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1999Y1 - 책상 높이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책상 높이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1999Y1
KR200381999Y1 KR20-2005-0002515U KR20050002515U KR200381999Y1 KR 200381999 Y1 KR200381999 Y1 KR 200381999Y1 KR 20050002515 U KR20050002515 U KR 20050002515U KR 200381999 Y1 KR200381999 Y1 KR 2003819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k
height
bracket
coupled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25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형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바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바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바트
Priority to KR20-2005-00025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199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19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199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14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pins coacting with ho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35Tables or desks with features relating to adjustability or folding
    • A47B2200/005Leg adjust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08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clamps acting on vertical rod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원하는 높이로 조절시킨 후 견고하게 위치고정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책상의 높이 조절장치에 대해 개시한다. 이 장치는 받침봉(70)의 일측면에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의 위치조정공(72)들이 형성되고, 타측에 위치조절공(72)과 동일한 간격으로 복수의 고정공(71)이 형성되며, 책상판(50)의 저면에 고정되고 받침봉(70)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중공의 브라켓트(60)와, 위치조절공(72)과 대면하는 브라켓트(60)의 내측면에 결합되며 조립홈(83a)이 형성된 탄성변형 가능한 판스프링(83)과, 조립홈(83a)에 결합되고 위치조절공(72)에 탄력적으로 결합 및 이탈 가능한 록킹볼(84)과, 브라켓트(60)를 관통하여 고정공(71)들에 선택적으로 고정결합되는 고정볼트(81)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높이조절장치는 록킹볼에 의해서 원하는 위치에 책상판의 높이를 유지시킨 후 고정볼트에 의해서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1인의 작업자에 의해서도 책상의 높이를 조절가능하게 한다. 또한, 가이드노브에 의해서 브라켓트의 이탈을 방지하게 되므로 안정하게 높이조절을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책상 높이조절장치{Apparatu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a desk}
본 고안은 책상의 높이를 사용자의 신체크기에 따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책상의 높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원하는 높이로 조절시킨 후 견고하게 위치고정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책상의 높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학생용 책상 또는 작업대들은 학생 또는 작업자들의 신체크기에 따라 적절히 조절하여 사용될 것이 요구되고 있고, 이러한 요구에 따라 책상 또는 작업대의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다양한 조절장치들이 출원되고 있다.
이러한 조절장치의 일예가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255714호에 개시되고,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이 조절장치는 책상판(10)의 저면에 고정되는 상부다리봉(21)과, 상부다리봉(21)의 단부에 연결되고 일정간격으로 홈(30)이 형성된 삽입봉(24), 삽입봉(24)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다리봉(22)을 구비한다.
하부다리봉(22)에는 고정볼트(28)가 결합되는 통공(36)이 형성되어서 고정볼트(28)의 조임에 의해서 상기 홈(30) 사이에 결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책상판(10)을 상하로 이동시켜 조절할때 삽입봉(24)이 하부다리봉(22)에서 슬라이딩 이동되고 원하는 위치에서 고정볼트(28)를 조임하여 높이고정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조절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진다.
첫째, 책상판(10)의 높이를 조정하고자 할때에 책상판(10)을 적정한 높이를 유지시킨 상태에서 고정볼트(28)의 조임작업을 하여야 되므로, 책상판(10)을 일정높이로 유지시키는 작업자와 고정볼트를 조임하는 작업자등 적어도 조절작업자가 2인이 요구된다.
둘째, 삽입봉(24)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홈(30)의 위치와 고정볼트(28)의 위치를 일치시켜 고정작업을 하여야 하므로 이의 일치작업이 번거롭다.
세째, 책상판(10)을 상하로 이동시켜 조절할때 책상판(10)을 과도하게 상부로 들어올리는 경우 하부다리봉(22)으로부터 완전히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가진다.
