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4995B1 - 시스템 동바리 이동용 리프트 기구 - Google Patents

시스템 동바리 이동용 리프트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4995B1
KR101564995B1 KR1020130064559A KR20130064559A KR101564995B1 KR 101564995 B1 KR101564995 B1 KR 101564995B1 KR 1020130064559 A KR1020130064559 A KR 1020130064559A KR 20130064559 A KR20130064559 A KR 20130064559A KR 101564995 B1 KR101564995 B1 KR 1015649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member
fork
vertical member
lifting
forkli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4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2880A (ko
Inventor
노용규
Original Assignee
노용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용규 filed Critical 노용규
Priority to KR1020130064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4995B1/ko
Publication of KR20140142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28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49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49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크리프트의 포크(15)에 장탈착되어 시스템 동바리를 이동하기 위한 리프트 기구에 있어서: 상기 포크(15)의 상측으로 결합 가능한 구조의 수평부재(20); 상기 수평부재(20)의 일단에 연결판(35)을 개재하여 고정되는 수직부재(30); 및 상기 수평부재(20)와 수직부재(30)에 고정되어 동바리 트러스(10)의 이탈을 구속하는 결착수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비교적 협소한 작업 현장에 포크리프트를 투입하여 시스템 동바리의 위치를 변동하는 경우 상호 결착력을 증대하여 신속하고 안전하게 승하강과 이동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시스템 동바리 이동용 리프트 기구{Lift device for moving system support}
본 발명은 시스템 동바리 이동용 리프트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포크리프트에 결착하여 시스템 동바리를 신속하고 안전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시스템 동바리 이동용 리프트 기구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건축물 시공에 있어서 보의 밑판 거푸집을 정해진 위치로 유지시키며 상부하중을 하부구조로 전달하도록 동바리가 사용되며, 층고가 높거나 하중이 크게 증가하는 경우 다수의 규격품을 조립하나 트러스 구조의 시스템 동바리가 사용된다. 이와 같은 시스템 동바리의 위치 변동이 필요한 경우 해체하지 않고 이동하면 작업시간 단축에 유리하다. 다만, 이 경우 높이가 높은 중량물인 시스템 동바리의 전복 우려가 있으므로 안전사고 발생의 위험성도 증가된다.
시스템 동바리 이동과 관련되는 선행특허로서 본 출원인에 의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157917호,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262317호 등이 알려져 있다.
전자의 선행특허는 하면에는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름바퀴가 구비되어 있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후단부에 축을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작동원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바퀴가 구비된 조향수단과, 상기 몸체 상면에 설치되어 작동원에 의해 길이가 가변되는 유압실린더부재로 이루어지는 차체를 사용한다. 이에 따라, 시스템 동바리를 설치 장소로 쉽게 운반할 수 있음과 동시에 기립시킬 수 있어 작업능률과 작업자의 안전성을 향상하는 효과를 기대한다.
후자의 선행특허는 연직방향으로 승강이 가능한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측면에 형성되며 동바리 지지대가 진입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된 암과; 상기 암의 내부에 진입한 동바리 지지대가 이탈하지 않도록 구속하는 구속수단 및 상기 암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동바리 지지대의 베이스를 지지하는 지지수단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안전하게 시스템 동바리를 승강 및 이동하는 효과를 기대한다.
상기한 선행특허는 시스템 동바리의 승강이나 이동을 조력하는 것이기는 하지만 작업 현장의 공간이 협소하다면 포크리프트를 투입하는 것이 작업의 신속성 측면에서 유리하다. 다만 포크리프트를 그대로 사용하면 결속력이 약하여 승하강과 이동 과정에서 요동에 의한 전복 사고가 발생하는 폐단이 있다.
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157917호 "시스템 동바리 설치 리프트"(공개일자 : 2011. 7. 19.) 2.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262317호 "시스템 동바리 이동장치"(공개일자 : 2012. 10. 2.)