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3800B1 - H빔의 상부 플랜지 연결용 스플라이스판의 가조립 지그 및 이를 이용한 가조립 방법 - Google Patents

H빔의 상부 플랜지 연결용 스플라이스판의 가조립 지그 및 이를 이용한 가조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3800B1
KR101763800B1 KR1020170023629A KR20170023629A KR101763800B1 KR 101763800 B1 KR101763800 B1 KR 101763800B1 KR 1020170023629 A KR1020170023629 A KR 1020170023629A KR 20170023629 A KR20170023629 A KR 20170023629A KR 101763800 B1 KR101763800 B1 KR 1017638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plice
plates
pair
ji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3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삼섭
Original Assignee
(주)해성기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해성기공 filed Critical (주)해성기공
Priority to KR1020170023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38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3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38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B25B11/02Assembly ji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3/06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with substantially solid, i.e. unapertured, web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2003/04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 E04C2003/044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characterised by substantial shape of the cross-section
    • E04C2003/0452H- or I-shap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하부 플랜지가 수평으로 배치되게 놓인 H빔의 단부측 상부 플랜지의 상면 및 하면에 외측 및 내측 스플라이스판(splice plate)을 배치시켜 가조립하는 지그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작업자가 손으로 들어 이동할 수 있는 중량(예컨대 20~30kg 정도)보다 매우 무거운(예컨대 60~250KG 정도의 중량으로서 크레인과 같은 장비를 이용해서 들어올림) 내외측 스플라이스판을 동시에 배치시켜 가조립 가능케 한 지그 및 이를 이용한 가조립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H빔의 상부 플랜지 연결용 스플라이스판의 가조립 지그 및 이를 이용한 가조립 방법{TEMPORARY ASSEMBLING JIG FOR UPPER FLANGE CONNECTING SPLICE PLATES OF H-BEAM AND METHOD OF TEMPORARY ASSEMBLING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상하부 플랜지가 수평으로 배치되게 놓인 H빔의 단부측 상부 플랜지의 상면 및 하면에 외측 및 내측 스플라이스판(splice plate)을 배치시켜 가조립하는 지그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작업자가 손으로 들어 이동할 수 있는 중량(예컨대 20~30kg 정도)보다 매우 무거운(예컨대 60~250KG 정도의 중량으로서 크레인과 같은 장비를 이용해서 들어올림) 내외측 스플라이스판을 동시에 배치시켜 가조립 가능케 한 지그 및 이를 이용한 가조립 방법에 관한 것이다.
H빔과 H빔의 단부를 맞대어 볼트와 너트로 체결 연결할 경우, 양 H빔의 상부 플랜지 간을 연결하기 위해, 상부 플랜지의 상면과 하면에 외측 스플라이스판과 내측 스플라이스판이 각각 가조립 된다. 상부 플랜지 연결용 내외측 스플라이스판과 상부 플랜지와의 볼트 체결 작업은 건설 현장에서 행해지지만, H빔은 미리 공장에서 내외측 스플라이스판이 임시 가체결 조립된 상태에서 건설 현장으로 이송된다.
공장에서 H빔의 상부 플랜지 연결용 내외측 스플라이스판의 임시 체결 작업은 아래와 같다.
먼저, 상하부 플랜지가 수평으로 배치되게 H빔을 목재나 강재 위에 올려놓는다.
최대 250kg의 외측 스플라이스판을 지게차의 포크에 올려놓거나 크레인 등으로 자석을 이용해서 들어서 상부 플랜지의 외면에 올려놓는다.
다음에 적어도 60kg 이상의 내측 스플라이스판 각각 지게차나 크레인 등으로 들어서 상부 플랜지의 내면에 배치한 후, 외측 스플라이스판, 상부 플랜지, 내측 스플라이스판의 볼트 구멍을 맞춘 후 임시 고정용 볼트와 너트로 체결한다.
