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5379A - 경계석 고정집게 - Google Patents

경계석 고정집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5379A
KR20100135379A KR1020090053710A KR20090053710A KR20100135379A KR 20100135379 A KR20100135379 A KR 20100135379A KR 1020090053710 A KR1020090053710 A KR 1020090053710A KR 20090053710 A KR20090053710 A KR 20090053710A KR 20100135379 A KR20100135379 A KR 201001353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member
boundary stone
fixing plate
arm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3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창 익 박
Original Assignee
창 익 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창 익 박 filed Critical 창 익 박
Priority to KR10200900537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35379A/ko
Publication of KR20100135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53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22Rigid members, e.g. L-shaped members, with parts engaging the under surface of the loads; Crane hooks
    • B66C1/28Duplicate, e.g. pivoted, members engaging the loads from two 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42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 B66C1/44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and applying frictional forces
    • B66C1/442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and applying frictional forces actuated by lifting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1General aspects of mobile cranes, overhead travelling cranes, gantry cranes, loading bridges, cranes for building ships on slipways, cranes for foundries or cranes for public works
    • B66C2700/011Cable cranes

Abstract

본 발명은 경계석 고정집게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일단부에 내측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일측 고정판이 구비되는 일측 암부재와; 일단부가 상기 일측 암부재의 타단부에 축에 의해 결합되고, 타단부에 내측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된 타측 고정판이 구비되는 타측 암부재와; 상기 축에 결합되는 고리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 고정집게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일측 암부재의 일측 고정판과 타측 암부재의 타측 고정판이 경계석의 양측에 각각 강하게 밀착되기 때문에 중장비를 이용하여 상기 경계석을 보다 용이하게 상부방향으로 들어올려 특정장소로 상기 경계석을 이동시켜 안전하게 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비용이 현저하게 절감될 수 있게 되고, 나아가 종래처럼 상기 경계석을 들어올리기 위해 상기 경계석의 양측에 와이어 로프 등을 감을 필요가 없어지게 될 뿐만 아니라 상기 일측 암부재와 타측 암부재가 좌우로 접혔다 펼쳐질 수 있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작업자가 상기 일측 암부재와 타측 암부재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협소한 공간에도 상기 일측 암부재와 타측 암부재를 보다 용이하게 보관시킬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일측 및 타측 암부재의 운반 또한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되어 그 편의성이 보다 극대화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일측 암부재, 타측 암부재, 고리부재

