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5361Y1 - 지지봉 리프트장치 - Google Patents

지지봉 리프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5361Y1
KR200285361Y1 KR2020020015882U KR20020015882U KR200285361Y1 KR 200285361 Y1 KR200285361 Y1 KR 200285361Y1 KR 2020020015882 U KR2020020015882 U KR 2020020015882U KR 20020015882 U KR20020015882 U KR 20020015882U KR 200285361 Y1 KR200285361 Y1 KR 2002853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vertical
support rod
base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58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봉조
Original Assignee
감로건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감로건설(주) filed Critical 감로건설(주)
Priority to KR20200200158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536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53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5361Y1/ko

Links

Landscapes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설현장에서 콘크리트 구조물 등에 발생하는 균열(crack)을 방지하기 위하여 받혀주는 지지봉(support)을 간편하게 운반 및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지지봉 리프트장치에 관한 것으로, 바퀴를 통해 이동이 가능한 구조의 베이스부(10)와, 힌지부(15)를 중심으로 상기 베이스부(10)로부터 수직 회동되는 회동부(20)와, 상기 회동부(20)로부터 상부로 더 수직 상승되고, 상기 지지봉을 결착하여 설치할 수 있는 수직상승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지지봉 리프트장치{A support lifter}
본 고안은 리프트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설현장에서 콘크리트 구조물 등에 균열(crack)이 생기지 않도록 지지하여주는 지지봉(support)을 간편하게 운반 및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지지봉 리프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한 바와 같은 지지봉은 건축현장에서는 반드시 필요한 구조물로, 특히 콘크리트 구조물에 균열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지지봉을 콘크리트 구조물(천정)에 세워 놓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지지봉을 세우기 위한 종래의 전형적인 방법은 4~5명의 작업자가 지지봉(기둥)을 운반하여 해당되는 위치에서 세우는 방식이었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방식은 매우 비효율적이며, 불필요한 인력이 낭비되는 모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건설현장의 콘크리트 구조물 등에 세워 고정시키는 지지봉을 매우 간편하게 운반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지지봉 리프트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고안에 따른 지지봉 리프트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지지봉 리프트장치의 측면 구성도,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지지봉 리프트장치의 제3실린더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평면 구성도,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지지봉 리프트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리프트장치 10: 베이스부
11: 몸체부 12: 바퀴
13: 안착부 14: 제1실린더
15: 힌지부 20: 회동부
21: 수평부 22: 베이스고정부
23: 제2실린더 30: 수직상승부
31: 수직부 32: 실린더고정부
35: 제3실린더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사각형상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부 모서리 부위에 설치되는 4개의 바퀴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 상부에 돌설되는 안착부와, 상기 몸체부와 회동부 사이에 설치되어 회동부를 수직 상승시키는 2개의 제1실린더로 이루어진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힌지부를 통해 결합되어 상기 힌지부를 통해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사각형상의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하단에 설치되는 베이스고정부와, 상기 베이스고정부와 수직상승부의 실린더고정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수직상승부를 수직 상승시키는 제2실린더와, 상기 수평부의 양측에 설치되는 2개의 측면손잡이로 이루어진 회동부; 및 상기 회동부의 수평부 내측에 삽입 설치되는 사각형상의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상단 후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2실린더의 일측이 고정 설치되는 실린더고정부와, 상기 수직부의 상하부에 설치되는 상부걸이대 및 하부걸이대와, 상기 상·하부걸이대의 중앙에 지지봉이 결착되도록 형성된 홈부와, 상기 실린더고정부의 타면에 설치되어 지지봉을 수직상승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3실린더로 이루어진 수직상승부; 를 포함하여 된 특징을 가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고안에 따른 지지봉 리프트장치의 사시도, 도 2는 측면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 리프트장치(100)는 크게 이동이 가능한 구조의 베이스부(10)와, 힌지부(15)를 중심으로 상기 베이스부(10)로부터 수직 회동되는회동부(20)와, 상기 회동부(20)로부터 상부로 더 수직 상승되는 수직상승부(30)를 포함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베이스부(10)는 사각형상의 몸체부(11)와, 상기 몸체부(11)의 하부 모서리 부위에 설치되는 4개의 바퀴(12)와, 상기 몸체부(11)의 일측 상부에 돌설되는 안착부(13)와, 상기 몸체부(11)와 회동부(20) 사이에 설치되어 회동부(20)를 수직 상승시키는 2개의 제1실린더(14)(14)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10)의 몸체부(11) 전면 양측에는 제1실린더(14)를 동작시키는 수평레버(L1), 제2실린더(23)를 동작시키는 수직레버(L2) 및 제3실린더(35)를 동작시키는 고정레버(L3)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몸체부(11)의 후면에는 상기 실린더들을 구동시키는 엔진(16)이 설치된다.