임시 체결이 끝나면 한 쌍의 내측 스플라이스판을 받치고 있는 지게차 또는 들고 있는 크레인을 빼낸다.
그런데, 크레인으로 작업하는 것은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작업성과 소요시간이 매우 나쁘며 작업자도 최소 2명 이상이 필요하다. 예컨대, 내측 스플라이스판을 잡는 1명, 외측 스플라이스판을 잡는 1명 최소 2명의 작업자가 필요하다.
지게차로 들어올리는 경우에도 내외측 스플라이스판을 다른 장비로 들어올린 후 지게차의 포크 위에 올려 놓아줘야 하며, 이렇게 올려진 내외측 스플라이스판을 상부 플랜지로 이동하거나 상부 플랜지와의 체결 시 떨어질 우려로 안전에 문제가 많다.
또한, 내측 스플라이스판을 이동한 후 다시 외측 스플라이스판을 이동해야 하기 때문에 2번 이동해야 하는 것으로 작업성이 나쁘다.
지게차 시공도 크레인과 마찬가지로 작업자가 최소 2명 이상이 필요하다.
이러한 종래와 같은 시공으로는 사고로 인한 안전 작업에 문제가 있고, 하나하나 이송한 후 임시 체결 작업이라는 불연속적 흐름으로 인해 작업시간이 길고 작업인원도 2명 이상이 필요하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59989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내외측 스플라이스판을 동시에 이송 및 가조립이 가능하여 안전한 작업, 작업시간과 작업인원의 절감을 달성할 수 있는 H빔의 상부 플랜지 연결용 스플라이스판의 가조립 지그 및 이를 이용한 가조립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H빔의 상부 플랜지 연결용 스플라이스판의 가조립 지그는, H빔의 상부 플랜지의 상하면 사이로 외측 스플라이스판의 후방 일부와 한 쌍의 내측 스플라이스판의 후방 일부가 삽입 가조립 되는 지그로서, 지게차의 포크가 삽입되는 포크 삽입부와, 상기 포크 삽입부의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내측 스플라이스판의 후방 일부가 돌출되게 좌우에 놓이되 내측 스플라이스판 수용부와, 상기 내측 스플라이스판의 위쪽에 배치되며, 상기 외측 스플라이스판의 후방 일부가 돌출되게 놓이는 외측 스플라이스판 수용부;를 포함하되, 상기 내측 스플라이스판 수용부에는 상기 한 쌍의 내측 스플라이판의 좌우를 구획하는 구획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 스플라이스판은 상기 구획부에 놓여 상기 외측 스플라이스판 수용부에 수용된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기재된 H빔의 상부 플랜지 연결용 스플라이스판의 가조립 지그에 있어서, 상기 내측 스플라이스판 수용부는 상기 한 쌍의 내측 스플라이스판의 하면이 놓이는 하판과, 상기 하판의 전면 및 좌우 측면에서 위로 돌출 형성되는 전판 및 좌우 측판을 포함하며, 상기 외측 스플라이스판 수용부는 상기 하판의 중심에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내측 스플라이스판의 좌우를 구획하는 상기 구획부와, 상기 전판의 상단에서 후방으로 절곡된 걸림턱을 포함하되, 상기 구획부의 상면은 상기 하판보다 높은 위치에 있고, 상기 걸림턱은 상기 구획부의 상면보다 높은 위치에 있어, 상기 외측 스플라이스판은 상기 구획부의 상면과 상기 걸림턱 사이에 끼워져 걸린다.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기재된 H빔의 상부 플랜지 연결용 스플라이스판의 가조립 지그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의 전후 길이는 상기 하판의 전후 길이보다 짧고, 상기 하판의 중심 후방측에는 노치가 형성되되, 상기 구획부의 전후 길이는 상기 노치가 형성된 부분을 제외한 부분의 길이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기재된 H빔의 상부 플랜지 연결용 스플라이스판의 가조립 지그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는 상기 하판에 대해 착탈 가능하다.
