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3421Y1 - 높낮이 조절 작업대 - Google Patents

높낮이 조절 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3421Y1
KR200433421Y1 KR2020060026960U KR20060026960U KR200433421Y1 KR 200433421 Y1 KR200433421 Y1 KR 200433421Y1 KR 2020060026960 U KR2020060026960 U KR 2020060026960U KR 20060026960 U KR20060026960 U KR 20060026960U KR 200433421 Y1 KR200433421 Y1 KR 2004334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ight
upper frame
operating
cylind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69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옥
Original Assignee
(주)에스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엔에스 filed Critical (주)에스엔에스
Priority to KR20200600269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342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34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342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1/00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 B25H1/14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with provision for adjusting the bench top
    • B25H1/16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with provision for adjusting the bench top in he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rkshop Equipment, Work Benches, Supports, Or Storage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작업내용 및 작업환경에 맞게 작업대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높낮이 조절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직사각 형상의 상판이 구비되고, 상기 상판의 하단부 다리가 구비된 상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의 다리가 유동되게 삽입되는 안내공이 형성된 연결다리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다리 사이에 연결부재가 형성된 하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프레임을 상, 하로 유동하는 작동수단과, 상기 작동수단의 높이를 조절하는 실린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작업대, 실린더, 높낮이, 상하강레버

Description

높낮이 조절 작업대{A workbench which is the possibility of level control}
도 1 은 종래의 높이 가변형 작업대를 보인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높낮이 조절 작업대를 보인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높낮이 조절 작업대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높낮이 조절 작업대를 보인 결합상태 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의 작동수단을 보인 확대도.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작업대의 상부프레임이 상승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7 은 본 고안에 따른 작업대의 상부프레임이 하강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작업대 110 : 상부프레임
112 : 상판 114 : 다리
116 : 고정부 210 : 하부프레임
212 : 연결다리 216 : 연결부재
218 : 수평 조절부재 310 : 작동수단
320, 330 : 상, 하부몸체 322, 332 : 레일
334 : 고정부재 338 : 지지부재
339 : 지지바 340 : 작동부재
341, 342 : 제1,2작동간 341a, 342a : 로울러
410 : 실린더 414, 416 : 승,하강레버
본 고안은 높낮이 조절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내용 및 작업환경에 맞게 작업대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높낮이 조절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작업대는 상판과, 이 상판을 지지하도록 상판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는 다리로 이루어져 공구나 기타 부품 등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작업대는 작업자가 공구나 부품 등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작업자의 주변에 위치하며 특히 상판은 작업자가 허리를 구부리지 않고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그러나,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통상의 작업대는 작업자의 신장과는 상관없이 일률적으로 균일한 높이로 제작되어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한번 제작된 작업대는 높이의 조절이 불가능하여 작업자의 신장이 클 경우에는 작업대가 낮아 작업자가 허리를 구부려야 하므로 중량물을 들어올릴 때 허리에 무리를 주게 되어 산업재해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작업자의 신장이 작을 경우에는 작업대가 높아 팔 힘으로 물건을 들어 올리고자 할 경우 등에 작업자의 부주위로 인하여 물건이 바닥으로 떨어져 물건이 파손되고, 이때 물건이 작업자의 발등으로 떨어질 경우에는 작업자가 상해를 입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99269호 "높이 가변형 작업대"가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높이 가변형 작업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방형의 플레이트(10), 플레이트(10)에 하방향으로 연장설치되는 다리(12), 다리(12)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된 관통홀(14), 다리(12)의 하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 연결다리(16), 연결다리(16)에 관통홀(14)과 동일한 간격으로 설치된 결합홀(18), 관통홀(14)과 결합홀(18)을 고정시키는 고정수단, 연결다리(16)의 하단에 설치되는 레벨스크류(20)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높이 가변형 작업대는 작업대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먼저 연결다리(16)와 다리(12)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분리시킨 상태에서 조절하고자 하는 높이만큼 연결다리(16)를 이동시킨 후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다시 연결다리(16)와 다리(12)를 고정시키게 되면 작업자가 원하는 높이로 조절할 수 있게 되다.