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비교적 협소한 작업 현장에 포크리프트를 투입하여 시스템 동바리의 위치를 변동하는 경우 상호 결착력을 증대하여 신속하고 안전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시스템 동바리 이동용 리프트 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포크리프트의 포크에 장탈착되어 시스템 동바리를 이동하기 위한 리프트 기구에 있어서: 상기 포크의 상측으로 결합 가능한 구조의 수평부재; 상기 수평부재의 일단에 연결판을 개재하여 고정되는 수직부재; 및 상기 수평부재와 수직부재에 고정되어 동바리 트러스의 이탈을 구속하는 결착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수평부재는 길이를 연장하도록 덧발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수평부재는 힌지핀을 개재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결착수단은 하부걸림쇠와 상부걸림쇠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상부걸림쇠는 수직부재 상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동범위를 결정하는 스토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비교적 협소한 작업 현장에 포크리프트를 투입하여 시스템 동바리의 위치를 변동하는 경우 상호 결착력을 증대하여 신속하고 안전하게 승하강과 이동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 기구를 사용 상태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 기구를 펼친 상태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 기구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 기구의 상부걸림쇠 작동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 기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포크리프트의 포크(15)에 장탈착되어 시스템 동바리를 이동하기 위한 리프트 기구에 관련된다. 시스템 동바리는 다수의 수직강관(11)과 수평강관(12)이 철골 형태의 트러스(10)를 이루는 구조이다. 건축물 시공 현장의 작업 영역이 좁은 경우 포크리프트를 사용하여 동바리 트러스(10)를 이동하는 것이 편리하다. 다만, 본 발명의 리프트 기구를 포크(15)에 결합하여 동바리 트러스(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조치가 선행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포크(15)의 상측으로 결합 가능한 구조의 수평부재(20)를 사용한다. 수평부재(20)는 사각형 단면의 관체로서 작업중 간섭 방지를 위해 포크(15)의 폭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한다. 수평부재(20)는 포크리프트의 포크(15)와 동일하게 2개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수평부재(20)는 길이를 연장하도록 덧발(25)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동바리 트러스(10)의 크기에 따라 수평부재(20)의 길이가 짧은 경우 덧발(25)을 인출하여 길이를 연장한다. 덧발(25)은 사각관 또는 "ㄷ"자 단면의 형강으로 형성하여 수평부재(20)를 헐겁게 감싸 인출이 용이하도록 설치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수평부재(20)의 일단에 수직부재(30)가 연결판(35)을 개재하여 고정되는 구조이다. 수직부재(30)도 수평부재(20)와 마찬가지로 사각형 단면의 관체를 사용한다. 수평부재(20)와 수직부재(30)의 연결부에는 연결판(35)을 부착하고 볼트로 고정한다. 연결판(35)의 결합을 위해 수평부재(20)와 수직부재(30)에는 각각의 체결공(21)(31)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수평부재(20)는 힌지핀(23)을 개재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평부재(20)의 체결공(21) 중에서 하나에 힌지핀(23)를 결합하여 도 5와 같이 수직부재(30)에 인접하게 접히도록 한다. 이는 포크리프트로 동바리 트러스(10)를 이동하는 과정에서 일시적으로 다른 물품의 운반이 필요한 경우 포크(15)를 드러나게 하여 원래의 용도로 사용하기 위함이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결착수단(40)이 상기 수평부재(20)와 수직부재(30)에 고정되어 동바리 트러스(10)의 이탈을 구속하는 구조이다. 수평부재(20)와 수직부재(30)만으로 동바리 트러스(10)를 지지하는 경우 포크리프트로 상승하거나 이동하는 과정에서 요동이 발생하여 전복될 우려가 크다. 결착수단(40)은 동바리 트러스(10)의 수평강관(12)을 안정적으로 파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하의 2지점 이상에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결착수단(40)은 하부걸림쇠(41)와 상부걸림쇠(4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부걸림쇠(41)는 수평강관(12)을 원활하게 유도하여 안착시키는 고리 구조로 형성되고, 수평부재(20)와 수직부재(30)가 교차하는 부분에 각각의 체결공(21)(31)을 통하여 볼트로 결합된다. 상부걸림쇠(42)는 수직부재(30)에서 상측으로 동바리 트러스(10)의 수평강관(12)과 동일한 간격으로 고정된다.
이때, 상기 상부걸림쇠(42)는 상승회동시 스토퍼(46)가 수직부재(30)의 요홈(33)에 수용되어 은폐되고, 하강회동시 스토퍼(46)가 수직부재(30)에 접촉하여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리프트 기구를 포크(15)에 결착하여 동바리 트러스(10)에 출입하는 과정에서 하부걸림쇠(41)는 불필요한 간섭의 우려가 적으나 수직부재(30)에서 돌출된 상부걸림쇠(42)는 일시적인 방해를 초래할 수 있다. 이에 상부걸림쇠(42)는 수평강관(12)의 지지가 필요한 경우에만 돌출되도록 회동하는 구조로 결합한다. 상부걸림쇠(42)의 일단에 힌지핀(44)이 결합되고, 중간 부분에 스토퍼(46)가 결합된다. 수직부재(30) 상에는 스토퍼(46)를 일시적으로 수용하도록 요홈(33)을 형성한다.
도 4(a)처럼 동바리 트러스(10)에 포크(15)를 넣고 하강시키는 과정에서 상부걸림쇠(42)는 수평강관(12)에 간섭되는 순간 상승하여 수직부재(30)에서 돌출된 부분이 없다. 도 4(b)처럼 포크(15)를 상승시키는 경우 상부걸림쇠(42)가 자중으로 낙하되어 수직부재(30)에서 돌출되므로 안정적 지지가 가능하다.
한편, 동바리 트러스(10)의 수평강관(12)의 간격이 변동되는 것을 고려하여 상부걸림쇠(42)는 위치 이동이 가능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힌지핀(44)이 고정되는 체결공을 상하로 다수의 지점에 형성하면 높이 변동이 가능하다.
사용에 있어서, 본 발명의 리프트 기구를 포크리프트의 포크(15)에 안착하고, 포크(15)의 후단에서 장착홈(16)에 장착핀(도시 생략)을 고정하고, 수평부재(20)의 장착공(28)에서 장착핀(18)으로 고정하고, 덧발(25)을 인출하여 장착공(28)을 포크(15)의 통공에 일치시킨 다음 장착핀(18)을 삽입하면 결합이 완료된다. 이후 포크리프트의 포크(15)를 동바리 트러스(10)에 넣고 상승시키면 하부걸림쇠(41)와 상부걸림쇠(42)가 동시에 수평강관(12)을 긴밀하게 결착하므로 동바리 트러스(10)의 요동이나 전복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동바리 트러스 11: 수직강관
12: 수평강관 15: 포크
18: 장착핀 20: 수평부재
21: 체결공 23: 힌지핀
25: 덧발 28: 장착공
30: 수직부재 31: 체결공
33: 요홈 35: 연결판
40: 결착수단 41: 하부걸림쇠
42: 상부걸림쇠 44: 힌지핀
46: 스토퍼

