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9269Y1 - 높이 가변형 작업대 - Google Patents

높이 가변형 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9269Y1
KR200299269Y1 KR2020020027955U KR20020027955U KR200299269Y1 KR 200299269 Y1 KR200299269 Y1 KR 200299269Y1 KR 2020020027955 U KR2020020027955 U KR 2020020027955U KR 20020027955 U KR20020027955 U KR 20020027955U KR 200299269 Y1 KR200299269 Y1 KR 2002992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ight
leg
legs
hole
vari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79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광열
Original Assignee
조광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광열 filed Critical 조광열
Priority to KR20200200279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926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92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9269Y1/ko

Links

Landscapes

  • Ladders (AREA)
  • Workshop Equipment, Work Benches, Supports, Or Storage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판의 높낮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된 높이 가변형 작업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장방형의 플레이트와, 플레이트에 하방으로 연장 설치되는 다리와, 다리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된 관통홀과, 다리의 하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 연결다리와, 연결다리에 관통홀과 동일한 간격으로 설치된 결합홀과, 관통홀과 결합홀을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높이 가변형 작업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높이 가변형 작업대{Height variable working stand}
본 고안은 높이 가변형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필요에 따라 작업대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된 높이 가변형 작업대에 관한것이다.
일반적으로 작업대는 공구를 진열해 놓는 상판과, 이 상판을 지지하도록 상판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는 다리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작업대는 작업자가 공구를 바로 파지할 수 있도록 작업자의 주변에 위치하며 특히 상판은 작업자가 허리를 구부리지 않고 공구를 바로 파지할 수 있도록 위치하여야 한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작업대의 상판은 작업자의 평균신장에 맞도록 평균높이가 70㎝ 내지 85㎝가 되도록 설치하였다.
그러나 한번 설치된 작업대는 작업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없으므로 작업자의 신장이 큰 경우 상판이 낮아 작업자가 허리를 구부려야 하므로 중량물을 들어올릴 때 허리에 무리를 주게 되어 산업재해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작업자의 신장이 작은 경우 작업대 상판이 높아 팔힘으로만 공구나 물건을 들어야 하므로 작업자의 작업부하가 증대되고 작업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상판의 높낮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된 높이 가변형 작업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높이 가변형 작업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높이 가변형 작업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높이 가변형 작업대의 다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높이 가변형 작업대의 연결다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 : 플레이트 12 : 다리
14 : 관통홀 16 : 연결다리
18 : 결합홀 22 : 걸림턱
26 : 볼트 28 : 너트
30 : 레벨스크류 32 : 나사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장방형의 플레이트와, 플레이트에 하방으로 연장 설치되는 다리와, 다리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된 관통홀과, 다리의 하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 연결다리와, 연결다리에 관통홀과 동일한 간격으로 설치된 결합홀과, 관통홀과 결합홀을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높이 가변형 작업대를 제공한다.
여기서 연결다리의 하단에 레벨스크류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높이 가변형 작업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는 높이 가변형 작업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높이 가변형 작업대의 다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높이 가변형 작업대의 연결다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높이 가변형 작업대는 장방형의 플레이트(10)와, 플레이트(10)에 하방으로 연장 설치되는 다리(12)와, 다리(12)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된 관통홀(14)과, 다리(12)의 하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 연결다리(16)와, 연결다리(16)에 관통홀(14)과 동일한 간격으로 설치된 결합홀(18)과, 관통홀(14)과 결합홀(18)을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플레이트(10)는 장방형의 판재로서 주로 목재나 철재로 이루어지며 엣지부에는 플레이트(10) 위에 놓여 있는 공구가 낙하하지 않도록 걸림턱(22)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리(12)는 플레이트(10)의 하방으로 연장 설치되며, 다양한 단면 형상의 형강이 가능하지만 조립 및 높이 조절시의 편리함을 위하여 채널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다리(12)사이에는 지지부재(20)가 설치되어 다리(12) 사이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관통홀(14)은 다리(12)의 양 플랜지부에 등간격으로 서로 마주보며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이 관통홀(14)에 후술하는 고정수단이 설치된다.
연결다리(16)는 다리(12)의 하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작업자의 안전을 위하여서는 다리(12)는 외부에 형성되고 연결다리(16)는 내부에 형성되어 다리(12)와 연결다리(16)가 슬라이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결다리(16)는 다리(12)에 밀착되어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채널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홀(18)은 연결다리(16)에 관통홀(14)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며 이 관통홀(14)에 후술하는 고정수단이 설치된다.
고정수단은 관통홀(14)과 결합홀(18)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볼트(26)와, 이 볼트(26)에 치합되는 너트(28)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볼트(26)는 관통홀(14)과 결합홀(20)에 의해서 나사산이 마모되므로 선단부에만 나사산이 형성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연결다리(16)의 하단에는 레벨스크류(3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레벨스크류(30)는 연결다리(16) 하단의 나사홀(32)에 치합 설치되어 작업대가 흔들리지 않도록 각각의 높이를 조절해 준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높이 가변형 작업대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작업대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연결다리(16)와 다리(12)를 고정시키고 있는 볼트(26)를 탈거한다.
볼트(26)를 탈거하여 연결다리(16)와 다리(12)를 분리한 후, 조절하고자 하는 높이만큼 연결다리(16)를 이동시킨다.
연결다리(16)가 이동되면 다리(12)의 관통홀(14)과 연결다리(16)의 결합홀(20)이 일치되도록 연결다리(16)를 약간 이동시킨다.
연결다리(16)가 이동되어 관통홀(14)과 결합홀(20)이 일치하게 되면 볼트(26)를 삽입한 후 너트(28)를 치합시켜 연결다리(16)와 다리(12)가 고정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연결다리(16) 및 다리(12)의 길이를 조절하여 높이가 일치하도록 한다.
이 때 관통홀(14)이나 결합홀(20)의 천공시 공차에 의해 위치가 조금씩 다르고, 작업대의 설치위치가 완전한 평면이 아니므로 작업대는 작업자의 약간의 힘에도 흔들리게 된다.
따라서 연결다리(16)의 하단에 있는 레벨스크류(30)를 돌려 작업대의 높이를 조절하므로 작업대가 흔들리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높이 가변형 작업대는 작업대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허리를 구부릴 필요가 없어 중량물을 들어올릴 때 허리에 부담이 줄어들므로 산업재해가 미연에 방지된다.
또한 작업대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작업대 팔힘으로만 공구나 물건을 들어올려야 할 필요가 없으므로 작업자의 작업부하가 감소된다.