첫째, 1인이 책상의 높이조절을 할 수 있도록 개량된 책상 높이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둘째, 책상의 높이를 원하는 위치에서 간편하고 견고하게 위치고정할 수 있도록 한 책상 높이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세째, 책상판을 상하로 이동시키면서 높이 조절시킬때 책상판의 완전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책상 높이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은 책상판을 받침봉에 대하여 높이 조절시키는 책상의 높이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받침봉의 일측면에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의 위치조정공들이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위치조절공과 동일한 간격으로 복수의 고정공이 형성되며,
상기 책상판의 저면에 고정되고 상기 받침봉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중공의 브라켓트와,
상기 위치조절공과 대면하는 상기 브라켓트의 내측면에 결합되며 조립홈이 형성된 탄성변형 가능한 판스프링과,
상기 조립홈에 결합되고 상기 위치조절공에 탄력적으로 결합 및 이탈 가능한 록킹볼과,
상기 브라켓트를 관통하여 상기 고정공들에 선택적으로 고정결합되는 고정볼트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 높이 조정장치는 상기 받침봉의 상단부에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장공을 통하여 상기 결합공에 결합고정되는 가이드노브를 구비하여서, 상기 브라켓트가 상기 가이드노브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안내되며 상기 받침봉으로부터 상기 브라켓트의 이탈을 방지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본 고안 높이조절장치는 록킹볼에 의해서 원하는 위치에 책상판의 높이를 유지시킨 후 고정볼트에 의해서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1인의 작업자에 의해서도 책상의 높이를 조절가능하게 한다. 또한, 가이드노브에 의해서 브라켓트의 이탈을 방지하게 되므로 안정하게 높이조절을 가능하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 실시예의 책상 높이조절장치는 1인의 작업자에 의해서도 책상의 높이조절을 원할하게 할 수 있으며, 원하는 높이에서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며, 높이조절중에 책상판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 실시예의 책상 높이조절장치를 나타낸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이는 책상판(50)이 받침봉(70)에 대하여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받침봉(70)의 일측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의 위치조정공(72)들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위치조절공(72)과 동일한 간격으로 복수의 고정공(71)들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책상판(50)의 저면에는 상기 받침봉(70)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중공의 브라켓트(60)가 고정결합되어 있고, 상기 위치조절공(72)과 대면하는 상기 브라켓트(60)의 내측면에는 조립홈(83a)이 형성된 탄성변형 가능한 판스프링(83)이 결합되어 있다.
참조번호 62는 상기 판스프링(83)이 결합고정되는 끼움홈이다.
또한, 상기 조립홈(83a)에는 록킹볼(84)이 결합되어서 상기 위치조절공(72)에 탄력적으로 결합 및 이탈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트(60)를 관통하여서는 상기 고정공(71)들에 선택적으로 고정결합되는 고정볼트(81)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상기 받침봉(70)의 상단부 측면에는 결합공(7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브라켓트(60)의 일측면에는 상하방향으로 긴 가이드장공(6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장공(61)을 통하여 상기 결합공(73)에 결합고정되는 가이드노브(82)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브라켓트(60)가 상기 가이드노브(82)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안내되며 상기 받침봉(70)으로부터 상기 브라켓트(60)의 이탈이 방지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 실시예의 책상 높이조절장치는 다음과 같이 조절되어 진다. 먼저, 고정볼트(81)를 풀어서 고정공(71)으로부터 이탈시킨 후, 책상판(50)을 파지하여서 원하는 높이로 승강시킨다.
책상판(50)을 상하로 이동시킬때 브라켓트(60)는 가이드노브(82)에 의해서 상하로 가이드되게 되며, 록킹볼(84)은 판스프링(83)의 탄성에 의해서 위치조절공(72)에 탄력적으로 결합되게 된다.
상기 책상판(50)을 상하로 이동시킬때 가이드장공(61)의 상단부와 하단부는 상기 가이드노브(82)에 걸려지게 되어 최하위치와 최상위치가 제한되게 되며, 이에따라서 책상판(50)이 받침봉(70)으로부터 완전히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록킹볼(84)이 원하는 높이의 위치조절공(72)에 결합된 상태에서 책상판(50)의 상하이동을 정지시킨 후, 상기 고정볼트(81)를 조임하여 상기 고정공(71)에 결합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록킹볼(84)이 위치조절공(72)에 결합된 상태에서 책상판(50)에 어떠한 하중을 가하지 아니하게 되면 책상판(50)의 조절높이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책상판(50)을 원하는 높이로 조절하여 록킹볼(84)이 위치조절공(72)에 결합시킨 후 고정볼트(81)로 조임하여 고정시킴으로써 1인의 작업자에 의해서도 높이조절을 간편하고 견고하게 할 수 있으며, 높이 조절중에 책상판이 받침봉으로부터 이탈되는 번거로움을 해소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상기 본원의 정신과 범위를 이탈함이 없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많은 변형을 가하여 실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이점을 가진다.
첫째, 록킹볼에 의해서 위치조절공에 결합유지가 가능한 상태에서 고정볼트(81)로 조임하여 고정시킴으로써 1인의 작업자에 의해서도 책상의 높이 조절을 원하는 위치에서 간편하고 견고하게 조절시킬 수 있다.
둘째, 브라켓트의 가이드장공(61) 및 가이드노브(82)에 의해서 책상판(50)의 상하이동을 원할하게 하고, 책상판(50)을 상하로 이동시키면서 높이 조절시킬때 책상판이 받침봉으로부터 완전 이탈되는 번거로움을 해소한다.
