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4534A - 외장판취부장치 - Google Patents

외장판취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4534A
KR20000064534A KR1019980706543A KR19980706543A KR20000064534A KR 20000064534 A KR20000064534 A KR 20000064534A KR 1019980706543 A KR1019980706543 A KR 1019980706543A KR 19980706543 A KR19980706543 A KR 19980706543A KR 20000064534 A KR20000064534 A KR 200000645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ounting apparatus
exterior
bolt
fron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6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리차드 케트너
칼하인츠 문츠
Original Assignee
에른스트 하츠
루츠 앙커 시스템 게엠베하 운트 캄파니.케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른스트 하츠, 루츠 앙커 시스템 게엠베하 운트 캄파니.케게 filed Critical 에른스트 하츠
Publication of KR20000064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4534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5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adjustable perpendicular to the wall
    • E04F13/0855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adjustable perpendicular to the wall adjustable in several directions, one of which is perpendicular to the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 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REA)

Abstract

이 발명은 단일 금속판으로된 앵커 동체(4)를 포함하고 외장판(2)을 건물의 벽(3)에 부착하는데 사용되는 외장판 취부장치에 관한 것임. 외장판 취부장치는 전면판(10)과 배면판(8)의 양측 수직연부를 연결하는 평행한 두 측면판(9)을 갖고 있음. 전면판(10)에는 외장판에 결합되는 보울트(6)가 설치되며, 외장판과 벽면간의 거리는 보울트에 결합된 배면에 톱니가 형성된 내부의 조절 너트(14)와 외부의 고정 너트(18)를 회전시켜 조절할수 있음.

Description

외장판 취부장치
이러한 형태의 취부장치는 건축물의 외부 장식판, 예를들면 자연석, 콘크리트 또는 세라믹 등으로 제조된 장식판인 외장판을 건물의 벽면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도록 건물의 벽에 부착하여 고정시키는데 사용되고 있다. 외장판을 벽면에 설치할 때는 외장판을 벽면에 평행하게 상하좌우로 이동시킬 필요가 있음은 물론이고 외장판과 벽면과의 거리, 즉 간격을 조절할 필요가 있을 때도 있다. 이와 같이 외장판과 벽면간의 거리를 조절할 때는 취부장치를 구성하는 앵커 동체에 설치된 보울트를 두 개의 너트를 이용하여 전후진 시키므로서 건물벽면으로부터의 외장판 간격을 조절하고 있다. 또한 변형장치로는 너트를 사용하지 않고 전면벽에 형성된 나사공에 보울트를 나사식으로 결합시키고 보울트를 돌려 거리를 조절하게된 외장판 취부장치도 알려졌다.
이러한 종래의 취부장치에서는 외장판과 벽면간의 간격이 넓으면 그에 상응하는 긴 보울트를 사용하여야 하는데, 이 경우 외장판의 하중이 보울트에 치중되어 보울트가 꾸부러지는 경우가 나타나므로, 최근에는 너무 긴 보울트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외장판과 벽면간의 간격을 조절할수 있는 각종의 외장판 취부장치들이 개발되었다.
루츠 앵커링 시스템스 캄파니, 리미티드에서 판매하는 공지된 취부장치에서는, 앤커 동체가 다수의 절곡된 단부들을 갖고 있는 평판으로 구성되었다. 이 앵커 동체는 건물의 벽에 지지되는 배면판의 하단연부를 절곡하여 형성한 수평 플렌지를 갖고 있으며, 이 수평 플렌지의 단부에 전면판이 부착되었다. 이러한 형태의 앵커 장치는 외장판의 중량에 의한 수직 하중과 전면판을 관통하여 배면판과 건물 벽에 삽입되는 보울트에 의한 절곡응력에 대응할수 있도로 하기 위하여 앵커 동체를 비교적 두꺼운 금속판으로 제작하여야 하였다. 이와 같이 두꺼운 금속판으로 행카 동체를 제작하는 것은 가공작업이 복잡하고 생산비가 높아지며 취부 장치의 중량을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전면판과 배면판 간의 간격이 비교적 큰 앵커 동체가 요구될수도 있는바, 전술한 형태의 종래 취부장치는 앵커 동체의 전면벽과 배면벽간의 간격이 비교적 짧게 형성되었다.