Claims (5)

  1. 포크리프트의 포크(15)에 장탈착되어 시스템 동바리를 이동하기 위한 리프트 기구에 있어서:
    상기 포크(15)의 상측으로 결합 가능한 구조의 수평부재(20);
    상기 수평부재(20)의 일단에 연결판(35)을 개재하여 고정되는 수직부재(30); 및
    상기 수평부재(20)와 수직부재(30)에 고정되어 동바리 트러스(10)의 이탈을 구속하는 결착수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수평부재(20)는 힌지핀(23)을 개재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결착수단(40)은 하부걸림쇠(41)와 상부걸림쇠(42)를 구비하며,
    상부걸림쇠(42)는 수직부재(30) 상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동바리 이동용 리프트 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재(20)는 길이를 연장하도록 덧발(25)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동바리 이동용 리프트 기구.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걸림쇠(42)는 상승회동시 스토퍼(46)가 수직부재(30)의 요홈(33)에 수용되어 은폐되고, 하강회동시 스토퍼(46)가 수직부재(30)에 접촉하여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동바리 이동용 리프트 기구.
KR1020130064559A 2013-06-05 2013-06-05 시스템 동바리 이동용 리프트 기구 KR1015649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4559A KR101564995B1 (ko) 2013-06-05 2013-06-05 시스템 동바리 이동용 리프트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4559A KR101564995B1 (ko) 2013-06-05 2013-06-05 시스템 동바리 이동용 리프트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2880A KR20140142880A (ko) 2014-12-15
KR101564995B1 true KR101564995B1 (ko) 2015-11-03

Family

ID=52460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4559A KR101564995B1 (ko) 2013-06-05 2013-06-05 시스템 동바리 이동용 리프트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49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4041B1 (ko) 2023-02-21 2024-03-07 주식회사 한솔건업 지게차 탑재형 시스템 동바리 운반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4041B1 (ko) 2023-02-21 2024-03-07 주식회사 한솔건업 지게차 탑재형 시스템 동바리 운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2880A (ko) 2014-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46631B1 (en) Apparatus for use in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US3797672A (en) Apparatus attachable to a truck body or the like for use for hoisting or lifting, or as an elevated support
JP4767929B2 (ja) トラック用の親綱支柱及び親綱架設装置
CN105236276A (zh) 一种可升降、可折叠的龙门起重装置
CN108178102B (zh) 一种自锁型夹具及其安装方法
JP2018537603A (ja) 荷物運搬用プラットフォーム
KR200482680Y1 (ko) 배관용 리프터
KR200429036Y1 (ko) 슬라이드 적재프레임 구조
KR101564995B1 (ko) 시스템 동바리 이동용 리프트 기구
JP2007117246A (ja) 転落防止具及びその使用方法、並びに転落防止柵及びその使用方法
JP3193459U (ja) テールゲートリフタ装置
KR200415356Y1 (ko) 암롤트럭의 콘테이너 상하차장치의 안전고리기구
KR100790919B1 (ko) 무한궤도 주행식 크레인
JP2003041584A (ja) 杭打機及び杭打機のリーダ倒伏方法
JP5964484B1 (ja) 転落防止装置及び大型車
KR102022044B1 (ko) 고소작업차량의 전복방지장치
JP4401919B2 (ja) 仮設道路
EP3045417B1 (en) Stabilizing group for a tower crane and tower crane comprising such a group
JP2016022869A (ja) テールゲートリフタ装置
JP3194282U (ja) 吊り具の荷を垂直に昇降し、移動できる簡易ジャッキ装置
CN213060092U (zh) 一种移动式高空焊接平台
JP2001020529A (ja) 外壁パネル用吊具
CN219257384U (zh) 多功能墙板转运车
JP3175648U (ja) 重量物の吊り上げ移載装置
JPH074492U (ja) 自走式高所作業車の吊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