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2937Y1 - 호이스트용 체인박스 및 이를 구비한 체인 호이스트 - Google Patents

호이스트용 체인박스 및 이를 구비한 체인 호이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2937Y1
KR200442937Y1 KR20070016030U KR20070016030U KR200442937Y1 KR 200442937 Y1 KR200442937 Y1 KR 200442937Y1 KR 20070016030 U KR20070016030 U KR 20070016030U KR 20070016030 U KR20070016030 U KR 20070016030U KR 200442937 Y1 KR200442937 Y1 KR 2004429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n
hoist
box
inclined surface
reference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700160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익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케이
Priority to KR200700160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29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29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293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6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B66D1/74Capstans
    • B66D1/76Capstans having auxiliary drums or barrels for storing the ropes or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3/00Portable or mobile lifting or hauling appliances
    • B66D3/18Power-operated hoists
    • B66D3/26Other details, e.g. hou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2700/00Capstans, winches or hoists
    • B66D2700/02Hoists or accessories for hoists
    • B66D2700/023Hoists
    • B66D2700/025Hoists motor oper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호이스트의 몸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체인박스로서, 상부가 개방되어 체인을 수용할 수 있는 내부공간이 마련되며, 밑부분에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평형상태에서 상기 경사면의 하한점이 회동중심으로부터 중력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되는 가상의 수직기준선에서 한쪽편으로 벗어나는 구조를 갖는 박스 본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용 체인박스를 개시한다.
체인 호이스트, 체인박스, 중력방향, 체인, 후크