미설명부호 16a는 연료통, 17은 배터리이다.
상기 회동부(20)는 상기 몸체부(11)의 힌지부(15)를 통해 결합되어 상기 힌지부(15)를 통해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사각형상의 수평부(21)와, 상기 수평부(21)의 하단에 설치되는 베이스고정부(22)와, 상기 베이스고정부(22)와 수직상승부(30)의 실린더고정부(32)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수직상승부(30)를 수직 상승시키는 제2실린더(23)와, 상기 수평부(21)의 양측에 설치되는 2개의 측면손잡이(24)를 포함한다.
상기 수직상승부(30)는 상기 회동부(20)의 수평부(21) 내측에 삽입 설치되는 구조로, 사각형상의 수직부(31)와, 상기 수직부(31)의 상단 후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2실린더(23)의 일측이 고정 설치되는 실린더고정부(32)와, 상기 수직부(31)의 상하부에 설치되는 상부걸이대(33) 및 하부걸이대(34)와, 상기 상·하부걸이대(33)(34)의 중앙에 지지봉(40)이 결착되도록 형성된 홈부(33a)(34a)와, 상기 실린더고정부(32)의 타면에 설치되어 지지봉(40)을 수직상승부(30)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3실린더(35)를 포함한다.
상기 제3실린더(35)의 구성은 도 3a의 평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고정부(32)의 일측에 형성된 힌지부(37)와 일측이 회동 가능하게 고정된 삼각부재(36) 사이에 제3실린더(35)가 설치되며, 상기 삼각부재(36)의 일측에는 걸이부(36a)가 형성되어 상기 힌지부(37)에 일측이 연결된 결착부재(38)의 고리(38a)가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봉(40)을 상·하부걸림대(33)(34)의 홈부(33a)(34a)에 삽입하고 결착부재(38)의 고리(38a)를 삼각부재(36)의 걸이부(36a)에 걸림 고정시키고, 제3실린더(35)를 작동하면 아암이 수축되면서 지지봉(40)은 견고하게 수직상승부(30)에 장착된다.
미설명부호 39는 손잡이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시켜서된 본 고안 리프트장치(100)의 동작을 도 4a 및 4b를 참조하여 이하 설명한다.
먼저, 작업자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봉(40)을 눕혀 수직상승부(30)의 상·하부걸이대(33)(34)의 홈부(33a)(34a)에 삽입시킨다.
그리고, 결착부재(38)의 고리(38a)를 삼각부재(36)의 걸이부(36a)의 고정한 다음 고정레버(L3)를 이용하여 제3실린더(35)를 작동시킨다. 따라서 제3실린더(35)의 아암이 수축되어 상기 지지봉(40)은 상·하부걸이부(33)(34)에 견고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봉(40)을 세울 위치를 정한다음 수평레버(L1)를 이용하여 제1실린더(14)(14)를 동작시킨다. 따라서 상기 제1실린더(14)(14)의 아암은 이완되고 이때 회동부(20)는 힌지부(15)를 중심으로 수직으로 상승하게 된다.
이와 같이, 회동부(20)가 수직으로 완전히 기립된 상태가 되면, 수직레버(L2)를 이용하여 제2실린더(23)를 동작시킨다. 따라서 수직상승부(30)는 회동부(20)를 이탈하여 수직으로 상승하게 된다.
원하는 위치에 지지봉(40)이 다다르면 동작을 중지시키고, 상기 제3실린더(35)의 아암을 이완시켜 결착부재(38)로부터 이탈시킴으로서 지지봉의 설치를 완료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지지봉의 설치 및 운반을 리프트장치를 통해 가능하도록 하여, 종래 다수명의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수행하는 것에 비하여, 안정성이 높고, 작업능률이 향상되며, 인건비를 절약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사각형상의 몸체부(11)와, 상기 몸체부(11)의 하부 모서리 부위에 설치되는 4개의 바퀴(12)와, 상기 몸체부(11)의 일측 상부에 돌설되는 안착부(13)와, 상기 몸체부(11)와 회동부(20) 사이에 설치되어 회동부(20)를 수직 상승시키는 2개의 제1실린더(14)(14)로 이루어진 베이스부(10);
    상기 베이스부(10)의 힌지부(15)를 통해 결합되어 상기 힌지부(15)를 통해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사각형상의 수평부(21)와, 상기 수평부(21)의 하단에 설치되는 베이스고정부(22)와, 상기 베이스고정부(22)와 수직상승부(30)의 실린더고정부(32)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수직상승부(30)를 수직 상승시키는 제2실린더(23)와, 상기 수평부(21)의 양측에 설치되는 2개의 측면손잡이(24)로 이루어진 회동부(20); 및
    상기 회동부(20)의 수평부(21) 내측에 삽입 설치되는 사각형상의 수직부(31)와, 상기 수직부(31)의 상단 후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2실린더(23)의 일측이 고정 설치되는 실린더고정부(32)와, 상기 수직부(31)의 상하부에 설치되는 상부걸이대(33) 및 하부걸이대(34)와, 상기 상·하부걸이대(33)(34)의 중앙에 지지봉(40)이 결착되도록 형성된 홈부(33a)(34a)와, 상기 실린더고정부(32)의 타면에 설치되어 지지봉(40)을 수직상승부(30)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3실린더(35)로 이루어진 수직상승부(30); 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봉 리프트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10)의 몸체부(11) 전면 양측에는 제1실린더(14)를 동작시키는 수평레버(L1), 제2실린더(23)를 동작시키는 수직레버(L2) 및 제3실린더(35)를 동작시키는 고정레버(L3)가 각각 설치되며, 후면에는 상기 실린더들을 구동시키는 엔진(16)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봉 리프트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상승부(30)의 제3실린더(35)는 실린더고정부(32)의 일측에 형성된 힌지부(37)와 일측이 회동 가능하게 고정된 삼각부재(36)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삼각부재(36)의 일측에는 걸이부(36a)가 형성되어 상기 힌지부(37)에 일측이 연결된 결착부재(38)의 고리(38a)가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봉 리프트장치.
KR2020020015882U 2002-05-24 2002-05-24 지지봉 리프트장치 KR2002853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5882U KR200285361Y1 (ko) 2002-05-24 2002-05-24 지지봉 리프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5882U KR200285361Y1 (ko) 2002-05-24 2002-05-24 지지봉 리프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5361Y1 true KR200285361Y1 (ko) 2002-08-13