본 발명은 건축물의 벽면을 장식하는 장식판을 건물의 벽면에 부착하는 외장판 취부장치에 관계되는 것으로서, 특히 배면판이 스크류에 의하여 건축물의 벽면에 고정되고 전면판은 외장판에 고정되는 보울트를 갖고 있어서 외장판과 벽면 간의 거리를 조절할수 있게된 외장판 취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외장판 취부장치의 종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취부장치를 도1의 화살표 II의 방향에서 본 평면도,
도 3은 도 1 및 2에 도시된 앵커동체의 사시도,
도 4는 도 1 및 2에 도시된 취부장치의 보울트 고정에 사용되는 조절너트의 배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앵커동체의 변형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앵커동체 제조용 금속판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취부장치의 변형을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8은 도 7에 의한 취부장치를 도 7의 화살표 VIII의 방향서 본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취부장치의 또 다른 변형을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조절판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방법으로 제작할수 있고, 경량이면서 전면판과 배면판간의 간격이 비교적 크게 형성되는 앵커 동체를 갖는 외장판 취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앵커 동체를 구성하는 배면판의 양측 연부에서 전면측으로 절곡되어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형성되고 외단부에서 전면판의 양측 수직 연부와 결합되는 두 평행한 수직 측면판을 갖는 금속판제 앵커동체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외장판 취부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면판과 배면판 간의 수직하중과 절곡응력의 전달은 두 수직 측면판에 의하여 이루어 지므로 건물벽에 고정되는 배면판과 연결 보울트는 전술한 수직하중과 절곡응력을 덜 받게 되어 앵커 동체를 비교적 얇은 철판으로 제작할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고하중의 외장판을 취부하는데 유리하게 이용할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두 개의 앵커 동체가 평행한 네 변을 갖는 단일 금속판 소재로 제조될수 있다. 전술한 단일판 금속 소재는 중앙에서 앵커 동체를 펼친 두 개의 소재판으로되게 절단하면 두 개의 앵커 동체용 소재판이 동시에 형성되게 되는바, 이 경우 좌우측 연부를 직각으로되게 절곡하면 일측 소재판에서는 중앙부가 전면판을 구성하는 앵커 동체가 형성되고 타측 소재판은 중앙부가 배면판을 구성하는 앵커 동체가 형성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조하는데 힘이 덜 들고 전면판 또는 배면판을 형성하기 위하여 중앙부를 절곡하고 배면판 또는 전면판을 형성하기 위하여 각개 소재판의 양측 연부를 절곡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앵커동체를 제조할수 있으며, 두께가 얇은 소재판을 사용하여도 되므로 간단한 절곡도구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제작할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전면판과 배면판이 각각 두 측면판으 양측 수직 연부에서 일체로 절곡 형성되므로 용접이나 기타의 방법으로 소재판의 대향된 두 절곡연부를 서로 결합시켜 고정할 필요가 없게 되어 제작이 간편하게 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앵커 동체는 상단부와 하단부가 개방된 상자형태로 형성되므로 비교적 얇은 금속판으로 제조된 경우에도 형의 안정성이 있기 때문에 높은 하중에 견딜수 있게 된다.