본 발명의 청구항 5에 기재된 H빔의 상부 플랜지 연결용 스플라이스판의 가조립 지그를 이용한 가조립 방법은, 지게차의 포크가 삽입되는 포크 삽입부와, 상기 포크 삽입부의 상측에 형성되어 한 쌍의 내측 스플라이스판이 좌우에 놓이는 내측 스플라이스판 수용부와, 상기 내측 스플라이스판의 위쪽에 외측 스플라이스판이 배치되게 놓이는 외측 스플라이스판 수용부를 포함하는 지그를 이용한 가조립 방법으로서, 상기 내측 스플라이스판 수용부의 하판에 상기 한 쌍의 내측 스플라이스판의 후방 일부가 돌출되게 좌우에 놓는 단계; 상기 한 쌍의 내측 스플라이스판의 위쪽인 상기 외측 스플라이스판 수용부의 구획부 상면에 상기 외측 스플라이스판을 놓고 걸림턱에 끼워 넣는 단계; 상기 한 쌍의 내측 스플라이스판과 상기 외측 스플라이스판이 놓인 상기 포크 삽이부에 상기 지게차의 포크가 삽입 들어올리는 단계; 상기 지게차를 전진시켜 상기 외측 스플라이스판과 상기 한 쌍의 내측 스플라이스판의 후방 일부가 H빔의 상부 플랜지의 상하면 사이로 삽입 배치되는 단계; 상기 외측 스플라이스판, 상부 플랜지 및 한 쌍의 내측 스플라이스판의 체결공을 맞춘 후 임시 볼트와 너트로 가조립시키는 단계; 상기 가조립이 완료되면, 상기 지게차를 후진시켜 상기 지그를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내외측 스플라이스판을 동시에 상부 플랜지의 상하면 사이로 끼워서 작업자 1명이 볼트와 너트로 가조립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작업시간도 절약 가능하고, 지그에 내외측 스플라이스판이 놓여있는 상태에서 작업을 하기 때문에 체결공을 맞추고 가체결 하기만 가조립이 완료되어 안전한 작업이 가능하여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전판의 상단에 후방을 향해 절곡된 걸림턱이 형성됨으로써, 내측 스플라이스판이 기울어져 외측 스플라이스판에 닿아도 걸림턱에 걸려 있어 기울어져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하판의 전후 길이 중심선상의 후단측에 노치가 형성됨으로써, 노치의 전후 길이 만큼 상부 플랜지의 웨브가 삽입되어 체결공의 위치를 맞출 때 전후 이송을 허용하는 공간으로 작용한다.
구획부가 하판에 대해 착탈 가능하기 때문에, 스플라이스판의 두께에 따른 높이를 갖는 구획부의 교체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H빔의 상부 플랜지 연결용 스플라이스판의 가조립 지그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2는 도 4의 2-2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3은 도 1에서 구획부가 분리 도시한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H빔의 상부 플랜지 연결용 스플라이스판의 가조립 지그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4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그를 이용한 가조립 방법을 순서대로 설명하는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H빔의 상부 플랜지 연결용 스플라이스판의 가조립 지그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4의 2-2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서 구획부가 분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H빔의 상부 플랜지 연결용 스플라이스판의 가조립 지그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고, 도 4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그를 이용한 가조립 방법을 순서대로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먼저, H빔(1)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플랜지(3)와 하부 플랜지(5)가 수평으로 배치되게 놓인 것을 기준으로 가조립 지그(10)가 설명된다.
상부 플랜지(3)의 상면(3a)에는 외측 스플라이스판(9)이 배치되고, 하면(3b)에는 한 쌍의 내측 스플라이스판(7)이 배치된 채 체결공을 통해 볼트와 너트에 의해 체결 가조립 된다.
