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8462A - 건축용 자재 인양 박스 - Google Patents

건축용 자재 인양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8462A
KR20120018462A KR1020100081294A KR20100081294A KR20120018462A KR 20120018462 A KR20120018462 A KR 20120018462A KR 1020100081294 A KR1020100081294 A KR 1020100081294A KR 20100081294 A KR20100081294 A KR 20100081294A KR 20120018462 A KR20120018462 A KR 201200184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ing plate
box
lifting
box body
lifting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1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종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근하기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근하기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근하기공
Priority to KR10201000812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18462A/ko
Publication of KR20120018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84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12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26Hoppers, i.e. containers having funnel-shaped discharge sections
    • B65D88/30Hoppers, i.e. containers having funnel-shaped discharge sections specially adapted to facilitate transportation from one utilisation site to an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 B66B9/187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with a liftway specially adapted for temporary connection to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4Conveying or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사 현장에서 사용되는 철근 등의 건축용 자재들을 담아 시공층까지 인양하며, 자재들을 쏟거나 꺼낼 필요 없이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편의성을 높인 건축용 자재 인양 박스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둘레에 상방으로 돌출된 인양고리가 형성된 건축용 자재들을 쌓아 놓는 판상의 적재판과, 상부 둘레에 상기 적재판의 인양고리가 삽입되는 인양고리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적재판 위를 덮도록 하부가 개방된 박스 몸체로 구성된 건축용 자재 인양 박스를 제공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판상의 적재판 위에 건축용 자재들을 쌓아 놓은 것이기 때문에 적재된 건축용 자재들을 쏟거나 박스 속에서 밖으로 들어 올려 꺼내 써야 하는 불편함 없이 바로 가져다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인양 시에는 적재판 위에 쌓여 있는 자재들과 함께 적재판의 인양고리가 박스 몸체의 인양고리홈에 삽입되도록 적재판 위를 하부가 개방된 박스 몸체로 덮은 후에야 적재판의 인양고리에 크레인이 연결되어 인양되는 것이어서 강풍에 의한 흔들림이나 충격에도 적재된 자재들의 낙하는 덮어진 박스 몸체가 방지함으로 안전한 인양이 가능하게 되는 유용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건축용 자재 인양 박스{Building Materials Lifting Box}
본 발명은 건축용 자재 인양 박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사 현장에서 사용되는 철근 등의 건축용 자재들을 담아 시공층까지 인양하며, 자재들을 쏟거나 꺼낼 필요 없이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편의성을 높인 건축용 자재 인양 박스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건축 현장에서 거푸집을 벽체에 고정하거나 보강하기 위해 많은 철근, 철봉 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건축용 자재들을 시공층에서 사용하기 위하여 도 1과 같이 자재들을 서로 역어서 고리를 형성하고, 이러한 고리를 타워 크레인 등에 걸어 시공층까지 인양하여 사용하였으나 인양 중 자재의 낙하 위험이 매우 높고, 안전에 문제가 많아 육면체의 자재 박스를 사용하여 인양하도록 권장하고 있으나 육중한 자재 박스를 쏟는데 큰 힘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자재 박스 내에서 자재들이 뒤엉켜 잘 쏟아지지도 않고 자재 박스 내에서 자재들을 꺼내 쓰기가 번거로워 실질적으로 자재 박스가 잘 사용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자재 박스의 밑면이 개폐되는 자재 박스가 제안된바 있으며, 그 대표적인 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93052호(발명의 명칭 : 자재 이송용 박스 ; 이하 '인용발명'이라 함)가 있다.