이때, 관통홀(14)과 결합홀(18)의 천공시 공차에 의해 위치가 다르므로 작업대의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레벨스크류(20)을 이용하여 작업대가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작업대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연결다리와 다리를 고정시키고 있는 고정수단을 분리하고 연결다리를 이동시켜 높이를 조절해야 하므로, 작업대의 무게가 무거워 작업대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최소 2명 이상의 작업자가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작업대의 높이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것이 아니라 수동으로 해야 하므로 작업대의 높이를 조절하는 과정에서 작업자가 다치는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작업대의 높이 조절을 작업자가 하므로 작업대의 수평이 잘 맞지 않고, 작업대의 수평을 레벨스크류를 이용하여 수평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이 상태에서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연결다리와 다리가 만나는 경계부위의 고정수단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실린더를 이용하여 작업대를 작업내용과 작업환경 및 작업자의 신장에 맞도록 용이하게 높이를 조절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장의 작업능률을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작업대의 높이를 작업자가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상승레버를 구비하여 혼자서도 간편하게 작업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작업대의 높이를 조절했을 때 높이조절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수단을 구비하여 작업대에 고하중이 가해져도 안정된 지지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직사각 형상의 상판이 구비되고, 상기 상판의 하단부 다리가 구비된 상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의 다리가 유동되게 삽입되는 안내공이 형성된 연결다리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다리 사이에 연결부재가 형성된 하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프레임을 상, 하로 유동하는 작동수단과, 상기 작동수단의 높이를 조절하는 실린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프레임의 상판 하부에 고정부가 형성되어 상기 작동수단의 상단부가 고정수단에 의해 체결고정되고, 상기 작동수단의 하단부는 상기 하부프레임의 연결부재에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동수단은 하단부로 개방되고 내부 양측으로 레일이 형성된 상부몸체와, 상기 상부몸체의 하단부로 이격되게 구비되어 내부 양측에 레일이 형성 되고 외측에 고정부재가 형성된 하부몸체와, 상기 상부몸체 및 하부몸체의 사이에 구비된 작동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몸체의 내부 일측에 다수개 장홈이 형성된 지지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장홈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고정바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작동부재는 제1작동간과 제2 작동간으로 구비되되 제1작동간 및 제2작동간가 힌지축을 매개로 "X"형상이 되게 체결하여 상기 하부몸체의 내측 양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작동부재의 제1작동간 및 제2작동간 중 어느 하나의 작동간 일측부에 로울러를 더 구비하여 상기 상부몸체와 하부몸체의 레일에 안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몸체의 하단부에 고정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실린더의 일측을 고정하고, 상기 작동부재에는 고정구가 형성된 고정축이 더 구비하여 상기 실린더의 로드가 체결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를 동작시키는 레버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레버는 상기 상부프레임을 상승하도록 상기 실린더를 동작시키는 상승 레버와, 상기 상부프레임을 하강하도록 상기 실린더를 동작시키는 하강 레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 프레임에 구비된 상판의 상단부에 고무패드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프레임의 연결다리 하단부에 수평을 조절하는 수평 조절부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작동간 및 제2작동간 중 어느 하나의 작동간에 구비되어 상기 로울러가 체결된 체결부에 일측이 체결되는 고정바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바가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는 클립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높낮이 조절 작업대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높낮이 조절 작업대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높낮이 조절 작업대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높낮이 조절 작업대를 보인 결합상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작동ㄱ수단을 보인 확대도이다.
도 2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작업대(100)는 상부프레임(110), 하부프레임(210), 작동수단(310), 실린더(410)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상부프레임(110)은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단부 모서리부에는 다리(114)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판(112)이 구비되며, 상기 상판(112)의 하단부, 즉 다리(114)가 형성된 안쪽으로 작동수단(310)이 고정되는 직사각형상의 고정부(116)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판(112)의 상단부에는 필요에 따라 패드(118)를 더 구비하는데, 상기 패드(118)는 탄성을 가지는 고무재질로 형성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 직하다.
