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9446A - 폼 트래블러 - Google Patents
폼 트래블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09446A KR20170009446A KR1020150101517A KR20150101517A KR20170009446A KR 20170009446 A KR20170009446 A KR 20170009446A KR 1020150101517 A KR1020150101517 A KR 1020150101517A KR 20150101517 A KR20150101517 A KR 20150101517A KR 20170009446 A KR20170009446 A KR 2017000944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girder segment
- moving
- horizontal
- travel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01D2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by translational movement of the bridge or bridge s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폼 트래블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인접한 복수 교량의 거더 세그먼트를 시공하기 위한 복수의 거푸집 이동대차를 포함하는 폼 트래블러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 이동대차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과 연결되고, 거더 세그먼트를 시공하기 위한 하부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거푸집 이동대차의 메인프레임과 하부프레임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각 프레임의 단부길이을 가변 가능하게 하는 가변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서로 인접한 양방향 또는 복로식 교량의 거더 세그먼트를 시공하기 위해 복수의 거푸집 이동대차가 구비되고, 거푸집 이동대차 중 일부 또는 전부에는 거푸집 이동대차의 횡방향 프레임 단부길이를 줄일 수 있도록 가변수단이 구비됨으로써 거푸집 이동대차의 백런칭 시, 거푸집 이동대차 상호간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폼 트래블러를 제안하고자 한다.
즉 본 발명은 서로 인접한 양방향 또는 복로식 교량의 거더 세그먼트를 시공하기 위해 복수의 거푸집 이동대차가 구비되고, 거푸집 이동대차 중 일부 또는 전부에는 거푸집 이동대차의 횡방향 프레임 단부길이를 줄일 수 있도록 가변수단이 구비됨으로써 거푸집 이동대차의 백런칭 시, 거푸집 이동대차 상호간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폼 트래블러를 제안하고자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서로 인접한 복수 교량의 거더 세그먼트를 시공하기 위해 복수의 거푸집 이동대차가 구비되고, 거푸집 이동대차의 메인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의 내측단부 길이를 줄일 수 있도록 가변수단이 구비됨으로써 거푸집 이동대차의 백런칭 시, 거푸집 이동대차 상호간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폼 트래블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폼 트래블러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59031호(2013.04.23. 이하 '종래기술 1'이라 함) "횡단 프레임을 구비한 폼 트래블러 및 그 런칭방법"이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 1은 폼 트래블러가 메인 프레임의 하부에 배치되는 횡단 프레임을 구비하며, 횡단 프레임에 메인 프레임의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메인 프레임의 하중을 횡단 프레임과 횡방향 레일을 통해 시공 구조물(거더등)로 분산시켜 전달할 수 있고, 또한, 시공 구조물의 내부에 폴딩형 내부 거푸집을 설치함으로써, 시공 구조물에 내부 공간이 작아지는 경우에도 내부 거푸집이 전, 후방으로 뉘어져 납작해질 수 있도록 한 횡단프레임을 구비한 폼 트래블러 및 그 런칭방법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종래기술 1은 거더 세그먼트의 시공 후에는 폼 트래블러를 해체하게 되는데, 이 경우 폼 트래블러는 통상적으로 해체된 후, 크래인이나 기중기를 사용하여 해체된 폼 트래블러를 수거하게 된다.
그러나 계곡, 뻘, 도로, 바다 등과 같은 환경에서, 서로 근접한 복수의 교량을 시공하기 위해 복수의 폼 트래블러가 도입되는 경우 폼 트래블러의 해체 후, 이를 수거하는 작업에 어려움 있기 때문에 폼 트래블러의 백런칭을 통하여 접근가능한 장소에서 폼 트래블러의 해체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1a 내지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폼 트래블러의 해체 작업을 위해 거푸집 이동대차에서 제1 메인프레임(110)에 설치된 가설재와 거푸집을 해체하여 하부프레임(200)이 양측에 적재한 후, 폼 트래블러를 작업이 용이하면서도 접근성이 용이한 장소까지 백런칭한 후, 폼 트래블러를 수거하게 된다.
이를 위해 백런칭되는 거푸집 이동대차(FT)의 경우 먼저 제1 메임프레임에 설치된 강봉(SP)들과, 작업대를 해체하고, 또한 거푸집들을 해체하여 수거하거나, 하부프레임(200)의 양측 공간에 적재하게 된다.
이때 하부프레임(200)의 모서리에 장착된 강봉(SP)들은 거더 세그먼트(GS)의 슬래브(S) 외측에 배치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제1 및 제2 메인프레임(110)(111)과, 하부프레임(200)은 거더 세그먼트(GS)의 슬래브(S) 폭길이보다 넓게 제작되어야 한다.
따라서 제1 및 제2 메인프레임(111)의 길이와 하부프레임(200)의 폭길이는 거더 세그먼트(GS)의 슬래브(S) 폭길이보다 길어지게 되고, 이 경우 교량(B)이 근접하여 시공되는 경우 인접한 거푸집 이동대차(FT)의 제1 및 제2 메인프레임(110)(111)과, 하부프레임(200)의 내측단부는 서로 중첩되는 부분(도 1a 내지 도 1d의 도시에서 점선 서클로 표시됨)이 발생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백런칭을 수행하게 되면 인접한 거푸집 이동대차(FT)는 서로 중첩되는 제1 및 제2 메인프레임(110)(111)과 하부프레임(200)간의 간섭으로 백런칭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폼 트래블러에 의하여 시공된 거더 세스먼트의 경우 그 외벽면이 거칠거나, 울통불퉁한 경우 거더 세그먼트 외벽면의 평면도를 확보하기 위해 마감작업이나 거더 세그먼트 외벽면에 모르타르를 바르기 작업 등을 위해 면보수 작업대가 필요하다.
