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5239Y1 -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인양장치 - Google Patents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인양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95239Y1 KR200395239Y1 KR20-2005-0018848U KR20050018848U KR200395239Y1 KR 200395239 Y1 KR200395239 Y1 KR 200395239Y1 KR 20050018848 U KR20050018848 U KR 20050018848U KR 200395239 Y1 KR200395239 Y1 KR 20039523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ilding
- slab formwork
- lifting device
- formwork
- fixed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9/00—Auxiliary treatment of forms, e.g. dismantling; Cleaning devices
- E04G19/003—Arrangements for stabilising the forms or for moving the forms from one place to another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4—Conveying or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 E04G21/16—Tools or apparatus
- E04G21/167—Tool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up plates, panels or slab shaped build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인양장치에 관한 것으로, 건축물의 층과 층 사이에 슬라브를 시공하기 위한 거푸집의 운반이 용이하고, 인양장치를 분리 구성하여 취급이 편리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인양장치는, 건축물의 최외곽에 설치되며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한 쌍의 고정부(100)와; 상기 고정부 상에 각각 형성되는 레일(200)과; 그리고, 상기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면에 거푸집(1)이 안착되어 상기 거푸집을 크레인으로 운반될 수 있는 상기 건축물의 외부로 인출하는 이송대(300)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의 제1,2고정프레임은, 상기 건축물의 바닥부에 앵커(400)로 고정되는 제1바닥지지부(111,121), 상기 제1바닥지지부의 좌우 양측에 각각 세워지며 상부에 상기 제1,2레일이 결합되는 수직부(112,113,122,123)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제1,2고정프레임의 마주하는 수직부(113,122)에 보강앵글(510)을 사이에 두고 체결되는 체결구(500)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인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슬라브 거푸집을 그 다음 층으로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으며, 운반, 철거가 용이하도록 한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인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을 건축할 경우 층과 층을 구획하는 슬라브를 형성하기 위해서 사각형상의 거푸집패널을 다수개 연결하여 보와 플로우가 형성되도록 틀을 형성하고, 틀을 완성한 후에는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키며, 콘트리트가 양생된 후에는 다수의 거푸집판넬을 해체하게 되고 이 해체된 거푸집판넬을 수작업으로 상부층으로 운반하여 다시 전체적인 틀을 형성시켜 콘트리트를 타설하게 된다.
즉, 층과 층 사이를 구축하는 방법은 도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슬라브 거푸집(1)을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건축물의 설계에 의해 결정된 높이)로 배치한 후 다수의 서포터(2)들을 거푸집패널(1)과 바닥 사이에 세워 거푸집패널(1)을 지지하고, 이와 같은 방법으로 다수의 거푸집패널(1)을 수평으로 연결하여 상층 바닥의 틀을 구성한 후, 거푸집패널(1)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콘트리트 양생이 완료되면 서포터(2)를 제거하여 하층에서 거푸집패널(1)을 제거한 후, 그 다음 층으로 슬라브 거푸집(1)을 운반하여 그 다음 층의 슬라브를 시공한다.
이와 같이 해체한 슬라브 거푸집(1)을 그 다음 층으로 운반하기 위해서는 여러 명의 작업자가 슬라브 거푸집(1)을 직접 들고 운반하고 있다.
따라서, 건축물의 운반 경로가 매우 비좁고 시공장비 등이 비치되어 있기 때문에 슬라브 거푸집(1)의 운반이 번거롭고 어려우므로 작업기간이 길어지고, 안전사고가 발생되며, 많은 인력이 필요하므로 인건비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층과 층을 구획하는 슬라브의 시공을 위한 슬라브 거푸집을 크레인으로 운반할 수 있는 장소로 인양할 수 있도록 한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인양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인양장치는, 건축물의 바닥부에 앵커 등으로 고정되며 분리된 복수부재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진 한 쌍의 고정부, 상기 고정부 상에 각각 형성되는 레일 및 상기 레일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면에 슬라브 거푸집 패널이 안착되어 상기 슬라브 거푸집을 건축물의 외부로 인출하는 이송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고안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 실시예 1 >
도 2 내지 도 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인양장치는, 지면에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부(100), 고정부(100) 상에 각각 설치되는 레일(200) 및 한 쌍의 레일(200)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슬라브 거푸집(1)(도 3에 도시됨)을 인양하는 한 쌍의 이송대(300)로 구성된다.