따라서, 상기 상판(112)에 패드(118)를 더 구비함으로써, 공구나 물품 등을 올려놓을 때 발생하는 충격에 의해 작업대(100) 및 공구나 물품 등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프레임(210)은 상기 상부프레임(110)의 다리(114)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다리(114)가 유동 되게 결합되는 안내공(214a)이 형성된 연결다리(212)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다리(212)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다리(212)를 서로 고정 지지하는 연결부재(216)로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프레임(210)의 연결다리(212) 하단부에는 상기 작업대(100)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수평 조절부재(218)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작동수단(310)은 상기 상부프레임(110)에 고정되는 상부몸체(320)와, 상기 하부프레임(210)에 고정되는 하부몸체(330)와, 상기 상, 하부몸체(320)(330)의 사이에 설치되는 작동부재(34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몸체(320)는 직사각 형상으로 하단부가 개방되게 형성되고 내부 양측에는 레일(332)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몸체(320)의 상부 길이 방향 양측으로 연장부(324)가 형성되어 상기 상부프레임(110)의 고정부(116)에 볼트(326)로 체결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몸체(330)는 상기 상부몸체(320)의 하단부로 이격되게 구비되어 내부 양측에 레일(332)이 형성되고, 하단부에 상기 하부프레임(210)의 연결 부재(216)에 볼트(336)로 체결 고정되는 고정부재(334)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몸체(330)의 내부, 즉 양측 레일(332)의 사이에 구비되되 길이방향의 일측 하단부에 보강판(337)이 구비되고, 상기 보강판(337)의 상부에는 다수개의 장홈(338a)이 형성된 지지부재(338)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부재(338)의 장홈(338a)에는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착탈할 수 있는 지지바(339)가 더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지지부재(338)는 상기 하부몸체(330)의 레일(332)이 형성된 양측면에서 이격되게 구비되어 상기 작동부재(340)의 동작시 간섭을 받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작동부재(340)는 제1작동간(341)과 제2작동간(342)으로 구성되어 힌지축(343)을 매개로 "X"형상이 되도록 체결되어 상기 상,하부몸체(320)(330)의 사이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1,2작동간(341)(342)의 일측에는 로울러(341a)(342a)가 구비되어 상기 상,하부몸체(320)(330)의 레일(322)(332)에 안착되고, 상기 제1,2작동간(341)(342)의 타측은 상기 로울러(341a)(342a)가 안착된 상기 상,하부몸체(320)(330)의 반대방향에 회동가능하게 볼트(343a)로 고정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작동간(342)의 상부에 설치된 로울러(342a)는 로울러축(342b)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작동간(341) 중 하측단부 외측면에 고정바(344)를 회동가능하게 구비하여 상기 작업대(100)의 높이가 최상으로 조절되는 경우에 상기 고정바(344)를 이용하여 상기 제1,2작동간(341)(342)이 내려않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작업대(100)의 상판(112)에 하중이 나가는 물건 등이 올려질 때 이 하중에 의해 작업대(100)의 상부프레임(110)이 하강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바(344)는 작동부재(340)의 제1작동간(341)에 구비된 로울러(341a)가 고정되는 로울러축(342b))에 상기 고정바(344)의 일측을 회동가능하게 고정하여 작업자의 선택에 따라 동작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바(344)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고정바(344)가 구비된 제1작동간(341)에 클립(345)이 구비되어 이 클립(345)에 끼워 고정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실린더(410)는 상기 작동수단(310)의 하부몸체(330)에 형성된 보강판(337)의 하단부에 고정부재(337a)를 형성하여 상기 실린더(410)의 일측이 고정되고, 상기 작동수단(310)의 작동부재(340)에 고정축(346)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축(346)에 고정부재(347)를 구비하여 상기 실린더(410)의 타측에 형성된 로드(412)가 체결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실린더(410)의 로드(412)가 고정되는 고정축(346)은 상기 작동부재(340), 즉 상기 작동부재(340)의 상기 상,하부몸체(320)(330)에 볼트(343a)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방향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린더(410)를 작동시키는 상승레버(414)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상승레버(414)는 실린더(410)에 연결되어 상기 