Description

경계석 고정집게{BOUNDARY STONE CLAMP}
본 발명은 일단부에 내측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일측 고정판이 구비되는 일측 암부재와; 일단부가 상기 일측 암부재의 타단부에 축에 의해 결합되고, 타단부에 내측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된 타측 고정판이 구비되는 타측 암부재와; 상기 축에 결합되는 고리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 고정집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계석은 보도와 차도간의 경계지점에 설치되는 구조물로 화강암 같은 자연석을 가공하여 제작하거나 콘크리트 프레스로 압착하여 양생하여 보도와 차도를 분리하고 있다.
한편, 상기 경계석을 설치하고자 하는 특정장소로 이동시키고자 할 시 작업자는 대게 상기 경계석의 양측에 와어어 로프 등을 감은 상태에서 크레인, 굴삭기 등의 중장비를 이용하여 상기 와이어 로프를 상부방향으로 들어올려 상기 경계석을 특정장소에 마련된 시공위치로 이동시키고 있다.
그러나, 작업자가 매번 상기 와이어 로프를 상기 경계석의 양측에 감아야하 는 번거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안전하게 상기 경계석을 특정장소에 시공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일측 암부재의 일측 고정판과 타측 암부재의 타측 고정판이 경계석의 양측에 각각 강하게 밀착되기 때문에 중장비를 이용하여 상기 경계석을 보다 용이하게 상부방향으로 들어올려 특정장소로 상기 경계석을 이동시켜 안전하게 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비용이 현저하게 절감될 수 있게 되고, 나아가 종래처럼 상기 경계석을 들어올리기 위해 상기 경계석의 양측에 와이어 로프 등을 감을 필요가 없어지게 될 뿐만 아니라 상기 일측 암부재와 타측 암부재가 좌우로 접혔다 펼쳐질 수 있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작업자가 상기 일측 암부재와 타측 암부재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협소한 공간에도 상기 일측 암부재와 타측 암부재를 보다 용이하게 보관시킬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일측 및 타측 암부재의 운반 또한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되어 그 편의성이 보다 극대화될 수 있는 경계석 고정집게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단부에 내측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일측 고정판이 구비되는 일측 암부재와; 일단부가 상기 일측 암부재의 타단부에 축에 의해 결합되고, 타단부에 내측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된 타측 고정판이 구비되는 타측 암부재와; 상기 축에 결합되는 고리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 고정집게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일측 고정판과 타측 고정판의 내측에는 미끄럼방지판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일측 암부재와 타측 암부재의 상부면에 각각 손잡이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일측 암부재와 타측 암부재의 좌우폭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일측 암부재와 타측 암부재에 일정간격으로 폭조절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일측 암부재의 타단부와 타측 암부재의 일단부를 결합시키는 축에 결합된 고리부재를 크레인, 굴삭기 등의 중장비를 이용하여 상부방향으로 들어올릴시 상기 일측 암부재의 일측 고정판과 타측 암부재의 타측 고정판이 경계석의 양측에 각각 강하게 밀착되기 때문에 중장비를 이용하여 상기 경계석을 보다 용이하게 상부방향으로 들어올려 특정장소로 상기 경계석을 이동시켜 안전하게 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비용이 현저하게 절감될 수 있게 되고, 나아가 종래처럼 상기 경계석을 들어올리기 위해 상기 경계석의 양측에 와이어 로프 등을 감을 필요가 없어지게 될 뿐만 아니라 상기 일측 암부재와 타측 암부재가 좌 우로 접혔다 펼쳐질 수 있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작업자가 상기 일측 암부재와 타측 암부재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협소한 공간에도 상기 일측 암부재와 타측 암부재를 보다 용이하게 보관시킬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일측 및 타측 암부재의 운반 또한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되어 그 편의성이 보다 극대화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일측 고정판과 타측 고정판의 내측에 미끄럼방지판이 구비될 경우 상기 일측 고정판과 타측 고정판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경계석을 특정장소로 이동시키는 과정 중에 상기 경계석이 하부방향으로 낙하할 우려가 없어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상기 일측 암부재와 타측 암부재의 상부면에 각각 손잡이부가 구비될 경우 작업자가 상기 손잡이부를 이용하여 상기 일측 암부재와 타측 암부재를 파레트의 상부에 안착된 상기 경계석 방향으로 보다 용이하게 위치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정장소로 이동된 상기 경계석을 상기 손잡이부를 이용하여 특정장소에 마련된 시공위치로 보다 용이하게 