도 1은 종래 높이조절장치가 채용된 책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요부 개략도,
도 4는 본 고안 높이조절장치가 채용된 책상을 나타낸 개략 측면도,
도 5는 도 4의 요부 발췌 사시도,
도 6은 도 4의 요부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50...책상판 60...브라켓트
61...가이드장공 70...받침봉
71...고정공 72...위치조절공
73...결합공 81...고정볼트
82...가이드노브 83...판스프링
84...록킹볼

Claims (2)

  1. 책상판을 받침봉에 대하여 높이 조절시키는 책상의 높이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받침봉(70)의 일측면에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의 위치조정공(72)들이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위치조절공(72)과 동일한 간격으로 복수의 고정공(71)이 형성되며,
    상기 책상판(50)의 저면에 고정되고 상기 받침봉(70)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중공의 브라켓트(60)와,
    상기 위치조절공(72)과 대면하는 상기 브라켓트(60)의 내측면에 결합되며 조립홈(83a)이 형성된 탄성변형 가능한 판스프링(83)과,
    상기 조립홈(83a)에 결합되고 상기 위치조절공(72)에 탄력적으로 결합 및 이탈 가능한 록킹볼(84)과,
    상기 브라켓트(60)를 관통하여 상기 고정공(71)들에 선택적으로 고정결합되는 고정볼트(81)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높이 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봉(70)의 상단부에 결합공(73)이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트(60)의 일측면에 상하방향으로 긴 가이드장공(61)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장공(61)을 통하여 상기 결합공(73)에 결합고정되는 가이드노브(82)를 구비하여서,
    상기 브라켓트(60)가 상기 가이드노브(82)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안내되며 상기 받침봉(70)으로부터 상기 브라켓트(60)의 이탈을 방지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높이조절장치.
KR20-2005-0002515U 2005-01-27 2005-01-27 책상 높이조절장치 KR2003819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2515U KR200381999Y1 (ko) 2005-01-27 2005-01-27 책상 높이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2515U KR200381999Y1 (ko) 2005-01-27 2005-01-27 책상 높이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1999Y1 true KR200381999Y1 (ko) 2005-04-15

Family

ID=43683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2515U KR200381999Y1 (ko) 2005-01-27 2005-01-27 책상 높이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199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6956B1 (ko) * 2012-11-21 2014-12-03 주식회사 디비케이 의자의 암레스트 높낮이 조절 장치
KR20220045617A (ko) * 2020-10-06 2022-04-13 주식회사 세화 흘러내림방지와셔 및 흘러내림방지와셔로 제어암의 길이 조절 가능한 선로전환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6956B1 (ko) * 2012-11-21 2014-12-03 주식회사 디비케이 의자의 암레스트 높낮이 조절 장치
KR20220045617A (ko) * 2020-10-06 2022-04-13 주식회사 세화 흘러내림방지와셔 및 흘러내림방지와셔로 제어암의 길이 조절 가능한 선로전환기
KR102472268B1 (ko) * 2020-10-06 2022-11-30 주식회사 세화 흘러내림방지와셔 및 흘러내림방지와셔로 제어암의 길이 조절 가능한 선로전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07181B1 (en) Mattress retainer blocks
CN201058397Y (zh) 焊接或木材加工工作台
KR200381999Y1 (ko) 책상 높이조절장치
US6581528B2 (en) Table with telescopic leg unit
KR100767095B1 (ko) 책상 및 걸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US2524167A (en) Screw driver with screw holder
KR102210396B1 (ko)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
KR101954914B1 (ko) 간극 조정 장치를 포함하는 다리 프레임 모듈
JP2019058300A (ja) 脚ゴムの取付構造、脚部材、支持フレーム、および浴槽台
KR20040046634A (ko) 책, 걸상용 지지다리의 높이조절구조
JP2007332640A (ja) 手摺取付装置
KR200299269Y1 (ko) 높이 가변형 작업대
CA2345255A1 (en) Playing surface leveling apparatus and method
ATE297148T1 (de) Höheneinstellbares bein für eine stützfläche
KR20040006601A (ko) 자동차의 매트 고정장치
US6527265B1 (en) Fascia installation apparatus
KR101157071B1 (ko) 작업대상물의 위치 고정장치
KR200408015Y1 (ko) 용수철을 이용한 높낮이조절작업대
JPS6322900Y2 (ko)
KR200411817Y1 (ko) 책, 걸상용 높낮이 조절구
KR200355945Y1 (ko) 테이블 높이 조절장치
KR20120004579U (ko) 다층식 판재 위치고정 절단도구
JP2009119557A (ja) クランプ装置
JP4975364B2 (ja) 布張り枠保持台
KR20060033508A (ko) 절단가공 부품 지지용 가변 지그 유니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