작업대(100)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상승레버(414)의 돌출부에는 작업자가 발로 상승레버(414)를 조작할 수 있도록 발판(414a)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410)를 동작하여 작업대(100)을 하강시키는 하강레버(416)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하강레버(416)는 노줄(416a)에 의해 상기 실린더(410)에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하강레버(416)는 상기 하부프레임(210)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승레버(414)가 돌출된 방향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높낮이 조절 작업대(100)에 대한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작업대의 상부프레임이 상승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7 은 본 고안에 따른 작업대의 상부프레임이 하강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작업대(100)를 작업자가 원하는 높이로 조절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상승레버(414)의 발판(414a)을 작업자가 계속적으로 밟게 되면 실린더(410)가 작동을 하면서 상기 작동부재(340)의 제2작동간(342)을 일방향으로 당겨주게 되는데, 이때 상기 작동부재(340)의 제1작동간(341)은 일측이 고정되어 있어 제1작동간(341)이 제2작동간(342)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어 상기 상,하부몸체(320)(330)의 레일(322)(332)을 타고 제1,2작동간(341)(342)의 일측단부에 구비된 로울러(341a)(342a)에 의해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2작동간(341)(342)의 로울러(341a(342a)가 구비된 일측이 일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제1,2작동간(341)(342)은 힌지축(343)을 중심으로 내측회전하면서 간격이 좁아지게 되고, 이때 제1,2작동간(341)(342)이 상기 상부몸체(320)를 상부로 밀어주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제1,2작동간(341)(342)이 상기 상부몸체(320)를 상부로 밀어주게 되면 상기 상부몸체(320)에 의해 상기 상부프레임(110)이 상부로 상승하게 된다.
이때, 상기 상부프레임(110)은 상기 하부프레임(210)의 연결다리(212)의 안내공(214a)에 체결되어 있는 다리(114)가 상기 안내공(21)으로부터 인출되면서 상부로 이동되게 되어 상기 작업대(1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상부프레임(110)을 상부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임의의 높이에서 안정되게 유지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하부몸체(330)의 내측에 구비된 지지부재(338)에 상기 제1,2작동간(341)(342)의 로울러(341a)(342a)가 위치한 장소의 장홈(338a)에 지지바(339)를 체결하여 상부로 상승한 상부프레임(110)이 물품 등의 하중에 의해 하강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사기 작업대(100)의 높이가 최대로 되었을 때에는 상기 제1작동간(341)에 구비된 고정바(344)를 상기 지지부재(338)와 하부몸체(330)의 사이로 삽입하여 상기 고정바(344)의 끝단부가 상기 하부몸체(330)의 벽면에 밀착되도록 하여 상기 상부프레임(110)이 물품 등의 하중에 의해 하강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작업대(100)의 높이를 조절한 상태에서 상기 지지바(339)와 고정바(344)를 이용하여 상기 상부프레임(110)이 물품 등의 하중에 의해 하부로 하강 하는 것을 방지하므로 작업자는 작업대(100)의 높이를 조절한 상태에서 안전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작업대(100)의 높이를 낮추고자할 경우에는 상기 제1,2작동간(341)(342)을 지지하고 있는 고정바(344)를 이탈시켜 클립(345)에 고정시키거나 상기 지지부재(228)에 체결된 지지바(339)를 분리시킨 상태에서 상기 하강레버(416)를 조작하게 되면 상기 실린더(410)가 작동하면서 상기 제1,2작동간(341)(342)이 상기 상,하부몸체(320)(330)의 레일(322)(332)을 따라 상기 상부프레임(110)을 상승시킬 때와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1,2작동간(341)(342)의 간격이 넓어지면서 상기 상부몸체(320)가 하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상부몸체(320)가 하강하면서 상기 상부프레임(110)도 같이 하강하게 되는데, 이때는 상기 상부프레임(110)에 형성된 다리(114)가 상기 하부프레임(210)의 연결다리(212)의 안내공(214a)으로 삽입되면서 상기 상부프레임(110)이 하강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작업자가 작업대(100)의 높이를 원하는 만큼 낮춘 상태에서 상기 하강레버(416)의 조작을 몸추게 되면 더 이상 상부프레임(110)은 하단부로 하강하지 않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작업대(100)를 높일 때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338)의 소정 위치에 멈춘 제1,2작동간(341)(342)이 물품 등의 하중에 의해 더 이상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바(339)를 상기 지지부재(338)의 장홈(338a)에 끼워 고정시키게 되면 도 7과 같이 상기 작업대(100)의 높이를 낮추는 동작이 완료된다.
