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7903B1 - 건설자재 인양박스 - Google Patents

건설자재 인양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7903B1
KR102087903B1 KR1020190127039A KR20190127039A KR102087903B1 KR 102087903 B1 KR102087903 B1 KR 102087903B1 KR 1020190127039 A KR1020190127039 A KR 1020190127039A KR 20190127039 A KR20190127039 A KR 20190127039A KR 102087903 B1 KR102087903 B1 KR 1020879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truction material
support member
lifting box
material lifting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7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옥순
Original Assignee
정옥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옥순 filed Critical 정옥순
Priority to KR1020190127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79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7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79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4Conveying or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 E04G21/16Tools or apparatus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자재(A)가 쌓인 받침대(B)가 내측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하부 또는 상부와 하부를 개방하고 하부 전방과 후방에 삽입부(111)를 구비하며 상부 또는 외측에 인양장비와 연결할 수 있도록 연결부(112)를 형성하는 몸체(110); 상기 삽입부(111)를 서로 연결하도록 삽입하여 상기 몸체(110)를 들어올릴 경우 상기 받침대(B)의 하부와 맞닿아 무게를 지지하고 상기 몸체(110)를 지정위치에 내려놓은 후 상기 삽입부(111)에서 분리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지지부재(120);를 포함하는 건설자재 인양박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건설자재가 쌓인 받침대를 쉽고 편리하게 고정하여 인양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은 건설자재의 추락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건설자재의 고정 및 인양과 하역시간을 단축시켜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건설자재 인양박스{Construction material lifting box}
본 발명은 건설자재 인양박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설자재를 편리하고 안전하게 인양할 수 있도록 하는 건설자재 인양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자재 인양박스는 벽돌 및 시멘트 포대 등과 같은 건설자재(건축자재)를 지정위치로 인양하기 위해서 사용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와이어 또는 철근 등을 이용하여 건설자재를 감싸도록 고정 및 분리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지연되고 인양과정에서 무게 중심변화로 인해 쉽게 흔들리면서 추락사고를 유발하는 문제를 갖게 되었다.
아울러 종래에는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18462호 "건축용 자재 인양 박스"를 출원한 바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건축용 자재 인양 박스"는 바닥에 놓인 적재판의 상부에 건설자재를 지게차 등을 이용하여 올려놓은 후, 상기 적재판의 상부에 박스 몸체를 삽입하고, 적재판을 인양장비에 연결하여 지정위치로 인양하여 바닥에 내려놓은 후, 적재판과 인양장비를 서로 분리하고, 상기 박스 몸체를 별도의 장비를 이용하여 들어올려 분리하며, 상기 적재판의 상부에 올려진 건설자재를 별도의 장비를 이용하여 지정위치로 하역해야 하는 일련의 과정이 번거롭고 불편하여 작업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갖게 되었다.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평07-002377호(1995.01.13.)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96474호(2004.11.16.)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54676호(2008.06.19.)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18462호(2012.03.05.)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96375호(2016.08.16.)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8074호(2018.12.11.)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건설자재를 쉽고 간편하게 인양할 수 있는 건설자재 인양박스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건설자재 인양박스(100)는,
건설자재(A)가 쌓인 받침대(B)가 내측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하부 또는 상부와 하부를 개방하고 하부 전방과 후방에 삽입부(111)를 구비하며 상부 또는 외측에 인양장비와 연결할 수 있도록 연결부(112)를 형성하는 몸체(110); 상기 삽입부(111)를 서로 연결하도록 삽입하여 상기 몸체(110)를 들어올릴 경우 상기 받침대(B)의 하부와 맞닿아 무게를 지지하고 상기 몸체(110)를 지정위치에 내려놓은 후 상기 삽입부(111)에서 분리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지지부재(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삽입부(111)는 상기 받침대(B)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110)의 하부 전방과 후방을 수평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120)의 전방에 상기 삽입부(111)의 전면과 맞닿을 수 있도록 형성하는 걸림부(1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지지부재(120)의 