본 고안에 의한 실시예는 부피를 최소화하여 좁은 시공현장으로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며, 한 쌍의 고정부(100)와 레일(200)은 각각 복수부분으로 나뉘어져 운반된 후 시공현장에 설치 사용되고, 이하, 구체적인 구조를 설명한다.
고정부(100)는 각각 일렬로 결합되는 제1,2고정프레임(110,120)으로 구성된다.
제1고정프레임(110)은 지면에 앵커(400) 등으로 박혀 고정되는 제1바닥부(111) 및 제1바닥지지부(111)의 양단부에서 각각 수직으로 형성되며 레일(200)이 안착되는 좌우 수직부(112,113)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1고정프레임(110)은 건축물의 안쪽에 배치되기 때문에 슬라브 거푸집(1)이 건축물 외부로 인출될 경우 슬라브 거푸집(1)의 하중에 의해 지면에서 이격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하부 수평부(111)의 양측에 각각 외측을 향해 연장되는 다수의 연장부(114), 연장부(114)들에 연결되며 지면에 앵커(400) 등으로 박혀 고정되는 제2바닥지지부(115) 및 상하부가 수직부(112,113)와 제2바닥지지부(115)에 각각 고정되어 측면에서 지지하는 경사지지부(116)가 더 포함된다.
아울러, 틀구조의 제1고정프레임(110)의 구조적 강성 보강을 위하여 제1고정프레임(110)의 내부에는 하나 이상의 보강부(117)가 더 갖추어질 수 있다.
제2고정프레임(120)은 제1고정프레임(110)에 일렬로 연결되어 사용되는 것이며, 그 구조는 제1바닥지지부(121) 및 제1바닥지지부(121)의 좌우 양측에서 각각 수직으로 연장되며 레일(200)이 안착되는 좌우 수직부(122,123)로 구성된다. 더불어, 틀 형태의 제2보강프레임(120)의 구조적 보강을 위하여 제2보강프레임(120)의 내부에는 하나 이상의 보강부(124)가 더 형성된다.
제1,2고정프레임(110,120)은 슬라브 거푸집(1)의 인양시 슬라브 거푸집(1)의 하중에 의해 변형과 파손되지 않는 재질이면서 대략 일측이 개구된 앵글로 이루어진다.
제1,2고정프레임(110,120)의 연결구조는 제1,2고정프레임(110,120)의 마주하는 수직부(113,122)에 다수의 체결구(500)가 체결됨으로써 연결된다. 체결구(500)는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2고정프레임(110,120)이 단순하게 체결구(500)에 의해서만 결합되면 이들 연결부의 구조가 취약하여 비틀림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수직부(113,122)의 외측면에 각각 보강앵글(510)이 덧대어질 수 있다.
레일(200)은 고정부(100)의 제1,2고정프레임(110,120)에 각각 형성되며 제1,2고정프레임(110,120)의 결합시 일렬로 연결되어 하나의 레일을 완성하는 제1,2레일(210,220)로 구분된다. 제1,2레일(210,220)은 "I"형 단면의 동일 구조이며, 제1레일(210)은 제1고정프레임(110)의 제1바닥지지부(111)와 동일한 길이일 수 있고, 제2레일(220)은 제2고정프레임(110)의 바닥지지부(121)보다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되어 일측이 수직부(123)에서 돌출될 수 있으며, 여기서, 돌출된 레일(220)의 안정을 위하여 이 돌출부와 바닥지지부(121)의 사이에는 지지부(125)가 더 형성된다. 레일(200)의 양끝 단부는 이송대(300)가 이탈되지 않도록 막힌 구조일 수 있다.
한 쌍의 이송대(300)는 길이가 긴 각형 단면으로 이루어지며, 레일(200)의 상면을 따라 구르는 구동롤러(310) 및 레일(200)의 양측에 삽입되어 레일(200)의 저면을 따라 구르는 아이들롤러(320)를 매개로 하여 슬라이딩된다.
