮이 차이에 대응하여 받침대에 의해 지지 되는 대차레일의 높이가 수평 해지도록 높이가 조절되도록 할 수 있게 됨으로써, 온실용 대차레일 받침대의 설치 작업이 간편해지고 작업에 따른 시간도 단축되며 설치비용이 절감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고정 지지대(200) 및 레일 지지대(300)의 측면에는 레일 지지대(300)가 고정 지지대(200)에 대해 높이조절된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체결부재(400)가 끼워지는 복수의 높이조절공(201,301)들이 상하 수직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고정 지지대(200) 및 레일 지지대(300)의 측면에서 상하 수직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형성된 복수의 높이조절공(201,301)들 중 어느 하나에 고정체결부재(400)가 끼움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설치 현장에서 지면의 높낮이 차이에 대응하여 받침대에 의해 지지 되는 대차레일의 높이가 수평 해지도록 고정 지지대(200)에 대한 레일 지지대(300)의 높이가 용이하게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서, 고정체결부재(400)는 리벳과 같은 체결수단을 포함하며, 고정 지지대(200) 및 레일 지지대(300)는 하나의 설치본체(100)의 상부에 한 쌍으로 구비되고, 높이조절공(201,301)은 고정 지지대(200) 및 레일 지지대(300)의 측면에서 상호 마주보는 측면을 제외한 나머지 측면에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고정체결부재(400)가 높이조절공(201,301)에 손쉽게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고정 지지대(200)에 대해 레일 지지대(300)가 높이 조절된 상태가 용이하게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고정 지지대(200) 및 레일 지지대(300)는 사각기둥의 형태로 구비되되 일 측면에는 상호 동일하게 수직방향을 따라 비틀림방지홈(205,305)이 길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고정 지지대(200) 및 레일 지지대(300)의 측면에 형성된 비틀림방지홈(205,305)에 의해 고정 지지대(200)와 레일 지지대(300)의 수직축 선을 기준으로 한 비틀림 변형이 최소화되도록 하여 내구성이 증대되도록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서, 비틀림방지홈(205,305)은 고정 지지대(200) 및 레일 지지대(300)의 네 측면들 중 서로 마주보는 측면에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온실용 대차레일 받침대의 외관이 깔끔하게 마련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설치본체(100)는 중앙에 설치본체(100)의 길이방향으로 제1 보강부(1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양측에 설치본체(100)의 길이방향으로 주름부(110)와 본체날개(120)를 구비하며, 주름부(110)와 본체날개(120)의 모서리에 복수 개의 제2 보강부(1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탈방지부(310)는 복수 개의 제3 보강부(31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아울러, 레일 지지대(300)는 레일(10) 길이방향의 양 측면 상부 말단에 내측 방향으로 일체로 형성된 지지날개(3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탈방지부(310)는 상부 말단부터 레일수용홈(311)의 중앙 하부 말단까지의 각이 θ일 때, θ의 범위는 46°~60°이고, θ 값이 증가함에 따라 이탈방지부(310)의 길이가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1 내지 6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에 따른 설치본체(100)는,
지면에 안착되어 설치되고, 중앙에 설치본체(10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1 보강부(130)와 양측에 설치본체(100)의 길이 방향으로 주름부(110)와 본체날개(1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주름부(110)와 본체날개(120)의 모서리에 복수 개의 제2 보강부(1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서, 일정의 길이를 갖고 대차와 레일(10) 및 레일 지지대(300)를 지면에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설치본체(100)의 주름부(110)와 본체날개(120)는 대차의 이동시 전달되는 진동을 안정적으로 지면에 분산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설치본체(100)에 압력이 가해지면 설치본체(100)가 본체날개(120) 보다 하부로 휘어지고, 대차가 지나가면 주름부(110)에 의해 형성된 탄성력으로 다시 원상복귀되는 것이다. 즉, 온실의 특성상 바닥이 흙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주름부(110)가 없으면 설치본체(100)가 지면에 점차 묻히게 되어 레일(10)의 수평을 유지하기 힘들게 된다.
아울러, 설치본체(100)의 중앙에 형성된 일정의 길이를 갖는 제1 보강부(130)는 설치본체(100)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좌우로 비틀어지는 것을 주름부(110)와 같은 원리로 최소화시키고, 주름부(110)와 본체날개(120)의 모서리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 개의 제2 보강부(140)는 주름부(110)가 설치본체(100)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평탄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실현한다.
덧붙여, 도면에 표시되지 않았지만 이하에서 설명될 고정 지지대(200)와의 결합을 위하여 설치본체(100)에 고정 지지대(200)의 결합돌기(210)와 대응되는 결합홈(미도시)을 구비하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고정 지지대(200)는,
설치본체(100)의 상부에 끼움 결합되거나 용접 결합되고, 상부에 레일(10)을 수용할 수 있는 레일 지지대(300)가 높이조절 가능하게 끼움 결합된다.
먼저, 고정 지지대(2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부에 설치본체(100)의 결합홈에 대응되는 결합돌기(210)를 구비하여 설치본체(100)의 상부에 고정 결합된다.
