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9379B1 - 철근 구조물 로딩장치 - Google Patents

철근 구조물 로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9379B1
KR102099379B1 KR1020170082295A KR20170082295A KR102099379B1 KR 102099379 B1 KR102099379 B1 KR 102099379B1 KR 1020170082295 A KR1020170082295 A KR 1020170082295A KR 20170082295 A KR20170082295 A KR 20170082295A KR 102099379 B1 KR102099379 B1 KR 1020993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reinforcing bar
bar structure
support
load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2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2012A (ko
Inventor
기언관
Original Assignee
기언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언관 filed Critical 기언관
Priority to KR10201700822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9379B1/ko
Publication of KR20190002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0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9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93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4Conveying or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 E04G21/16Tools or apparatus
    • E04G21/165Tool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 situ prefabricated building elements to be tilted up in position

Abstract

본 발명은 지면에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면에 누운 상태로 위치되거나 혹은, 세워진 상태로 위치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철근 구조물을 세우는 과정에서 상기 철근 구조물이 얹힌 상태로 받쳐주면서 철근 구조물의 특정 부위에 대한 처짐을 방지하는 받침프레임; 상기 받침프레임을 회전시켜 기립하거나 혹은, 눕히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구조물 로딩장치가 제공되며, 이를 통해 철근 구조물의 조립이 간편하면서도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해당 철근 구조물의 설치를 위한 크레인 작업시의 로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철근 구조물 로딩장치{loading device for steel processing structure}
본 발명은 철근 구조물에 관련된 기술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철근 구조물의 조립이 간편하면서도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해당 철근 구조물의 설치를 위한 크레인 작업시의 로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철근 구조물 로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근콘크리트 기둥은 수직하게 설치되거나 혹은, 경사지게 설치되면서 축방향 압축력을 제공받는 부재로써, 통상 철근 구조물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제조된다.
이러한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구조에 관련하여는 등록특허 제10-0235117호, 등록특허 제10-0245056호, 공개특허 제10-2010-0031233호, 등록특허 제10-1381866호 등에 기재된 바와 같다.
한편, 상기 철근콘크리트 기둥은 길이에 따라 단주(short column)와 장주(slender column)으로 분류된다.
여기서, 상기 장주의 경우는 그의 긴 길이로 인해 현장에서 수직방향 철근과 횡방향 철근을 배근하여 일정 길이의 철근 구조물을 조립한 후 크레인으로써 세운 상태로 들어올려 순차적으로 적층시키며, 계속해서 상기 적층된 각 철근 구조물들을 서로 연결한 다음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완성하고 있다.
하지만, 전술된 방식의 철근콘크리트 기둥에 대한 제조 방법은 현장에서 눕혀진 상태로 조립된 철근 구조물을 크레인으로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중앙측 부위가 휘면서 처지는 현상이 발생되었다.
즉, 철근 구조물은 수직 방향의 압력을 견디도록 이루어질 뿐 횡방향의 휨에는 극히 취약하기 때문에 눕혀진 상태에서 세우는 도중 해당 철근 구조물의 무게로 인해 중앙측 부위가 처지면서 휨에 따라 각 철근 간의 배근 부위에 대한 풀림이 쉽게 발생되었던 것이다.