구동롤러(310)와 아이들롤러(320)는 이송대(300)의 양측에 결합되는 롤러브래킷(330)을 통해 설치된다.
이송대(300)의 일측(내측) 단부에는 슬라브 거푸집(1)을 이송대(300) 위에 올릴 때 슬라브 거푸집(1)이 이송대(300)에 걸리지 않고 원활하게 안착되도록 유도하는 곡선형 유도부(340)가 더 포함된다. 유도부(340)는 각관 형태일 수 있으며, 이송대(300)에 용접, 체결구 등으로 고정된다. 유도부(340)는 별도로 제작되지 않고 이송대(300)의 단부를 곡선형으로 벤딩하여 일체로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의한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인양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1. 인양장치 보관.
본 실시예의 슬라브 거푸집 인양장치는 한 쌍의 제1,2고정프레임(110,120), 한 쌍의 이송대(300)로 분리된 상태로 보관되며, 건축물(B)의 공사시 각각 단품으로 분리된 상태에서 각 공사현장(층)으로 운반된다. 즉, 제1,2고정프레임(110,120), 이송대(300)가 일자형 구조이기 때문에 부피가 작아 보관을 위한 면적이 좁고, 보관 운반시 파손 우려가 감소되며, 운반시 주변 구조물에 간섭되지 않는다.
2. 인양장치 설치.
가. 고정부(100) 설치.
제1고정프레임(110)과 제2고정프레임(120)을 일렬로 배열하여 마주하는 수직부(113,122)에 보강앵글(510)을 덧대고 체결구(500)를 체결하여 체결한다.
바닥지지부(111,115,121)에 앵커(400)를 박아 제1,2고정프레임(110,120)를 지면에 고정한다.
나. 이송대(300) 설치.
이송대(300)의 양측 롤러브래킷(330)을 벌려 아이들롤러(320)를 레일(200)의 양측에 끼움으로써 이송대(300)를 건축물(B)의 바닥에 고정된 고정부(100)의 레일(200)에 이송대(300)를 장착하고 도 3의 가상선 위치(해체된 슬라브 거푸집(1)을 그 다음 층으로 운반하기 위하여 재치하기 위한 위치)로 셋팅한다.
지금까지는 고정부(100)를 먼저 건축물(B)에 고정하고 이송대(300)를 고정부(100)에 장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고정부(100)에 이송대(300)를 먼저 장착한 후 고정부(100)를 설치할 수도 있다.
3. 슬라브 거푸집(1) 운반.
슬라브 층의 콘크리트 양생이 완료되면 슬라브 거푸집(1)을 해체한 후 크레인(미도시)으로 운반할 수 있도록 와이어(미도시)를 걸어 고정하고, 이 슬라브 거푸집(1)을 지게차 등의 이송장치 또는 작업자에 의해 이송대(300) 위에 올린다. 슬라브 거푸집(1)이 재치되는 중에 슬라브 거푸집(1)은 고정부(100)에 부딪치지 않고 곡선형 유도부(340)을 타고 자연스럽게 이송대(300) 위에 안착된다.
이어서, 이송대(300)(또는 슬라브 거푸집(1))를 밀면 구동롤러(310)와 아이들롤러(320)의 안내를 받아 이송대(300)가 서서히 전진하여 건축물(B) 외부로 인출된다(도 3의 실선 참고). 이처럼 슬라브 거푸집(1)이 건축물(B)의 외부로 인출되면 크레인으로 운반할 때 건축물(B)에 간섭되지 않으므로 크레인을 와이어에 연결하여 슬라브 거푸집(1)을 그 다음 층으로 운반할 수 있다. 그 다음 층에 본 실시예에 의한 슬라브 거푸집 인양장치를 미리 설치하여 슬라브 거푸집(1)을 이송대(300) 위에 재치할 수도 있고 건축물(B) 바닥에 적층할 수 있다.
4. 인양장치 해체.
인양장치의 해체는 전술한 인양장치 설치의 역순(이송대(300) 분리 - 고정부(100) 해체)에 의해 이루어진다. 해체된 인양장치는 제1,2고정프레임(110,120), 이송대(300)가 분리된 상태로 운반, 보관된다.
