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8786B1 - 전동리프팅 컨베이어 장치 - Google Patents

전동리프팅 컨베이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8786B1
KR101578786B1 KR1020150108170A KR20150108170A KR101578786B1 KR 101578786 B1 KR101578786 B1 KR 101578786B1 KR 1020150108170 A KR1020150108170 A KR 1020150108170A KR 20150108170 A KR20150108170 A KR 20150108170A KR 101578786 B1 KR101578786 B1 KR 1015787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groove
frame
auxiliary
bol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8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시년
Original Assignee
(주)우진쿼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진쿼터스 filed Critical (주)우진쿼터스
Priority to KR10201501081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87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8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87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7/00Stacking of articles
    • B65G57/02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 B65G57/11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the articles being stacked by direct action of the feeding conveyor
    • B65G57/112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the articles being stacked by direct action of the feeding conveyor the conveyor being adjustable in heigh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04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vertical spind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1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vertically-acting fluid cylin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1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 B65G21/12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to allow adjustment of position of load-carrier or traction element as a who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08Adjustable and/or adaptable to the article siz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egs For Furniture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리프팅 컨베이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지면에 지지되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의 상측으로 위치되며 중공관 형태의 프레임의 모서리 부분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볼트홀과 상기 프레임의 내측으로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홈과 상기 가이드홈의 양측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돌출부로 이루어진 외부다리, 상기 외부다리의 내부에 위치되며 중공관 형태의 프레임의 모서리 부분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보조볼트홀과 상기 프레임의 외측으로 외부다리에 형성된 가이드홈과 대응되는 보조가이드홈과 상기 프레임의 내측으로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자리홈과 상기 자리홈의 양측으로 형성되는 자리돌출부로 이루어진 내부다리, 상기 내부다리의 내측으로 위치되어 승강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구동수단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내부다리가 한단 이상으로 이루어져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다리와, 지지판, 테이블과, 보조부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다리에 형성된 외부다리와 한단 이상의 내부다리를 통해 작업자의 신체에 맞게 테이블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컨베이어 장치를 통한 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보조부를 구성하는 가로바에 형성된 작업고리를 통해 다양한 공구 등을 편리하게 보관하면서 가로바에 작업등을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전동리프팅 컨베이어 장치{Power lifting conveyor device}
본 발명은 전동리프팅 컨베이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컨베이어 작업시 사용자가 편리하게 컨베이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높이 조절시 다리부분에서 발생되는 마찰을 줄여 소음 및 마찰에 의한 파손을 예방할 수 있는 전동리프팅 컨베이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컨베이어 장치는 일정한 높이로 고정되어 있거나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300376호와 같이 컨베이어 장치의 다리에 리드스크류 및 구동수단을 형성하여, 상기 구동수단을 작동시켜 리드스크류를 회전시키면서 리드스크류가 결합되는 컨베이어 장치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단순히 볼트형태의 스크류를 이용하여 컨베이어 장치의 높이를 조절하게 될 경우 리드스크류가 지지할 수 있는 힘이 한계가 있어, 일정한 무게 이상의 컨베이어 장치에서는 사용하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전동리프팅 컨베이어 장치는 지면에 지지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상측으로 