전술한 형태의 취부장치는 전면판에 보울트가 설치되는데, 이 보울트의 전면판 후방에는 조절너트가 결합되고 전면판 전방에는 카운터 너트가 설치되어 외장판의 설치 간격을 정한 다음에 두 너트를 조절하여 보울트를 고정시키면 간단하게 벽면과 외장판 간의 간격이 조정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앵커 동체가 상자형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조절너트를 작동시키기 용이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한 형태에서는 앵커동체 내측에 위치하는 조절너트의 표면이 톱니형으로되어 있어서 보울트로 벽면과 외장판 간의 간격을 조절할 때 조절너트를 손가락으로 회전시킬수 있게 되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술한 카운터-너트는 통상의 8각 너트로 구성되었으며, 조절너트와 협동작용으로 전술한 보울트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전술한 조절너트는 배면이 톱니형으로 형성되고 중앙에 나사공을 갖고 있는 원반형으로된 외주면이 평평한 원형으로 형성될수도 있고, 배면에 톱니가 형성된 8각 너트로 구성될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의하면 전면벽과 배면벽 간의 거리가 비교적 짧은 얇은 두께의 앵커동체를 얻기 위하여 동체의 전면판에 보울트가 나사식으로 결합될수 있는 나사공으로 형성하여 보울트가 나사공에 결합되는 정도에 의하여 외장판과 벽면간의 거리를 조절할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취부장치에서는 전면판이 양 측벽의 전면측 단부에 용접고정될수 있다. 특히 전술한 전면판은 양측판의 선단부에 용접고정된 8각 너트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은 전면판이 기존의 8각 너트를 사용하여도 되므로 비교적 쉽게 제작할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2의 외장판 취부장치(1)는 점선으로 표시된 외장판(2)을 건물벽(3)의 표면에 고정시키는데 사용된다. 금속판으로된 앵커 동체(4)는 건물벽(3)에 고정된 앵커 트랙이나 보조 철 구조물에 있는 플러그 등에 스크류(5)로 고정되게 되었으며, 외장판(2)에 결합되는 수평 보울트(6)를 갖고 있다. 전술한 보울트(6)의 단부(6a)에는 외장판(2)에 형성된 횡공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핀(7)이 부착되었다.
앵커 동체(4)는 건물벽(3)에 고정되는 배면판(8), 두 측면판(9) 및 전면판(10)으로 구성되었으며, 이 배면판(8)의 상단부에는 스크류(5)가 삽입되는 수직 장공(5a)이 형성되었다.
두 측면판(9)은 배면판(8)의 양측 연부(8a)에 직각으로 연결되었으며,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었다. 전술한 두 측면판(9)의 단부에는 전면판(10)이 직각으로 연결되었으며, 이 전면판(10)은 두 측면판(9)의 단부를 연부(10a)에서 직각으로 내향 절곡하여 형성한 내부판과 외부판으로 구성된다.
도 2 및 3에 도시된 앵커 동체(4)는 도 6에 도시된바와 같은 단일 금속판으로된 금속 소재판(11)으로 형성된다. 도 6에서, 금속판(11)의 대향되는 두 양측 단부(11a)는 앵커 동체(4)의 전면판(10)을 구성한다. 전술한 전면판(10)의 하단 연부(10b)와 배면판(8)의 하단 연부(8b)는 거의 동일평면상에 위치하는 동일한 높이로 되었고 배면판(8)의 높이는 전면판(10)의 높이보다 높게되어 있어서 두 측면판(9)의 상단 연부(9a)는 배면판(8)의 상단 연부(8c)로부터 전면판(10)의 상단 연부(10c) 쪽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된다.
전술한 전면판(10)에는 보울트(6)가 삽입되는 구멍(12)이 형성되었으며(도3 참조), 전술한 구멍(12) 속으로 삽입된 보울트(6)의 전면판(10) 내측에는 와셔(13)와 조절너트(14)가 결합되고 전면판(10) 외측에는 와셔(17)와 육각 카운터-너트(18)가 결합되었다. 전술한 조절너트(14)는 도 4에 도시된바와 같이 중앙에 나사공(15)을 갖고 있고 배면에 톱니(16)가 형성된 판상으로 형성되었다.
전술한 조절너트(14)는 건물벽(3)과 외장판(2) 사이의 거리를 미세조절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벽(3)과 외장판(14) 간의 거리를 미세조절할 때는 손가락 끝을 너트(14)의 톱니형 표면에 대고 너트(14)를 돌리는 간단한 작업에 의하여 달성된다. 요구하는 조절작업이 완료된 다음에는 카운터-너트(18)를 돌려 전면판(10)에 밀착되도록 하면 전면판(10)이 두 너트(16),(18) 사이에 고정된다.