이에 최근에는 철근 구조물의 둘레에 별도의 프레임을 덧대는 등과 같은 다양한 보강 구조의 추가를 통해 상기 철근 구조물의 세움 도중 휨 변형을 방지하고자 하였으나, 이러한 방식은 상기 철근 구조물을 세운 다음 상기 덧대어진 프레임을 다시금 분리하여야만 하는 작업상의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등록특허 제10-0235117호 등록특허 제10-0245056호 공개특허 제10-2010-0031233호 등록특허 제10-1381866호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철근 구조물의 조립이 간편하면서도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해당 철근 구조물의 설치를 위한 크레인 작업시의 로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철근 구조물 로딩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철근 구조물 로딩장치는 지면에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면에 누운 상태로 위치되거나 혹은, 세워진 상태로 위치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철근 구조물을 세우는 과정에서 상기 철근 구조물이 얹힌 상태로 받쳐주면서 철근 구조물의 특정 부위에 대한 처짐을 방지하는 받침프레임; 상기 받침프레임을 회전시켜 기립하거나 혹은, 눕히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후방측 양측면에는 상기 받침프레임의 기립시 넘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보조다리부재가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받침프레임은 상기 철근 구조물의 어느 한 둘레측 부위를 받쳐주는 둘레받침용 프레임과, 상기 철근 구조물의 저부를 받쳐주는 저부받침용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둘레받침용 프레임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과공이 관통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면에는 상기 둘레받침용 프레임이 눕혀진 상태를 이룰 경우 상기 둘레받침용 프레임의 통과공을 관통하여 상기 둘레받침용 프레임의 상부로 노출되게 형성되면서 철근 구조물을 받쳐주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받침대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받침프레임은 상기 철근 구조물의 어느 한 둘레측 부위를 받쳐주는 둘레받침용 프레임과, 상기 철근 구조물의 저부를 받쳐주는 저부받침용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저부받침용 프레임에는 철근 구조물을 이루는 각 철근의 끝단 부위가 수용되면서 정위치로 유지하도록 안내하는 복수의 가이드부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 가이드부는 상기 저부받침용 프레임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면서 선단으로 상기 철근의 끝단 부위가 수용되도록 파이프 구조로 이루어진 수용파이프와, 상기 수용파이프의 후단을 통해 상기 수용파이프 내에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상기 각 철근의 끝단 위치를 결정하는 높낮이 조절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철근 구조물 로딩장치는 철근 구조물을 눕혀진 상태로 조립한 후 곧장 기립시킬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전체적인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의 철근 구조물 로딩장치는 눕혀진 상태로 조립된 철근 구조물을 기립시키는 도중 둘레받침용 프레임에 해당 철근 구조물이 눕혀진 상태로 얹히도록 구성됨에 따라 상기 철근 구조물의 기립시 휨이나 처짐에 의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철근 구조물 로딩장치는 철근 구조물의 하단측 끝단 부위가 얹히는 저부받침용 프레임부에 복수의 가이드부를 설치하고, 이 가이드부를 이루는 수용파이프 내로 상기 철근 구조물을 이루는 각 수직방향 철근의 일부가 수용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해당 철근 구조물의 기립시 이 철근 구조물이 받침프레임으로부터 원치않게 이탈됨은 방지된다는 효과를 가진다.
특히, 상기 가이드부를 이루는 높낮이 조절부재는 수용파이프 내에 위치되는 수직방향 철근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각 수직방향 철근들의 높낮이 위치를 정확하게 일치시킬 수 있어서 여타 철근 구조물과의 적층시 야기되는 높낮이 차이로 인한 오조립 현상은 방지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근 구조물 로딩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근 구조물 로딩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근 구조물 로딩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근 구조물 로딩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근 구조물 로딩장치 중 가이드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근 구조물 로딩장치의 조립 및 로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의 철근 구조물 로딩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근 구조물 로딩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근 구조물 로딩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근 구조물 로딩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근 구조물 로딩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근 구조물 로딩장치는 크게 베이스프레임(100)과, 받침프레임(200)과, 구동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특히 받침프레임(200)은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을 기준으로 기립되거나 혹은, 눕혀지도록 구성하여 철근 구조물에 대한 원활한 조립 작업 및 안정적인 기립에 의한 로딩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근 구조물 로딩장치의 몸체를 이루는 부위이다.