이러한 외측 및 내측 스플라이스판(7)(9)이 동시에 상부 플랜지(5)의 상하면(5a)(5b) 사이에 배치시키는 지그(10)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상부 플랜지 연결용 스플라이스판의 가조립 지그(10)는 지게차의 포크(F)가 삽입되는 포크 삽입부(20)와, 포크 삽입부(20)의 상측에 형성되어 한 쌍의 내측 스플라이스판(7)이 좌우에 놓이는 내측 스플라이스판 수용부(30)와, 내측 스플라이스판(7)의 위쪽에 외측 스플라이스판(9)이 배치되게 놓이는 외측 스플라이스판 수용부(50)를 포함한다.
즉, 가조립 지그(10)는 외측 스플라이스판 수용부(50), 내측 스플라이스판 수용부(30) 및 포크 삽입부(10)가 상중하 적층형태로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내측 스플라이스판 수용부(3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내측 스플라이스판(7)의 하면이 놓이는 하판(31)과, 하판(31)의 전면 및 좌우 측면에서 위로 돌출 형성되는 전판(33) 및 좌우 측판(35)을 포함한다.
따라서, 한 쌍의 내측 스플라이스판 수용부(30)는 상면과 후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이기 때문에, 개방된 상면은 한 쌍의 내측 스플라이스판(7)이 위에서 아래로 내려와 하판(31)의 상면에 놓이는 역할을 하고, 개방된 후면은 한 쌍의 내측 스플라이스판(7)의 후방 일부가 하판(31)에 놓이지 못하게 돌출 허용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하판(31)의 중심 후방측에는 노치(37)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노치(37)는 ㄷ자 형태로 오려낸 홈으로서, 지그(10)가 상부 플랜지(3)의 상하면(3a)(3b) 사이로 삽입될 때 웨브(6)에 대해 전후로 이동 가능한 여유 공간을 제공하여, 외측 스플라이스판(7), 상부 플랜지(3) 및 내측 스플라이스판(7)의 체결공을 맞추기가 대단히 편리하다.
외측 스플라이스판 수용부(50)는 하판(31)의 중심에 형성되어 한 쌍의 내측 스플라이스판(7)의 좌우를 구획하는 구획부(51)와, 전판(33)의 상단(33a)에서 후방으로 절곡된 걸림턱(34)을 포함한다.
이때, 구획부(51)의 상면(52)은 하판(31)보다 높은 위치(H)에 있다.
또한, 걸림턱(34)은 구획부(51)의 상면(52)보다 높은 위치(h)에 있다.
따라서, 외측 스플라이스판(9)은 구획부(51)의 상면(52)이 놓인 채 전방 끝단이 걸림턱(34) 사이에 끼워져 걸려 수용되게 된다.
구획부(51)는 하판(31)을 좌우 하판으로 나누는 역할도 한다.
구획부(51)는 좌우에서 위로 돌출한 구획 수직판(51a)과, 좌우 구획 수직판(51a)의 상단을 연결하는 수평판(51b)으로 이루어진 절곡판이다.
또한, 구획부(51)의 전후 길이는 노치(37)가 형성된 부분을 제외한 부분의 길이로 구현되는 게 바람직하다.
외측 스플라이스판(9)이 구획부(51)의 상면에 놓인 채 걸림턱(34)에 걸려 수용됨으로써, 그 아래에 수용된 한 쌍의 내측 스플라이스판(7)이 설령 기울어지더라도 외측 스플라이스판(9)의 하면에 받쳐지게 된다.
한편, 구획부(51)가 도 3과 같이 분리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분리형 구획부(51)는 외측 스플라이스판(9)의 두께가 상면(52)과 걸림턱(34) 사이의 높이(h)보다 더 두꺼울 경우 교체하기 위함이다.
분리형 구획부(51)의 수평판(51b)의 밑면에는 결합돌기(53)가 형성되고, 하판(31)에는 이 결합돌기(53)가 끼워지는 결합홀(55)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분리형 구획부(51)를 분리할 때 위로 들어서 후방으로 빼내면 되고, 조립하는 경우에는 반대로 하면 된다.