이와 같은 목적의 종래 작업대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26794호(2013.11.01. 이하 '종래기술 2'라 함) "고소작업대용 대차"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 2는 리프트에 설치된 승강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리프트가 작업대를 밀어올릴 때 베이스프레임에 하방으로 작용하는 힘을 이용하여 대차를 지면에 고정하고, 반대로 승강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리프트가 작업대를 아래로 끌어당길 때 대차를 위로 상승시켜 바퀴에 의해 구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종래기술 2는 리프트를 승하강시켜 작업공간을 확보하고, 별도의 이동수단을 통하여 필요가 작업공간을 이동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교량과 같이 작업환경이 작업대의 이동이 원활하지 않은 경우, 즉 바다나 하천 등에 교량을 건설하는 것과 같은 작업환경에서는 종래기술 2와 같은 작업대를 운영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방와 같은 작업환경에서도 시공된 거더 세그먼트의 면보수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폼 트래블러의 운전과 함께 작업대를 운용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절실히 요청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서로 인접한 복수 교량의 거더 세그먼트를 시공하기 위해 복수의 거푸집 이동대차가 구비되고, 거푸집 이동대차의 메인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의 내측단부 길이를 줄일 수 있도록 가변수단이 구비됨으로써 거푸집 이동대차의 백런칭 시, 거푸집 이동대차 상호간의 간섭을 방지하고자 하는 것을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거푸집 이동대차에 면보수 작업대가 설치됨으로써 거더 세그먼트의 시공 후, 작업자가 면보수 작업대에 탑승하여 거더 세그먼트의 면보수 작업을 쉽고 용이하고자 하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거푸집 이동대차에 면보수 작업대가 부설되어 거푸집 이동대차의 이동 시, 면보수 작업대의 이동이 가능하므로 면보수 작업대의 이동을 위한 별도의 이동구나, 거푸집 이동대차의 이동시마다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작업능률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폼 트래블러는 서로 인접한 복수 교량의 거더 세그먼트를 시공하기 위한 복수의 거푸집 이동대차를 포함하는 폼 트래블러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 이동대차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과 연결되고, 거더 세그먼트를 시공하기 위한 하부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거푸집 이동대차의 메인프레임과 하부프레임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각 프레임의 단부길이를 가변 가능하게 하는 가변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가변수단은 상기 거푸집 이동대차의 각 프레임 단부에 힌지 결합되는 절첩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가변수단은 상기 거푸집 이동대차의 각 프레임의 단부로부터 인입출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인입출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거더 세그먼트를 시공하기 위한 거푸집 이동대차를 포함하고, 상기 거푸집 이동대차의 측면부에 설치되어 시공된 거푸집 세그먼트의 면보수를 위한 작업대가 구비된 폼 트래블러에 있어서, 상기 면보수 작업대는 상기 거푸집 이동대차의 측면부에 장착되는 설치프레임; 상기 설치프레임에 수평방향으로 장착되는 발판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면보수 작업대에는 상기 설치프레임 및 상기 발판부에 구비되어 상기 거더 세그먼트 외벽체의 경사에 따라 신축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각도조절부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설치프레임은 상기 거푸집 이동대차의 중간프레임에 장착되고, 상기 발판부가 상하로 배치되는 수직재와, 상기 수직재에 연결되고, 상기 발판부 사이에 배치되는 수평재를 포함하고,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발판부와 상기 수평재가 상기 수직재를 통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거더 세그먼트의 외벽체에 근접 배치된 수직재의 상단은 중간프레임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발판부와 상기 수평재의 일측단부에 상하로 분리 및 결합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설치프레임의 상단에는 상기 거푸집 이동대차의 중간프레임에 거치되어 상기 면보수 작업대의 수평방향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이송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설치프레임의 상단에 장착되는 이송롤러와, 상기 중간프렘임에 형성되어 이송롤러가 활주하는 이송가이드와, 상기 중간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설치프레임을 수평 이동시키는 잭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면보수 작업대는 상기 거더 세그먼트의 하면 보수를 위해 상기 거푸집 이동대차의 하부프레임에 장착되는 하면보수 작업대가 구비되고,
상기 하면보수 작업대는 상기 하부프레임의 각도 변화에 따라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수평유지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백런칭을 위한 폼 트래블로는 서로 인접한 복수 교량의 거더 세그먼트를 시공하기 위해 복수의 거푸집 이동대차가 구비되고, 거푸집 이동대차의 메인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의 내측단부 길이를 줄일 수 있도록 가변수단이 구비됨으로써 거푸집 이동대차의 백런칭 시, 거푸집 이동대차 상호간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거푸집 이동대차의 가변수단은 구조가 단순하여 종래의 거푸집 이동대차에 간단한 설계변경만으로도 설치가 가능하고, 이를 통하여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거푸집 이동대차에 면보수 작업대가 설치됨으로써 거더 세그먼트의 시공 후, 작업자가 면보수 작업대에 탑승하여 거더 세그먼트의 면보수 작업을 쉽고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거푸집 이동대차에 면보수 작업대가 부설되어 거푸집 이동대차의 이동 시, 면보수 작업대의 이동이 가능하므로 면보수 작업대의 이동을 위한 별도의 이동구나, 거푸집 이동대차의 이동시마다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d는 폼 트래블러의 백런칭 시, 인접한 거푸집 이동대차간의 간섭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수단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수단의 실시례들을 나타내는 평면도 및 단면도,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폼 트래블러의 백런칭 시, 인접한 거푸집 이동대차간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가변수단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면보수 작업대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면보수 작업대의 각도조절부를 나타내는 측면도 및 확대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면보수 작업대의 이송수단을 나타내는 측면도 및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하면보수 작업대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면보수 작업대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수단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수단의 실시례들을 나타내는 평면도 및 단면도,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폼 트래블러의 백런칭 시, 인접한 거푸집 이동대차간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가변수단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면보수 작업대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면보수 작업대의 각도조절부를 나타내는 측면도 및 확대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면보수 작업대의 이송수단을 나타내는 측면도 및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하면보수 작업대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면보수 작업대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폼 트래블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상에서 사용되는 거더 세그먼트(GS)는 시공이 완료된 세그먼트를 의미하고, 이하에서 기술되는 거더 세그먼트(GS)와 세그먼트는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본 명세서상에서 복수의 교량(B)은 서로 인접하여 나란히 설치되는 경우 차량의 주행방향을 기준으로 양방향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단일방향으로 형성되는 경우를 포함하고, 단일 교량(B)의 경우에도 적용이 가능함을 밝힌다.
아울러 본 명세서상에서 사용되는 엄밀하지 않은 방향기준을 특정하면,
거푸집 이동대차(FT)의 위치에 상관없이 거푸집 이동대차(FT)가 전진하는 방향으로 기준으로 전진방향 쪽을 '전방 또는 전단'이라 하고, 거푸집 이동대차(FT)의 전진방향 반대쪽을 '후방 또는 후단'이라 한다.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폼 트래블러는
인접한 복수 교량(B)의 거더 세그먼트(GS)를 시공하기 위한 복수의 거푸집 이동대차(FT)와, 거푸집 이동대차(FT) 중 일부 또는 전부에는 백런칭(back launching) 시, 거푸집 이동대차(FT) 상호간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거푸집 이동대차(FT)에 구비된 메인프레임(100)과 하부프레임(200)의 단부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는 가변수단(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이동대차(FT)는 거더 세그먼트(GS) 상부에 배치되는 메인프레임(100)이 구비되고, 이 메인프레임(100)과 시공된 거더 세그먼트(GS)에 연결되어 거더 세그먼트(GS)의 바닥면을 시공하기 위한 바닥거푸집(GF)이 설치되는 하부프레임(200)으로 구성된다.