Description

호이스트용 체인박스 및 이를 구비한 체인 호이스트{Chain box for hoist and chain hoist having the same}
본 고안은 체인 호이스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권상모드시 체인을 안전하게 수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체인박스와 이를 구비한 체인 호이스트에 관한 것이다.
체인 호이스트는 무거운 하중물을 끌어 올려 이동시키는 작업에 사용되는 장치로서, 예컨대 등록실용신안 제417936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하중물을 걸기 위한 후크(Hook)와, 후크가 연결된 체인과, 체인을 권상하는 권상모터와, 권상과 함께 배출되는 체인을 수용하기 위한 체인박스를 구비한 형태로 제공된다.
그런데, 종래의 체인 호이스트는 하중물을 최대 권상지점까지 끌어 올렸을 때 하중물과 체인박스가 충돌하여 체인박스가 파손되는 일이 종종 발생하게 되어 이에 대한 대책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와 관련하여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5-395845호(호이스트의 권과 방지장치)에는 후크의 상승을 감지하기 위한 레버(Lever)와 이에 연동되는 리미트 스위치(Limit switch)를 호이스트 몸체에 설치하여 권과시 권상모터의 동력을 차단하거 나 제어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체인 호이스트의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체인박스가 장착되어야 하므로 감지 레버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의 확보가 용이하지 않아 종래의 권과 방지장치를 장착하기가 곤란한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권과로 인한 하중물과의 충돌시 회동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호이스트용 체인박스와 이를 구비한 체인 호이스트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하중물과의 충돌에 의한 회동시 체인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를 가진 호이스트용 체인박스와 이를 구비한 체인 호이스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체인 호이스트의 몸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체인박스와 이를 구비한 체인 호이스트를 개시한다.
본 고안에 따른 호이스트용 체인박스는 상부가 개방되어 체인을 수용할 수 있는 내부공간이 마련되며, 밑부분에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평형상태에서 상기 경사면의 하한점이 회동중심으로부터 중력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되는 가상의 수직기준선에서 한쪽편으로 벗어나는 구조를 갖는 박스 본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직기준선을 중심으로 다른쪽편에는 상기 박스 본체의 회동시 체인의 유출을 제한하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호이스트용 체인박스에 있어서, 상부 개방구의 테두리단에는 일정간격으로 체인걸림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하단에 후크가 연결된 체인을 권상하기 위한 권상모터를 구비한 호이스트 몸체; 및 회동 샤프트에 의해 상기 호이스트 몸체의 일측에 설치되어 권상에 의한 충격시 상방으로 회동되고, 상부가 개방되어 체인을 수용할 수 있는 내부공간이 마련되며, 밑부분에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평형상태에서 상기 경사면의 하한점이 회동중심으로부터 중력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되는 가상의 수직기준선에서 한쪽편으로 벗어나는 구조를 갖는 체인박스;를 포함하는 체인 호이스트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하중물과 체인박스의 충돌시 체인박스가 회동됨으로써 체인박스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체인박스에 형성된 걸림턱과 체인걸림홈에 의해 체인의 유출이 방지되므로 체인 유출 및 낙하에 의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체인박스(10)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측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체인박스(10)는 체인을 수용할 수 있는 내부공간이 마련되고, 밑부분에는 경사면(13)이 형성된 박스 본체(11)를 구비한다.
박스 본체(11)의 상부에는 개방구(12)가 형성되며, 밑부분의 경사면(13)은 한쪽 방향으로 비스듬히 기울어진 구조를 갖는다.
경사면(13)은 평형상태, 즉 체인박스(10)가 체인 호이스트에 수직하게 장착된 상태에서 그 하한점(14)이 수직기준선(R)에서 한쪽편으로 벗어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수직기준선(R)은 박스 본체(11) 상부 일측의 회동중심(C)으로부터 중력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되는 가상의 수직선을 지칭한다.
이와 같은 경사면(13) 구조에 따르면, 하중물(도 4의 W 참조)과의 충돌시 하중물(W)이 경사면(13)의 하한점(14)과 상한점(15)에 순차적으로 접촉하면서 박스 본체(11)를 밀어 올리게 되므로 체인박스(10)의 회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박스 본체(11)에 있어서, 수직기준선(R)을 중심으로 다른쪽편에는 걸림턱(16)이 형성되어 박스 본체(11)의 회동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인(1)의 유출을 제한한다. 걸림턱(16)은 체인(1)이 넘어 나갈 수 없도록 굴곡을 갖는 구조라면 어떠한 형태라도 무방하다.
개방구(12) 부근의 테두리단 중 걸림턱(16)과 이어지는 부분에는 일정간격으로 체인 걸림홈(17)이 형성된다. 체인 걸림홈(17)은 테두리단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수평하게 놓인 고리(1a)와 수직하게 놓인 고리(1b)가 반복적으로 연결된 통상의 체인(1) 구조에 있어서, 수평하게 놓인 고리(1a)가 걸릴 수 있는 폭으로 형성되어 체 인(1)을 고정함으로써 탈락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체인박스(10)를 채용한 체인 호이스트의 주요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체인 호이스트는 권상모터(22)를 구비한 호이스트 몸체(20)와, 호이스트 몸체(20)에 설치되어 체인(1)을 수용하는 체인박스(10)를 포함한다.
호이스트 몸체(20)에는 하중물(W)을 걸기 위한 하부 후크(21)와, 하부 후크(21)가 연결된 체인(1)을 권상하기 위한 권상모터(22)가 구비되고, 상부에는 작업장의 소정 지지구(미도시)에 걸리는 상부 후크(23)가 구비된다.
체인박스(10)는 호이스트 몸체(20)의 일측에 설치되어 권상시 소정 체인 가이드로부터 배출되는 체인(1)을 수용한다. 체인박스(10)는 하중물(W)과의 충돌시 상방으로 회동되도록 그 회동중심(C)을 관통하는 회동 샤프트(24)에 의해 호이스트 몸체(20)에 체결된다. 체인박스(10)의 세부 구성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호이스트 몸체(20)와 체인박스(10)의 체결부에는 소정의 스프링(미도시)이 결합되어 체인박스(10)를 평형상태로 복원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체인박스(10)의 밑부분에는 경사면(13)이 형성되어 하중물(W)과의 충돌시 박스 본체(11)가 한쪽방향으로 밀려 올라가며 회동이 이루어진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중물(W)이 상한 부근까지 권상되면 체인박 스(10)에 형성된 경사면(13)의 하한점(14)과 상한점(15) 부분에 순차적으로 접촉되면서 체인박스(10)를 밀어 올리게 되고, 이에 따라 체인박스(10)가 회동 샤프트(24)를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므로 체인박스(10)에는 충격이 가해지지 않는다.
또한, 체인박스(10) 내에 수용된 체인(1)은 박스 본체(11)에 마련된 걸림턱(16)에 의해 외부로의 유출이 방지되므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하부로 쏟아지는 현상이 방지되고, 아울러 박스 본체(11)의 개방구(12) 테두리단에 형성된 체인 걸림홈(17)에 체인의 수평고리 부분(1a)이 걸려서 체인(1)의 유출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하중물(W)을 다시 하강시키게 되면 체인박스(10)에 체결된 스프링에 의해 체인박스(10)는 원래의 위치로 복원된다.
이상,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설명하였다. 여기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상술한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고안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체인박스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체인박스가 회동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체인 호이스트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하중물에 의해 체인박스가 밀려 올라간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
10: 체인박스 11: 박스 본체
13: 경사면 16: 걸림턱
17: 체인 걸림홈 20: 호이스트 몸체
21: 하부 후크 22: 권상모터
23: 상부 후크 24: 회동 샤프트

Claims (6)

