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1300B1 - 전동 윈치가 구비된 그레이팅 핸들링 장치 - Google Patents

전동 윈치가 구비된 그레이팅 핸들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1300B1
KR100821300B1 KR1020070026628A KR20070026628A KR100821300B1 KR 100821300 B1 KR100821300 B1 KR 100821300B1 KR 1020070026628 A KR1020070026628 A KR 1020070026628A KR 20070026628 A KR20070026628 A KR 20070026628A KR 100821300 B1 KR100821300 B1 KR 1008213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ting
lift arm
electric winch
wire
hand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6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영
박유재
이승호
김수호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266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13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1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13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61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characterised by having a lifting ji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8Load gripping or retain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레이팅의 설치 및 해체 작업용 그레이팅 핸들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성은 양측으로 받침대(111)가 구비된 이동플랫폼(11)과 상기 받침대(111) 하면에 고정되어 양측으로 지지하는 하부지주(12)로 구성된 이송부(10)와; 상기 받침대(111) 상면에 하부지주(12) 사이에 고정된 수직지주(24)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제1리프트암(22)의 일측에는 지지브라켓(221)이 고정되고 타측에는 힌지(222)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제2리프트암(23)이 설치되며, 상기 제2리프트암(23)의 끝단에 구비된 와이어(25)로 구성된 핸들링부(20)와; 상기 와이어(25)의 끝단에 설치된 지그부(30)로 구성되는 그레이팅 핸들링 장치에 있어서, 제1리프트암(22)의 일측에는 구비된 지지브라켓(221)에 웨이트밸런스(21)가 설치되고 상기 웨이트밸런스(21) 상부에 밧데리(26)가 설치되며, 상기 제2리프암(23)의 끝단에는 상기 와이어(25)를 상하이동시키기 위한 전동윈치(27)가 설치되는 구성으로 본 발명의 그레이팅 설치/해체 작업용 장비는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으며, 핸들링이 용이하고 협소한 지역에서 작업이 가능한 장비로써 작업 능률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그레이팅, 웨이트밸런스, 이동플랫폼, 전동윈치

Description

전동 윈치가 구비된 그레이팅 핸들링 장치{Grating handling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윈치가 구비된 그레이팅 핸들링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윈치가 구비된 그레이팅 핸들링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윈치가 구비된 그레이팅 핸들링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윈치가 구비된 그레이팅 핸들링 장치의 우측면도이고,
도 5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윈치가 구비된 그레이팅 핸들링 장치를 이용하여 그레이팅을 설치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실시예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이송부 11 : 이동플랫폼
12 : 하부지주 20 : 리프팅부
21 : 웨이트밸런스 22 : 제1리프트암
23 : 제2리프트암 24 : 수직지주
25 : 와이어 26 : 밧데리
27 : 전동윈치 30 : 지그부
40 : 그레이팅 111 : 받침대
221 : 지지브라켓 222 : 힌지