다른 한편, 전후로 밀거나 당겨 위아래로 드는 번거로움을 없애기 위해,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턱(34)의 중심에 노치(34a)가 형성되는 게 바람직하다.
이 노치(34a)로 인해 분리형 구획부(51)를 위아래로만 들거나 내리면 조립 또는 분해가 가능하다.
포크 삽입부(20)는 지게차의 포크(F)가 삽입되는 홈으로서, 하판(31)의 좌우 양단에 형성되는 좌우 다리판(21)과, 좌우 다리판(21)의 하단을 연결하는 베이스판(23)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하판(31)과 베이스판(23) 사이에는 서포트판(25)이 더 설치되어 안정적으로 받칠 수 있게 한다.
또한, 포크(F)가 삽입되었을 때 지그(10)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가조립 등에 방해되지 않도록, 도 1 내지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크 삽입부(20)의 후면에 후판(26)으로 막는 게 바람직하다.
후판(26)는 노치(37)가 있는 부분의 후면에는 막지 않는 좌우 후판이다.
포크 삽입부(20)의 좌우 외면 즉 좌우 다리판(21)의 외면에는 아이볼트(27)가 체결 설치되는 게 바람직하다.
아이볼트(27)는 좌우 다리판(21)에 체결되는 볼트(27a)와 고리(27b)로 이루어진다.
아이볼트(27)의 고리(27b)는 지게차에 밧줄 등으로 묶어서, 내외측 스플라이스판(7)(9)이 가조립된 상태에서 지그(10)를 회수할 때 함께 빠져나오게 당기는 역할을 한다.
즉, 내외측 스플라이스판(7)(9)이 가조립된 상태에서는 전방 일부가 아래로 처지면서 지그(10)를 누르게 되는데, 지게차를 후진할 때 지그(10)에서 포크(F)만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상과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지그를 이용하여 내외측 스플라이스판을 상부 플랜지에 가조립하는 방법에 대해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4와 같이 장비를 이용해서 한 쌍의 내측 스플라이스판(7)의 상면에 자성 등으로 붙여 들어올린 후 좌우의 하판(31)에 올려놓고(화살표①) 전방으로 살짝 밀어넣는다(화살표②). 이것은 위에서 아래로 내려놓을 때 걸림턱(34)을 피해야 하고, 내려놓은 후에는 그 깊이만큼 밀어넣기 위함이다.
좌우 하판(31)에 한 쌍의 내측 스플라이스판(7)의 후방 일부가 돌출되게 놓이면, 외측 스플라이스판(9)도 5와 같이 장비를 이용해 들어올려 구획부(51)의 상면(52)에 내려놓고(화살표①) 상면(52)과 걸림턱(34) 사이로 밀어넣는다(화살표②).
외측 스플라이스판(9)이 구획부(51)의 상면(52)과 걸림턱(34) 사이에 놓이면, 지게차를 전진해서 도 6과 같이 포크(F)를 포크 삽입부(20)에 삽입시킨다.
포크 삽입부(20)에 포크(F)가 삽입되면, 도 7과 같이 지그(10)를 들어서 상부 플랜지(3)의 상하면(3a)(3b) 사이로 전진해서 도 8과 같이 삽입시킨다.
도 8과 같이 삽입이 완료되면 내외측 스플라이스판(7)(9)과 상부 플랜지(3)의 체결공을 맞춘 후 볼트와 너트로 가조립을 행한다.
가조립이 완료되면, 도 9와 같이 지게차를 후진시켜 지그(10)를 회수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됨을 부언한다.