위치되며 중공관 형태의 프레임의 모서리 부분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볼트홀과 상기 프레임의 내측으로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홈과 상기 가이드홈의 양측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돌출부로 이루어진 외부다리, 상기 외부다리의 내부에 위치되며 중공관 형태의 프레임의 모서리 부분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보조볼트홀과 상기 프레임의 외측으로 외부다리에 형성된 가이드홈과 대응되는 보조가이드홈과 상기 프레임의 내측으로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자리홈과 상기 자리홈의 양측으로 형성되는 자리돌출부로 이루어진 내부다리, 상기 내부다리의 내측으로 위치되어 승강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구동수단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내부다리가 한단 이상으로 이루어져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다리와, 상기 다리에 형성된 내부다리의 상측으로 고정되며 고정수단의 작동에 의해 다리의 내부다리와 함께 높이가 조절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상측으로 위치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상측으로 고정되는 컨베이어 장치, 상기 컨베이어 장치의 전면과 후면으로 배열되면서 지지대의 상측으로 고정되는 작업다이로 구성된 테이블과, 상기 테이블에 형성된 작업다이의 상측으로 형성되며 수직방향으로 다수개로 설치되되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수직홈이 형성되는 수직바, 상기 수직바에 대해 좌, 우방향으로 가로지르되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가로홈과 상기 가로홈에 결합되는 작업고리가 형성되는 가로바, 상기 수직바에 대해 전, 우방향으로 가로지르되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보강홈이 형성되는 보강바로 구성된 보조부로 이루어져, 다리에 형성된 외부다리와 한단 이상의 내부다리를 통해 작업자의 신체에 맞게 테이블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컨베이어 장치를 통한 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보조부를 구성하는 가로바에 형성된 작업고리를 통해 다양한 공구 등을 편리하게 보관하면서 가로바에 작업등을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외부다리에는 가이드홈, 가이드돌출부, 외부홈을 형성하고 내부다리에는 보조가이드홈, 자리홈, 자리돌출부를 형성하여 결합함으로써, 상기 외부다리와 내부다리의 결합시 외부다리와 내부다리가 틀어지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되며, 상기 외부다리와 내부다리에 각각 제1, 2결합부재 및 제1, 2조립부재 및 보강부재를 형성하여, 내부다리의 승강시 외부다리와 내부다리가 부딪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소음과 그로 인한 파손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외부다리 및 내부다리에 결합되는 제1, 2결합부재 및 제1, 2조립부재 및 보강부재에 의해 다리의 내구성 저하를 예방할 수 있으며, 내부다리의 상승시 외부다리 및 내부다리에 결합된 보강부재를 통해 내부다리가 일정높이 이상 펼쳐지지 않게 되어 내부다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상기 컨베이어 장치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다리의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쉽고 경제성이 우수하면서 유지보수의 편리성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다리에 형성된 외부다리와 한단 이상의 내부다리를 통해 작업자의 신체에 맞게 테이블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컨베이어 장치를 통한 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보조부를 구성하는 가로바에 형성된 작업고리를 통해 다양한 공구 등을 편리하게 보관하면서 가로바에 작업등을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외부다리에는 가이드홈, 가이드돌출부, 외부홈을 형성하고 내부다리에는 보조가이드홈, 자리홈, 자리돌출부를 형성하여 결합함으로써, 상기 외부다리와 내부다리의 결합시 외부다리와 내부다리가 틀어지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되며, 상기 외부다리와 내부다리에 각각 제1, 2결합부재 및 제1, 2조립부재 및 보강부재를 형성하여, 내부다리의 승강시 외부다리와 내부다리가 부딪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소음과 그로 인한 파손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외부다리 및 내부다리에 결합되는 제1, 2결합부재 및 제1, 2조립부재 및 보강부재에 의해 다리의 내구성 저하를 예방할 수 있으며, 내부다리의 상승시 외부다리 및 내부다리에 결합된 보강부재를 통해 내부다리가 일정높이 이상 펼쳐지지 않게 되어 내부다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 컨베이어 장치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다리의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쉽고 경제성이 우수하면서 유지보수가 편리한 장점이 있다.
도 1과 2는 본 발명인 전동리프팅 컨베이어 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전동리프팅 컨베이어 장치의 바퀴를 도시한 사진.
도 4는 본 발명인 전동리프팅 컨베이어 장치의 다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인 전동리프팅 컨베이어 장치의 외부다리, 내부다리의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인 전동리프팅 컨베이어 장치의 다리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도 6의 A부를 도시한 확대도.
도 8은 도 6의 B부를 도시한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인 전동리프팅 컨베이어 장치의 보강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인 전동리프팅 컨베이어 장치의 제1, 2결합부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인 전동리프팅 컨베이어 장치의 제1, 2조립부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인 전동리프팅 컨베이어 장치를 도시한 부분단면도.