이 경우 메임프레임과 하부프레임(200) 사이에는 거더 세그먼트(GS)의 슬래브(S)를 시공하기 위한 슬래브거푸집(SF)을 위한 구조물이 설치되고, 슬래브거푸집(SF)과 바닥거푸집(GF)을 연결하여 거더 세그먼트(GS)의 벽체(W)를 시공하기 위한 벽체거푸집(WF)이 설치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메인프레임(100)은 전방에 배치되는 제1 메인프레임(110)과, 후방에 배치되는 제2 메인프레임(111)으로 구성되고, 제1 및 제2 메인프레임(110)(111)은 도 2를 기준으로 종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다.
또한 메인프레임(100)은 제1 메인프레임(110)의 전방에 배치되는 프론트프레임(112)과, 제2 메인프레임(111) 후방에 배치되는 리어프레임(113)이 구비되고, 프론트프레임(112)과 리어프레임(113) 역시 도 2를 기준으로 종방향으로 배치된다.
이 경우 프론트프레임(112), 제1 메인프레임(110), 제2 메인프레임(111) 및 리어프레임(113)의 양측 및 중간부분을 연결하고, 도 2를 기준으로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연결프레임(114)이 구비되며,
제1 메인프레임(110)과 제2 메인프레임(111)과 양측 연결프레임(114)을 연결하고, 중간 연결프레임(114)에 연결되어 교차하는 형태로 배치되는 지지프레임(115)이 구비된다.
또한 제1 메인프레임(110)에 양측에 연결되는 제1 수직프레임(120)이 구비되고, 제2 메인프레임(111)의 양측에 연결되는 제2 수직프레임(121)이 구비된다.
이 경우 제1 수직프레임(120) 하단에는 유압잭(130)(또는 스크루잭)의 상단 연결되고, 유압잭(130) 양측에는 가이드레일(150)이 배치된다.
가이드레일(150)은 거더 세그먼트(GS) 상면부에 장착되어 런칭수단(140)에 의하여 전후방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데, 이는 거푸집 이동대차(FT)의 전후방 이동을 위한 것이다.
또한 가이드레일은 한 쌍으로 구성되어 거더 세그먼트(GS) 상면에 장착되는데, 이 경우 거더 세그먼트(GS)의 슬래브(S)가 구배없이 수평인 경우에는 상관없지만, 첨부된 도면과 같이 거더 세그먼트(GS)의 슬래브(S)가 일정한 구배를 갖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낮은 쪽에 위치하는 가이드레일(150) 하부에 레일받침대(151)를 설치하여 한 쌍의 가이드레일(150)의 높이가 동일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이동대차(FT)에는 가이드레일(150)을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하기 위한 다양한 이동식 지지구들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동식 지지구들로는 제1 수직프레임(120)의 하부에 연결되는 프론트보기(140)(front bogie)가 구비되고, 프론트보기(140)는 거푸집 이동대차(FT)의 이동 시, 유압잭(130)이 작동되어 수직프레임을 하강하게 되면 프론트보기(140)도 함께 하강하여 가이드레일(150) 상에 프론트보기(140)가 안착된다.
또한 거푸집 이동대차(FT)의 이동이 종료되면 유압잭(130)을 작동시켜 제1 수직프레임(120)을 일정한 높이까지 승강시키게 되면, 이때 프론트보기(140)는 가이드레일(150)로부터 분리된다.
다음으로 양측에 배치되는 연결프레임(114) 후방에는 하단에 구비된 롤러가 한 쌍의 가이드레일(150)의 내측 또는 외측 상부리브 하부에 배치되는 리어보기(rear bogie)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양측에 배치되는 연결프레임(114)에는 풀다운 클램프(pull down clamp)가 구비되고, 이 풀다운 클램프의 하단이 한 쌍의 가이드레일(150)의 상부 부분을 클램핑하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거푸집 이동대차(FT)의 이동을 위한 런칭수단은 가이드레일(150)과 프론트보기(140)에 양단이 연결되는 유압실린더로 구성되어 유압실린더의 작동에 의하여 가이드레일(150)을 이동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거푸집 이동대차(FT)가 가이드레일(150)을 따라 이동될 수 있게 한다.
이렇게 구성된 런칭수단(140)에 의하여 거푸집 이동대차(FT)와 가이드레일(150)은 이시(異時)에 이동되는데, 이 경우 이동 순서는 가이드레일(150)이 먼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고, 가이드레일(150)의 이동 후, 거푸집 이동대차(FT)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된다.
다음으로 도 2,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거푸집(SF) 구조물과 하부프레임(200)을 설치하기 위해 메인프레임(100)의 제1 메인프레임(110)에는 하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크로스암(160)이 장착되고, 크로스암(160)들은 2개 1조로 구성되며, 1조의 크로스암(160) 하단에는 수평방향으로 지지바(161)가 연결된다.
지지바(161)에는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이 관통공에는 강봉(SP)들의 상단이 삽입되어 장착되며, 강봉(SP)들 중 일부 강봉(SP)은 슬래브거푸집(SF) 구조물에 하단이 장착되고, 일부 강봉(SP)은 하부프레임(200)에 하단이 장착된다.
이 경우 슬래브거푸집(SF) 구조물 전방에 제1 작업대(170)가 구비되고, 제1 작업대(17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지지바(161)에 장착된 강봉(SP) 하단이 장착되며, 강선이나 체인 등에 의하여 제1 메인프레임(110)에 연결되어 지지될 수 있고, 또한 하부프레임(200)의 전단에는 제2 작업대(171)가 설치된다.
특히 하부프레임(200)은 모서리 부분을 지지하기 위해 전방 양측 모서리에는 제1 메인프레임(110)에는 최외곽에 설치된 지지바(161)(이하 '제1 메인프레임의 단부 내지 내측단부'라고 함)에 연결되는 강봉(SP)이 장착되고, 후방 양측 모서리는 제2 메인프레임(111)의 양측단부에 설치된 강봉(SP)에 장착된다.
이 경우 하부프레임(200)의 모서리에 장착되는 강봉(SP)들은 거더 세그먼트(GS)의 슬래브(S) 외측방향에 배치된다.
종래에는 거더 세그먼트(GS)의 시공 후에는 폼 트래블러를 해체하게 되는데, 이 경우 폼 트래블러는 통상적으로 해체된 후, 크래인이나 기중기를 사용하여 해체된 폼 트래블러를 수거하게 된다.
그러나 계곡, 뻘, 도로, 바다 등과 같은 환경에서는 폼 트래블러의 해체 후, 이를 수거하는 작업에 어려움 있기 때문에 폼 트래블러의 백런칭을 통하여 접근가능한 장소에서 폼 트래블러의 해체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폼 트래블러의 해체 작업을 위해 거푸집 이동대차(FT)에서 제1 메인프레임(110)에 설치된 가설재와 거푸집을 해체하여 하부프레임(200)이 양측에 적재한 후, 폼 트래블러를 작업이 용이하면서도 접근성이 용이한 장소까지 백런칭한 후, 폼 트래블러를 수거하게 된다.