본 발명은 그레이팅(Grating)의 설치 및 해체 작업용 전동윈치가 구비된 그레이팅 핸들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동팔레트 트럭과 장비 전복을 방지하기 위한 웨이트밸런스, 회전 암 및 전동 윈치로 구성되며, 전동팔레트 트럭의 편리한 이동 방법과 회전 암 끝단에 그레이팅을 용이하게 리프팅 할 수 있는 전동 윈치를 결합함과 동시에 장비 크기를 최적화함으로서 협소한 지역에서도 이동 및 핸들링이 용이한 전동 윈치가 구비된 그레이팅 핸들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블록 단계에서의 최초 그레이팅 설치는 간섭물이 없는 관계로 크레인을 사용하여 설치하지만, 이후 그레이팅 해체 및 재설치 작업은 전량 작업자 2~4인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종래의 경우 2~4명의 작업자가 전량 수작업으로 진행하였으며, 이로 인한 설치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 및 안전사고 등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작업자의 안전사고 발생을 줄이고, 작업의 생산성 및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장비 개발이 요구되어 진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전동팔레트 트럭과 장비 전복을 방지하기 위한 웨이트밸런스, 회전 암 및 전동 윈치로 구성되며, 전동팔레트 트럭의 편리한 이동 방법과 회전 암 끝단에 그레이팅을 용이하게 리프팅 할 수 있는 전동 윈치를 결합함과 동시에 장비 크기를 최적화함으로서 협소한 지역에서도 이동 및 핸들링이 용이한 전동 윈치가 구비된 그레이팅 핸들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양측으로 받침대(111)가 구비된 이동플랫폼(11)과 상기 받침대(111) 하면에 고정되어 양측으로 지지하는 하부지주(12)로 구성된 이송부(10)와; 상기 받침대(111) 상면에 하부지주(12) 사이에 고정된 수직지주(24)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제1리프트암(22)의 일측에는 지지브라켓(221)이 고정되고 타측에는 힌지(222)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제2리프트암(23)이 설치되며, 상기 제2리프트암(23)의 끝단에 구비된 와이어(25)로 구성된 핸들링부(20)와; 상기 와이어(25)의 끝단에 설치된 지그부(30)로 구성되는 그레이팅 핸들링 장치에 있어서, 제1리프트암(22)의 일측에는 구비된 지지브라켓(221)에 웨이트밸런스(21)가 설치되고 상기 웨이트밸런스(21) 상부에 밧데리(26)가 설치되며, 상기 제2리프암(23)의 끝단에는 전동윈치(27)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윈치가 구비된 그레이팅 핸들링 장치의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윈치가 구비된 그레이팅 핸들링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윈치가 구비된 그레이팅 핸들링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윈치가 구비된 그레이팅 핸들링 장치의 우측면도이고, 도 5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윈치가 구비된 그레이팅 핸들링 장치를 이용하여 그레이팅을 설치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실시예도이다.
본 발명의 전동 윈치가 구비된 그레이팅 핸들링 장치는 특허출원 제 2007-0023279의 개량 발명으로서,이송을 편리하게 하기 위한 이송부(10)와 장비의 전복방지를 위한 웨이트밸런스(21)를 사용한 핸들링부(20) 및 상기 핸들링부(20) 끝단에 와이어로 연결된 지그부(30)로 구성되며, 상기 이동부(10)는 핸들링이 용이하도록 전동팔레트트럭인 이동플랫폼(11)을 사용한다
상기 이송부(10)는 양측으로 받침대(111)가 구비된 이동플랫폼(11) 즉 이동이 가능한 전동팔렛트 트럭을 이용하여 하기에 기재될 핸들링부(20)를 이동시키는 기능을 하며 상기 받침대(111) 하면에 고정되어 양측으로 지지하는 하부지주(12)는 그레이팅(40)을 설치 및 해체 작업시 전복을 방지하기 위한 기능이 있다.
상기 핸들링부(20)는 상기 받침대(111) 상면에 하부지주(12) 사이에 고정된 수직지주(24)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수직지주(24)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일측에는 지지브라켓(221)에 그레이팅(40)의 하중을 지탱하여 그레이팅(40) 로딩 시 장비의 전복을 방지하기 위한 웨이트밸런스(21)가 설치되고 상기 웨이트밸런스(21) 상부에는 후술할 전동윈치(27)를 구동하기 위한 12V 배터리(26)가 구비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힌지(222)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제2리프트암(23)이 설치된 제1 리프트암(22)이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제1리프트암(22)과 제2리프트암(23)의 회전되는 반경 즉 작업반경내에 그레이팅(40)를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그레이팅(40)을 연결시켜 주도록 상기 제2리프트암(23)의 끝단에 그레이팅 상승 및 하강을 하기 위한 모터(미도시)가 구비된 전동윈치(27)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전동윈치(27)에 의해 와이어(25)를 상하로 이송시킴으로서 상기 그레이팅(40)을 상하로 상승 및 하강시키게 된다.