도 13은 도 12의 A부를 도시한 확대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전동리프팅 컨베이어 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10), 다리(40), 지지판(50), 테이블(60), 보조부(70)로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받침대(1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리프팅 컨베이어 장치(100)를 지면에 설치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며 그 형상은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더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대(10)의 하측으로 전동리프팅 컨베이어 장치(100)를 원활하게 이동시키면서 지면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현재 책상(도면에 미도시) 등에서 사용되고 있는 잠금수단(r1)이 구비된 바퀴(r)를 추가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바퀴(r) 및 잠금수단(r1) 등은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어떠한 형태의 것으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다리(40)는 도 4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설치되는 받침대(10)의 상측으로 용접이나 볼트 등의 고정부재(도면에 미도시)를 통해 위치되어 고정되어, 낚싯대와 같이 다단으로 이루어져 다리(40)를 다단으로 길게 펼치거나 접어서 다리(4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다리(40)는 받침대(10)의 상측으로 고정되는 외부다리(20)와, 상기 외부다리(20)의 내측에 위치되어 한단 이상으로 이루어져 다수단으로 펼쳐지거나 한단으로 접혀져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내부다리(30)와, 상기 내부다리(30)의 내측으로 위치되어 실린더와 같이 작동하여 내부다리(30)를 승강시킬 수 있는 구동수단(s)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수단(s)은 상술한 바와 같이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실린더 등과 같이 작동하는 장치 중 어떠한 형태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외부다리(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관 형태의 프레임(f)이 상기 받침대(10)의 상측으로 용접 등의 의한 방법이나 고정부재를 이용한 방법 등을 통해 고정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f)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서, 모서리 부분이 각각 면취처리된 형태로 형성된 것으로 설명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f)의 모서리 부분에 볼트가 삽입되면서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볼트홀(2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f)의 내측의 임의의 지점에 수직방향으로 길게 관통되는 형태로 홈형태의 가이드홈(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홈(22)의 양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가이드돌출부(2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홈(22) 및 가이드돌출부(23)는 프레임(f)의 내측에 형성될 때, 각각의 면마다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더해, 도 6 내지 도 7,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다리(20)의 프레임(f)의 상측으로 제1결합부재(25)와 상기 제1결합부재(25)의 상측으로 결합되는 제2결합부재(26)를 추가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제1결합부재(25)는 프레임(f)의 상측으로 위치되되 프레임(f)에 형성되는 볼트홀(21)에 대응되는 제1볼트홀(25a), 내측면으로 프레임(f)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홈(22)과 가이드돌출부(23)에 대응되도록 제1가이드홈(25b)과 제1가이드돌출부(25c)가 형성되어 있다.
이는, 상기 제1결합부재(25)은 외부다리(20)를 횡단면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결합부재(25)의 상측으로 위치되는 제2결합부재(26)는 제1볼트홀(25a)에 대응되는 제2볼트홀(26a)과, 상기 제1가이드홈(25b)에 대응되면서 내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보조돌출부(26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6 또는 도 7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다리(20)에는 보강부재(p)를 추가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보강부재(p)는 상기 외부다리(20)의 프레임(f)의 내부 상측면에 거치되는 거치턱(p1)과 상기 거치턱(p1)의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며 외부다리(20)에 형성된 가이드홈(22)에 결합되는 수직바디(p2)로 구성되어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외부다리(20)의 프레임(f)의 내부 상측면으로 보강부재(p)가 거치되되 상기 보강부재(p)는 가이드홈(22)이 형성된 지점의 상측에 위치하면서 가이드홈(22)에 수직바디(p2)가 끼워지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f)의 상측면에 제1결합부재(25)가 위치되는데 상기 프레임(f)에 형성된 볼트홀(21)과 제1결합부재(25)에 형성된 제1볼트홀(25a)이 서로 대응되어 제1결합부재(25)에 형성된 제1가이드홈(25b)에 보강부재(p)의 거치턱(p1)이 끼워지면서 외부다리(20)의 프레임(f)의 상측면으로 위치되고 상기 가이드홈(22)에 보강부재(p)의 수직바디(p2)가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결합부재(25)의 상측으로 제2결합부재(26)를 위치시키게 되면, 상기 제2결합부재(26)에 형성된 제2볼트홀(26a)이 제1결합부재(25)에 형성된 제1볼트홀(25a)에 대응되면서 외부다리(20)의 프레임(f)의 상측면에 거치된 거치턱(p1)의 상측으로 제2결합부재(26)의 보조돌출부(26b)가 위치하게 된다.