위치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기 일측 암부재와 타측 암부재에 일정간격으로 폭조절공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일측 암부재와 타측 암부재의 좌우폭을 상기 경계석의 좌우폭에 맞게 조절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경계석 고정집게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경계석 고정집게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일측 암부재(10), 타측 암부재(30) 및 고리부재(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일측 암부재(10)는 경계석의 일측에 밀착되는 것으로써,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 암부재(10)의 일단부에는 내측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일측 고정판(101)이 구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상기 일측 암부재(10)의 일단부 저면에는 일측 수평판(103)의 상부면이 용접고정되는데, 이때 상기 일측 수평판(103)의 일단부 하부에는 상기 일측 고정판(101)이 내측 수직방향으로 일체형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타측 암부재(30)는 경계석의 타측에 밀착되는 것으로써,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단부가 상기 일측 암부재(10)의 타단부에 축(7)에 의해 결합되고, 타단부에 내측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된 타측 고정판(301)이 구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상기 타측 암부재(30)의 타단부 저면에는 타측 수평판(303)의 상부면이 용접고정되는데, 이때 상기 타측 수평판(303)의 타단부 하부에는 상기 타측 고정판(301)이 내측 수직방향으로 일체형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축(7)은 예를 들어, 상기 일측 암부재(10)의 타단부와 상기 타측 암부재(30)의 일단부에 각각 형성된 삽입공에 전후방향으로 수평으로 분리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축(7)의 후단부 외주연에는 수나사선이 형성될 수 있고, 수나사선이 형성된 상기 축(7)의 후단부에 암나사선이 내주연에 형성된 너트 등이 나사결합될 수 있는데, 이로 인해 상기 일측 암부재(10)의 일단부와 상기 타측 암부재(30)의 타단부에 각각 형성된 삽입공에 전후방향으로 수평으로 삽입된 상기 축(7)이 외부로 이탈될 우려가 없어지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고리부재(50)는 상기 축(7)에 결합되는 것으로써, 하부가 개방된 '∩'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리부재(50)의 하단 내측에 상기 일측 암부재(10)의 타단부와 상기 타측 암부재(30)의 일단부가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축(7)은 상기 고리부재(50)의 하단 양측에 형성된 삽입공과 상기 일측 암부재(10)의 타단부와 상기 타측 암부재(30)의 일단부에 각각 형성된 삽입공에 전후방향으로 수평으로 분리가능하게 삽입된다.
도 2는 경계석(5)의 상부에 일측 암부재(10)와 타측 암부재(30)가 위치한 상 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일측 암부재(10)와 타측 암부재(30)가 경계석(5)의 양측에 밀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상기 경계석(5)은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목재재질 등의 파레트(1)의 상부에 지그재그로 상부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축(7)에 결합된 상기 고리부재(50)에는 예를 들어, 와이어(3)의 하측이 감겨지고, 상기 와이어(3)의 상측은 크레인, 굴삭기 등의 중장비에 구비된 후크(9)에 감겨질 수 있다.
상기 고리부재(50)가 중장비에 의해 상부방향으로 들어올려질 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 암부재(10)의 일단부와 상기 타측 암부재(30)의 타단부 사이의 좌우폭은 점차 좁아지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일측 고정판(101)의 내측과 타측 고정판(301)의 내측은 각각 상기 경계석(5)의 양측에 강하게 밀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일측 고정판(101)의 내측과 상기 타측 고정판(301)의 내측이 상기 경계석(5)의 양측에 각각 강하게 밀착된 상태에서 중장비에 의해 상기 고리부재(50)가 상부방향으로 더 들어올려질 시 파레트(1)의 상부에 안착된 상기 경계석(5)은 상기 파레트(1)의 상부방향으로 상승하게 된다.
상기 파레트(1)의 상부방향으로 상승한 상기 경계석(5)은 다시 중장비를 통해 특정장소에 마련된 시공위치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 고정판(101)과 타측 고정 판(301)의 내측에는 미끄럼방지판(70)이 구비되는 것이 좋다.