전방에 형성하는 손잡이(121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지지부재(120)의 후방에 형성하는 결합공(122); 상기 결합공(122)과 탈착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고정구(1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120)의 전방과 후방에 형성하는 결합공(122); 상기 결합공(122)과 탈착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고정구(1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고정구(123)와 몸체(110)의 사이를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연결구(1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몸체(110)의 외측에 상기 지지부재(120)를 보관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보관부(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몸체(110)의 외측 후방에 상기 지지부재(120)의 후방과 맞닿아 더 이상 이동하지 않도록 형성하는 받침구(13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건설자재가 쌓인 받침대를 쉽고 편리하게 고정하여 인양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은 건설자재의 추락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건설자재의 고정 및 인양과 하역시간을 단축시켜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 건설자재 인양박스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건설자재 인양박스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결합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건설자재 인양박스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건설자재 인양박스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 6 내지 도 12는 본 발명 건설자재 인양박스의 사용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건설자재 인양박스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건설자재 인양박스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건설자재 인양박스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 건설자재 인양박스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6 내지 도 12는 본 발명 건설자재 인양박스의 사용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건설자재(A)가 쌓인 받침대(B)가 내측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하부 또는 상부와 하부를 개방하고 하부 전방과 후방에 삽입부(111)를 구비하며 상부 또는 외측에 인양장비와 연결할 수 있도록 연결부(112)를 형성하는 몸체(110); 상기 삽입부(111)를 서로 연결하도록 삽입하여 상기 몸체(110)를 들어올릴 경우 상기 받침대(B)의 하부와 맞닿아 무게를 지지하고 상기 몸체(110)를 지정위치에 내려놓은 후 상기 삽입부(111)에서 분리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지지부재(120);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몸체(110)는 시멘트 포대 또는 벽돌 및 파이프 등과 같은 건설자재(A)를 상부에 적재 또는 쌓아둔 팔레트 등과 같은 받침대(B)가 내측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유도하여 인양과정에서 건설자재(A)가 한쪽으로 쓰러지더라도 이를 지지하여 추락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몸체(110)는 외측을 빙둘러 밀폐하고 하부 또는 상부와 하부를 개방한 형태로 형성하여 건설자재(A)가 쌓인 받침대(B)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이동하여 내측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삽입시키고, 지정위치에 인양된 건설자재(A)가 쌓인 받침대(B)를 그대로 두고 상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이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부(111)는 상기 지지부재(120)가 삽입한 상태로 인양과정에서 건설자재(A) 및 받침대(B)의 무게를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삽입부(111)는 상기 받침대(B)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110)의 하부 전방과 후방에 수평방향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삽입부(111)와 지지부재(120)는 도 2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설자재(A) 및 받침대(B)의 크기 및 무게에 따라서 간격 및 개수가 달라질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112)는 크레인 또는 지게차 등과 같은 인양장치에서 사용하는 로프 또는 샤클, 고리, 클램프 등과 연결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상 및 형태를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부재(120)는 상기 삽입부(111)를 서로 수평방향으로 연결하도록 삽입하여 상기 받침대(B)의 하부에 위치한 상태로 인양과정에서 상기 받침대(B)의 하부를 맞닿아 건설자재(A) 및 받침대(B)의 무게를 지지하고, 건설자재(A) 및 받침대(B)를 지정위치에 인양 후 상기 삽입부(111)에서 분리시켜 상기 몸체(110)를 상부방향으로 들어올릴 수 있도록 유도한다.
여기서 상기 받침대(B)의 하부에는 지게차의 지게발 등이 삽입할 수 있도록 지면과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공간을 형성한 상태로 상기 지지부재(120)가 간섭없이 공간의 사이로 삽입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부재(120)는 건설자재(A) 및 받침대(B)의 무게로 인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파이프 등과 다양한 형태를 갖도록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삽입부(111)를 서로 수평방향으로 연결하도록 삽입하여 상기 받침대(B)의 하부를 맞닿아 지지할 수 있도록 일정길이를 갖도록 형성한다.