이를 위해 백런칭되는 거푸집 이동대차(FT)의 경우 먼저 제1 메임프레임에 설치된 강봉(SP)들과, 작업대를 해체하고, 또한 거푸집들을 해체하여 수거하거나, 하부프레임(200)의 양측 공간에 적재하게 된다.
이때 하부프레임(200)의 모서리에 장착된 강봉(SP)들은 거더 세그먼트(GS)의 슬래브(S) 외측에 배치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제1 및 제2 메인프레임(110)(111)과, 하부프레임(200)은 거더 세그먼트(GS)의 슬래브(S) 폭길이보다 넓게 제작되어야 한다.
따라서 제1 및 제2 메인프레임(111)의 길이와 하부프레임(200)의 폭길이는 거더 세그먼트(GS)의 슬래브(S) 폭길이보다 길어지게 되고, 이 경우 교량(B)이 근접하여 시공되는 경우 도 1a 내지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거푸집 이동대차(FT)의 제1 및 제2 메인프레임(110)(111)과, 하부프레임(200)의 내측단부는 서로 중첩되는 부분(도 1a 내지 도 1d의 도시에서 점선 서클로 표시됨)이 발생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백런칭을 수행하게 되면 인접한 거푸집 이동대차(FT)는 서로 중첩되는 제1 및 제2 메인프레임(110)(111)과 하부프레임(200)간의 간섭으로 백런칭은 사실상 불가능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거푸집 이동대차(FT)의 메인프레임(100)과 하부프레임(200)의 단부길이를 줄였다 늘릴 수 있도록 가변수단(300)을 도입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변수단(300)은
거푸집 이동대차(FT)의 제1 및 제2 메인프레임(110)(111)과 하부프레임(200)(이하 '각 프레임'이라 함)의 내측단부에 형성되어 각 프레임(110)(111)(200)의 단부길이를 줄임으로써 거푸집 이동대차(FT)의 백런칭 시, 인접한 거푸집 이동대차(FT)와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가변수단(300)은 절첩식으로 각 프레임(110)(111)(200)의 단부를 접었다 펼칠 수 있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인입출식으로 각 프레임(110)(111)(200)의 단부가 인입되었다가 인출되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먼저 도 2, 도 3,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절첩식 가변수단(300)은 각 프레임(110)(111)(200)의 내측단부에 절첩부재(310)가 힌지 결합된다.
이를 위해 각 프레임(110)(111)(200) 내측단부에는 제1 결합부(311)가 구비되고, 접첩부재의 단부에도 제1 결합부(311)에 대응하도록 제2 결합부(313)가 구비되고, 제1 및 제2 결합부(311)(313)는 핀과 같은 힌지축에 의하여 결합되어 이 힌지축을 기준으로 절첩부재(310)가 회전됨으로써 각 프레임(110)(111)(200)의 단부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다.
이 경우 가변수단(300)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절첩부재(310)를 고정시키기 위해 제1 및 제2 메인프레임(110)(111)과, 하부프레임(200)의 단부와 절첩부재(310)를 지지부재를 덧댄상태에서 볼트와 너트로 고정시킴으로써 절첩부재(310)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제2 메인프레임(111)의 경우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수평부재(111a)가 배치되고, 이들을 연결하는 수직부재(111b)와 사선으로 연결되는 경사부재(111c)로 구성된다.
따라서 수평부재(111a)에 설치되는 절첩부재(310)의 경우에는 회전이 가능하지만, 경사부재(111c)의 경우에는 수평부재(111a)와 연결되어 있어 수평부재(111a)와 함께 회전이 어렵기 때문에 가변수단(300)을 사용하기 위해 절첩부재(310)의 고정상태가 해제되는 경우 가변수단(300)에 포함되는 경사부재(111c)는 해체하여 분리하게 된다.
다만 제2 메인프레임(111)에 형성된 가변수단(300)이 트러스구조가 아닌 부분에 형성되거나, 제2 메인프레임(111)이 트러스구조 아닌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작업상의 제한은 없다.
다음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인입출식 가변수단(300)은 각 프레임(110)(111)(200)의 내측단부로부터 인입출되는 인입출부재(320)가 구비된다.
이 경우 각 프레임(110)(111)(200)은 중공 형태로 구성되어 내측단부에 삽입공(321)이 형성되고, 이 삽입공(321)에 인입출부재(320)가 삽입되어 삽입공(321)으로부터 인입되거나, 인출이 가능하다.
아울러 인입출부재(320)가 삽입공(321)으로부터 이탈 분리되거나 삽입공(321) 내부로 완전히 잠입(潛入)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삽입공(321) 단부에는 내측방향으로 절곡된 제1 걸림부(323)가 구비되고, 인입출부재(320) 양단에는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제2 걸림부(325)가 형성된다.
따라서 인입출부재(320)가 삽입공(321)으로 인입되는 경우 인입출부재(320)의 외측단부에 형성되는 제2 걸림부(325)가 각 프레임(110)(111)(200)의 단부면, 즉 제1 걸림부(323) 외측면에 접하여 인입출부재(320)가 삽입공(321)으로 완전히 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인입출부재(320)가 삽입공(321)으로부터 인출되는 경우에는 인입출부재(320)의 내측단부에 형성되는 제2 걸림부(325)가 제1 걸림부(323) 내측면에 맞닿아 인입출부재(320)가 삽입공(321)으로부터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거푸집 이동대차(FT)에 가변수단(300)의 배치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가변수단(300)은 거더 세그먼트(GS)를 시공하기 위한 모든 거푸집 이동대차(FT)에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나, 제작에 소요되는 시간이나 비용을 등을 고려할 때, 어느 하나의 거푸집 이동대차(FT)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가변수단(300)이 설치되는 거푸집 이동대차(FT)는 거푸집 이동대차(FT)들 중에서 나중에 해체되어 수거되는 거푸집 이동대차(FT)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다.
이 이유는 먼저 가변수단(300)은 거푸집 이동대차(FT)의 제1 및 제2 메인프레임(111)과 하부프레임(200)의 내측단부에 형성되어야 한다는 점과,
백런칭이 수행되는 거푸집 이동대차(FT)의 경우 백런칭 수행 전에 설치된 구조물들은 하부프레임(200)을 제외하고 모두 해체되어야 하기 때문에 하부프레임(200) 지지하기 위해서는 하부프레임(200)의 모서리와 제1 및 제2 메인프레임(110)(111)을 연결하고 있는 강봉(SP)들은 제거될 수 없기 때문이다.