도 1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앵커동체(4)는 배면판(8)의 하단부에 배면의 건물벽측으로 돌출된 돌출부(8d)를 갖고 있다. 이 돌출부(8d)는 벽(3)의 표면이 균일하지 않을 때 벽에 배면판(8)이 밀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또 하나의 앵커동체(4')가 도시되었는바, 이 앵커 동체(4')는 도 3에 도시된 앵커 동체(4)에 유사하지만 배면판(8)이 도 6에 도시된 소재판(11')의 두 양측 단부(11a')로 형성되고 두 측면판(9)은 전면판(10)을 배면측으로 절곡하여 형성하였다. 이 앵커 동체(4')에서는 전면판(10)이 두 측면판(9)과 일체로된 단일판으로 형성되고 배면판(8)은 두 측면판을 내측으로 절곡하여 형성헌 내외 두 판으로 구성되었다. 이 앵커 동체(4')에서는 전면판(10)이 도 6에 도시된 금속 소재판(11')의 중앙부에 의하여 형성된다.
전술한 앵커 동체(4)(4')는 도 6에서 알수 있는바와 같이 단일 금속판을 중앙의 절취선을 따라 절단하였을 때 동시에 형성되는 두 소재판(11)(11')으로 제작되는바, 성형전의 소재판(11),(11')들은 단일선에서 서로 합체되도록 되었다. 따라서 전술한 두 앵커 동체들은 도 6에 도시된바와 같은 단일 소재판을 단일 절단선에서 절단하여 제작하므로 구멍형성시 나오는 자투리들을 제외하고는 자투리들이 생기지 않게 된다.
전술한 두 앵카 동체(4)(4')들이 도 6에 도시된바와 같이 단일 금속판으로 형성되는 경우, 소재판(11)에서는 스크류 삽입 구멍을 갖는 배면판(8)이 중앙부에서 형성되는데 반하여 소재판(11')에서는 보울트 삽입 구멍을 갖는 전면판(10)이 중앙부에서 형성되게 된다.
도 7과 8에는 도 1과 2에 도시된 외장판 취부장치와 다른 형태의 취부장치(1')가 도시되었다. 이 취부장치에서는 앵커 동체(4")를 구성하는 전면판(10")이 두 측면판(9")의 단부에 용접고정된 8각 너트(19)로 구성되었다. 이 너트(19)에는 보울트(6)가 나사식으로 삽입되었으며, 거리를 조절할 때는 이 보울트(6)를 돌리게 되었다. 이러한 형태의 취부장치는 너트(19)가 전면판(10")을 구성하고 보울트(6)가 직접 너트(16)에 나사식으로 결합되어 고정되게 되어 있어서 별도의 조절 너트와 카운터-너트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전면판과 배면판 사이의 거리가 짧게 되어 벽면에 근접되게 외장판을 설치하여야 하는 경우에 유리하게 이용할수 있다.
앵커가 벽면에 보다 근접되게 설치되도록 하기 위하여는, 보울트(6)와 직선상에 위치하는 앵커동체(4")의 배면판(8")에 보울트(6)의 외경 보다 큰 내경을 갖는 구멍(20)을 형성하여 보울트(6)의 단부가 전술한 구멍(20)을 지나 벽면에 까지 돌출되도록 할수도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벽면에 홈을 파서 구멍(20)을 통과한 보울트(6)의 단부가 벽면의 홈 속으로 삽입되도록 할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보울트의 길이가 어느 정도 긴 경우에도 보울트의 단부가 앵커 동체(4")의 배면판(8")에 형성된 구멍(20)을 거쳐 건물의 벽면에 형성된 홈 속으로 삽입되므로 외장판을 보다 벽면에 근접되게 설치할수 있게 된다.
도 9와 10에는 도 1의 앵커에 유사한 앵커가 도시되었다. 이 앵커는 구멍(5a)이 형성된 배면판(8)과 벽(3) 사이에 이동할수 있도록 설치된 안내판(21)을 갖고 있으며, 안내판(21)은 경사지게 형성된 장공(22)을 갖고 있다. 그리고 배면판(8)의 장공(5a) 윗쪽에는 배면측으로 돌출된 돌기(23)가 형성되었다. 이 돌기(23)는 안내판(21)의 상연부(21a)에 지지되어 안내판(21)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앵커 동체를 스크류(5a)로 벽면에 고정시킨후 전술한 안내판(21)을 측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앵커의 설치 높이가 조절될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조절너트(14)는 통상의 8각 너트가 사용되었다.