특히 상기 지지부재(120)의 전방에 상기 삽입부(111)의 전면과 맞닿을 수 있도록 형성하는 걸림부(121);를 포함하여 작업자가 상기 지지부재(120)를 상기 삽입부(111)의 내측으로 삽입시켜 후방으로 완전히 이동시킨 후 더 이상 이동하지 않도록 정지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지지부재(120)의 전방에 형성하는 손잡이(121a);를 포함하여 작업자가 편리하게 잡고 상기 지지부재(120)를 이동 또는 운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손잡이(121a)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두손으로 잡고 상기 지지부재(120)를 운반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재(120)의 전방에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한 쌍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120)의 후방에 형성하는 결합공(122); 상기 결합공(122)과 탈착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고정구(123);를 포함하여 상기 받침대(B)의 하부를 가로질러 장착하는 상기 지지부재(120)가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지지부재(120)가 인양과정에서 이동 및 이탈할 경우 건설자재(A) 및 받침대(B)의 추락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고정구(123)가 결합공(122)과 결합한 상태로 상기 몸체(110)의 외측면과 맞닿게 되므로 상기 지지부재(120)의 이동 및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구(123)는 고리, 핀 또는 웨지핀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120)의 전방과 후방에 형성하는 결합공(122); 상기 결합공(122)과 탈착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고정구(123);를 포함하여 상기 지지부재(120)의 이동 및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고정구(123)와 몸체(110)의 사이를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연결구(124);를 포함하여 상기 고정구(123)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구(124)는 로프 또는 사슬 및 체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몸체(110)의 외측에 상기 지지부재(120)를 보관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보관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관부(130)는 건설자재(A)가 쌓인 받침대(B)를 인양하기 전에 상기 지지부재(120)를 보관하여 분실 및 주변 간섭을 방지하고, 인양작업을 진행할 경우 작업자가 운반하여 상기 삽입부(111)의 내측으로 삽입시켜 사용한다.
이때 상기 보관부(130)는 상기 지지부재(120)를 삽입시켜 고정 및 보관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를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몸체(110)의 외측 후방에 상기 지지부재(120)의 후방과 맞닿아 더 이상 이동하지 않도록 형성하는 받침구(131);를 포함하여 상기 지지부재(120)가 흔들리지 않도록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양장비의 작동으로 상기 몸체(110)를 들어올려 건설자재(A)가 쌓인 받침대(B)의 상부에서 바닥으로 내려서 내측으로 삽입한다.
다음으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120)를 상기 삽입부(111)의 내측에 수평방향으로 삽입시켜 상기 받침대(B)의 하부를 가로질러 장착한다.
그리고,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양장비의 작동으로 상기 몸체(110)를 상부방향으로 들어올리면서 건설자재(A) 및 받침대(B)의 무게를 상기 삽입부(111) 및 지지부재(120)가 지지한 상태로 인양한 후 지정위치에 내려놓는다.
마지막으로,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에 놓인 건설자재(A) 및 받침대(B)는 작업자가 상기 지지부재(120)를 분리시키고 인양장비의 작동으로 상기 몸체(110)를 상부방향으로 들어올림으로써 건설자재(A)의 인양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포함되는 것은 당연하다.
100: 본 발명 건설자재 인양박스
110: 몸체 111: 삽입부
112: 연결부
120: 지지부재 121: 걸림부
121a: 손잡이 122: 결합공
123: 고정구 124: 연결구
130: 보관부 131: 받침구
A: 건설자재 B: 받침대

Claims (9)

  1. 건설자재(A)가 쌓인 받침대(B)가 내측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하부 또는 상부와 하부를 개방하고 하부 전방과 후방에 삽입부(111)를 구비하며 상부 또는 외측에 인양장비와 연결할 수 있도록 연결부(112)를 형성하는 몸체(110); 상기 삽입부(111)를 서로 연결하도록 삽입하여 상기 몸체(110)를 들어올릴 경우 상기 받침대(B)의 하부와 맞닿아 무게를 지지하고 상기 몸체(110)를 지정위치에 내려놓은 후 상기 삽입부(111)에서 분리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지지부재(120); 상기 몸체(110)의 외측에 상기 지지부재(120)를 보관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보관부(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자재 인양박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111)는 상기 받침대(B)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몸체(110)의 하부 전방과 후방을 수평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자재 인양박스.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120)의 전방에 상기 삽입부(111)의 전면과 맞닿을 수 있도록 형성하는 걸림부(1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자재 인양박스.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120)의 전방에 형성하는 손잡이(121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자재 인양박스.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120)의 후방에 형성하는 결합공(122); 상기 결합공(122)과 탈착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고정구(1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자재 인양박스.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120)의 전방과 후방에 형성하는 결합공(122); 상기 결합공(122)과 탈착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고정구(1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자재 인양박스.