즉 나중에 해체되는 거푸집 이동대차(FT)의 경우에는 설치된 가설재와 거푸집이 거더 세그먼트(GS)에 고정되기 때문에 하부프레임(200)의 내측 모서리와 제1 및 제2 메인프레임(110)(111)의 내측단부를 연결하는 강봉(SP)은 해체되어도 구조물의 지지구조에 문제가 발생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나중에 해체되는 거푸집 이동대차(FT)의 제1 및 제2 메인프레임(110)(111)과 하부프레임(200)의 내측단부에 가변수단(300)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8의 도시를 기준으로 거푸집 이동대차의 백런칭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첨부된 도면상에서 우측에 배치되는 거푸집 이동대차(이하 '우측 거푸집 이동대차'라 함)는 정지된 상태이고, 좌측에 배치되는 거푸집 이동대차(이하 '좌측 거푸집 이동대차'라 함)가 백런칭을 수행하게 된다.
이 경우 백런칭을 위한 좌측 거푸집 이동대차(FT)는 정지된 우측 거푸집 이동대차(FT)의 전방에 배치되어 되고, 가변수단(300)은 우측 거푸집 이동대차(FT)에 구비된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 거푸집 이동대차의 제1 메인프레임(110)과 좌측 거푸집 이동대차의 제2 메인프레임(111)이 서로 간섭되고, 우측 거푸집 이동대차의 전방 하부프레임(200)과 좌측 거푸집 이동대차의 후방 하브프레임(200)이 서로 간섭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도 5의 도시와 같이 우측 거푸집 이동대차(FT)에 구비된 가변수단(300)을 이용하여 제1 메인프레임(110)과 전방 하부프레임(200)의 내측단부를 길이를 줄이게 되면 백런칭이 수행되는 좌측 거푸집 이동대차의 제2 메인프레임(111)과 후방 하부프레임(200)과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b의 도시에서는 우측 거푸집 이동대차의 제1 메인프레임(110)과 좌측 거푸집 이동대차의 제1 메인프레임(110)과, 우측 및 좌측 거푸집 이동대차의 전방 하부프레들(200)간의 간섭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도 6의 도시와 같이 우측 거푸집 이동대차(FT)에 구비된 가변수단(200)을 이용하여 제1 메인프레임(110)과 전방 하부프레임(200)의 내측단부 길이를 줄이게 되면 백런칭을 수행하는 좌측 거푸집 이동대차의 제1 메인프레임(110)과 전방 하부프레임(200)과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도 1c는 우측 거푸집 이동대차의 후방에 배치된 각 프레임들과 좌측 거푸집 이동대차의 후방에 배치된 각 프레임들간의 간섭을 나타내고, 도 1d는 우측 거푸집 이동대차의 후방에 배치된 각 프레임들과 좌측 거푸집 이동대차의 전방에 배치된 각 프레임들간의 간섭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도 1c 및 도 1d의 도시에 대응하여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 거푸집 이동대차에 구비된 가변수단을 이용하여 각 프레임의 내측단부 길이를 줄임으로써 백런칭이 수행되는 좌측 거푸집 이동대차의 각 프레임들과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9, 도 10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이동대차(FT)에는 면보수 작업대(400)가 설치될 수 있는데,
면보수 작업대(400)는 거더 세그먼트(GS)의 외벽체(W)를 보수하기 위한 것으로 시공된 거더 세그먼트(GS)의 외벽면이 거칠거나, 울통불퉁한 경우 거더 세그먼트(GS) 외벽면의 평면도를 확보하기 위해 마감작업이나 거더 세그먼트(GS) 외벽면에 모르타르를 바르기 위한 작업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이 경우 면보수 작업대(400)는 거푸집 이동대차(FT)에 부설되는 경우 거더 세그먼트(GS)의 시공 후, 바로 작업자가 면보수 작업대(400)에 탑승하여 면고르기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편리하고, 거푸집 이동대차(FT)의 이동 시 함께 이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면보수 작업대(400)를 별도로 제작하여 운용할 필요가 없다는 점에서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한 구현하기 위해 면보수 작업대(400)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먼저 거푸집 이동대차(FT)에 슬래브거푸집(SF)을 설치하기 위해 메인프레임(100)과 하부프레임(200) 사이에 중간프레임(180)이 설치될 수 있고, 면보수 작업대(400)는 거푸집 이동대차(FT)의 중간프레임(180)에 설치된다.
즉 면보수 작업대(400)는 중간프레임(180)에 설치되어 거푸집 이동대차(FT)의 측부, 즉 거더 세그먼트(GS)의 외벽체(W)에 근접하여 배치된다.
이를 위한 면보수 작업대(400)는 거푸집 이동대차의 중간프레임(180)에 장착되는 설치프레임(410)과, 이 설치프레임(410)에 수평방향으로 장착되어 작업자가 딛고 설수 있는 발판부(420)와, 설치프레임(410)과 발판부(420)에 형성되어 거더 세그먼트 외벽체(W)의 경사에 따라 신축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각도조절부(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면보수 작업대의 설치프레임(410)은 수직재(411) 및 수평재(413)로 구성되는데,
수직재(411)는 상단이 거푸집 이동대차의 중간프레임(180)에 장착되고, 발판부(420)가 상하로 배치된다.
또한 거푸집 이동대차의 중간프레임(180)은 거더 세그먼트의 외벽체(W) 상부 측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고, 수직재(411)는 각 중간프레임(180)에 연결되어 중간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정수로 이격 배치된다.
이 경우 발판부(420)는 거더 세그먼트(GS)의 높이를 고려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상하로 복수의 작업공간이 형성되도록 다단으로 설치가 가능하고, 이를 위해 복수의 발판부(420)가 상하로 배치될 수 있다.
첨부된 도 9 및 도 10의 도시에는 면보수 작업대(400)는 작업공간이 3개소 구비된 경우로서 작업자를 위한 3개소의 발판부(420)가 구비되어 있으나, 이는 거더 세그먼트(GS)의 높이나 크기 등을 고려하여 증감이 가능한 사항이다.
또한 발판부(420)간의 간격은 작업자가 서서 작업을 하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소정 높이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발판부(420)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부재로 구성되거나,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교차하는 형태로 각 부재가 연결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판상부재를 사용하는 경우도 가능하다.
이 경우 발판부(420)의 형태에 무관하게 작업자가 작업 중 미끄러지거나,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찰계수가 큰 소재, 예컨대 고무판과 같은 미끄럼방지부재(421)를 발판부 상부에 설치하여 부상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설치프레임의 수평재(413)는 수직재(411)에 연결되고, 상하로 배치된 발판부(420) 사이에 다수 배치되어 면보수 작업공간의 양측부 및 외측 작업공간에 설치된다.