상기 와이어(25)의 끝단에 설치된 지그부(30)는 그레이팅(40)을 안전하게 클램핑 할 수 있도록 훅(Hook) 타입으로 그레이팅(40) 4곳을 클램핑하게 된다.
도 5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그레이팅 핸들링 장치를 이용하여 그레이팅을 설치순서를 나타내는 실시예도로 그레이팅 핸들링 장치 적용 후 작업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그레이팅 핸들링 장치는 전동 팔레트카인 이동플랫품(11)로 이동시키고, 상기 이동플랫폼(11)에 설치된 리프트암인 제1리프트암(22)와 제2리프트암(23)의 좌/우 움직임은 작업자에 의하여 움직이지만 상하로 움직일 때에는 전동윈치(27)에 의해 상하이송하도록 되어 있어 간편하게 그레이팅(40)를 상승 및 하강시킬 수 있으며, 부하는 전동장치(27)의 부착된 용량에 의해 결정되고 장비 전복을 방지하기 위한 웨이트밸런스(21)에 의해 들어올릴 수 있는 그레이팅(40)의 무게가 결정된다.
우선,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레이팅 설치/해체 작업이 있는 장소에 본 발명의 그레이팅 핸들링 장치를 이동시키고,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작업 대상물 인 그레이팅으로 본 발명의 그레이팅 핸들링 장치를 이동시킨다.
상기 그레이팅 핸들링 장치를 이동시킨 후 도 7과 같이 리프트 암인 제1리프트암(22)와 제2리프트암(23)을 작업 대상물 즉 그레이팅(40)의 센터 근처로 회전시키는데 이와 같은 회전은 작업자 핸들링에 의해 이동되고 부하 2kg 미만으로 하여야 하며, 또한, 지그부(Hook Type : 30)를 그레이팅 4곳에 설치하도록 한다.
그 후에는 도 8처럼 전동윈치(27)로 작동하여 그레이팅(40)을 상승시킨 이후에 그레이팅(40)이 설치되었던 곳에서 기타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작업 완료 후 도 9와 같이 전동윈치(27)로 작동하여 그레이팅(40)을 하강시키고, 원위치에 재설치하게 된다.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작업 반경 내 다음 작업 대상물인 그레이팅(40)으로 리프트 암인 제 1리프트암(22)와 제2리프트암(23)을 회전하여 동일한 작업 수행하고 작업 반경 내 작업 대상물인 그레이팅(40)이 없을 경우 그레이팅 핸들링 장치를 이동하여 상기에서 설명한 작업방법대로 동일한 작업을 반복수행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그레이팅 설치/해체 작업용 장비는 작 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으며, 핸들링이 용이하고 협소한 지역에서 작업이 가능한 장비로써 작업 능률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양측으로 받침대(111)가 구비된 이동플랫폼(11)과 상기 받침대(111) 하면에 고정되어 양측으로 지지하는 하부지주(12)로 구성된 이송부(10)와; 상기 받침대(111) 상면에 하부지주(12) 사이에 고정된 수직지주(24)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제1리프트암(22)의 일측에는 지지브라켓(221)이 고정되고 타측에는 힌지(222)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제2리프트암(23)이 설치되며, 상기 제2리프트암(23)의 끝단에 구비된 와이어(25)로 구성된 핸들링부(20)와; 상기 와이어(25)의 끝단에 설치된 지그부(30)로 구성되는 그레이팅 핸들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리프트암(22)의 지지브라켓(221)에 설치된 웨이트밸런스(21)의 상부에는 밧데리(26)가 설치되며,
    상기 제2리프암(23)의 끝단에는 상기 와이어(25)를 상하이동시키기 위한 전동윈치(27)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윈치가 구비된 그레이팅 핸들링 장치.