상기 미끄럼방지판(70)은 예를 들어, 본드 등의 강력 접착제에 의해 상기 일측 고정판(101)과 타측 고정판(301)의 내측에 접착고정될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다 다양한 방식으로 상기 일측 고정판(101)과 타측 고정판(301)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미끄럼방지판(70)은 내마모성 [耐磨耗性]이 뛰어난 우레탄 수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일측 고정판(101)과 타측 고정판(301)의 내측에 상기 미끄럼방지판(70)이 구비될 경우 상기 일측 고정판(101)과 타측 고정판(301)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경계석(5)을 특정장소로 이동시키는 과정 중에 상기 경계석(5)이 하부방향으로 낙하할 우려가 없어지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나아가,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 암부재(10)와 타측 암부재(30)의 상부면에는 각각 손잡이부(90)이 수직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손잡이부(90)는 예를 들어, 상기 일측 암부재(10)의 상부면에 양측 하단이 각각 용접고정되는 '
Figure 112009036532552-PAT00001
'형상의 일측 손잡이부(901)와; 상기 타측 암부재(30)의 상부면에 양측 하단이 각각 용접고정되는 '
Figure 112009036532552-PAT00002
'형상의 타측 손잡이부(90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일측 암부재(10)와 타측 암부재(30)의 상부면에 각각 상기 손잡이부(90)가 구비될 경우 작업자가 상기 손잡이부(90)를 이용하여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 암부재(10)와 타측 암부재(30)를 상기 파레트(1)의 상부에 안착된 상기 경계석(5)방향으로 보다 용이하게 위치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정장소로 이동된 상기 경계석(5)을 상기 손잡이부(90)를 이용하여 특정장소에 마련된 시공위치로 보다 용이하게 위치시킬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4는 일측 암부재(10)와 타측 암부재(30)의 좌우폭이 조절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일측 암부재(10)의 일단부와 상기 타측 암부재(30)의 타단부 사이의 좌우폭(도 4의 W1)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일측 암부재(10)와 타측 암부재(30)상에는 상기 축(7)이 분리가능하게 삽입되는 폭조절공(100)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폭조절공(100)은 상기 일측 암부재(10)상에 전후방이 개방된 상태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일측 폭조절공(110)과; 상기 타측 암부재(30)상에 전후방이 개방된 상태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타측 폭조절공(13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일측 폭조절공(110)과 타측 폭조절공(130)에 상기 축(7)이 분리가능하게 삽입될 시 상기 일측 암부재(10)의 일단부와 상기 타측 암부재(30)의 타단부 사이의 좌우폭(도 4의 W1)이 상기 경계석(5)의 좌우폭(도 3의 W2)에 맞게 조절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일측 암부재(10)와 타측 암부재(30)에 일정간격으로 상기 폭조절공(100)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일측 암부재(10)와 타측 암부재(30)의 좌우폭(도 4의 W1)을 상기 경계석(5)의 좌우폭(도 3의 W2)에 맞게 조절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일측 암부재(10)의 타단부와 타측 암부재(30)의 일단부를 결합시키는 상기 축(7)에 결합된 상기 고리부재(50)를 크레인, 굴삭기 등의 중장비를 이용하여 상부방향으로 들어올릴시 상기 일측 암부재(10)의 일측 고정판(101)과 상기 타측 암부재(30)의 타측 고정판(301)이 상기 경계석(5)의 양측에 각각 강하게 밀착되기 때문에 중장비를 이용하여 상기 경계석(5)을 보다 용이하게 상부방향으로 들어올려 특정장소로 상기 경계석(5)을 이동시켜 안전하게 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비용이 현저하게 절감될 수 있게 되고, 나아가 종래처럼 상기 경계석을 들어올리기 위해 상기 경계석(5)의 양측에 와이어 로프 등을 감을 필요가 없어지게 될 뿐만 아니라 상기 일측 암부재(10)와 타측 암부재(30)가 좌우로 접혔다 펼쳐질 수 있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작업자가 상기 일측 암부재(10)와 타측 암부재(30)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협소한 공간에도 상기 일측 암부재(10)와 타측 암부재(30)를 보다 용이하게 보관시킬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일측 및 타측 암부재(10 ,30)의 운반 또한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되어 그 편의성이 보다 극대화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경계석 고정집게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경계석의 상부에 일측 암부재와 타측 암부재가 위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일측 암부재와 타측 암부재가 경계석의 양측에 밀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4는 일측 암부재와 타측 암부재의 좌우폭이 조절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파레트, 3; 와이어,
5; 경계석, 7; 축,
9; 후크, 10; 일측 암부재,
101; 일측 고정판, 103; 일측 수평판,
30; 타측 암부재, 301; 타측 고정판,
303; 타측 수평판, 50; 고리부재,
70; 미끄럼 방지판, 90; 손잡이부,
901; 일측 손잡이부, 903; 타측 손잡이부.