따라서 수평재(413)는 작업자가 작업 중, 추락하여 낙상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펜스와 같은 역할을 함으로써 안전사고 위험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이 경우 수평재(413)는 거더 세그먼트 외벽체(W)에 근접한 내측 작업공간 상에는 작업자의 원활한 작업을 위하여 설치되지 않을 수 있으나, 작업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면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설치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면보수 작업대(400)는 거더 세그먼트의 외벽체(W)가 수직한 경우에는 상관이 없으나, 첨부된 도 10의 도시와 같이 거더 세그먼트(GS)의 외벽체(W)가 경사진 경우 면보수 작업대(400)는 외벽체(W)의 경사각도에 상응하도록 내측 작업공간 역시 경사가 형성되어야 거더 세그먼트(GS)의 외벽체(W)와의 작업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그러나 거더 세그먼트(GS) 외벽체(W)의 경사는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면보수 작업대(400)의 구조를 변경하거나 새로이 제작하는 것은 경제성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거더 세그먼트(GS) 외벽체(W)의 경사가 달라지더라도 면보수 작업대(400)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면 경제성을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 본 발명에서는 거더 세그먼트 외벽체(W)의 경사각에 따라 면보수 작업대의 발판부(420)와 수평재(413)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거더 세그먼트의 경사각에 따른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각도조절부(430)를 도입하고자 한다.
이 각도조절부(430)는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부(420)와 수평재(413)가 수직재(411)에 형성된 관통공(431)에 삽입되거나, 또는 첨부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수직재의 외측면에 가이드가 형성되어 이 가이상에 상에 거치되어 거더 세그먼트 외벽체의 경사각에 따라 발판부와 수평재가 외측 또는 내측 수평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발판부(420)와 수평재(413)는 거더 세그먼트 외벽체(W)의 경사각에 대응되도록 조절된 후에는 수직재(411)에 고정 장착하게 되는데,
도 10과 같이 수직재(411)에 관통공(431)이 형성된 경우에는 발판부(420)와 수평재(413)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삽입공(432)이 형성하여 관통공(431)에 발판부(420) 및 수직재(413)를 원하는 길이만큼 삽입한 후, 도 10의 (b) 도시와 같이 수직재(411)에 근접한 삽입공(432)에 고정핀(435)을 삽입하여 발판부(420)와 수평재(413)를 수직재(411)에 고정시키게 된다.
또한 수직재의 외측에 가이드가 부착된 경우에는 발판부와 수평재를 수직재에 클램핑하거나, 또는 와이어 등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아울러 각도조절부(430)는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더 세그먼트 외벽체(W)에 근접한 수직재(411), 즉 내측에 배치되어 발판부(420)와 수평재(413)의 일측단부(또는 내측단부)에 연결되는 수직재(411)(이하 '내측 수직재'라 함)는 상단이 중간프레임(180)에 힌지 결합되고, 발판부(420)와 수평재(413)의 일측단부에 상하로 분리 및 결합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내측 수직재(411a)의 상단은 후술할 이송수단의 이송롤러와 수직재를 연결하기 위해 중간프레임(180) 하부에 배치되는 수평부재(415)에 힌지 결합된다.
아울러 내측 수직재(411a)의 연결부위, 즉 발판부(420)와 수평재(413)의 일측단부와의 연결부위에 상하로 다수군의 고정공들(433)이 형성된다.
이는 거더 세그먼트 외벽체(W)의 경사각이 달라지는 경우 발판부(420)와 수평재(413)는 수평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내측 수직재(411a)의 각도 역시 변경되어야 하는데,
이 경우 내측 수직재(411a)의 각도 변화에 따라 발판부(420) 및 수평재(413)와의 연결지점이 달라져야 하기 때문에 내측 수직재(411a)의 연결부위에 각각 상하로 배치되는 다수의 고정공(433)을 형성하여 각도 변화에 따른 내측 수직재(411a)의 연결지점에서 발판부(420)와 수평재와(413)의 연결부위에 해당하는 고정공(433)에 고정핀(435)을 삽입하여 내측 수직재(411a)가 발판부(420)와 수평재(413)에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발판부(420)와 수평재(413)의 일측단부에는 내측 수직재(411a)에 형성된 고정공(433)에 상응하는 대응고정공(434)이 형성되어 해당 고정공과 함께 고정핀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일례로 도 10의 (a)에서 도 10의 (b)와 같이 내측 수직재(411a)가 수직선을 기준으로 경사각이 작아지는 경우에는 내측 수직재의 고정공(433)은 도 10의 (a)와 같은 종전의 고정공에서 하부에 위치하는 고정공과 발판부(420)와 수평재(413)의 대응고정공(434)을 통하여 고정핀(435)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반대의 경우에는 도 10의 (b)를 종전의 위치라 할 때, 발판부와 수직재에 고정되는 내측 수직재의 고정공은 현재의 고정공에서 상부에 위치하는 고정공이 될 것이다.
나아가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면보수 작업대(400)는 수평방향 이동을 위해 이송수단(440)이 구비되고, 이 이송수단(440)은 이송롤러(441)와, 이송가이드(443) 및 잭유닛(44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이송수단의 이송롤러(441)는 설치프레임의 수평부재(415) 상부에 구비되고, 이송가이드(443)는 거푸집 이동대차의 중간프레임(180)에 레일 형태로 형성되어 이송롤러(441)가 거치된다.
이 경우 중간프레임(180)은 단면 형상이 'I'자 형태로 이루어지고, 하부에 양측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플랜지가 이송가이드(443)로 구성되며, 이송롤러(441)는 양측 이송가이드(443)에 안치될 수 있도록 서로 대응하는 한 쌍으로 구성된다.
아울러 이송수단의 잭유닛(445)은 중간프레임(180) 후방에 장착되고, 인입출되는 플런저의 전단부가 상부 설치프레임(410)에 연결되어 플런저의 인입출에 따라 설치프레임(410)에 이동력을 전달하게 되면 이송롤러(441)가 이송가이드(443)를 따라 활주하여 면보수 작업대(400)가 전방 또는 하부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즉 이송수단(440)은 거더 세그먼트 외벽체(W)의 면보수 작업을 하는 경우 외벽체의 면적에 따라 면보수 작업대(400)를 이동시켜야 할 필요가 있고, 따라서 폼 트래블러(FT)의 이동과 무관하게 면보수 작업대(400)의 독립된 거동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작업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이송수단의 잭유닛은 유압, 기계식, 전동식 등이 적용 가능할 뿐만 아니라, 유압실린더 등과 같은 작동체로 대체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면보수 작업대(400)는 상기한 바와 같은 거더 세그먼트의 측면 외벽체(W)의 면보수 이외에 거더 세그먼트의 바닥 하면(F) 보수를 위해 거푸집 이동대차의 하부프레임(200)에 장착되는 하면보수 작업대(45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한 하면보수 작업대(450)는 도 9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더 세그먼트(GS)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발판(451)이 구비되고, 이 하부발판(451)의 전단은 하부프레임(200) 하부에 힌지 결합되며, 후방에는 안전펜스(453)가 구비되어 작업 중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또한 하면보수 작업대(440)에는 하부발판(451)과 하부프레임(200)의 상부를 연결하는 수평유지부재(455)가 구비되고, 수평유지부재(455)는 와이어나, 강봉 또는 잭유닛 등과 같은 작동체로 구성된다.
