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2957B1 - 경계석 집게 - Google Patents

경계석 집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2957B1
KR101262957B1 KR1020120029512A KR20120029512A KR101262957B1 KR 101262957 B1 KR101262957 B1 KR 101262957B1 KR 1020120029512 A KR1020120029512 A KR 1020120029512A KR 20120029512 A KR20120029512 A KR 20120029512A KR 101262957 B1 KR101262957 B1 KR 1012629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undary stone
tongs
boundary
heavy equipment
st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9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용
Original Assignee
이종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용 filed Critical 이종용
Priority to KR10201200295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29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2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29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22Rigid members, e.g. L-shaped members, with parts engaging the under surface of the loads; Crane hooks
    • B66C1/28Duplicate, e.g. pivoted, members engaging the loads from two 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42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 B66C1/422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actuated by lifting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1General aspects of mobile cranes, overhead travelling cranes, gantry cranes, loading bridges, cranes for building ships on slipways, cranes for foundries or cranes for public works
    • B66C2700/011Cable cr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계석 집게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중장비를 이용한 경계석 설치시 이용되는 경계석 집게에 있어서, 상기 중장비와 연결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양단측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에 집게부가 형성된 다수개의 연결부;와 상기 집게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상기 집게부의 바깥쪽 방향으로 덧대어지는 덧붙임부재;를 포함하여 3절 링크구조로 구성되되, 상기 집게부는 경계석의 양측을 안고 있는 "ㄱ"자 형상으로, 외측면 하부가 곡면을 이루고 내측면을 향하여 상향으로 경사짐으로써, 설치된 경계석과 접하는 상기 집게부가 회동하여 새로운 경계석이 밀착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 집게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경계석 집게{boundary stone tongs}
본 발명은 경계석 집게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집게부가 회동하여 수작업 없이 인접된 경계석과 밀착하도록 경계석을 내려놓을 수 있는 경계석 집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계석은 차도를 주행하는 차량으로부터 보도의 통행자를 보호하는 기능과 보도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구획하는 경계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주로 콘크리트와 화강석, 인조화강석 등을 재료로 하여 소정 길이의 직육면체로 제작된다.
한편, 이러한 경계석을 설치함에 있어서 종래에는 수작업을 통하여 시공장소로 이동되어 졌으나, 많은 인건비가 요구되고 비효율적인바 근래에는 크레인 등 중장비를 이용하여 경계석을 옮겨 시공하고 있다.
그러나 중장비를 이용하여 시공하는 경우에도 경계석을 들어올리기 위해 작업자가 경계석의 양측에 와이어 로프 등을 감아야 하므로 번거로우며 안전성에도 문제가 있는바, 와이어 로프 등을 사용하지 않고 경계석을 들어올릴 수 있도록 중장비용 경계석 집게가 필요하다.
이러한 경계석 집게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35379호 "경계석 고정집게"를 통해 제안되어 있다.
상기 공개특허공보에 게재된 경계석 고정집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암부재(10)의 타단부와 타측 암부재(30)의 일단부를 결합시키는 축(7)에 결합된 고리부재(50)를 중장비를 이용하여 상부방향으로 들어올릴 시 일측 암부재(10)의 일측 고정판(101)과 타측 암부재(30)의 타측 고정판(301)이 경계석의 양측에 각각 밀착되기 때문에 중장비를 이용하여 경계석을 용이하게 상부방향으로 들어올릴 수 있다.
그런데, 상기 공개특허공보에 게재된 경계석 고정집게는 시공과정에서 와이어 로프 등을 감아야 하는 불편함을 해결하여 경계석을 용이하게 상부방향으로 들어올릴 수 있으나, 경계석 집게에서 경계석을 내려놓는 경우 일측 고정판(101)과 타측 고정판(301)의 하부가 각져 있어 인접하여 설치되어 있는 경계석에 밀착하여 경계석을 내려놓을 수 없으므로 중장비를 이용하여 시공장소에 내려놓은 경계석을 작업자가 다시금 인접한 경계석에 밀착시키는 수작업을 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기존 설치된 경계석에 밀착하여 새로이 설치할 경계석을 내려놓는 경우 설치된 경계석 측면에 설치할 경계석의 하부 모서리가 접하고 하향으로 경사지게 되어 일측 고정판(101) 또는 타측 고정판(301)이 설치된 경계석의 상면 가장자리에 위치하게 된다. 그러나 일측 고정판(101)과 타측 고정판(301)의 하부가 각져 있으므로 고정판이 설치된 경계석의 상면에 걸리게 되어 암부재가 펴지지 않는바 중장비만을 이용하여 설치된 경계석과 밀착하여 경계석을 내려놓을 수 없게 되는 것이다.