또한, 상기 작업대(100)의 상부프레임(110)이 완전히 하단부로 접히는 형태로 하강시키고자 할 때에는 상기 지지바(339)를 완전히 분리시킨 상태에서 상기 지지바(339)는 상기 하부몸체(330)에 구비된 보관함(339a)에 보관하여 상기 지지바(339)의 분실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반복적인 동작에 의해 작업대(100)의 높이를 작업자가 원하는 높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작업대(100)의 높이 조절을 승,하강레버(414)(416)를 조작하여 조절함으로써, 작업대(100)의 높이를 조절하는데 많은 인력이 필요 없고 작업자 혼자서도 용이하게 작업대(1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높낮이 조절 작업대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작업대의 높이를 작업환경 및 작업자의 신장에 맞도록 레버를 조작하여 조절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직접 자신의 신장 및 작업환경에 맞도록 간편하게 원하는 높이로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작업대의 높이 조절을 작업대의 외부로 돌출된 발판을 밟거나 손으로 레버를 조작하여 실린더가 동작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원하는 만큼의 작업대 높이를 서서히 낮추거나 높을 수 있어 급격한 상승 및 하강을 막아 안전하게 작업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작업대의 높이를 조절한 상태에서 상기 작업대의 하강을 방지하는 지지바와 고정바를 구비하여 중량체를 작업대에 올려놓고 작업을 해도 위험성이 없이 안전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직사각 형상의 상판이 구비되고, 상기 상판의 하단부 다리가 구비된 상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의 다리가 유동되게 삽입되는 안내공이 형성된 연결다리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다리 사이에 연결부재가 형성된 하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프레임을 상, 하로 유동하는 작동수단과,
    상기 작동수단의 높이를 조절하는 실린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 작업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의 상판 하부에 고정부가 형성되어 상기 작동수단의 상단부가 고정수단에 의해 체결고정되고, 상기 작동수단의 하단부는 상기 하부프레임의 연결부재에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 작업대.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수단은 하단부로 개방되고 내부 양측으로 레일이 형성된 상부몸체 와,
    상기 상부몸체의 하단부로 이격되게 구비되어 내부 양측에 레일이 형성되고 외측에 고정부재가 형성된 하부몸체와,
    상기 상부몸체 및 하부몸체의 사이에 구비된 작동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 작업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의 내부 일측에 다수개 장홈이 형성된 지지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장홈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고정바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 작업대.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는 제1작동간과 제2 작동간으로 구비되되 제1작동간 및 제2작동간가 힌지축을 매개로 "X"형상이 되게 체결하여 상기 하부몸체의 내측 양측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 작업대.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의 제1작동간 및 제2작동간 중 어느 하나의 작동간 일측부에 로울러를 더 구비하여 상기 상부몸체와 하부몸체의 레일에 안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 작업대.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의 하단부에 고정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실린더의 일측을 고정하고, 상기 작동부재에는 고정구가 형성된 고정축이 더 구비하여 상기 실린더의 로드가 체결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 작업대.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를 동작시키는 레버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 작업대.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상기 상부프레임을 상승하도록 상기 실린더를 동작시키는 상승 레버와,
    상기 상부프레임을 하강하도록 상기 실린더를 동작시키는 하강 레버로 구성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 작업대.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에 구비된 상판의 상단부에 고무패드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 작업대.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프레임의 연결다리 하단부에 수평을 조절하는 수평 조절부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 작업대.