이 경우 하부프레임(200)의 상부에는 바닥거푸집이 설치되는데, 교량을 구성하는 거더 세그먼트의 하면부는 교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아치 형태로 형성된다.
즉 거더 세그먼트(GS)의 하면부는 교량의 일측방향에서 중앙부로 갈수록 상방으로 경사를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거의 수평 형태를 이루게 되며, 중앙부에서 교량의 타측방향으로 갈수롤 거더 세거먼트의 하면부는 하방으로 경사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바닥거푸집이 설치된 하부프레임(200)은 교량의 일측부, 중앙부 및 타측부에서 각각 도 13의 (a), (b) 및 (c)와 같은 경사를 갖게 된다.
먼저 도 13의 (b) 도시를 기준으로 할 때, 즉 교량의 중앙부에 배치된 거더 세그먼트(GS)는 하면부가 거의 수평을 이루고, 이때 하부프레임(200) 역시 수평으로 배치되어 하부발판(451)은 수평이 유지된 상태이다.
도 13의 (b)를 기준으로 교량의 일측부에 배치되는 거더 세그먼트(GS)의 하면부는 도 9 및 도 13의 (a) 도시와 같이 상방으로 경사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하부프레임(200) 역시 상방으로 경사진 상태이다.
이 경우 수평유지부재(455)는 하부발판(451)의 수평을 유지하게 위해 그 길이를 줄여 도 13의 (b)의 수평 상태에서 하부발판(451)을 상부로 들어올려 하부발판(451)의 수평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도 13의 (b)를 기준으로 교량의 타측부에 배치되는 거더 세그먼트(GS)의 하면부는 도 13의 (c) 도시와 같이 하방으로 경사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하부프레임(200) 역시 하방으로 경사진 상태이다.
이 경우 수평유지부재(455)는 하부발판(451)의 수평을 유지하게 위해 그 길이를 늘려 도 13의 (b)의 수평 상태에서 하부발판(451)을 하부로 내림으로써 하부발판(451)이 수평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수평유지부재(455)는 시공된 거더 세그먼트(GS)가 전체 교량을 구성하는 경우 거더 세그먼트(GS)의 하면부 형상이 교량 전체에서 가변되는 경우 하부보수 작업대의 하부발판(451)이 수평을 이루도록 하여 작업자가 평탄한 작업대에서 거더 세그먼트(GS)의 하면 보수작업을 할 수 있어 작업의 안정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폼 트래블러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 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B : 교량
GS : 거더 세그먼트
S : 슬래브 G : 바닥
W : 벽체
SF : 슬래브거푸집
GF : 바닥거푸집 WF : 벽체거푸집
SP : 강봉
FT : 거푸집 이동대차
100 : 메인프레임 110 : 제1 메인프레임
111 : 제2 메인프레임 111a : 수평부재
111b : 수직부재 111c : 경사부재
112 : 프론트프레임 113 : 리어프레임
114 : 연결프레임 115 : 지지프레임
120 : 제1 수직프레임 121 : 제2 수직프레임
130 : 유압잭
140 : 프로튼보기
150 : 가이드레일
151 ; 레일받침대 160 : 크로스암
161 : 지지바 170 : 제1 작업대
171 : 제2 작업대 180 : 중간프레임
200 : 하부프레임
300 : 가변수단
310 : 절첩부재 311 ; 제1 결합부
313 : 제2 결합부 320 : 인입출부재
321 : 삽입공 323 : 제1 걸림부
325 : 제2 걸림부
400 : 면보수 작업대
410 : 설치프레임 411 : 수직재
411a : 내측 수직재 413 : 수평재
415 : 수평부재
420 : 발판부 421 : 미끄럼방지부재
430 : 각도조절부 431 : 관통공
432 : 삽입공 433 : 고정공
434 : 대응고정공 435 : 고정핀
440 : 이송수단 441 : 이송롤러
443 : 이송가이드 445 : 잭유닛
450 : 하면보수 작업대 451 : 하부발판
453 : 안전펜스 455 : 수평유지부재
S : 슬래브 G : 바닥
W : 벽체
SF : 슬래브거푸집
GF : 바닥거푸집 WF : 벽체거푸집
SP : 강봉
FT : 거푸집 이동대차
100 : 메인프레임 110 : 제1 메인프레임
111 : 제2 메인프레임 111a : 수평부재
111b : 수직부재 111c : 경사부재
112 : 프론트프레임 113 : 리어프레임
114 : 연결프레임 115 : 지지프레임
120 : 제1 수직프레임 121 : 제2 수직프레임
130 : 유압잭
140 : 프로튼보기
150 : 가이드레일
151 ; 레일받침대 160 : 크로스암
161 : 지지바 170 : 제1 작업대
171 : 제2 작업대 180 : 중간프레임
200 : 하부프레임
300 : 가변수단
310 : 절첩부재 311 ; 제1 결합부
313 : 제2 결합부 320 : 인입출부재
321 : 삽입공 323 : 제1 걸림부
325 : 제2 걸림부
400 : 면보수 작업대
410 : 설치프레임 411 : 수직재
411a : 내측 수직재 413 : 수평재
415 : 수평부재
420 : 발판부 421 : 미끄럼방지부재
430 : 각도조절부 431 : 관통공
432 : 삽입공 433 : 고정공
434 : 대응고정공 435 : 고정핀
440 : 이송수단 441 : 이송롤러
443 : 이송가이드 445 : 잭유닛
450 : 하면보수 작업대 451 : 하부발판
453 : 안전펜스 455 : 수평유지부재
Claims (10)
- 서로 인접한 복수 교량(B)의 거더 세그먼트(GS)를 시공하기 위한 복수의 거푸집 이동대차(FT)를 포함하는 폼 트래블러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 이동대차(FT)는
메인프레임(100)과,
상기 메인프레임(100)과 연결되고, 거더 세그먼트(GS)를 시공하기 위한 하부프레임(200)을 포함하고,
상기 거푸집 이동대차(FT)의 메인프레임(100)과 하부프레임(200)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각 프레임(100)(200)의 단부길이를 가변 가능하게 하는 가변수단(30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폼 트래블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수단(300)은
상기 거푸집 이동대차(FT)의 각 프레임 단부에 힌지 결합되는 절첩부재(3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폼 트래블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수단(300)은
상기 거푸집 이동대차(FT)의 각 프레임의 단부로부터 인입출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인입출부재(3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폼 트래블러.