그러면, 제2결합부재(26)의 제2볼트홀(26a) 및 제1결합부재(25)의 제1볼트홀(25a) 및 외부다리(20)의 프레임(f)에 형성된 볼트홀(21)의 순으로 볼트가 삽입되어, 프레임(f)의 상측으로 제1결합부재(25) 및 제2결합부재(26)가 견고하게 고정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면, 상기 제2결합부재(26)에 형성되는 보조돌출부(26b)가 보강부재(p)의 거치턱(p1)을 위에서 누르는 형태로 형성되면서 보강부재(p)가 외부다리(20)의 프레임(f)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내부다리(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다리(20)의 내부에 위치되며 중공관 형태의 프레임(f)의 모서리 부분에 볼트가 삽입되는 보조볼트홀(31)이 형성되며, 프레임(f)의 외측으로 외부다리(20)의 내측에 형성되는 가이드홈(22)에 대응되는 보조가이드홈(32)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f)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서, 모서리 부분이 각각 면취처리된 형태로 형성된 것으로 설명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f)의 내측으로 외부다리(20)의 가이드홈(22) 및 가이드돌출부(23)와 유사한 형태로 자리홈(33)과 자리홈(33)의 양측으로 자리돌출부(34)가 프레임(f)의 길이방향에 따라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f)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자리홈(33) 및 자리돌출부(34)는 프레임(f)의 내부 각각의 측면에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다리(30)를 다단으로 형성하게 될 경우 하나의 내부다리(30)의 내측에 다른 내부다리(30)를 구성할 수 있으며, 내측으로 갈수록 그 크기가 줄어드는 것은 자명한 사항이다.
또한, 상기 내부다리(30)가 다단으로 형성되면서 각각의 내부다리(30)를 구성하는 프레임(f)에 상술한 보조볼트홀(31), 보조가이드홈(32), 자리홈(33) 및 자리볼출부(34)가 형성된다.
이에 더해, 도 6 또는 도8 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다리(30)의 프레임(f)의 하측으로 결합되는 제1조립부재(35) 및 제2조립부재(36)를 추가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제1조립부재(35)는 내부다리(30)의 프레임(f)의 모서리 부분에 프레임(f)에 형성된 보조볼트홀(31)에 대응되면서 볼트가 삽입되는 제1보조볼트홀(35a)이 형성되고, 외측으로 내부다리(30)의 프레임(f)에 형성되는 보조가이드홈(32)에 대응되는 제1보조가이드홈(35b)이 형성되며, 내측으로 내부다리(30)의 프레임(f)에 형성되는 자리홈(33) 및 자리돌출부(34)에 각각 대응되는 제1자리홈(35c)과 제1자리돌출부(35d)가 형성되어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1조립부재(35)는 내부다리(30)의 프레임(f)의 횡단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조립부재(35)의 하측으로 고정되는 제2조립부재(36)는 제조립부재(35)에 형성된 제1보조볼트홀(35a)에 대응되는 제2보조볼트홀(36a)과 외측으로 제1보조가이드홈(35b)에 대응되는 보조가이드돌출부(36b)과 내측으로 제1조립부재(35)에 형성되는 제1자리홈(35c)과 제2자리돌출부(35)에 대응되는 제2자리홈(36c) 및 제2자리돌출부(36d)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6 또는 도 8 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다리(30)의 프레임(f)의 하측으로 보강부재(p)를 더 포함시켜 형성할 수도 있다.
이는, 상기 외부다리(20)에 결합되는 형태와 유사하게 보강부재(p)가 결합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내부다리(30)의 프레임(f)의 외부 하측면으로 보강부재(p)의 거치턱(p1)이 거치되되 보강부재(p)의 수직부재(p2)가 내부다리(30)의 프레임(f)의 외측면에 형성된 보조가이드홈(32)에 끼워지는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내부다리(30)의 프레임(f)의 하측면으로 제1조립부재(35)가 위치되는데, 상기 제1조립부재(35)에 형성된 제1보조볼트홀(35a)과 프레임(f)의 보조볼트홀(31)이 서로 대응되면서 위치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내부다리(30)의 프레임(f)에 형성된 보조가이드홈(32)에 제1조립부재(35)의 제1보조가이드홈(35b)이 대응되어 위치되며, 프레임(f)에 형성된 자리홈(33)과 자리돌출부(34)에 각각 제1자리홈(35c)과 제1자리돌출부(35d)가 대응되는 형태로 결합되게 된다.