  12. 제 4 항 내지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작동간 및 제2작동간 중 어느 하나의 작동간에 구비되어 상기 로울러가 체결된 체결부에 일측이 체결되는 고정바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바가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는 클립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 작업대.
KR2020060026960U 2006-09-29 2006-09-29 높낮이 조절 작업대 KR2004334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6960U KR200433421Y1 (ko) 2006-09-29 2006-09-29 높낮이 조절 작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6960U KR200433421Y1 (ko) 2006-09-29 2006-09-29 높낮이 조절 작업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3421Y1 true KR200433421Y1 (ko) 2006-12-11

Family

ID=41781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6960U KR200433421Y1 (ko) 2006-09-29 2006-09-29 높낮이 조절 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3421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2462Y1 (ko) 2010-07-15 2012-09-11 정희성 농산물 작업용 테이블
KR101212340B1 (ko) 2008-10-15 2012-12-1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가변형 조립 작업대
KR101387399B1 (ko) 2012-05-16 2014-04-21 임명호 작업대 수평 고정 장치
KR200475361Y1 (ko) * 2013-03-22 2014-11-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캐니스터 조립 지그
KR20190057751A (ko) * 2017-11-20 2019-05-29 (주)세아이에프 중장비용 컨트롤밸브 정비장치
KR102319936B1 (ko) * 2021-02-03 2021-10-29 김태언 공사용 작업대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2340B1 (ko) 2008-10-15 2012-12-1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가변형 조립 작업대
KR200462462Y1 (ko) 2010-07-15 2012-09-11 정희성 농산물 작업용 테이블
KR101387399B1 (ko) 2012-05-16 2014-04-21 임명호 작업대 수평 고정 장치
KR200475361Y1 (ko) * 2013-03-22 2014-11-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캐니스터 조립 지그
KR20190057751A (ko) * 2017-11-20 2019-05-29 (주)세아이에프 중장비용 컨트롤밸브 정비장치
KR102017387B1 (ko) * 2017-11-20 2019-10-21 (주)세아이에프 중장비용 컨트롤밸브 정비장치
KR102319936B1 (ko) * 2021-02-03 2021-10-29 김태언 공사용 작업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3421Y1 (ko) 높낮이 조절 작업대
US7690408B2 (en) Workbench for power tool
EP1873115B1 (en) Material storage rackfor an aerial lift with a work platform
WO2015126560A1 (en) Conveyor system and associated product carrier
KR20170035171A (ko) 하중 조절형 승강작업대
EP2116669B1 (en) Aerial Lift with material support assembly
US2859066A (en) Adjustable foldable scaffold
KR200266423Y1 (ko) 고소(高所) 작업대
KR200480884Y1 (ko) 작업대 승강장치
EP1132546A2 (en) Apparatus for positioning a load
KR100954493B1 (ko) 수동 포크리프트
KR20080102922A (ko) 리프트 고소 작업대
KR20080003460U (ko) 수리 운반용 대차
KR100956022B1 (ko) 이동식 작업대
KR200299269Y1 (ko) 높이 가변형 작업대
KR200461587Y1 (ko) 작업대의 안전바 어셈블리.
EP1336702A2 (en) Apparatus for positioning a cladding panel
CN110130822A (zh) 一种自移式建筑用装置
JPH083439Y2 (ja) ジャッキ
KR102452300B1 (ko) 천장패널 부착장치
KR101578786B1 (ko) 전동리프팅 컨베이어 장치
JPH0240239Y2 (ko)
CN220667428U (zh) 移动人字梯
GB2377215A (en) Apparatus for positioning cladding panels
JP3657653B2 (ja) 仏壇据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