Claims (4)

  1. 일단부에 내측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일측 고정판이 구비되는 일측 암부재와;
    일단부가 상기 일측 암부재의 타단부에 축에 의해 결합되고, 타단부에 내측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된 타측 고정판이 구비되는 타측 암부재와;
    상기 축에 결합되는 고리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 고정집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고정판과 타측 고정판의 내측에는 미끄럼방지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 고정집게.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암부재와 타측 암부재의 상부면에 각각 손잡이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 고정집게.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암부재와 타측 암부재의 좌우폭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일측 암부재와 타측 암부재에 일정간격으로 폭조절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 고정집게.
KR1020090053710A 2009-06-17 2009-06-17 경계석 고정집게 KR201001353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3710A KR20100135379A (ko) 2009-06-17 2009-06-17 경계석 고정집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3710A KR20100135379A (ko) 2009-06-17 2009-06-17 경계석 고정집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5379A true KR20100135379A (ko) 2010-12-27

Family

ID=43509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3710A KR20100135379A (ko) 2009-06-17 2009-06-17 경계석 고정집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3537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5852B1 (ko) * 2012-11-01 2013-02-21 이종용 경계석 클램프
KR20220126830A (ko) * 2021-03-09 2022-09-19 김용만 다양한 형상의 경계석을 지지할 수 있는 가변형 집게
CN115447648A (zh) * 2022-10-15 2022-12-09 中建八局发展建设有限公司 路缘石运输的吊爪结构装置
US11535495B2 (en) 2021-05-13 2022-12-27 Construction Specialties, Llc Lift assembly for blocks and method of lifting block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5852B1 (ko) * 2012-11-01 2013-02-21 이종용 경계석 클램프
KR20220126830A (ko) * 2021-03-09 2022-09-19 김용만 다양한 형상의 경계석을 지지할 수 있는 가변형 집게
US11535495B2 (en) 2021-05-13 2022-12-27 Construction Specialties, Llc Lift assembly for blocks and method of lifting blocks
CN115447648A (zh) * 2022-10-15 2022-12-09 中建八局发展建设有限公司 路缘石运输的吊爪结构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TE457293T1 (de) Fensterkran
KR20100135379A (ko) 경계석 고정집게
EP3927642B1 (en) Device for lifting a steel reinforcement mat
JP6228740B2 (ja) 玉掛け外し装置及び自動スリング式吊具
CN108821161B (zh) 一种用于移动电缆沟盖板的装置
CN107963548A (zh) 钢板吊装夹具
KR101262957B1 (ko) 경계석 집게
US9487380B2 (en) Hoist assembly
US20150376846A1 (en) Methods of Moving at Least One Mat with a Crane-Mounted Grab Head
EP1634847A3 (en) Crane
JP4912126B2 (ja) ケーブル昇降装置
US6513847B2 (en) Simple multiple concrete block lifting device
CN218988553U (zh) 一种砌块吊装工具
JP2006226059A (ja) 開口部養生装置
KR20160149892A (ko) 경계석 집게장치
KR200467345Y1 (ko) 파일 인양구조체
US541740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ifting objects
KR20140003551U (ko) 프레임 운반용 권양장치
KR20100011049A (ko) 파이프 리프팅용 후크
CN216190326U (zh) 一种l型预制梁式构件吊装装置
CN102029329B (zh) 一种电动控制的大型冲压件下料装置
JP3136897U (ja) 荷物積載用傾斜面昇降台車
WO2008065354A1 (en) Clamping assembly
KR102087903B1 (ko) 건설자재 인양박스
JPH11246166A (ja)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吊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