Claims (11)

  1. 건축물의 벽면에 고정되는 보울트가 삽입되는 구멍이 형성된 배면판과 배면판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위치하고 외장판에 고정되는 보울트가 삽입되는 구멍을 갖고 있는 전면판을 갖고 있는 앵커 동체를 포함하는 외장판 취부장치에 있어서, 앵커 동체(4, 4', 4")가 벽면에 고정되는 배면판(8, 8', 8")의 양측 수직 연부에 연결되고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두 측면판(9, 9', 9")을 갖고 있으며, 전술한 두 측면판은 외단부에서 외장판에 결합되는 보울트와 결합된 전면판(10, 10', 10")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었음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판 취부 장치.
  2. 제1항에서, 앵커 동체(4, 4')가 단일 금속판으로된 소지판(11, 11')의 중앙부에 의하여 형성된 배면판(8) 또는 전면판(10)과 전술한 소지판(11, 11')의 양측 연부(11a, 11a')에 의하여 형성되고 두 평행한 수직 측면판에 의하여 전술한 배면판(8) 또는 전면판(10)에 연결된 전면판(10) 또는 배면판(8)으로 구성되었음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판 취부장치.
  3. 제1항에서, 배면판(8)과 전면판(10)의 하단 연부(8b),(10b)는 동일 평면상에 놓이고, 양측 두 측면판(9)의 상단 연부(9a)는 배면판(8)의 상단 연부(8c)로부터 전면판(10)의 상단 연부(10c) 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었음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판 취부장치.
  4. 제1항에서, 전면판(10)에 결합되는 보울트(6)가 전면판 이면에 체결는 조절 너트(14)와 전면판의 전면에 체결되는 카운터 너트(19)를 갖고 있으며, 전술한 조절 너트(14)는 전면판의 반대측 표면에서 조절할수 있도록 되었음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판 취부장치.
  5. 제4항에서, 조절 너트(14)가 중앙에 나사공(15)을 갖고 있고 배면에 톱니(16)를 갖고 있는 원반형으로 형성되었음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판 취부장치.
  6. 제4항에서, 조절 너트(14)가 배면에 톱니(16)를 갖고 있는 8각 너트로 구성되었음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판 취부장치.
  7. 제1항에서, 보울트(6)가 전면판(10")에 형성된 나사공에 나사식으로 결합되고, 전술한 전면판(10")은 양 측면판(9")의 수직단부에 용접고정되었음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판 취부장치.
  8. 제7항에서, 전면판(10")이 측면판(9")의 외단부에 용접고정된 8각 너트로 구성되었음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판 취부장치.
  9. 제1항에서, 배면판(8)이 하단부에 건축물 벽(3)측으로 돌출된 돌출부(8d)를 갖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판 취부장치.
  10. 제1항에서, 이 취부장치가 나사공(5a)이 형성된 부분의 배면판(8) 후방에 이동할수 있는 안내판(21)을 갖고 있고 배면판(8)의 상단부에는 전술한 안내판(21)의 상단연부(21a)가 지지되는 돌기(23)가 형성되었음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판 취부장치.
  11. 제1항에서, 배면판(8)이 보울트(6)의 단부가 삽입될수 있는 크기의 직경을 갖는 구멍(20)을 갖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판 취부장치.
KR1019980706543A 1996-03-16 1997-02-25 외장판취부장치 KR2000006453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610408A DE19610408A1 (de) 1996-03-16 1996-03-16 Traganker für Fassadenplatten
DE19610408.4 1996-03-16
PCT/EP1997/000891 WO1997035081A1 (de) 1996-03-16 1997-02-25 Traganker für fassadenplatt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4534A true KR20000064534A (ko) 2000-11-06

Family

ID=7788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6543A KR20000064534A (ko) 1996-03-16 1997-02-25 외장판취부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EP (1) EP0886708B1 (ko)
KR (1) KR20000064534A (ko)
CN (1) CN1214099A (ko)
AT (1) ATE281574T1 (ko)
BR (1) BR9708203A (ko)
CZ (1) CZ294198A3 (ko)
DE (2) DE19610408A1 (ko)
HU (1) HUP9901300A3 (ko)
PL (1) PL328956A1 (ko)
WO (1) WO199703508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5458B1 (ko) * 2007-01-30 2008-01-30 (주)대동석재공업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KR101338691B1 (ko) * 2012-06-19 2013-12-06 주식회사 케이씨씨 마감재 설치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156522B1 (es) * 1999-01-08 2001-12-01 Fachadas Del Norte S L Sistema de fijacion para aplacados en fachada ventilada.