이와 같은 베이스프레임(100)은 지면에 수평하게 설치되면서 후술될 받침프레임(200)의 설치 부위로 제공된다.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은 내부가 개방된 사각틀의 구조로 형성된다. 물론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은 평판형의 사각 플레이트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함께,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상면에는 철근 구조물(10)을 받쳐주기 위한 복수의 받침대(110,12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다. 즉, 상기한 각 받침대(110,120)의 제공에 의해 철근 구조물(10)이 베이스프레임(100)이나 후술될 받침프레임(200)의 둘레받침용 프레임(210)에 직접적으로 얹히지 않고 상기 각 받침대(110,120)에 얹힐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각 받침대(110,12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상면에 놓이는 철근 구조물(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위치되면서 상기 철근 구조물(10)의 각 부위별 처짐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으로부터 상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각 받침대(110,120) 중 어느 한 받침대(이하, “전방 받침대”라 함)(11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전방측 끝단에 위치되면서 후술될 받침프레임(200)이 눕혀질 경우 이 받침프레임(200)을 이루는 둘레받침용 프레임(210)의 상측 끝단이 닿지 않도록 하면서도 철근 구조물(10)의 상측 부위에 대한 받쳐짐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다른 한 받침대(이하, “내측 받침대”라 함)(12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중앙측 부위에 위치되면서 후술될 받침프레임(200)이 눕혀질 경우 이 받침프레임(200)을 이루는 둘레받침용 프레임(210)의 통과공(211)을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되면서 철근 구조물(10)의 중앙측 둘레 부위를 받쳐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후방측 양측면에는 보조다리부재(130)가 각각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각 보조다리부재(130)의 추가 제공을 통해 후술될 받침프레임(200)의 기립시 베이스프레임(100)이 넘어지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물론, 상기 각 보조다리부재(130)의 끝단에는 해당 보조다리부재(130)를 지면에 받쳐주기 위한 받침부재(140)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받침프레임(200)은 조립된 철근 구조물(10)을 세우는 과정에서 철근 구조물(10)의 특정 부위에 대한 처짐을 방지하기 위해 제공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받침프레임(200)은 철근 구조물(10)을 세우는 도중 상기 철근 구조물(10)의 어느 한 둘레면을 받쳐주도록 제공되는 둘레받침용 프레임(210) 및 상기 철근 구조물(10)의 저부를 받쳐주도록 제공되는 저부받침용 프레임(220)으로 구성되며, 상기 철근 구조물(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긴 구조로 이루어짐과 더불어 하측 끝단은 힌지축(230)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힌지축(230)의 양 끝단은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둘레받침용 프레임(210)의 면상에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상면으로 돌출된 내측 받침대(120)가 통과될 수 있도록 통과공(211)이 형성된다. 즉, 상기 통과공(211)의 추가 형성을 통해 상기 둘레받침용 프레임(210)이 눕혀진 상태를 이룰 경우 베이스프레임(100)의 내측 받침대(120)가 상기 통과공(211)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물론,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둘레받침용 프레임(210)을 복수의 사각파이프로 이루어진 직사각형 구조의 사각틀로 형성할 경우 각 수평측 사각파이프들 간의 개방된 사이 부위가 상기한 관통공(211)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둘레받침용 프레임(210)은 눕혀진 상태의 경우 상단측 끝단 부위(도면상 좌측 끝단 부위)로부터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단측 끝단 부위(도면상 우측 끝단 부위)로 갈수록 점차 베이스프레임(100)으로부터 이격되게 경사지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한 둘레받침용 프레임(210)의 경사 구조로 인해 상기 둘레받침용 프레임(210)의 하단측 끝단 부위와 베이스프레임(100) 사이에 공간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하고, 이렇게 제공되는 공간에 후술될 구동부(300)가 구비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저부받침용 프레임(220)은 상기 둘레받침용 프레임(210)의 하단측 끝단에 위치되며, 상기 둘레받침용 프레임(210)이 완전히 눕혀진 상태에서는 지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를 이루도록 상기 둘레받침용 프레임(210)의 하단측 끝단으로부터 절곡 형성된다.