- 거더 세그먼트(GS)를 시공하기 위한 거푸집 이동대차(FT)를 포함하고, 상기 거푸집 이동대차의 측면부에 설치되어 시공된 거푸집 세그먼트의 면보수를 위한 작업대가 구비된 폼 트래블러에 있어서, 상기 면보수 작업대(400)는
상기 거푸집 이동대차의 측면부에 장착되는 설치프레임(410); 및
상기 설치프레임(410)에 수평방향으로 장착되는 발판부(42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폼 트래블러.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면보수 작업대(400)에는
상기 설치프레임(410) 및 상기 발판부(420)에 구비되어 상기 거더 세그먼트 외벽체(W)의 경사에 따라 신축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각도조절부(430)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폼 트래블러.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프레임(410)은
상기 거푸집 이동대차의 중간프레임(180)에 장착되고, 상기 발판부(420)가 상하로 배치되는 수직재(411)와,
상기 수직재(411)에 연결되고, 상기 발판부(420) 사이에 배치되는 수평재(413)를 포함하고,
상기 각도조절부(430)는 상기 발판부(420)와 상기 수평재(413)가 상기 수직재(411)를 통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폼 트래블러.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430)는
상기 거더 세그먼트의 외벽체(W)에 근접 배치된 수직재(411)는 상단이 중간프레임(180)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발판부(420)와 상기 수평재(413)의 일측단부에 상하로 분리 및 결합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폼 트래블러.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프레임(410)의 상단에는 상기 거푸집 이동대차의 중간프레임(180)에 거치되어 상기 면보수 작업대(400)의 수평방향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이송수단(44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폼 트래블러.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440)은
상기 설치프레임(410)의 상단에 장착되는 이송롤러(441)와,
상기 중간프렘임(180)에 형성되어 상기 이송롤러(441)가 활주하는 이송가이드(443)와,
상기 중간프레임(180)에 장착되어 상기 설치프레임(410)을 수평 이동시키는 잭유닛(44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폼 트래블러.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면보수 작업대(400)는 상기 거더 세그먼트(GS)의 하면 보수를 위해 상기 거푸집 이동대차의 하부프레임(200)에 장착되는 하면보수 작업대(450)가 구비되고,
상기 하면보수 작업대(450)는 상기 하부프레임(200)의 각도 변화에 따라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수평유지부재(455)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폼 트래블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01517A KR101770230B1 (ko) | 2015-07-17 | 2015-07-17 | 폼 트래블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01517A KR101770230B1 (ko) | 2015-07-17 | 2015-07-17 | 폼 트래블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09446A true KR20170009446A (ko) | 2017-01-25 |
KR101770230B1 KR101770230B1 (ko) | 2017-08-22 |
Family
ID=57991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01517A KR101770230B1 (ko) | 2015-07-17 | 2015-07-17 | 폼 트래블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70230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677732A (zh) * | 2018-06-20 | 2018-10-19 | 中铁三局集团有限公司 | 适用于变截面梁段的辅助移动模架主梁悬吊后退施工方法 |
CN110700099A (zh) * | 2019-10-11 | 2020-01-17 | 中国十七冶集团有限公司 | 一种临空面横向滑模浇筑混凝土装置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59031B1 (ko) | 2012-10-16 | 2013-04-29 | 컨텍이앤씨 주식회사 | 횡단 프레임을 구비한 폼 트래블러 및 그 런칭 방법 |
KR101326794B1 (ko) | 2011-09-09 | 2013-11-11 | 주식회사 라이즈글로벌 | 고소작업대용 대차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077521A (ja) * | 2004-09-13 | 2006-03-23 | Oriental Construction Co Ltd | 橋梁構築装置 |
-
2015
- 2015-07-17 KR KR1020150101517A patent/KR10177023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26794B1 (ko) | 2011-09-09 | 2013-11-11 | 주식회사 라이즈글로벌 | 고소작업대용 대차 |
KR101259031B1 (ko) | 2012-10-16 | 2013-04-29 | 컨텍이앤씨 주식회사 | 횡단 프레임을 구비한 폼 트래블러 및 그 런칭 방법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677732A (zh) * | 2018-06-20 | 2018-10-19 | 中铁三局集团有限公司 | 适用于变截面梁段的辅助移动模架主梁悬吊后退施工方法 |
CN110700099A (zh) * | 2019-10-11 | 2020-01-17 | 中国十七冶集团有限公司 | 一种临空面横向滑模浇筑混凝土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70230B1 (ko) | 2017-08-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671373B2 (ja) | 橋梁の撤去工法と新設工法 | |
CN201074517Y (zh) | 一种加宽隧道衬砌台车 | |
RU2015155270A (ru) | Производственный объект | |
CN104379488A (zh) | 用于安装电梯部件的方法和安装系统 | |
JP6159094B2 (ja) | 移動足場 | |
KR102111100B1 (ko) | 서포트 승강형 거푸집 운반 장치를 이용한 거푸집 운반 방법 | |
JP2014190107A (ja) | 橋桁の架設方法、撤去方法、および橋桁工事用装置 | |
JP6270692B2 (ja) | 揚重装置および揚重方法 | |
CN112573426A (zh) | 一种装配式建筑搭建用隔墙板吊运装置 | |
KR101770230B1 (ko) | 폼 트래블러 | |
JP6167025B2 (ja) | 重量物の階段揚重装置及び階段揚重方法 | |
JP2019210109A (ja) | 重量物の揚重装置、および、揚重運搬方法 | |
JP6124595B2 (ja) | 重量物運搬具 | |
JP6865151B2 (ja) | 重量物搬送台車 | |
JP2007290826A (ja) | 乗客コンベアの構成部品搬入方法と構成部品搬出方法並びにそれを利用した乗客コンベアの改修方法及びそれに使用する乗客コンベアの構成部品搬出入装置 | |
JP6172636B2 (ja) | 足場システム | |
CN113764157B (zh) | 一种变压器分段顶推式安装就位平台及安装就位施工方法 | |
JP2016078945A (ja) | 積載物搬送装置 | |
JP7050134B2 (ja) | 重量物の荷役方法 | |
JP2006028734A (ja) | 移動式ベントを用いた橋桁の送り出し架設工法 | |
JP2017071488A (ja) | 重量物の階段揚重装置及び階段揚重方法 | |
CN109911537B (zh) | 一种阶梯用工程材料垂直运输设备 | |
CN211711873U (zh) | 一种轨道式用于吊装运输的牵引系统 | |
JP6274569B2 (ja) | 屋根の施工方法、及び運搬装置 | |
KR20210000005A (ko) | 철로용 리프트 작업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