이러한 인용발명은 도 2로 도시한 바와 같이, 각종 자재를 이송할 수 있도록 적재부를 갖고 상부 개방형 박스체로 이루어지는 박스(1)와, 상기 박스(1)가 윈치와 연결된 와이어(8,8a)로 연결되는 자재 이송용 박스(1)에 있어서, 상기 박스(1)의 하부에서 좌우 힌지(3)에 의해 각 운동 개폐가 가능하게 좌우 분할 설치되며 수개의 로울러(10)를 저면부에 축설치한 개폐문(2)과, 상기 개폐문(2)상의 힌지 연결부가 개폐문(2) 개방 시에 연접 스톱핑될 수 있도록 박스(1)의 좌우측 하단에 형성되는 스토퍼(4)와, 상기 개폐문(2)의 양단에서 연결구(6)와 연결 설치되는 연결간(5)과, 상기 연결구(6)에 일단이 연결되며 타단은 박스(1) 상단부에 고정된 스프링(7)과, 상기 연결구(6)에는 윈치와 연결되는 와이어(8) 단부의 훅(9)이 선택적으로 훅킹 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인용발명 역시 연결간(5), 연결구(6), 스프링(7) 중 어느 하나만 파손되거나 인양 시 광풍 등으로 인한 충돌 시 충격에 의하여 개폐문(2)이 개방될 수 있어서 여전히 낙하의 위험성이 존재할 뿐만 아니라 인양 후 일정 높이에서 개폐문(2)을 개방하여 내부에 담겨진 자재들을 쏟아야 하기 때문에 이 때 큰 소음과 분진 등이 발생할 수 있고, 사용 후 남을 자재들을 다시금 갈무리해야 하며, 쏟을 때 자재의 파손 또는 튕기게 될 위험성이 그대로 존재하므로 종래의 문제점을 모두 해소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93052호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건설 현장에서 건축용 자재들을 시공층까지 안전한 인양이 가능하며, 자재들을 쏟거나 꺼낼 필요 없이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편의성을 높인 건축용 자재 인양 박스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둘레에 상방으로 돌출된 인양고리가 형성된 건축용 자재들을 쌓아 놓는 판상의 적재판과, 상부 둘레에 상기 적재판의 인양고리가 삽입되는 인양고리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적재판 위를 덮도록 하부가 개방된 박스 몸체로 구성되어 인양 시에만 적재된 자재들과 함께 상기 적재판 위를 상기 박스 몸체로 덮어서 인양되도록 구성된 건축용 자재 인양 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판상의 적재판 위에 건축용 자재들을 쌓아 놓은 것이기 때문에 적재된 건축용 자재들을 쏟거나 박스 속에서 밖으로 들어 올려 꺼내 써야 하는 불편함 없이 바로 가져다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인양 시에는 적재판 위에 쌓여 있는 자재들과 함께 적재판의 인양고리가 박스 몸체의 인양고리홈에 삽입되도록 적재판 위를 하부가 개방된 박스 몸체로 덮은 후에야 적재판의 인양고리에 크레인이 연결되어 인양되는 것이어서 강풍에 의한 흔들림이나 충격에도 적재된 자재들의 낙하는 덮어진 박스 몸체가 방지함으로 안전한 인양이 가능하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1은 건설 현장에서 사용되는 건축용 자재 뭉치 사진.
도2는 인용발명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3,4는 본 발명에 의한 건축용 자재 인양 박스의 전체적인 구성을 예시하는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건축용 자재 인양 박스의 작용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6,7은 본 발명에 의한 건축용 자재 인양 박스의 다른 실시예를 예시하는 사시도.
이러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건축용 자재 인양 박스의 구체적인 실시예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 3과 도 4로 도시하였다.
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건축용 자재 인양 박스는 둘레에 상방으로 돌출된 인양고리(21)가 형성된 건축용 자재들을 쌓아 놓는 판상의 적재판(20)과,
상기 적재판(20)과 분리 가능하며, 상부 둘레에 상기 적재판(20)의 인양고리(21)가 삽입되는 인양고리 홈(31)이 형성되고, 상기 적재판(20) 위를 덮도록 하부가 개방된 박스 몸체(30)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각 구성요소별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전술한 적재판(20)은 도 3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판상이며, 지면에 접하는 하면에 다리가 형성될 수 있고, 상면에 건축용 자재들이 적재되며, 상면 둘레의 모퉁이 각각에 고리의 형태로 상방으로 돌출됨과 아울러 인양 시 크레인과 연결되어 적재판(20)이 인양되도록 하는 인양고리(2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박스 몸체(30)는 도 3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적재판(20)과 독립적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지면을 향하는 하부가 개방되어 있는 박스 형태로 상부의 돌출된 둘레에 상기 적재판(20)의 인양고리(21)가 삽입, 통과될 수 있는 인양고리 홈(31)이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상부에 박스 몸체(30)만 단독으로 인양될 수 있도록 박스 고리(3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자재 인양 박스는 상기 박스 몸체(30)가 분리되어 있는 적재판(20) 위에 건축용 자재들을 쌓아 놓게 되며, 이때에는 적재판(20)의 둘레가 박스 몸체(30)로 차단되어 있는 상태가 아니므로 종래의 도 1과 다를 바 없이 쌓여 있는 자재들의 측면에서 철근, 벽돌 등의 자재를 바로 가져다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자재들을 쏟거나 박스 속에 있는 자재들을 들어 올려 꺼낼 필요가 없게 되므로 편의성이 향상된다.