  1. 회동 샤프트에 의해 체인 호이스트의 몸체에 체결되고, 상기 회동 샤프트가 관통되는 지점을 회동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체인박스로서,
    상부가 개방되어 체인을 수용할 수 있는 내부공간이 마련되며, 밑부분에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체인 호이스트에 수직하게 장착된 회동 전 상태인 평형상태에서 상기 경사면의 하한점이 상기 회동중심으로부터 중력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수직기준선에서 한쪽편으로 벗어난 구조를 갖는 박스 본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용 체인박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기준선을 중심으로 상기 하한점의 반대편에 형성되어 상기 박스 본체의 회동시 체인의 유출을 제한하는 걸림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용 체인박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부 개방구의 테두리단에는 일정간격으로 체인걸림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용 체인박스.
  4. 하단에 후크가 연결된 체인을 권상하기 위한 권상모터를 구비한 호이스트 몸체; 및
    회동 샤프트에 의해 상기 호이스트 몸체의 일측에 설치되고 권상에 의한 충격시 상기 회동 샤프트가 관통되는 지점을 회동중심으로 하여 상방으로 회동되고, 상부가 개방되어 체인을 수용할 수 있는 내부공간이 마련되며, 밑부분에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체인 호이스트에 수직하게 장착된 회동 전 상태인 평형상태에서 상기 경사면의 하한점이 상기 회동중심으로부터 중력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수직기준선에서 한쪽편으로 벗어난 구조를 갖는 체인박스;를 포함하는 체인 호이스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박스에 있어서, 상기 수직기준선을 중심으로 상기 하한점의 반대편에 형성되어 상기 체인박스의 회동시 체인의 유출을 제한하는 걸림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호이스트.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박스에 있어서, 상부 개방구의 테두리단에는 일정간격으로 체인 걸림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호이스트.
KR20070016030U 2007-10-01 2007-10-01 호이스트용 체인박스 및 이를 구비한 체인 호이스트 KR2004429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16030U KR200442937Y1 (ko) 2007-10-01 2007-10-01 호이스트용 체인박스 및 이를 구비한 체인 호이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16030U KR200442937Y1 (ko) 2007-10-01 2007-10-01 호이스트용 체인박스 및 이를 구비한 체인 호이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2937Y1 true KR200442937Y1 (ko) 2008-12-23

Family

ID=46548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016030U KR200442937Y1 (ko) 2007-10-01 2007-10-01 호이스트용 체인박스 및 이를 구비한 체인 호이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293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03546A (zh) * 2022-04-26 2022-07-29 临沂矿业集团菏泽煤电有限公司郭屯煤矿 一种强力皮带煤仓口挡矸装置
WO2024048403A1 (ja) * 2022-09-02 2024-03-07 株式会社日立産機システム 電気チェーンブロック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03546A (zh) * 2022-04-26 2022-07-29 临沂矿业集团菏泽煤电有限公司郭屯煤矿 一种强力皮带煤仓口挡矸装置
WO2024048403A1 (ja) * 2022-09-02 2024-03-07 株式会社日立産機システム 電気チェーンブロッ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09773B2 (ja) 原子炉蓋耐震支持タイ・ロッド・システム
KR200442937Y1 (ko) 호이스트용 체인박스 및 이를 구비한 체인 호이스트
JP4290171B2 (ja) 荷吊りロープを自己放出する自動フック
JP2005255294A (ja)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KR101976378B1 (ko) 구조적인 안전성을 갖는 샤클
JP6517372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102348331B1 (ko) 임시 엘리베이터 카의 조속기 작동 장치
EP3812513A1 (en) A locking assembly
KR101616435B1 (ko) 선박 계류 장치
JP2010070296A (ja) エレベータのレール積上治具
JP4516672B2 (ja) マンホールの梯子兼用転落防止装置
JP4225883B2 (ja) 昇降機用移動ケーブルの引掛り防止装置
JP6917048B2 (ja) 介錯アーム、および介錯アームを備えたクレーンアーム
JP2003171089A (ja) 電動巻上機
JP4708067B2 (ja) クレーン装置
JP7161984B2 (ja) 起伏ゲート式防波堤の係留装置
KR200374402Y1 (ko) 크레인의 방열판 구조
JP2006264953A (ja) 荷役用フック
CN215797998U (zh) 一种防风系缆
KR101109485B1 (ko) 중추 리미트 장치용 터치바
JP3743117B2 (ja) スプレッダのコンテナストッパ取付構造
KR100845265B1 (ko) 센터빔 추락 방지기능을 갖는 천정기중기의 통스
KR100721859B1 (ko) 크레인의 중추와이어의 감김방지 장치
JPH10297843A (ja) エレベータガイドレールの吊上げ装置
TW202340017A (zh) 電池收納構造以及跨騎型車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8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