또한, 상기 내부다리(30)의 프레임(f)의 외부에 형성된 보조가이드홈(32)에 보강부재(p)의 수직바디(p2)가 끼워지면서 해당 지점의 프레임(f)의 하측면에 보강부재(p)의 거치턱(p1)이 거치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조립부재(35)의 하측으로 제2조립부재(36)가 결합되는데, 제2조립부재(36)에 형성된 제2보조볼트홀(36a)이 제1보조볼트홀(35a)에 대응되는 지점에 위치하게 되고, 제2조립부재(36)의 외측에 형성된 보조가이드돌출부(36b)가 제1조립부재(35)의 제1보조가이드홈(35b)에 대응되는 지점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제2조립부재(36)의 내부에 형성된 제2자리홈(36c) 및 제2자리돌출부(36d)이 각각 제1조립부재(35)의 제1자리홈(35c)과 제2자리돌출부(35)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조립부재(36)의 제2보조볼트홀(36a) 및 제1조립부재(35)의 제1보조볼트홀(35a)과 내부다리(30)의 프레임(f)에 형성된 보조볼트홀(31)의 순으로 볼트를 삽입하여 프레임(f), 제1조립부재(35), 제2조립부재(36)가 견고하게 고정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다.
그러면, 상기 내부다리(30)의 프레임(f)의 하측면에 위치되는 보강부재(p)의 거치턱(p1)의 하측으로 제2조립부재(36)의 보조가이드돌출부(36b)가 막는 형태로 접촉되면서 내부다리(30)의 프레임(f)에서 보강부재(p)가 쉽게 이탈되지 않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상기 외부다리(20)의 프레임(f)의 내부 상측으로 보강부재(p)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다리(30)의 프레임(f)의 외부 하측으로 보강부재(p)가 형성되면서 내부다리(30)의 승강시 각각 외부다리(20) 및 내부다리(30)에 형성된 보강부재(p) 끼리 접촉되어, 내부다리(30)가 일정높이 이상으로 상승하지 않게 됨으로써, 내부다리(30)가 외부다리(20)의 내부에서 빠지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외부다리(20) 및 내부다리(30)에 각각 형성되는 보강부재(p)가 서로 외부다리(20)의 프레임(f)과 내부다리(30)의 프레임(f)에 접촉되도록 형성되어 있게 되어, 외부다리(20)의 프레임(f)과 내부다리(30)의 프레임(f) 간의 접촉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지지판(50)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40)에 형성된 내부다리(30)의 상측이 지지판(50)의 하측면에 용접 등에 의한 방법으로 결합되며, 상기 내부다리(30)의 내측에 위치된 구동수단(s)의 일측도 지지판(50)의 하측면에 볼트 또는 용접 등에 의한 방법으로 결합되어, 상기 구동수단(s)의 작동에 의해 동시에 승강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테이블(60)은 도 12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50)의 상측으로 볼트 또는 용접 등의 의한 방법으로 결합되는 지지대(61)와 상기 지지대(61)의 상측으로 볼트 또는 용접 등의 의한 방법으로 결합되면서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형태인 컨베이어 장치(62)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더해, 상기 지지판(50)의 상측으로 위치되는 지지대(61)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사각형의 파이프형태로 형성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지지대(61)의 상측으로 위치되면서 컨베이어 장치(62)의 전, 후면으로 작업자가 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작업다이(6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판(50)의 상측으로 컨베이어 장치(62)가 위치될 때, 컨베이어 장치(62)에 형성된 롤러(도면에 미도시) 및 벨트(도면에 미도시) 등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판(50)판 