이때, 설치본체(100)와의 결합은 결합돌기(210)와 결합홈에 의해 결합되지 않고 일체로 형성되거나 용접을 통하여 결합하여도 무방하나, 일체로 형성되거나 용접을 통하여 결합되면 대차 이동시 전달되는 진동에 의해 점차 형태가 변형되거나 결합부분에 균열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결합홈과 결합돌기(210)를 이용하거나 볼트 너트 등을 이용하여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레일 지지대(300)는,
고정 지지대(200)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고정 지지대(200)에 높이조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부에 레일(10)을 수용할 수 있는 레일수용홈(311)이 내측에 형성되어 레일(1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310) 및 일 측면에 비틀림방지홈(305)을 길이방향으로 구비하는 것으로서, 레일(10)을 지지하고 레일(10)의 이탈 및 진동을 최소화하여 안정적으로 대차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레일(10)이 안정적으로 레일수용홈(311)에 안착되도록 레일(10)의 지름과 대응되는 레일수용홈(311)이 형성된다.
이때, 고정 지지대(200)에 레일 지지대(300)가 높이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은 고정 지지대(200)의 적어도 일 측면에 형성된 높이조절공(201)과 레일 지지대(300)의 적어도 일 측면에 형성된 높이조절공(301)에 고정체결부재(400)가 체결되어 이루어지며, 설치 현장에서의 지면의 높낮이 차이를 고려하여 미리 제작 현장에서,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 지지대(300)가 고정 지지대(200)의 상부로 완전히 삽입되어 가장 낮은 높이(예컨대, 고정 지지대(200)의 높이는 160 mm 정도이고, 레일 지지대(300)의 높이는 90 mm 정도일 때에, 전체 높이는 160 mm 정도가 되도록)에 고정된 상태에서부터,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 지지대(300)가 고정 지지대(200)로부터 어느 정도 올라온 높이(예컨대, 전체 높이는 200 mm 정도가 되도록)에서 고정되도록 하거나,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 지지대(300)가 고정 지지대(200)로부터 최대한 인출되어 최대 높이(예컨대, 전체 높이는 230 mm 정도가 되도록)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등 다양한 설계 높이를 갖도록 조절되어 설치 현장에서는 간편하게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레일수용홈(311)은,
원형의 레일(10)의 반구에 해당하는 홈을 형성하지 않고, 레일(10)이 끼움 결합되었을 때 레일(10)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레일(10)이 안착되는 면과 레일(10)을 안정적으로 고정시켜주는 이탈방지부(310)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덧붙여, 레일(10)이 안착되는 면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10)의 길이방향에 있는 레일 지지대(300)의 양 측면의 상부가 되고, 이를 보강하기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일 지지대(300)의 양 측면의 상부에 지지날개(320)를 더 포함하여 안정적으로 레일(10)을 지지 및 고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지지날개(3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 지지대(300)의 외측 방향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나, 외측 방향으로 형성되었을 시 지지날개(320)가 파손되면 레일 지지대(300)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기 때문에 내측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연관하여, 레일 지지대(300)의 비틀림방지홈(305)은,
설치본체(100) 중심방향의 일측에 레일 지지대(30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대차 이동시 발생되는 진동에 의한 좌우 흔들림에 의해 레일 지지대(300)가 비틀리는 형태변화를 유동적으로 흡수하는 역할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레일(10)의 수리시에 레일 지지대(300)의 파손을 최소화하며 레일(10)을 쉽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실현한다.
본 고안에 따른 이탈방지부(310)는,
레일수용홈(311)의 상부 말단에 연장 형성되어 레일(10)의 이탈을 방지하고, 복수 개의 제3 보강부(31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서, 레일(10)을 쉽게 끼워 고정시키고, 대차 이동시에 발생하는 진동에도 레일(10)이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본 고안에 따른 이탈방지부(310)는 설치본체(100)의 상부에 한 쌍으로 구비되는 레일 지지대(300)의 상호 마주보는 측면에 형성된 부분이 서로 이격되게 각각 한 쌍으로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레일(10)이 안착되어 지지되는 이탈방지부(310)에 탄성이 보강되도록 함으로써, 레일(10)이 레일수용홈(311)으로 안착될 때에 레일(10)이나 이탈방지부(310)의 변형이나 파손이 최소화되도록 하면서도 레일(10)의 설치 작업이 보다 적은 힘으로도 간편하게 이뤄지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이탈방지부(310) 상부 말단의 길이는,
예컨대, 레일수용홈(311)의 중앙 하부 말단부터 이탈방지부(310)의 상부 말단까지의 각을 θ라 할 때, θ의 범위는 54°~ 60°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는 θ가 54°미만으로 형성되면 레일(10)이 레일수용홈(311)에 인입되는 것이 용이하나 대차 이동시에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이탈방지부(310)가 충분히 레일(10)을 고정시킬 수 없게 되고, θ가 60°를 초과하여 형성되면 레일(10)을 레일수용홈(311)에 인입될 때 강한 힘을 주어야 하며 이에 따른 이탈방지부(310)의 파손을 초래할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즉, θ 값이 54°미만으로 이탈방지부(310)가 형성되면 이탈방지부(310)가 레일(10)을 감싸지 못하게 되어 레일(10)의 이탈이 쉽게 일어나고, 60°를 초과하여 이탈방지부(310)가 형성되면 이탈방지부(310)에 레일(10)이 인입되기 어려운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탈방지부(310)의 길이는 θ 값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이탈방지부(310)의 길이가 증가하면 θ 값이 증가되는 것과 같은 의미인 것은 자명할 것이다.