  7.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123)와 몸체(110)의 사이를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연결구(1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자재 인양박스.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110)의 외측 후방에 상기 지지부재(120)의 후방과 맞닿아 더 이상 이동하지 않도록 형성하는 받침구(13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자재 인양박스.
KR1020190127039A 2019-10-14 2019-10-14 건설자재 인양박스 KR1020879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7039A KR102087903B1 (ko) 2019-10-14 2019-10-14 건설자재 인양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7039A KR102087903B1 (ko) 2019-10-14 2019-10-14 건설자재 인양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7903B1 true KR102087903B1 (ko) 2020-03-12

Family

ID=69803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7039A KR102087903B1 (ko) 2019-10-14 2019-10-14 건설자재 인양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7903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5737A (ja) * 1998-12-22 2000-07-04 Misawa Homes Co Ltd パレッ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資材の移送方法
JP2001130864A (ja) * 1999-11-02 2001-05-15 Taisei Corp パレット吊り具
KR20040096474A (ko) 2004-09-20 2004-11-16 주식회사 빌드썬 자재 이송용 박스
KR20070002377A (ko) 2005-06-30 2007-01-05 아태위성산업 주식회사 지하철 실시간 디지털 고화질 이동방송 시스템
KR20080054676A (ko) 2006-12-13 2008-06-19 다산건설(주) 건축용 부속자재 인양기구
KR20120018462A (ko) 2010-08-23 2012-03-05 주식회사 근하기공 건축용 자재 인양 박스
KR20160096375A (ko) 2015-02-05 2016-08-16 정옥순 거푸집 인양용 파손방지장치
KR200488074Y1 (ko) 2018-02-22 2018-12-11 더 퍼스트 컴퍼니 오브 차이나 에이트 엔지니어링 뷰로 엘티디 서랍식 인양 자재박스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5737A (ja) * 1998-12-22 2000-07-04 Misawa Homes Co Ltd パレッ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資材の移送方法
JP2001130864A (ja) * 1999-11-02 2001-05-15 Taisei Corp パレット吊り具
KR20040096474A (ko) 2004-09-20 2004-11-16 주식회사 빌드썬 자재 이송용 박스
KR20070002377A (ko) 2005-06-30 2007-01-05 아태위성산업 주식회사 지하철 실시간 디지털 고화질 이동방송 시스템
KR20080054676A (ko) 2006-12-13 2008-06-19 다산건설(주) 건축용 부속자재 인양기구
KR20120018462A (ko) 2010-08-23 2012-03-05 주식회사 근하기공 건축용 자재 인양 박스
KR20160096375A (ko) 2015-02-05 2016-08-16 정옥순 거푸집 인양용 파손방지장치
KR200488074Y1 (ko) 2018-02-22 2018-12-11 더 퍼스트 컴퍼니 오브 차이나 에이트 엔지니어링 뷰로 엘티디 서랍식 인양 자재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4128B1 (ko) 물류운반용 접이식 안전곤돌라
US3827744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handling bulk building materials at construction sites
KR102087903B1 (ko) 건설자재 인양박스
EP0268300B1 (en) Metal form pallet
US6601892B2 (en) Gravity grip
US2472843A (en) Material handling device
US2823061A (en) Self-dumping bucket
CN218988553U (zh) 一种砌块吊装工具
US5184929A (en) Material handling apparatus for transferring and unloading a load of material
KR102074218B1 (ko) 크레인용 유리판재 적재물 클램핑 리프트
KR20100135379A (ko) 경계석 고정집게
WO201812959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arrying elongate construction elements
JPH061574Y2 (ja) 屋根瓦用搬送具
KR101250069B1 (ko) 석재 인양 루프 플레이트
EP1705130A1 (en) Pallet and method of securing goods onto a pallet
JP3229314U (ja) サポート保持具
JPH07215655A (ja) パレット装置
AU2007100972A4 (en) Improvements to transportable lifting devices
AU2001100055A4 (en) Transport lifting device
US3779594A (en) Pipe construction
CN102029329B (zh) 一种电动控制的大型冲压件下料装置
JP2010264981A (ja) 梱包箱用吊り具及びそれを用いて梱包箱を移送する方法
JPS6034624Y2 (ja) 倒伏防止具付きパレツト
JPS5817023Y2 (ja) ブロックの搬送装置
JP2022033620A (ja) コイルリフ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