및 지지대(61)와 컨베이어 장치(62) 간의 간격을 둘 수 있는 지지대(61)를 다단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최상단에 위치되는 지지대(61a)는 길이방향으로 작업다이(63)의 하부에만 위치되도록 하여, 지지판(50) 및 지지대(61)와 컨베이어 장치(62) 간의 간격을 두도록 형성하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 보조부(70)는 도 12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60)에 형성된 작업다이(63)의 상측면에 수직방향으로 배열되되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수직홈(71a)이 형성된 수직바(71)가 하나 이상으로 임의의 지점마다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직바(71)를 좌, 우방향으로 가로지르면서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형태의 가로홈(72a)에 작업고리(72b)가 끼워지는 가로바(72)가 볼트 또는 용접 등에 의한 방법으로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직바(71)를 전, 후방향으로 가로지르면서 다수의 수직바(71)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형태의 보강홈(73a)이 형성된 보강바(73)가 볼트 또는 용접 등에 의한 방법으로 수직바(71)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로바(72) 또는 보강바(73)에는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조명(도면에 미도시) 등을 추가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수직바(71), 가로바(72), 보강바(73)는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다양한 수량으로 형성하면서 단면이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단면이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며, 상기 수직바(71), 가로바(72), 보강바(73)에 각각 형성되는 수직홈(71a), 가로홈(72a), 보강홈(73a)은 전, 후, 상, 하, 좌, 우측면 중 어떠한 면에도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동리프팅 컨베이어 장치(100)에는 상술한 구성 외에 전동리프팅 컨베이어 장치(100)를 구동시킬 수 있는 기계장치(도면에 미도시)나 전기장치(도면에 미도시) 및 제어장치(도면에 미도시)가 형성되는 것은 자명한 사항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작업자가 테이블(60)에 형성된 컨베이어 장치(62) 또는 작업다이(63)에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다리(4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제어장치를 작동시키게 된다.
그러면, 상기 다리(40)에 형성된 구동수단(s)이 승강하게 되면서 상기 구동수단(s)의 상측에 연결된 지지판(50)과 내부다리(30)가 동시에 승강하게 되면서 내부다리(30)가 다단으로 길게 펼쳐지거나 접어지게 되면서 다리(40)의 높이가 조절되어 상기 다리(40)의 상측에 위치된 테이블(6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구동수단(s)에 의해 내부다리(30)가 승강하게 될 때, 외부다리(20)의 프레임(f)에 형성된 가이드홈(22) 및 가이드돌출부(23)에 내부다리(30)의 프레임(f)의 외부에 형성된 보조가이드홈(32)이 대응된 형태를 유지하면서 승강하게 되어, 내부다리(30)가 흔들리지 않고 견고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승강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외부다리(20)의 프레임(f)의 내부에 위치되는 보강부재(p)와 내부다리(30)의 프레임(f)의 외부에 위치되는 보강부재(p)가 외부다리(20) 및 내부다리(30)의 사이에 배열되면서 외부다리(20) 및 내부다리(30)에 밀착되면서 승강된다.