< 실시예 2 >
도 5와 도 6에서 보이는 것처럼, 본 실시예에 의한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인양장치는, 한 쌍의 제1고정프레임(110,110)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단품이며, 한 쌍의 제2고정프레임(120,120)은 서로 연결되어 일체화된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즉, 제2고정프레임(120,120) 사이의 상하부에는 각각 하나 이상의 연결부(130,140)가 더 형성된다. 제1연결부(130)는 각관 등의 형태로서 양단부가 제2고정프레임(120,120)에 각각 연결되고 도중에는 다수(도면에는 2개로 도시됨)의 보강부(131)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고, 제2연결부(140)는 양단부가 바닥지지부(121)에 연결되며 도중에는 일단이 수직부(123,123)에 연결되는 보강부(14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레일(220,220)의 단부에는 이들(220,220)을 연결하는 연결부(230)가 더 형성된다.
또한, 한 쌍의 이송대(300)를 통해 슬라브 거푸집(1)을 이송할 때 한 쌍의 이송대(300)가 함께 슬라이딩되도록 한 쌍의 이송대(300)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부(350)가 형성된다. 이송대 연결부(350)는 일측이 어느 하나의 이송대(300)에 힌지(351)를 통해 절첩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다른 이송대(300)의 록킹부(351)에 고정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필요시 펼쳐져 사용될 수 있다. 이송대 연결부(350)는 홈 형태의 록킹부(352)에 삽입 고정되고, 체결구(353)를 통해 록킹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인양장치에 의하면, 이송대 연결부(350)를 이송대(300)에 접어 보관하다가 필요시 펼쳐 타측을 록킹부(352)에 결합하여 한 쌍의 이송대(300)를 연결하여 사용하며, 그 이외의 작용은 상술한 실시예 1과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인양장치에 의하면, 건축물의 층과 층 사이의 슬라브 층을 시공하기 위한 슬라브 거푸집을 크레인으로 운반할 수 있도록 건축물의 외부로 인출하여 슬라브 거푸집의 운반이 용이해진다.
그리고, 인양장치가 복수 부분으로 분리되어 현장에서 결합 사용되므로 보관을 위한 부지를 줄일 수 있고, 부피가 작고 중량이 가벼우며 운반시 주변 구조물에 간섭되지 않으므로 취급이 편리하다.
이상, 본 고안을 본 고안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고안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층과 층 사이의 슬라브 거푸집의 설치과정을 보인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 1에 의한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인양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 1에 의한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인양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 1에 따른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인양장치의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 2에 의한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인양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 2에 따른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인양장치에 슬라브 거푸집이 안착된 상태의 저면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거푸집, 100 : 고정부
110,120 : 고정프레임, 130,140 : 연결부
200 : 레일, 300 : 이송대
350 : 이송대 연결부, 400 : 앵커
500 : 체결구, 510 : 보강앵글
Claims (7)
- 건축물의 최외곽에 상호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한 쌍의 고정부(100)와; 상기 고정부 상에 각각 형성되는 레일(200)과; 그리고, 상기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면에 거푸집(1)이 안착되어 상기 거푸집을 크레인으로 운반될 수 있는 상기 건축물의 외부로 인출하는 이송대(300)를 포함하는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인양장치에 있어서,상기 고정부는 결합수단에 의해 일렬로 배치되도록 결합되는 각형 단면의 제1,2고정프레임(110,120)으로 분리되며, 상기 레일은 상기 제1,2고정프레임 상에 각각 형성되는 제1,2레일(210,220)로 나뉘어지고, 상기 이송대는 도중에 한 쌍의 롤러브래킷(330)을 통해 롤러(310,320)가 장착된 각형 단면으로 이루어져 상기 레일에 끼움방식으로 탈착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인양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고정프레임은, 상기 건축물의 바닥부에 앵커(400)로 고정되는 제1바닥지지부(111,121), 상기 제1바닥지지부의 좌우 양측에 각각 세워지며 상부에 상기 제1,2레일이 결합되는 수직부(112,113,122,123)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제1,2고정프레임의 마주하는 수직부(113,122)에 보강앵글(510)을 사이에 두고 체결되는 체결구(5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인양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2고정프레임과 제2레일(220)은 각각 하나 이상의 연결부(130,140,230)에 의해 일체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인양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프레임은, 상기 제1바닥지지부의 양단부에 각각 연장되는 연장부(114), 상기 연장부에 연결되며 상기 건축물의 바닥부에 앵커로 고정되는 