Family

ID=73123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5882U KR200285361Y1 (ko) 2002-05-24 2002-05-24 지지봉 리프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5361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4852A (ko) * 2005-09-26 2007-03-29 강병수 건축물지하공사용 이동식 거푸집거더 현수장치
KR101088128B1 (ko) 2011-06-30 2011-12-02 디에이치아이(주) 자재 이동 및 인양 대차
KR20190002012A (ko) * 2017-06-29 2019-01-08 기언관 철근 구조물 로딩장치
KR20190063320A (ko) 2017-11-29 2019-06-07 서보산업 주식회사 서포트 리프팅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서포트 설치와 해체 방법
KR20190079285A (ko) 2017-12-27 2019-07-05 서보산업 주식회사 잭서포트의 자립식 인양과 해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잭서포트의 설치와 해체 방법
KR20190079286A (ko) 2017-12-27 2019-07-05 서보산업 주식회사 서포트를 이용한 잭서포트의 인양과 해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잭서포트의 설치와 해체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4852A (ko) * 2005-09-26 2007-03-29 강병수 건축물지하공사용 이동식 거푸집거더 현수장치
KR101088128B1 (ko) 2011-06-30 2011-12-02 디에이치아이(주) 자재 이동 및 인양 대차
KR20190002012A (ko) * 2017-06-29 2019-01-08 기언관 철근 구조물 로딩장치
KR102099379B1 (ko) * 2017-06-29 2020-04-10 기언관 철근 구조물 로딩장치
KR20190063320A (ko) 2017-11-29 2019-06-07 서보산업 주식회사 서포트 리프팅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서포트 설치와 해체 방법
KR20190079285A (ko) 2017-12-27 2019-07-05 서보산업 주식회사 잭서포트의 자립식 인양과 해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잭서포트의 설치와 해체 방법
KR20190079286A (ko) 2017-12-27 2019-07-05 서보산업 주식회사 서포트를 이용한 잭서포트의 인양과 해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잭서포트의 설치와 해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235487A1 (en) Portable manhole cover remover
KR200285361Y1 (ko) 지지봉 리프트장치
KR101262957B1 (ko) 경계석 집게
CN203774703U (zh) 一种电缆头整修用支撑装置
CN205330693U (zh) 省力式隧道施工用拱架安装设备
WO2005111497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lacing a utility pole
CN112897406B (zh) 叉车驱动式大型玻璃校准安装半自动装置及其使用方法
KR101142756B1 (ko) 탑다운 리프트의 마스트 지지 및 승하강장치
CN210164277U (zh) 一种斜面混凝土浇筑时的安全防护装置
CN211004327U (zh) 一种便携式杆上导线提升器
US20080056853A1 (en) Mechanical load bearing device
CN112573344B (zh) 超大混凝土预制看台板吊装、翻身装置的使用方法
CN113213346A (zh) 一种长枕埋入式无砟轨道床板钢筋吊运装置及使用方法
CN218061536U (zh) 一种装配式建筑构件安装用校准定位装置
JP3157269U (ja) 遊技機搬送装置
KR102102440B1 (ko) 서포트를 이용한 잭서포트의 인양과 해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잭서포트의 설치와 해체 방법
CN217776018U (zh) 井字梁钢筋安装用装置
JP3188339U (ja) グレーチングオープナー
JP3132894U (ja) 蓋移動用具
CN213834250U (zh) 地井盖辅助提升装置
KR100821300B1 (ko) 전동 윈치가 구비된 그레이팅 핸들링 장치
CN214464167U (zh) 隧道通风竖井中隔板衬砌施工装置
CN220954653U (zh) 一种狭小空间模板支撑体系
CN210031438U (zh) 一种路缘石搬运安装架
CN216337443U (zh) 一种沥青生产用发育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1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