즉, 상기 저부받침용 프레임(220)은 상기 둘레받침용 프레임(210)으로부터 90°를 초과하는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하며, 이로써 첨부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부받침용 프레임(220)이 90° 각도만큼 회전되어 지면과 수평하게 위치되더라도 상기 둘레받침용 프레임(210)은 완전히 세워지지 않고 일정 각도 누운 상태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철근 구조물(10)이 그 세움 작업 도중 항상 상기 둘레받침용 프레임(210)에 얹힌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저부받침용 프레임(220)에는 철근 구조물(10)을 이루는 각 수직방향 철근(이하, “수직방향 철근”이라 함)(11)의 끝단 부위가 수용되면서 정위치로 유지하도록 안내하는 복수의 가이드부(240)가 더 구비된다.
이러한 가이드부(240)는 상기 저부받침용 프레임(220)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면서 선단으로 상기 수직방향 철근(11)의 끝단 부위가 수용되도록 파이프 구조로 이루어진 수용파이프(241)와, 상기 수용파이프(241)의 후단을 통해 삽입 설치되는 볼트형의 높낮이 조절부재(2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각 가이드부(240)의 추가 제공을 통해 철근 구조물(10)을 이루는 각 수직방향 철근(11)이 해당 철근 구조물(10)의 완전한 세워짐이 이루어지기 전까지는 상기 저부받침용 프레임(22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상기 높낮이 조절부재(242)는 상기 수용파이프(241) 내에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상기 각 수직방향 철근(10)의 끝단 위치를 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복수의 철근 구조물(10)을 서로 적층하여 철근콘크리트 기둥을 제조할 경우 각 철근 구조물(10)들의 수직방향 철근(11)은 그 끝단이 서로 다른 높낮이를 갖도록 함으로써 동일 수평선상에 연결 부위가 존재할 경우에 비해 더욱 안정적인 수평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하게 되는데, 이를 상기한 각 높낮이 조절부재(242)의 높낮이 조절 가능한 구조를 통해 가능하도록 할 뿐 아니라 각 수직방향 철근(11)들의 정확한 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구동부(300)는 상기 받침프레임(200)을 회전시켜 기립하거나 혹은, 눕혀지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부위이다.
이와 같은 구동부(300)는 둘레받침용 프레임(210)과 베이스프레임(100)의 하측 끝단 사이 공간에 위치되면서 구동모터(310) 및 감속기(3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받침프레임(20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힌지축(230)과는 체인(330)을 통해 서로 간의 동력 전달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특히, 상기 구동모터(310)는 유선 혹은, 무선 리모트컨트롤러(도시는 생략됨)를 이용하여 원격지에서 조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철근 구조물(10)의 기립 조작시 철근 구조물(10)의 넘어짐으로 인해 야기될 수 있는 주변 작업자의 안전사고는 방지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함께,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저부받침용 프레임(220)과 둘레받침용 프레임(210) 간의 연결 부위에는 상기 받침프레임(200)의 회전 각도를 표시하기 위한 각도표시기(도시는 생략됨)를 더 구비하여 작업자가 상기 각도표시기를 보면서 철근 구조물(10)의 기립을 조절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하기에서는,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근 구조물 로딩장치를 이용한 철근 구조물(10)의 조립 및 로딩 과정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철근 구조물(10)을 조립하기 전 철근 구조물 로딩장치의 최초 상태는 첨부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받참프레임(200)은 베이스프레임(100)에 눕혀진 상태로 제공되며, 이때 상기 받침프레임(200)을 이루는 둘레받침용 프레임(210)은 상부측(도면상 좌측 끝단측)으로 갈수록 점차 하향 경사지게 누운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이때에는 베이스프레임(100)에 구비된 각 받침대(110,120) 중 가장 전방측에 위치된 전방 받침대(110)는 상기 둘레받침용 프레임(210)의 상부측에 위치된 상태로 상향 돌출되게 제공되고, 내측 받침대(120)는 상기 둘레받침용 프레임(210)의 통과공(211)을 관통하여 상기 둘레받침용 프레임(210)으로부터 상부로 노출되게 제공된다.