아울러, 레일(10)의 지름에 따른 θ각의 바람직한 최대 각은 이탈방지부(310)의 두께와 강판의 탄성을 고려한다면 충분히 통상의 기술자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 가능함은 자명할 것이다.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설치본체 200 : 고정 지지대
201,301 : 높이조절공 205,305 : 비틀림방지홈
300 : 레일 지지대 310 : 이탈방지부
311 : 레일수용홈 400 : 고정체결부재

Claims (3)

  1. 지면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지면에 안착되어 설치되는 설치본체;
    상기 설치본체의 상부에 수직으로 세워져 결합되되, 상부가 개방되게 구비된 고정 지지대; 및
    상기 고정 지지대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내측으로 결합되되, 상기 고정 지지대에 대해 상하로 높이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부에는 지면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레일이 끼움 결합되어 수용되는 레일수용홈이 내측에 형성되어 레일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갖는 레일 지지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용 대차레일 받침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지지대 및 상기 레일 지지대의 측면에는 상기 레일 지지대가 상기 고정 지지대에 대해 높이조절된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체결부재가 끼워지는 복수의 높이조절공들이 상하 수직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용 대차레일 받침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지지대 및 상기 레일 지지대는 사각기둥의 형태로 구비되되 일 측면에는 상호 동일하게 수직방향을 따라 비틀림방지홈이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용 대차레일 받침대.
KR2020180002878U 2018-06-22 2018-06-22 온실용 대차레일 받침대 KR2020000000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878U KR20200000005U (ko) 2018-06-22 2018-06-22 온실용 대차레일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878U KR20200000005U (ko) 2018-06-22 2018-06-22 온실용 대차레일 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005U true KR20200000005U (ko) 2020-01-02

Family

ID=69155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2878U KR20200000005U (ko) 2018-06-22 2018-06-22 온실용 대차레일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0005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8729A (ko) * 2020-04-17 2021-10-27 주식회사 현대특수철강공업 하우스파이프 활용이 용이한 온실용 대차레일 받침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8828Y1 (ko) 2003-09-19 2004-01-16 김규석 비닐하우스용 이송장치
KR101315987B1 (ko) 2013-02-14 2013-10-18 주식회사 현대특수철강공업 온실용 대차 보강 구조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8828Y1 (ko) 2003-09-19 2004-01-16 김규석 비닐하우스용 이송장치
KR101315987B1 (ko) 2013-02-14 2013-10-18 주식회사 현대특수철강공업 온실용 대차 보강 구조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8729A (ko) * 2020-04-17 2021-10-27 주식회사 현대특수철강공업 하우스파이프 활용이 용이한 온실용 대차레일 받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867854B (zh) 一种简易的卧式泵减震基座
KR101361000B1 (ko) 아연도 강판을 이용한 온실용 대차레일 받침대
KR101598436B1 (ko) 비닐하우스용 작물 관리 및 운반장치
CN203770957U (zh) 一种简易的卧式泵减震基座
KR101424104B1 (ko) 루프탑 텐트용 리프트
KR20200000005U (ko) 온실용 대차레일 받침대
KR200433421Y1 (ko) 높낮이 조절 작업대
JP5037721B1 (ja) 軌条走行機械の転倒防止装置
JP2023540327A (ja) グリッドフレームワーク構造
GB2325194A (en) Curved rail with tool support trolley for workstation
CN205857753U (zh) 建筑施工用钢筋运输工具
KR200436079Y1 (ko) 마루 바닥시공 시스템
CN207448323U (zh) 一种侧架组装用固定工装
US20160273704A1 (en) Maintenance System Support Apparatus And Support Systems
KR101348106B1 (ko) 독 레벨러와 쉘터가 구비된 조립형 독 하우스
KR20110033639A (ko) 선박블록 지지용 타워지주
JP6140344B1 (ja) 作業用通路構造
KR101315987B1 (ko) 온실용 대차 보강 구조물
KR20100002190U (ko) 재활용 분리수거대
CN202079395U (zh) 车体牵引座安装支架
JP3097198U (ja) 防振機能を有する跳ね上げ棚付き搬送台車
CN204472420U (zh) 便于拆装的组合画架
CN217151155U (zh) 一种基于钢结构的高空施工用移动式承载装置
KR102445403B1 (ko) 하우스파이프 활용이 용이한 온실용 대차레일 받침대
CN209465908U (zh) 动力电池托架安装工装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