즉, 종래의 경계석 고정집게는 경계석을 이동시키는 도구에 머물 뿐 중장비만을 이용하여 직접적인 설치가 불가능하다.
또한 일측 고정판(100)과 타측 고정판(301)이 너무 얇은 두께를 가지는 경우 새로이 설치할 경계석을 내려놓는 과정에서 인접된 경계석과의 이격된 공간으로 고정판이 끼이게 되면서 경계석 사이가 벌어져 밀착하여 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중장비를 이용한 시공 후 작업자가 설치된 경계석에 밀착시키는 수작업 없이 경계석을 내려놓을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경계석의 이동은 물론 중장비를 이용한 직접적인 설치를 가능하게 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경계석 집게는 중장비를 이용한 경계석 설치시 이용되는 경계석 집게에 있어서, 상기 중장비와 연결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양단측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에 집게부가 형성된 다수개의 연결부;와 상기 집게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상기 집게부의 바깥쪽 방향으로 덧대어지는 덧붙임부재;를 포함하여 3절 링크구조로 구성되되, 상기 집게부는 경계석의 양측을 안고 있는 "ㄱ"자 형상으로, 외측면 하부가 곡면을 이루고 내측면을 향하여 상향으로 경사짐으로써, 설치된 경계석과 접하는 상기 집게부가 회동하여 새로운 경계석이 밀착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집게부의 외측면 하부가 곡면을 이루며 내측면을 향하여 상향으로 경사져 이루어짐으로써, 수작업 없이 설치된 경계석과 밀착하여 경계석을 내려놓을 수 있어 중장비를 이용한 직접적인 설치가 가능하며 인건비가 더욱 절약될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안전성이 보장된다.
더욱이, 중장비를 이용하여 시공시 설치된 경계석과 집게부가 접하는 과정에서 발생 될 수 있는 경계석의 파손을 방지하게 되어 보다 효율적인 경계석 시공을 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경계석 집게의 구조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경계석 집게의 일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경계석 집게의 일 예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경계석 집게의 집게부에 새로이 설치할 경계석이 접하고 있는 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예시도,
도 5 내지 도 8는 본 발명에 의한 경계석 집게를 이용하여 기존에 설치된 경계석과 밀착하여 새로이 경계석을 설치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9는 도 7에 나타난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격된 공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예시도.
본 발명에서는 집게부가 회동하여 수작업 없이 인접하여 설치된 경계석과 밀착하여 경계석을 내려놓음으로써 중장비를 이용한 직접적인 설치를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중장비를 이용한 경계석 설치시 이용되는 경계석 집게에 있어서, 상기 중장비와 연결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양단측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에 집게부가 형성된 다수개의 연결부;와 상기 집게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상기 집게부의 바깥쪽 방향으로 덧대어지는 덧붙임부재;를 포함하여 3절 링크구조로 구성되되, 상기 집게부는 경계석의 양측을 안고 있는 "ㄱ"자 형상으로, 외측면 하부가 곡면을 이루고 내측면을 향하여 상향으로 경사짐으로써, 설치된 경계석과 접하는 상기 집게부가 회동하여 새로운 경계석이 밀착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 집게를 제안한다.
삭제
이하, 본 발명인 경계석 집게의 전반적인 구조를 첨부된 도면 도 2 및 도 3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인 경계석 집게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200)를 중심으로 상기 지지부(200) 양단에 연결부(300)의 일단이 링크된 암부재(A)가 구비되며, 상기 암부재(A)의 양단 즉, 상기 연결부(300)의 타단에는 상기 암부재(A)와 일체로써 형성된 집게부(100)를 포함하고 있는바, 상기 암부재(A)의 접힘과 펴짐에 따라 상기 집게부(100) 사이의 폭이 조절되어 경계석을 들어올리거나 내려놓을 수 있게 된다.
다만, 상기 집게부(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암부재(A)에 일체로써 형성된 경우뿐만 아니라 상기 암부재(A)와 별도로 형성되어 상기 암부재(A)의 양단에 결합된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경계석 집게가 경계석의 하중을 잘 견디고 경계석을 더욱 안전하게 들어올릴 수 있도록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집게부(100)와 동일한 형상인 다수개의 덧붙임부재(130)가 상기 집게부(100)의 바깥쪽 방향으로 덧대져 상기 집게부(100)가 여러 겹으로 형성되어 상기 집게부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암부재(A)는 상기 지지부(200)와 상기 연결부(300)를 포함한 링크구조로써 상기 지지부(200) 양단에 상기 연결부(300)의 일단이 상기 지지부(200)의 양측으로 결합되고 상기 연결부(300)의 타단에 상기 집게부(100)가 형성되어 있는바, 상기 암부재(A)가 접혀질 수 있어 경계석 집게의 부피를 줄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인 경계석 집게는 링크구조로 되어 있어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암부재(A)의 링크구조는 2절 링크구조, 3절 링크구조 등을 모두 포함하며, 본 발명에서는 3절 링크구조로 된 암부재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지지부(200)의 측면 중심에는 중장비를 이용하여 경계석 설치시 중장비와 경계석 집게를 연결함에 필요한 고리부재를 끼울 수 있는 고리부재 연결공(21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300)은 경계석의 하중을 견디지 못하고 상기 암부재(A)가 좌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러겹으로 형성되되, 상기 지지부(200) 양단에 상기 연결부(300)의 일단이 상기 지지부(200)의 양측으로 결합되고 상기 연결부(300)의 타단에 상기 집게부(10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연결부(300)가 상기 지지부(200)의 양측에 결합됨으로써 벌어진 틈을 유지하기 위하여 간격유지편(310)이 상기 연결부(300)와 결합된다.