이와 함께,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후방측 양측면에 구비된 보조다리부재(130)는 대각 방향으로 펼친 상태로 고정하며, 이를 통해 받침프레임(200)의 기립시 베이스프레임(100)이 넘어지는 문제점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은 최초의 상태에서 작업자는 복수의 수직방향 철근(11) 및 횡방향 철근(12)을 이용하여 철근 구조물(10)을 조립한다.
이때, 상기 각 철근(11,12)은 각 받침대(110,120)에 얹은 상태로 눕혀진 형태의 철근 구조물(10)로 조립하며, 특히 상기 각 철근(11,12) 중 수직방향 철근(11)의 하단측 끝단(도면상 우측 끝단)은 저부받침용 프레임(220)에 설치된 각 가이드부(240)의 수용파이프(241) 내로 수용시킨 상태에서 각 횡방향 철근(12)과 배근하여 일정 길이의 철근 구조물(10)을 조립하게 된다. 물론, 상기 횡방향 철근(12)은 각 수직 철근(11)이 관통되는 평판의 플레이트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한 작업에 의한 철근 구조물(10)이 완성되면 이 철근 구조물(10)의 상측(도면상 좌측)을 크레인에 연결한다. 이는 첨부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의 상태에서 구동부(300)의 동작 제어를 통해 받침프레임(200)을 점차 기립시킨다.
즉, 구동부(300)의 동작 제어에 의한 구동모터(310)의 구동이 이루어지면 상기 구동모터(310)의 구동력은 감속기(320)를 통해 감속된 상태로 이에 체인(330) 연결된 힌지축(230)으로 제공되면서 상기 힌지축(230)을 회전시키게 되며, 계속해서 상기 힌지축(230)의 회전에 의한 받침프레임(200)의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받침프레임(200)의 둘레받침용 프레임(210)이 첨부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차 기립되는 것이다.
이렇게 상기한 받침프레임(200)의 기립이 이루어질 경우 상기 각 받침대(110,120)에 얹혀있던 철근 구조물(10)은 점차 둘레받침용 프레임(210)에 얹히면서 각 받침대(110,120)로부터 이격되며, 이의 도중에서도 철근 구조물(10)을 이루는 수직방향 철근(11)은 저부받침용 프레임(220)에 구비된 각 가이드부(240)의 수용파이프(241) 내에 그 끝단이 수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점차 세워지게 된다.
이러한 받침프레임(200)의 기립 조작은 해당 작업자가 각도표시기를 보면서 리모트콘트롤러의 조작을 통해 수행되며, 이 조작에 의해 받침프레임(200)이 설정된 각도만큼 기립되면 구동부(300)의 구동을 중지시킨다.
이때, 상기 설정된 각도라 함은 실질적으로 둘레받침용 프레임(210)이 완전히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가 아닌 저부받침용 프레임(220)부만 지면으로부터 수평하게 눕혀진 상태를 이루는 각도이며, 이의 경우 상기 철근 구조물(10)은 둘레받침용 프레임(210)에 얹힌 상태로 유지되면서 거의 지면으로부터 수직한 각도만큼 세워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철근 구조물(10)은 점차적으로 세워지는 작업에도 불구하고 어느 한 부위가 과도하게 처지거나 휨에 의한 변형 및 손상 발생은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철근 구조물(10)이 전술된 바와 같이 세워지면 크레인을 이용하여 상기 철근 구조물(10)을 상부로 들어올림으로써 상기 철근 구조물(10)의 각 수직방향 철근(11)들이 상기 각 가이드부(240)의 수용파이프(241)로부터 원활히 분리될 수 있으며, 이후 지면에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로 설치된다. 만일 상기 철근 구조물(10)의 로딩 전에 하나 이상의 여타 철근 구조물(10)이 지면에 설치된 상태라면 상기 철근 구조물(10)은 그 이전에 설치된 철근 구조물(10)의 직상방에 적층되도록 제공된다.