그래서, 상기 외부다리(20)의 프레임(f)과 내부다리(30)의 프레임(f)이 서 로 맞닿지 않은 상태로 승강되면서 프레임(f) 간의 마찰에 의한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으면서 마찰에 의한 내구성 저하를 예방하여 다리(40)의 파손을 예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내부다리(30)의 상승시 내부다리(30)의 하측에 위치된 보강부재(p)가 외부다리(20)의 상측에 위치된 보강부재(p)에 접촉되면서 내부다리(30)가 외부다리(20)에서 일정 높이 이상 올라가지 않게 되어, 내부다리(30)가 외부다리(2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에 더해, 상기 테이블(60)의 상측으로 형성되는 보조부(70)의 가로바(72) 등에 작업등(도면에 미도시) 등을 추가로 설치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테이블(60)에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보조부(70)의 가로바(72)에 형성되는 작업고리(72b)에 공구 등을 거치시키거나 보관시키면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부(70)의 수직바(71) 및 가로바(72) 및 보강바(73)에 각각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수직홈(71a), 가로홈(72a), 보강홈(73a)에 볼트 등을 결합하고 판(도면에 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선반(도면에 미도시) 등을 추가로 형성할 수 있으며, 다른 다양한 물품을 거치시키면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받침대(10)에 형성된 바퀴(r)를 통해 전동리프팅 컨베이어 장치(100)를 원활하게 이동시키면서 바퀴(r)에 구성된 잠금수단(r1)을 통해 전동리프팅 컨베이어 장치(100)를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로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다리(40)의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쉽고 편리하게 유지보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10 : 받침대
20 : 외부다리
21 : 볼트홀 22 : 가이드홈
23 : 가이드돌출부 25 : 제1결합부재
26 : 제2결합부재
30 : 내부다리
31 : 보조볼트홀 32 : 보조가이드홈
33 : 자리홈 34 : 자리돌출부
35 : 제1조립부재 36 : 제2조립부재
40 : 다리
50 : 지지판
60 : 테이블
61 : 지지대 62 : 컨베이어 장치
63 : 작업다이
70 : 보조부
71 : 수직바 72 : 가로바
73 : 보강바
100 : 전동리프팅 컨베이어 장치

Claims (5)

  1. 지면에 지지되는 받침대(10);
    상기 받침대(10)의 상측으로 위치되며 중공관 형태의 프레임(f)의 모서리 부분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볼트홀(21)과 상기 프레임(f)의 내측으로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홈(22)과 상기 가이드홈(22)의 양측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돌출부(23)로 이루어진 외부다리(20), 상기 외부다리(20)의 내부에 위치되며 중공관 형태의 프레임(f)의 모서리 부분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보조볼트홀(31)과 상기 프레임(f)의 외측으로 외부다리(20)에 형성된 가이드홈(22)과 대응되는 보조가이드홈(32)과 상기 프레임(f)의 내측으로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자리홈(33)과 상기 자리홈(33)의 양측으로 형성되는 자리돌출부(34)로 이루어진 내부다리(30), 상기 내부다리(30)의 내측으로 위치되어 승강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구동수단(s)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내부다리(30)가 한단 이상으로 이루어져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다리(40);
    상기 다리(40)에 형성된 내부다리(30)의 상측으로 고정되며 구동수단(s)의 작동에 의해 다리(40)의 내부다리(30)와 함께 높이가 조절되는 지지판(50);
    상기 지지판(50)의 상측으로 위치되는 지지대(61), 상기 지지대(61)의 상측으로 고정되는 컨베이어 장치(62), 상기 컨베이어 장치(62)의 전면과 후면으로 배열되면서 지지대(61)의 상측으로 고정되는 작업다이(63)로 구성된 테이블(60);
    상기 테이블(60)에 형성된 작업다이(63)의 상측으로 형성되며 수직방향으로 다수개로 설치되되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수직홈(71a)이 형성되는 수직바(71), 상기 수직바(71)에 대해 좌, 우방향으로 가로지르되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가로홈(72a)과 상기 가로홈(72a)에 결합되는 작업고리(72b)가 형성되는 가로바(72), 상기 수직바(71)에 대해 전, 우방향으로 가로지르되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보강홈(73a)이 형성되는 보강바(73)로 구성된 보조부(70);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전동리프팅 컨베이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10)의 하측으로는 잠금수단(r1)이 구비된 바퀴(r)가 더 포함되어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전동리프팅 컨베이어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40)에 형성된 외부다리(20)에는 프레임(f)의 상측으로 위치되며 볼트홀(21)과 대응되는 제1볼트홀(25a)과 내측으로 가이드홈(22)에 대응되는 제1가이드홈(25b)과 가이드돌출부(23)에 대응되는 제1가이드돌출부(25c)가 형성되는 제1결합부재(25), 상기 제1결합부재(25)의 상측으로 위치되며 내측으로 제1볼트홀(25a)에 대응되는 제2볼트홀(26a)과 제1가이드홈(25b)에 대응되는 보조돌출부(26b)가 형성되는 제2결합부재(26)가 더 포함되어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전동리프팅 컨베이어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40)에 형성된 내부다리(30)에는 프레임(f)의 하측으로 위치되고 보조볼트홀(31)에 대응되는 제1보조볼트홀(35a)과 외측으로 보조가이드홈(32)에 대응되는 제1보조가이드홈(35b)과 내측으로 자리홈(33)과 자리돌출부(34)에 각각 대응되는 제1자리홈(35c)과 제1자리돌출부(35d)로 형성되는 제1조립부재(35), 상기 제1조립부재(35)의 하측으로 위치되며 제1보조볼트홀(35a)에 대응되는 제2보조볼트홀(36a)과 외측으로 제1보조가이드홈(35b)에 대응되는 보조가이드돌출부(36b)와 내측으로 제1자리홈(35c)과 제1자리돌출부(35d)에 대응되는 제2자리홈(36c)과 제2자리돌출부(36d)가 형성되는 제2조립부재(36)가 더 포함되어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전동리프팅 컨베이어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40)에는 외부다리(20)의 중공관 형태의 프레임(f)의 상측면과 내부다리(30)의 중공관 형태의 프레임(f)의 하측면에 거치되는 거치턱(p1)과 상기 거치턱(p1)에 수직방향으로 일체형으로 연결되면서 외부다리(20)의 가이드홈(22)과 내부다리(30)의 보조가이드홈(32)에 결합되는 수직바디(p2)로 이루어진 보강부재(p)가 더 포함되어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전동리프팅 컨베이어 장치.