또한 이와 같이 상기 박스 몸체(30)가 분리된 적재판(20) 위에 쌓여 있는 자재들을 인양할 때에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적재된 자재들과 함께 적재판(20) 위를 상기 박스 몸체(30)로 덮으면서 박스 몸체(30)의 인양고리 홈(31)에 적재판(20) 상면 둘레의 모퉁이 각각에 돌출 형성된 상기 인양고리(21)를 삽입, 통과시켜 인양고리 홈(31)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한 상태로 결합된 후 인양고리 홈(31)으로부터 돌출된 인양고리(21)의 고리부분을 통해 크레인과 연결되도록 하므로 인양고리(21)들이 인양고리 홈(31)을 통해 박스 몸체(30)를 조이면서 적재판(20), 적재판(20) 위에 쌓여 있는 자재들, 적재판(20) 위에서 자재들을 감싸며 인양고리(21)들에 의해 조임 고정되어 있는 박스 몸체(30) 모두를 함께 인양하게 되는 것이며, 이에 따라 적재판(20) 위에 쌓여 있는 자재들은 모든 면이 차단되어있어서 낙하가 방지될 뿐만 아니라 인양 중 강풍에 의한 흔들림이나 충격에도 안전하게 인양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안전한 인양이 완료된 후에는 박스 몸체(30)만 탈거하여 다시금 자재들을 용이하게 가져다가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이러한 본 발명의 건축용 자재 인양 박스의 구체적인 사용예를 도 5로 도시하였다.
여기에서 적재판(20)과 박스 몸체(30)의 결합력을 보강하여 더욱 안전한 인양이 가능하도록 적재판(20)에 박스 몸체(30)를 고정하는 고정구(40)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으며, 일예로 전술한 고정구(40)는 박스 몸체(30)의 외부에 돌출 형성된 돌기(41)와, 상기 적재판(20)에 형성되어 상기 돌기(41)가 걸려 지지되는 후크(42)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박스 몸체(30)가 적재판(20)에 결합되지 않은 상태로 인양되는 위험한 상황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인양고리(21)를 덮는 인양고리 커버(50)가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인양고리 커버(50)는 도 6과 도 7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되어 있고,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51)로 탄력 지지되며, 내부에 스토퍼(52)를 구비한 것으로,
상시에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탄성체(51)에 의해 인간의 힘으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없는 탄성력으로 탄력 지지되는 동시에, 내부에 형성된 스토퍼(52)가 인양고리(21)의 고리부 하단에 걸려 분리가 방지되며 인양고리(21) 전부를 덮고 있어서 인양고리(21)에 크레인을 연결할 수 없게 함으로 인양을 방지하며,
인양 시에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적재판(20) 위를 상기 박스 몸체(30)로 덮으면서 박스 몸체(30)의 인양고리 홈(31)에 상기 인양고리(21)를 삽입, 통과시키면 인양고리(21)를 덮고 있는 인양고리 커버(50)는 인양고리 홈(31)의 둘레에 걸려 박스 몸체(30)와 함께 하강되어 인양고리(21) 상단의 고리부가 인양 가능하도록 노출되므로 노출된 인양고리(21)의 고리부에 크레인을 연결하여 안전하게 인양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적재판(20)은 자재의 원활한 공급을 위해 건설 현장 곳곳에 구비되어야 한다. 그러나 안전을 위해 일정 이상의 중량을 갖으며, 적재판(20)과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고가인 박스 몸체(30)는 인양 시에만 사용되는 것이기 때문에 다수의 적재판(20)과 짝을 이루도록 모두 구비할 필요 없이 사용되는 크레인의 수만큼의 소량만 구비하면 되기 때문에 본 발명은 종래의 자자 박스를 사용하는 것보다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의도하는 요지 및 개념 내에서 다양하게 변화시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20:적재판 21:인양고리 30:박스 몸체
31:인양고리 홈 32:박스 고리 40:고정구
41:돌기 42:후크 50:인양고리 커버
51:탄성체 52:스토퍼

Claims (5)

  1. 둘레에 상방으로 돌출된 인양고리가 형성된 건축용 자재들을 쌓아 놓는 판상의 적재판과,
    상부 둘레에 상기 적재판의 인양고리가 삽입되는 인양고리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적재판 위를 덮도록 하부가 개방된 박스 몸체로 구성되어 인양 시에만 적재된 자재들과 함께 상기 적재판 위를 상기 박스 몸체로 덮어서 인양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자재 인양 박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 몸체는 상단에 박스 몸체만을 인양하기 위한 박스 고리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자재 인양 박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판의 인양고리는 탄성체로 탄력 지지되고, 내부에 스토퍼를 구비한 상부 개방형 인양고리커버로 덮여 있으며, 상기 박스 몸체가 적재판 위를 덮어 적재판의 인양고리가 인양고리 홈에 삽입될 때 상기 인양고리커버가 인양고리 홈의 둘레에 걸려 박스 몸체와 함께 하강되어 인양고리가 인양 가능하도록 노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자재 인양 박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판과 박스 몸체를 고정하는 고정구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자재 인양 박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상기 박스 몸체의 외부에 돌출 형성된 돌기와,
    상기 적재판에 형성되어 상기 돌기가 걸려 지지되는 후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자재 인양 박스.