상기 간격유지편(310)은 벌어진 틈의 간격에 맞추어 다수 개가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연결부(300)와 여러 군데에서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집게부(100) 또한 벌어진 틈을 유지하기 위하여 간격유지핀(140)이 삽입되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인 경계석 집게의 특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9를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집게부(100)는 경계석의 양측을 안고 있는 형태로 형성되며, 일 예로 "ㄱ"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경계석과 접하는 부분인 내측면(110)과 경계석과 접하지 않는 부분인 외측면(120)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상기 집게부의 외측면(120) 하부가 곡면을 이루며 상기 내측면(110)을 향하여 상향으로 경사져 있는 특징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장비를 이용하여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경계석과 인접하게 새로이 경계석을 설치하기 위하여 경계석을 내려놓는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계석 집게가 설치된 경계석의 상면 가장자리에 접하게 되는바 더이상 수평을 이룬 채 경계석을 내려놓을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설치할 경계석의 하부 일단이 경계석 받침대나 단턱에 접하게 되고, 새로이 설치할 경계석의 하부 타단의 모서리가 기존에 설치된 경계석 측면에 접하게 되는바 설치할 경계석이 하향으로 경사지게 된다.
이때 상기 집게부의 외측면(120) 하부는 곡면을 이루고 있는바, 상기 집게부(100)는 기존에 설치된 경계석의 상면 가장자리에 접한 상태를 유지하며 본 발명인 경계석 집게는 새로이 설치할 경계석과 같이 하향으로 경사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암부재(A)가 펴지면서 상기 집게부(100)는 도 7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어 경계석과 경계석 집게가 분리되게 된다.
종래 경계석 집게와 같이 상기 집게부의 외측면(120) 하부가 각져 있거나 경사없이 평평하게 되어 있는 경우 상기 집게부(100)가 설치된 경계석의 상면에 걸리게 되어 상기 암부재(A)가 펴지지 않아 상기 집게부(100)가 회동하지 못하여 경계석을 내려놓을 수 없게 된다. 또한, 경계석을 내려놓기 위해 상기 암부재(A)를 강제적으로 펼치는 경우 상기 집게부(100) 하부의 각진 부분에 의해 설치된 경계석 상면이 파손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집게부의 외측면(120) 하부가 곡면을 이루며 상기 내측면(110)을 향하여 상향으로 경사져 있으므로, 상기 집게부의 외측면(120) 하부 곡면이 설치된 경계석의 상면 가장자리에 접하고 곡면을 따라 도 7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용이하게 상기 집게부(100)가 회동하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암부재(A)가 펴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된 경계석과 밀착하여 경계석을 내려놓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집게부(100)는 경계석의 양측을 안고 있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ㄱ"자 형상의 하부의 폭이 상기 이격된 공간(10)의 폭보다 넓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계석이 기울어짐에 따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계석간의 이격된 공간(10)이 생기게 된다.
상기 이격된 공간(10)에 상기 집게부(100)가 빠지게 되면 설치된 경계석과 밀착하여 경계석을 설치할 수 없게 되므로, 상기 집게부(100)는 상기 이격된 공간(10)에 빠지지 않고 설치된 경계석의 상면 가장자리에 놓여질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집게부(100)는 경계석의 양측을 안고 있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집게부(100) 하부가 상기 이격된 공간(10)의 폭보다 넓은 폭으로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인 경계석 집게에 따르면 중장비만을 이용하여서도 설치된 경계석과 밀착하여 경계석을 내려놓을 수 있어 경계석의 이동은 물론 직접적인 설치가 가능한바 작업자의 수작업이 줄어들어 인건비가 더욱 절약되며, 이를 통해 경계석 시공을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게 된다.