3 : 상부 플랜지 7,9 : 내외측 스플라이스판
10 : 가조립 지그 20 : 포크 삽입부
27 : 아이볼트 30 : 내측 스플라이스판 수용부
31 : 하판 33 : 전판
34 : 걸림턱 35 : 좌우 측판
37 : 노치 50: 외측 스플라이스판 수용부
51 : 구획부 F : 포크

Claims (5)

  1. H빔의 상부 플랜지의 상하면 사이로 외측 스플라이스판의 후방 일부와 한 쌍의 내측 스플라이스판의 후방 일부가 삽입 가조립 되는 지그로서,
    지게차의 포크가 삽입되는 포크 삽입부와,
    상기 포크 삽입부의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내측 스플라이스판의 후방 일부가 돌출되게 좌우에 놓이되 내측 스플라이스판 수용부와,
    상기 내측 스플라이스판의 위쪽에 배치되며, 상기 외측 스플라이스판의 후방 일부가 돌출되게 놓이는 외측 스플라이스판 수용부;를 포함하되,
    상기 내측 스플라이스판 수용부에는 상기 한 쌍의 내측 스플라이판의 좌우를 구획하는 구획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 스플라이스판은 상기 구획부에 놓여 상기 외측 스플라이스판 수용부에 수용되는 H빔의 상부 플랜지 연결용 스플라이스판의 가조립 지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측 스플라이스판 수용부는 상기 한 쌍의 내측 스플라이스판의 하면이 놓이는 하판과, 상기 하판의 전면 및 좌우 측면에서 위로 돌출 형성되는 전판 및 좌우 측판을 포함하며,
    상기 외측 스플라이스판 수용부는 상기 하판의 중심에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내측 스플라이스판의 좌우를 구획하는 상기 구획부와, 상기 전판의 상단에서 후방으로 절곡된 걸림턱을 포함하되,
    상기 구획부의 상면은 상기 하판보다 높은 위치에 있고,
    상기 걸림턱은 상기 구획부의 상면보다 높은 위치에 있어,
    상기 외측 스플라이스판은 상기 구획부의 상면과 상기 걸림턱 사이에 끼워져 걸리는 H빔의 상부 플랜지 연결용 스플라이스판의 가조립 지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의 전후 길이는 상기 하판의 전후 길이보다 짧고,
    상기 하판의 중심 후방측에는 노치가 형성되되,
    상기 구획부의 전후 길이는 상기 노치가 형성된 부분을 제외한 부분의 길이로 이루어진 H빔의 상부 플랜지 연결용 스플라이스판의 가조립 지그.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는 상기 하판에 대해 착탈 가능한 H빔의 상부 플랜지 연결용 스플라이스판의 가조립 지그.
  5. 지게차의 포크가 삽입되는 포크 삽입부와, 상기 포크 삽입부의 상측에 형성되어 한 쌍의 내측 스플라이스판이 좌우에 놓이는 내측 스플라이스판 수용부와, 상기 내측 스플라이스판의 위쪽에 외측 스플라이스판이 배치되게 놓이는 외측 스플라이스판 수용부를 포함하는 지그를 이용한 가조립 방법으로서,
    상기 내측 스플라이스판 수용부의 하판에 상기 한 쌍의 내측 스플라이스판의 후방 일부가 돌출되게 좌우에 놓는 단계,
    상기 한 쌍의 내측 스플라이스판의 위쪽인 상기 외측 스플라이스판 수용부의 구획부 상면에 상기 외측 스플라이스판을 놓고 걸림턱에 끼워 넣는 단계;
    상기 한 쌍의 내측 스플라이스판과 상기 외측 스플라이스판이 놓인 상기 포크 삽입부에 상기 지게차의 포크가 삽입 들어올리는 단계;
    상기 지게차를 전진시켜 상기 외측 스플라이스판과 상기 한 쌍의 내측 스플라이스판의 후방 일부가 H빔의 상부 플랜지의 상하면 사이로 삽입 배치되는 단계;
    상기 외측 스플라이스판, 상부 플랜지 및 한 쌍의 내측 스플라이스판의 체결공을 맞춘 후 임시 볼트와 너트로 가조립시키는 단계;
    상기 가조립이 완료되면, 상기 지게차를 후진시켜 상기 지그를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H빔의 상부 플랜지 연결용 스플라이스판의 가조립 지그를 이용한 가조립 방법.