KR1020100081294A 2010-08-23 2010-08-23 건축용 자재 인양 박스 KR201200184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1294A KR20120018462A (ko) 2010-08-23 2010-08-23 건축용 자재 인양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1294A KR20120018462A (ko) 2010-08-23 2010-08-23 건축용 자재 인양 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8462A true KR20120018462A (ko) 2012-03-05

Family

ID=46127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1294A KR20120018462A (ko) 2010-08-23 2010-08-23 건축용 자재 인양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1846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5544B1 (ko) 2017-04-17 2018-08-06 이준용 산업현장용 다용도 시스템 박스
KR102087903B1 (ko) 2019-10-14 2020-03-12 정옥순 건설자재 인양박스
KR20200059069A (ko) 2018-11-20 2020-05-28 박정윤 폐기물 또는 쓰레기 운반용 버킷의 도어 개폐장치
KR20200098836A (ko) * 2019-02-13 2020-08-21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최상층 자재인양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5544B1 (ko) 2017-04-17 2018-08-06 이준용 산업현장용 다용도 시스템 박스
KR20200059069A (ko) 2018-11-20 2020-05-28 박정윤 폐기물 또는 쓰레기 운반용 버킷의 도어 개폐장치
KR20200098836A (ko) * 2019-02-13 2020-08-21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최상층 자재인양 시스템
KR102087903B1 (ko) 2019-10-14 2020-03-12 정옥순 건설자재 인양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18462A (ko) 건축용 자재 인양 박스
CA2420905C (en) Device for transporting people by a spreader
JP5731311B2 (ja)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の吊上げ用治具
CN107082354B (zh) 自卸式运输吊笼及其施工方法
CN103958802A (zh) 负荷环箱子和铆固设备
KR101345143B1 (ko) 건축용 안전 데크 및 그 운용 방법
KR101976378B1 (ko) 구조적인 안전성을 갖는 샤클
KR100840276B1 (ko) 전기로의 원료 투입장치
KR101254502B1 (ko) 반자동 샤클
KR20160076616A (ko) 반자동 샤클
JP2003306291A (ja) 鋼板等の重量物吊上用係合具
CN204508512U (zh) 底部活页吊笼
JPH07109718A (ja) 石詰蛇篭の設置方法
CN207861707U (zh) 一种线材上料叉臂结构
JP5312191B2 (ja) 工事用昇降装置
KR200442937Y1 (ko) 호이스트용 체인박스 및 이를 구비한 체인 호이스트
KR102087903B1 (ko) 건설자재 인양박스
KR101126779B1 (ko) 반자동 샤클
KR100622450B1 (ko) 부자재 백 투입장치를 가진 고철장입 마그네트
CN107805982A (zh) 一种改进型轨道板起吊部件
KR20120005954U (ko) 거푸집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장치
AU2007100972A4 (en) Improvements to transportable lifting devices
SU482381A1 (ru) Контейнер-захват дл вертикальной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груза
JP2007145359A (ja) 工具類搬送容器、およびその蓋体
JP6313998B2 (ja) 電気チェーンブロ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