Claims (2)

  1. 장방형의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에 하방으로 연장 설치되는 다리, 상기 다리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된 관통홀, 상기 다리의 하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 연결다리, 상기 연결다리에 상기 관통홀과 동일한 간격으로 설치된 결합홀, 상기 관통홀과 상기 결합홀을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가변형 작업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다리의 하단에 설치되는 레벨스크류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가변형 작업대.
KR2020020027955U 2002-09-17 2002-09-17 높이 가변형 작업대 KR2002992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7955U KR200299269Y1 (ko) 2002-09-17 2002-09-17 높이 가변형 작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7955U KR200299269Y1 (ko) 2002-09-17 2002-09-17 높이 가변형 작업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9269Y1 true KR200299269Y1 (ko) 2002-12-31

Family

ID=73128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7955U KR200299269Y1 (ko) 2002-09-17 2002-09-17 높이 가변형 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9269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7698B1 (ko) * 2005-03-30 2006-10-25 이상규 이동식 공구 테이블
KR200462462Y1 (ko) 2010-07-15 2012-09-11 정희성 농산물 작업용 테이블
KR200464017Y1 (ko) * 2009-12-10 2012-12-07 시게루 다나카 플랜터 및 농업용 베드
KR101374963B1 (ko) 2013-04-18 2014-03-19 탑테크코리아(주) 작업판 배치율을 높이는 작업 컨베이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7698B1 (ko) * 2005-03-30 2006-10-25 이상규 이동식 공구 테이블
KR200464017Y1 (ko) * 2009-12-10 2012-12-07 시게루 다나카 플랜터 및 농업용 베드
KR200462462Y1 (ko) 2010-07-15 2012-09-11 정희성 농산물 작업용 테이블
KR101374963B1 (ko) 2013-04-18 2014-03-19 탑테크코리아(주) 작업판 배치율을 높이는 작업 컨베이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9515B1 (ko) 가공용 고정지그
CN101973022B (zh) 具有可调节端部装置的工具支撑结构
CA2290123A1 (en) Lightweight welding table
KR200299269Y1 (ko) 높이 가변형 작업대
US7272886B2 (en) Bearing press support adaptor
CA2476668A1 (en) Modular base for industrial tools
KR200433421Y1 (ko) 높낮이 조절 작업대
KR200400366Y1 (ko) 조립식 안전 작업대
US4300740A (en) Easily movable shelf for step ladder
KR20140131067A (ko) 가공용 다목적 각도 지그
KR200484259Y1 (ko) 해양구조물용 사다리
KR200397956Y1 (ko) 조립식 안전 작업대
CN210359014U (zh) 焊脚切脚机
CN211102611U (zh) 一种钣金件加工用压铆机
US6575212B2 (en) Adjustable height workstation
KR200381999Y1 (ko) 책상 높이조절장치
KR200408015Y1 (ko) 용수철을 이용한 높낮이조절작업대
EP1479481B1 (en) Portable work bench
WO1993018894A1 (en) Woodworking rig
KR200189911Y1 (ko) 이동식 틀비계 전도 방지 장치
KR102320348B1 (ko) 작업용 테이블의 작업물 추락방지 장치
CN220863926U (zh) 一种多用途工作台拼装模块
JPH02182327A (ja) 下型締付け装置
CN209394321U (zh) 工件模具夹紧装置
JP3649390B2 (ja) 足掛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2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