KR1020170023629A 2017-02-22 2017-02-22 H빔의 상부 플랜지 연결용 스플라이스판의 가조립 지그 및 이를 이용한 가조립 방법 KR1017638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3629A KR101763800B1 (ko) 2017-02-22 2017-02-22 H빔의 상부 플랜지 연결용 스플라이스판의 가조립 지그 및 이를 이용한 가조립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3629A KR101763800B1 (ko) 2017-02-22 2017-02-22 H빔의 상부 플랜지 연결용 스플라이스판의 가조립 지그 및 이를 이용한 가조립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3800B1 true KR101763800B1 (ko) 2017-08-14

Family

ID=60142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3629A KR101763800B1 (ko) 2017-02-22 2017-02-22 H빔의 상부 플랜지 연결용 스플라이스판의 가조립 지그 및 이를 이용한 가조립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380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10076A (ja) * 2006-02-10 2007-08-23 Watahan Technos Kk H型鉄骨の下フランジ接続用スプライス板の組み付け用治具およびこれを用いたスプライス板の組み付け方法。
JP2012012791A (ja) 2010-06-29 2012-01-19 Fujimi Tekko Kk H型鉄骨用スプライスプレート取り付け治具
KR101507936B1 (ko) 2013-11-03 2015-04-08 주식회사 블루폼 지게차 이송용 거푸집 지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10076A (ja) * 2006-02-10 2007-08-23 Watahan Technos Kk H型鉄骨の下フランジ接続用スプライス板の組み付け用治具およびこれを用いたスプライス板の組み付け方法。
JP2012012791A (ja) 2010-06-29 2012-01-19 Fujimi Tekko Kk H型鉄骨用スプライスプレート取り付け治具
KR101507936B1 (ko) 2013-11-03 2015-04-08 주식회사 블루폼 지게차 이송용 거푸집 지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00097B2 (en) Integrated rigging system for loudspeakers with vertically and horizontally oriented locking pin holes and dolly board placed in abutment with adjacent dolly boards
KR102610336B1 (ko) 트렌치 박스 및 그의 조립 방법
US6913422B2 (en) Shoring leg with node connectors
KR101763801B1 (ko) H빔의 하부 플랜지 연결용 스플라이스판의 가조립 지그 및 이를 이용한 가조립 방법
US9914467B2 (en) Attachment and support members for modular building structures
CZ291711B6 (cs) Pažicí zařízení ve formě pažicí skříně pro pažení rýh
US20180373126A1 (en) Production Equipment Support Assembly
US7775500B1 (en) Concrete forming system with interacting brackets connecting stacked form panels
KR101763800B1 (ko) H빔의 상부 플랜지 연결용 스플라이스판의 가조립 지그 및 이를 이용한 가조립 방법
US20180266099A1 (en) Steel column to beam connectors
CN210164042U (zh) 一种梁与楼板装配式组合结构
KR102235148B1 (ko) 다목적 자동 파일 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JP3491203B2 (ja) 作業台兼用コンテナ
JP7190150B1 (ja) 鉄骨の揚重装置
KR20180090603A (ko) 자동차 부속품 이송 파렛트
KR20140012373A (ko) 수납 박스과 조립식 레그 및 익스텐션 구조를 통합한 기능성 테이블
JP6694774B2 (ja) 足場用幅木装置
WO1992004168A1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pallets
JP2020066867A (ja) ライナープレートの連結構造及び連結方法
JP3243916U (ja) タラップ
CN219910123U (zh) 一种可快速安拆的水平洞口防护装置
JP6043494B2 (ja) 作業車外装体の組付構造
KR102087903B1 (ko) 건설자재 인양박스
JP7194620B2 (ja) チュービング装置
JP2010229662A (ja) 拡張ユニットの取付構造および拡張ユニットの取付方法およびユニット式建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