KR1020150108170A 2015-07-30 2015-07-30 전동리프팅 컨베이어 장치 KR1015787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8170A KR101578786B1 (ko) 2015-07-30 2015-07-30 전동리프팅 컨베이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8170A KR101578786B1 (ko) 2015-07-30 2015-07-30 전동리프팅 컨베이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8786B1 true KR101578786B1 (ko) 2015-12-18

Family

ID=55081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8170A KR101578786B1 (ko) 2015-07-30 2015-07-30 전동리프팅 컨베이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878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76Y1 (ko) 2002-10-24 2003-01-14 김승문 컨베이어의 높이 조절장치
JP2004203558A (ja) 2002-12-25 2004-07-22 Okamura Corp コンベヤにおける物品支持装置
KR100617503B1 (ko) 2003-07-21 2006-09-01 이상주 서류 작성 테이블
KR100786327B1 (ko) 2007-08-24 2007-12-14 신동수 회전컨베이어용 리프팅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76Y1 (ko) 2002-10-24 2003-01-14 김승문 컨베이어의 높이 조절장치
JP2004203558A (ja) 2002-12-25 2004-07-22 Okamura Corp コンベヤにおける物品支持装置
KR100617503B1 (ko) 2003-07-21 2006-09-01 이상주 서류 작성 테이블
KR100786327B1 (ko) 2007-08-24 2007-12-14 신동수 회전컨베이어용 리프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55918B (zh) 安裝裝置
KR200433421Y1 (ko) 높낮이 조절 작업대
KR101578786B1 (ko) 전동리프팅 컨베이어 장치
KR20140104176A (ko) 헤드라이너 공급 셔틀라인
CN212019851U (zh) 多孔电焊台面折叠工作台
KR200266423Y1 (ko) 고소(高所) 작업대
CN109204610A (zh) 一种汽车装配用的油箱托架
CN210413296U (zh) 多工位烤炉焊接工作台
CN210747966U (zh) 升降式工程造价用工作台
KR20220055685A (ko) 벽면패널 부착장치
CN106169704A (zh) 开关支撑工装
KR101515563B1 (ko) 다용도 작업테이블
KR101411713B1 (ko) 창호롤러 조립용 리벳팅 장치
KR101814713B1 (ko) 이동식 작업대
KR200486797Y1 (ko) 작업 테이블 결합장치
KR101951609B1 (ko) 시트커버 결합장치
CN218556087U (zh) 一种带限位组件的电焊工作台
CN219748519U (zh) 一种墙面开槽装置
JP2017124088A (ja) 什器システム
KR102250425B1 (ko) 차량용 도어 검사장치
CN214185112U (zh) 一种方管铆螺母设备
CN214981665U (zh) 一种家具生产加工系统
JP7188978B2 (ja) 天板昇降式什器
CN219357585U (zh) 一种工装治具及冲孔机
CN219403325U (zh) 一种型材切割夹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