결국, 전술된 각 과정의 반복에 의해 복수의 철근 구조물(10)에 대한 조립 및 순차적인 적층 설치가 이루어지며, 이후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철근콘크리트 기둥이 완성된다.
이렇듯, 본 발명의 철근 구조물 로딩장치는 철근 구조물(10)을 눕혀진 상태로 조립한 후 곧장 기립시킬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전체적인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의 철근 구조물 로딩장치는 눕혀진 상태로 조립된 철근 구조물(10)을 기립시키는 도중 둘레받침용 프레임(210)에 해당 철근 구조물(10)이 눕혀진 상태로 얹히도록 구성됨에 따라 상기 철근 구조물(10)의 기립시 휨이나 처짐에 의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철근 구조물 로딩장치는 철근 구조물(10)의 하단측 끝단 부위가 얹히는 저부받침용 프레임(220)에 복수의 가이드부(240)를 설치하고, 이 가이드부(240)를 이루는 수용파이프(241) 내로 상기 철근 구조물(10)을 이루는 각 수직방향 철근(11)의 일부가 수용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해당 철근 구조물(10)의 기립시 이 철근 구조물(10)이 받침프레임(200)로부터 원치않게 이탈됨은 방지된다. 특히, 상기 가이드부(240)를 이루는 높낮이 조절부재(242)는 수용파이프(241) 내에 위치되는 수직방향 철근(11)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각 수직방향 철근(11)들의 높낮이 위치를 정확하게 일치시킬 수 있어서 여타 철근 구조물(10)과의 적층시 야기되는 높낮이 차이로 인한 오조립 현상은 방지될 수 있다.
10. 철근 구조물 11. 수직방향 철근
12. 횡방향 철근 100. 베이스프레임
110. 전방 받침대 120. 내측 받침대
130. 보조다리부재 140. 받침부재
200. 받침프레임 210. 둘레받침용 프레임
211. 통과공 220. 저부받침용 프레임
230. 힌지축 240. 가이드부
241. 수용파이프 242. 높낮이 조절부재
300. 구동부 310. 구동모터
320. 감속기 330. 체인

Claims (5)

  1. 지면에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면에 누운 상태로 위치되거나 혹은, 세워진 상태로 위치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철근 구조물을 세우는 과정에서 상기 철근 구조물이 얹힌 상태로 받쳐주면서 철근 구조물의 특정 부위에 대한 처짐을 방지하는 받침프레임;
    상기 받침프레임을 회전시켜 기립하거나 혹은, 눕히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프레임은 상기 철근 구조물의 어느 한 둘레측 부위를 받쳐주는 둘레받침용 프레임과, 상기 철근 구조물의 저부를 받쳐주는 저부받침용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둘레받침용 프레임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과공이 관통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면에는 상기 둘레받침용 프레임이 눕혀진 상태를 이룰 경우 상기 둘레받침용 프레임의 통과공을 관통하여 상기 둘레받침용 프레임의 상부로 노출되게 형성되면서 철근 구조물을 받쳐주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받침대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구조물 로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후방측 양측면에는 상기 받침프레임의 기립시 넘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보조다리부재가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구조물 로딩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프레임은 상기 철근 구조물의 어느 한 둘레측 부위를 받쳐주는 둘레받침용 프레임과, 상기 철근 구조물의 저부를 받쳐주는 저부받침용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저부받침용 프레임에는 철근 구조물을 이루는 각 철근의 끝단 부위가 수용되면서 정위치로 유지하도록 안내하는 복수의 가이드부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구조물 로딩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가이드부는 상기 저부받침용 프레임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면서 선단으로 상기 철근의 끝단 부위가 수용되도록 파이프 구조로 이루어진 수용파이프와,
    상기 수용파이프의 후단을 통해 상기 수용파이프 내에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상기 각 철근의 끝단 위치를 결정하는 높낮이 조절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구조물 로딩장치.