A : 암부재 10 : 이격된 공간
100 : 집게부 110 : 내측면
120 : 외측면 130 : 덧붙임부재
140 : 간격유지핀 200 : 지지부
210 : 고리부재 연결공 300 : 연결부
310 : 간격유지편

Claims (3)

  1. 중장비를 이용하여 경계석 설치시 이용되되, 상기 중장비와 연결되는 지지부(200)와, 상기 지지부(200)의 양 단측에서 일단이 지지부(200)에 결합되고 타단에는 집게부(100)가 형성된 판 형태의 연결부(300)를 포함하여 3절 링크구조로 되는 경계석 집게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300)는 다수 개가 마련되어 여러 겹을 이루어 간격유지편(310)에 의해 간격이 유지된 채 지지부(200)에 결합되는 한편, 상기 집게부(100)와 동일한 형상을 이루는 덧붙임부재(130)가 구비되어 상기 집게부(100)의 바깥쪽 면에 덧대져 강도가 보강되되,
    상기 집게부(100)는 내측면(110)이 경계석의 양측을 안고 있는 "ㄱ"자 형상을 이루고 외측면(120)은 하부가 곡면을 이루며 내측면(110)을 향해 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집게부(100)의 외측면(120) 하부가 앞서 설치된 경계석의 상면에서 원활하게 회동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 집게.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경계석을 내려놓을시 이미 설치된 경계석 측면에 경계석의 하부 모서리가 접하고 하향으로 경사짐으로써 생긴 경계석간의 이격된 공간(10)에 대하여,
    상기 집게부(100) 하부의 폭이 상기 이격된 공간(10)의 폭보다 넓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 집게.
KR1020120029512A 2012-03-22 2012-03-22 경계석 집게 KR1012629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9512A KR101262957B1 (ko) 2012-03-22 2012-03-22 경계석 집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9512A KR101262957B1 (ko) 2012-03-22 2012-03-22 경계석 집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2957B1 true KR101262957B1 (ko) 2013-05-13

Family

ID=48665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9512A KR101262957B1 (ko) 2012-03-22 2012-03-22 경계석 집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295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8012A (ko) 2015-03-06 2016-09-19 강성록 중량물 집게장치
KR20160108010A (ko) 2015-03-06 2016-09-19 강성록 중량물 집게장치
KR20160149892A (ko) 2015-06-19 2016-12-28 김용근 경계석 집게장치
WO2020096160A1 (ko) * 2018-11-05 2020-05-14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엘리베이터 가이드 레일 리프팅 지그
KR20220126830A (ko) * 2021-03-09 2022-09-19 김용만 다양한 형상의 경계석을 지지할 수 있는 가변형 집게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8012A (ko) 2015-03-06 2016-09-19 강성록 중량물 집게장치
KR20160108010A (ko) 2015-03-06 2016-09-19 강성록 중량물 집게장치
KR20160149892A (ko) 2015-06-19 2016-12-28 김용근 경계석 집게장치
WO2020096160A1 (ko) * 2018-11-05 2020-05-14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엘리베이터 가이드 레일 리프팅 지그
KR20220126830A (ko) * 2021-03-09 2022-09-19 김용만 다양한 형상의 경계석을 지지할 수 있는 가변형 집게
KR102477768B1 (ko) * 2021-03-09 2022-12-15 김용만 다양한 형상의 경계석을 지지할 수 있는 가변형 집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2957B1 (ko) 경계석 집게
KR20130121398A (ko) 승강구동장치를 이용한 배전활선 장주 교체공법
JP5394334B2 (ja) 高所作業用作業床の施工方法
US11680411B2 (en) System and method of assembling and installing commercial roofing
JP4719573B2 (ja) 杭打機のリーダ組換方法
JP6622504B2 (ja) 煙突解体用足場および煙突解体工法
KR100603072B1 (ko) 블록 파지장치
KR20160149892A (ko) 경계석 집게장치
JP5495818B2 (ja) 外壁改修方法
KR20100135379A (ko) 경계석 고정집게
JP3167834U (ja) 昇降足場における異物落下防止装置
KR101090451B1 (ko) 사장교 주탑 시공 방법.
JP2014047479A (ja) 解体建物への解体重機揚重方法
KR200285361Y1 (ko) 지지봉 리프트장치
JP2017040072A (ja) 煙突解体用足場
US7942243B1 (en) Intermediate cable fairlead
US20220033234A1 (en) Truss lifter
CN204040442U (zh) 一种整体提升式电梯井道操作平台
JP2005105528A (ja) 法枠移動式施工設備及び法枠移動式削孔設備、並びに法枠移動式削孔設備を用いた法枠交差部の削孔方法
CN207330215U (zh) 灌缝机上的吊装机
JP4054800B2 (ja) クライミング足場
JP2009286531A (ja) タワークレーンの解体方法
JP2008214062A (ja) リフト装置および構造材取り付け方法
JP2008222411A (ja) 連節ブロック用の吊具および連節ブロックの施工方法
JP4245361B2 (ja) 自走式タワークレー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