KR1020070026628A 2007-03-19 2007-03-19 전동 윈치가 구비된 그레이팅 핸들링 장치 KR1008213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6628A KR100821300B1 (ko) 2007-03-19 2007-03-19 전동 윈치가 구비된 그레이팅 핸들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6628A KR100821300B1 (ko) 2007-03-19 2007-03-19 전동 윈치가 구비된 그레이팅 핸들링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1300B1 true KR100821300B1 (ko) 2008-04-14

Family

ID=39534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6628A KR100821300B1 (ko) 2007-03-19 2007-03-19 전동 윈치가 구비된 그레이팅 핸들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13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3119B1 (ko) 2017-02-08 2017-11-02 대호 (주) 써레 하차용 기중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91796A (ja) * 1992-10-28 1994-07-12 Komatsu Ltd 高所作業車
KR20010001542U (ko) * 1999-06-29 2001-01-15 추호석 그레이팅 탑재 전용 클램프
KR200299763Y1 (ko) 2002-08-16 2003-01-06 소의열 크레인이 장착된 지게차
KR20030086462A (ko) * 2003-09-08 2003-11-10 주식회사 뉴엔지니어링 싱글 링크형 에어 밸런서
KR100674215B1 (ko) 2005-11-21 2007-01-25 정제용 자주 기능을 가진 로드셀 컨트롤식 무중력 전기모터 구동식리프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91796A (ja) * 1992-10-28 1994-07-12 Komatsu Ltd 高所作業車
KR20010001542U (ko) * 1999-06-29 2001-01-15 추호석 그레이팅 탑재 전용 클램프
KR200299763Y1 (ko) 2002-08-16 2003-01-06 소의열 크레인이 장착된 지게차
KR20030086462A (ko) * 2003-09-08 2003-11-10 주식회사 뉴엔지니어링 싱글 링크형 에어 밸런서
KR100674215B1 (ko) 2005-11-21 2007-01-25 정제용 자주 기능을 가진 로드셀 컨트롤식 무중력 전기모터 구동식리프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3119B1 (ko) 2017-02-08 2017-11-02 대호 (주) 써레 하차용 기중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653092U (zh) 带板材托架的塔式起重机
CN205443944U (zh) 一种用于预制立柱单机吊装的翻转装置
CN103420264A (zh) 拉伸机钳口夹具装置及安装方法
KR20180053977A (ko) 전력 케이블 인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전선로의 바이패스 공법
CN111285262A (zh) 一种用于无人起重机的钢卷吊具装置及其工作方法
KR100821300B1 (ko) 전동 윈치가 구비된 그레이팅 핸들링 장치
CN205773185U (zh) 一种用于翻转预制混凝土板的装置
CN210340141U (zh) 一种房屋建筑工程吊装设备
CN116216493A (zh) 一种负环管片吊装拆除组件和拆除方法
KR101090451B1 (ko) 사장교 주탑 시공 방법.
KR200285361Y1 (ko) 지지봉 리프트장치
CN210457190U (zh) 一种可翻转式绕组定子铁芯吊具结构
CN207973419U (zh) 一种用于装配式钢支撑拆装的吊装机
CN111392565A (zh) 一种港口吊装机械臂
EP2133220A1 (en) Apparatus for lifting and positioning vehicle wheels
CN113213346A (zh) 一种长枕埋入式无砟轨道床板钢筋吊运装置及使用方法
KR20130000861A (ko) 샤프트 탑재용 대차
CN211366767U (zh) 一种大型金属结构件起吊装置
CN201660407U (zh) 研瓦用简易旋转吊架
CN204549893U (zh) 一种辅助起重机臂架铰支座轴承更换的起重系统
CN204546100U (zh) 一种大型钢套工件翻转装置
CN219860128U (zh) 一种板件翻转吊具
CN212669077U (zh) 一种单缸柴油机组组装升降台
CN213356748U (zh) 一种可调节吊臂角度的吊运装置
CN210260905U (zh) 一种工程机械维修用吊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