제2바닥지지부(115), 상기 제2바닥지지부와 제1레일(210)에 연결되는 경사지지부(116)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인양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고정프레임의 하부 수평부에서 각각 외측으로 연장된 다수의 연장부, 상기 연장부들을 연결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와 상기 레일에 상하 양단부가 각각 고정되는 경사보강부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인양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대의 단부에는 각각 상기 슬라브 거푸집의 안착을 유도하는 곡선형 유도부(340)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브 거푸집 인양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이송대는 일측이 상기 이송대 중 어느 하나의 이송대에 힌지(351)를 통해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며 타측이 다른 이송대에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연결부(350)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인양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18848U KR200395239Y1 (ko) | 2005-06-29 | 2005-06-29 |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인양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18848U KR200395239Y1 (ko) | 2005-06-29 | 2005-06-29 |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인양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95239Y1 true KR200395239Y1 (ko) | 2005-09-07 |
Family
ID=43696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5-0018848U KR200395239Y1 (ko) | 2005-06-29 | 2005-06-29 |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인양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95239Y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24111B1 (ko) * | 2013-02-08 | 2014-08-04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바닥 테이블 폼 인양 장치 |
KR101744344B1 (ko) | 2016-06-09 | 2017-06-07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테이블 폼 승하강 장치 |
-
2005
- 2005-06-29 KR KR20-2005-0018848U patent/KR200395239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24111B1 (ko) * | 2013-02-08 | 2014-08-04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바닥 테이블 폼 인양 장치 |
KR101744344B1 (ko) | 2016-06-09 | 2017-06-07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테이블 폼 승하강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54483B1 (ko) | 안전발판을 포함한 건축용 비계장치 | |
KR102354929B1 (ko) | 골조 부재를 위한 컨테이너 | |
CA2800886A1 (en) | Base for supporting an upstanding mast | |
CN110077969B (zh) | 一种建筑主体结构沿电梯井壁升降式的物料吊笼提升系统 | |
KR200395239Y1 (ko) |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인양장치 | |
JP2007046356A (ja) | 橋梁構造物における足場とその組立方法 | |
CN209939718U (zh) | 用于高陡边坡的材料运输装置 | |
CN110550544B (zh) | 起重机及使用该起重机的重物的起重搬运方法 | |
KR200378217Y1 (ko) | 고소작업용 틀비계 | |
JP5632212B2 (ja) | 重量物の搬送設置装置 | |
KR102099312B1 (ko) | 합벽이송장치 | |
CN207843694U (zh) | 板锭、铝锭垛固定装置 | |
JP2013096173A (ja) | 水平搬送装置 | |
KR101253855B1 (ko) | 테이블 폼 운반 장치 | |
KR100458096B1 (ko) | 이동형 간이 리프트 장치 | |
KR101078564B1 (ko) | 사이드거푸집 이송장치 | |
KR20170009446A (ko) | 폼 트래블러 | |
JPH11199165A (ja) | エスカレータフレームの階段移動方法 | |
US20020042981A1 (en) | System for lifting and assembling re-bar cages | |
CN208966005U (zh) | 一种简易自爬升升降平台 | |
CN212174270U (zh) | 用于受限空间的设备运输装置 | |
FI129374B (fi) | Kuljetusteline työmaa-aitoja varten, järjestelmä ja menetelmä työmaa-aitojen kuljettamiseksi ja pystyttämiseksi kuljetustelineitä käyttäen | |
CN219604900U (zh) | 一种可周转的层间短距运输装置 | |
CN218715261U (zh) | 一种折叠式施工电梯接料平台支架及平台 | |
CN215760543U (zh) | 一种重力式滑动轨道非上人卸料平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G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904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903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902 Year of fee payment: 10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