KR1020170082295A 2017-06-29 2017-06-29 철근 구조물 로딩장치 KR1020993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2295A KR102099379B1 (ko) 2017-06-29 2017-06-29 철근 구조물 로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2295A KR102099379B1 (ko) 2017-06-29 2017-06-29 철근 구조물 로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012A KR20190002012A (ko) 2019-01-08
KR102099379B1 true KR102099379B1 (ko) 2020-04-10

Family

ID=65021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2295A KR102099379B1 (ko) 2017-06-29 2017-06-29 철근 구조물 로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937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5361Y1 (ko) * 2002-05-24 2002-08-13 감로건설(주) 지지봉 리프트장치
JP2016030904A (ja) * 2014-07-26 2016-03-07 大成建設株式会社 コンクリート柱部材の型枠システム、および、コンクリート柱部材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4214A (ja) * 1993-04-07 1994-10-21 Taisei Corp 柱鉄筋先組用治具
JP3241864B2 (ja) * 1993-05-19 2001-12-25 ミサワホーム株式会社 壁の建て起こし装置
KR100235117B1 (ko) 1997-09-12 1999-12-15 김헌출 알씨 기둥용 기성철망조립체 및 그것을 이용한 기둥시공방법
KR100245056B1 (ko) 1997-09-12 2000-02-15 김헌출 철근콘크리트기둥용 기성철근조립체 및 그를 이용한 기둥의 시공방법
KR20100031233A (ko) 2008-09-12 2010-03-22 (주)화인테크 철근콘크리트 기둥용 철근망의 선조립 방법
KR101381866B1 (ko) 2012-07-19 2014-04-04 (주)센벡스 ㄱ형강을 이용한 선조립 철골철근콘크리트 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5361Y1 (ko) * 2002-05-24 2002-08-13 감로건설(주) 지지봉 리프트장치
JP2016030904A (ja) * 2014-07-26 2016-03-07 大成建設株式会社 コンクリート柱部材の型枠システム、および、コンクリート柱部材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012A (ko) 2019-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82966A (ko) 높이 조절이 용이한 구조물 수리용 이동식 가설기둥
KR102144434B1 (ko) 커튼월 설치용 가시설장치 및 커튼월 설치용 가시설장치의 설치방법
US10829927B2 (en) Vertical slip form construction system with multi-function platform, and method of constructing a building therewith
KR101567628B1 (ko) 증고 및 증층을 위한 잭업장치
KR102099379B1 (ko) 철근 구조물 로딩장치
CN110886332A (zh) 墙体基础托换装置及其施工方法
JP2018044318A (ja) サイロ屋根部の構築方法およびサイロ屋根構造
JP4623570B2 (ja) ジャッキベース及び型枠支保工の施工方法
JP5840914B2 (ja) 新旧建物一体化曳き屋工法
JP6508958B2 (ja) 解体システムおよび解体方法
JP2010090633A (ja) 筒型コンクリート構造物用の組立式作業足場
JP6684572B2 (ja) 鉄筋支持装置及び鉄筋組立方法
JP5368040B2 (ja) 免震化工事における水平力拘束方法
JP2018096163A (ja) 建物の構築方法
JP6508959B2 (ja) 解体システムおよび解体方法
JPH0849235A (ja) 構真柱建て込み工法における傾斜調整装置
JP6329765B2 (ja) スリップフォーム工法における施工高さの管理方法
JP2018123559A (ja) 不同沈下した建物の傾斜修復方法
JP7275793B2 (ja) 位置調整装置及び構真柱の位置調整方法
KR101692151B1 (ko) 측압지지보 겸용 데크 지지프레임
JP2019157513A (ja) タンク底版の施工方法および底版架台
JP2020084467A (ja) ビル免震装置
JPH055391A (ja) 構真柱建込架台
JP2015007317A (ja) 柱鉄筋の建て込み装置
CN110872843B (zh) 基坑型钢格构柱的垂直度控制的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