DE20017663U1 (de) * 2000-10-14 2002-02-21 Fischer Artur Werke Gmbh Fassadenplattenhalter
HU2333U (en) * 2002-03-04 2002-07-29 H R Profix Homlokzat Roegzites Support for border piling
CN102635761A (zh) * 2012-04-27 2012-08-15 中国联合工程公司 一种可调垫铁
DE202021105402U1 (de) 2021-10-06 2021-11-04 Daniel Sehrbrock Traganker als Haltevorrichtung zur Überbrückung von Fassadenöffnunge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516966A1 (fr) * 1981-11-20 1983-05-27 Duperrey Patrick Dispositif pour la fixation d'elements de revetement a une paroi d'une construction
DE3203194C2 (de) * 1982-01-30 1985-08-22 Siegfried 7135 Wiernsheim Fricker Haltevorrichtung für Bauwerksbekleidungen
DE3530694A1 (de) * 1985-08-28 1987-04-02 Siegfried Fricker Vorrichtung zur verankerung von platten
FR2685939B1 (fr) * 1992-01-06 1994-03-11 Rapid Sa Attache de fixation reglable d'un panneau formant revetement de facade par exemple.
DE19506023C2 (de) * 1995-02-22 1997-07-10 Lutz Ankersysteme Gmbh & Co Traganker für Fassadenplatt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5458B1 (ko) * 2007-01-30 2008-01-30 (주)대동석재공업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KR101338691B1 (ko) * 2012-06-19 2013-12-06 주식회사 케이씨씨 마감재 설치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UP9901300A3 (en) 1999-11-29
PL328956A1 (en) 1999-03-01
EP0886708A1 (de) 1998-12-30
ATE281574T1 (de) 2004-11-15
BR9708203A (pt) 1999-07-27
WO1997035081A1 (de) 1997-09-25
CZ294198A3 (cs) 1999-04-14
DE19610408A1 (de) 1997-09-25
HUP9901300A2 (hu) 1999-08-30
CN1214099A (zh) 1999-04-14
DE59712062D1 (de) 2004-12-09
EP0886708B1 (de) 2004-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20760B2 (en) Electrical box extension
KR20000064534A (ko) 외장판취부장치
US4674646A (en) Electrical box
HU222158B1 (hu) Rúdcsomópont
KR200166400Y1 (ko) 석재판넬의 고정브라켓 및 고정장치
GB2153407A (en) Suspended ceiling
JPH086892Y2 (ja) 鉄骨梁への耐火被覆材取付構造
JPH1160116A (ja) エレベータのかご操作盤
KR200249080Y1 (ko) 낙석방지용 와이어로프 고정장치
JPH0629296Y2 (ja) 取付け用金物
JPH08209793A (ja) 可変勾配形側溝用ブロック
KR200196201Y1 (ko)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
JP3555715B2 (ja) 外壁パネルの支持構造
KR200284085Y1 (ko) 석공사 건식시공용 앵글
JPH08260658A (ja) 二重壁支持材料
JPH0688409A (ja) プレハブ壁板取付装置
JP2520722Y2 (ja) 照明器具
JP2000160820A (ja) 水平二次元免震床への渡り床
KR960009418Y1 (ko) 천정판 부착장치
KR200220928Y1 (ko) 실내 마감패널 부착구
JP3157766B2 (ja) トンネル内に取付ける視線誘導板の施工方法及びこれに使用可能な角板材の取付け金具
US2611502A (en) Apertured ears on recessed lamp for receiving supporting rods
KR200234581Y1 (ko) 건축물 외벽 치장용 석재 고정장치
JPS6346582Y2 (ko)
JP2904615B2 (ja) 家屋ユニットの据付け調整治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